KR102449232B1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232B1
KR102449232B1 KR1020170046268A KR20170046268A KR102449232B1 KR 102449232 B1 KR102449232 B1 KR 102449232B1 KR 1020170046268 A KR1020170046268 A KR 1020170046268A KR 20170046268 A KR20170046268 A KR 20170046268A KR 102449232 B1 KR102449232 B1 KR 10244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information
network connection
connection setting
network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466A (ko
Inventor
이용우
심화섭
윤창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232B1/ko
Priority to PCT/KR2018/003839 priority patent/WO2018190546A1/en
Priority to EP18784729.8A priority patent/EP3574615B1/en
Priority to US15/949,716 priority patent/US11044658B2/en
Publication of KR2018011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466A/ko
Priority to US17/328,399 priority patent/US1165947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4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 H04L41/0846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based on copy from oth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41/0856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backing up or arch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제1기기 및 제2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간편하면서도 홈 네트워크의 보안이 확보되도록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홈 네트워크 연결 설정 편의성을 높여주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편입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기기를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공유기에 연결해야 한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 기기에는 키보드나 디스플레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간편하면서도 홈 네트워크의 보안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들 기기를 공유기에 연결하는 것은 꽤 어려운 문제다.
이를 위해 여러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첫 번째는 WPS(Wi-Fi Protected Setup) 방식이다. PBC(Push-Button-Connect)는 WPS 방식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공유기 및 공유기에 연결하려는 기기 각각에 대하여 버튼을 누르는 방법을 사용한다. 공유기의 버튼을 누르면 WPS 기능이 탑재된 기기들이 2분 동안 홈 네트워크에 자유롭게 합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보안의 공백이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공유기가 WPS 모드에 있을 때 주변의 모든 기기가 WPS 기능을 이용해 공유기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신뢰할 수 없는 기기도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Soft AP(Access Point) 방식이다. 홈 네트워크 기기가 공유기(Access Point)의 역할을 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고 여기에 PC나 스마트폰을 연결시킨 후 연결된 PC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홈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초기 설정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절차가 복잡하여 일반 사용자가 이해하기 매우 어렵고 네트워크 기기 조작에 익숙한 사용자들도 어려움을 느낀다는 단점이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①App 실행, ②Soft-AP사용 Guide 확인, ③홈 네트워크 기기 Soft AP Enable, ④App에서 해당 무선 AP 연결, ⑤암호 입력, ⑥연결 확인, ⑦실제로 연결할 공유기 검색, ⑧암호 입력, ⑨연결 완료의 단계를 거쳐야 비로소 기기를 홈 네트워크게 연결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일명 Wi-Fi 간단설정 방법이다. 이는 홈 네트워크 연결 설정이 필요한 기기와 스마트폰 사이를 자동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결한 후, 스마트폰의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위 기기에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홈 네트워크 기기가 Wi-Fi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적용해야 함에 따라 기기 제작비용이 상승한다는 부담이 있다.
따라서 위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 요청된다.
아울러 위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더라도, 사용자가 일정 기간 간격을 두고 홈 네트워크 기기를 하나씩 추가 구매함에 따라 각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경우, 사용자가 매번 동일한 네트워크 설정 과정을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도 요청된다.
이에 본 발명은, 간편하면서도 홈 네트워크의 보안이 확보되도록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홈 네트워크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이 있는 경우, 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으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기기의 설정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전자장치는, 제1기기 및 제2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제2기기는 사용자의 관여를 최소화한 채로 간편하게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기 설정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 기기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결정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통신 가능한 상기 제2기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처리부는 Bluetooth 신호, Zigbee 신호 및 IEEE 802.11 비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상기 제2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기기에서 별도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신호를 보내지 않고도 간편하게 제2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에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지 않고도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제2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자장치가 스마트폰일 경우 외부와의 통신이 빈번하여 상대적으로 보안에 취약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전자장치에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지 않고도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제2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의 간편함은 유지하면서도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기기에게,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상기 제2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의 중개 없이 직접 제1기기에서 제2기기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2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작업을 더욱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네트워크 패킷 중 임의 설정 가능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기존의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제조사 정보, 버전, 서비스 제공 옵션 정보, 패킷 번호, 디바이스 타입, 연결 정보, 연결 타입,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기 및 제2기기와 통신 가능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통신 가능한 상기 제2기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Bluetooth 신호, Zigbee 신호 및 IEEE 802.11 비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상기 제2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기기에게,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상기 제2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네트워크 패킷 중 임의 설정 가능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기존의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제조사 정보, 버전, 서비스 제공 옵션 정보, 패킷 번호, 디바이스 타입, 연결 정보, 연결 타입,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앞서 언급한 제어방법 중 무엇이라도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하면서도 홈 네트워크의 보안이 확보되도록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홈 네트워크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이 있는 경우, 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하여 그 다음으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기기의 설정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 및 작동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전자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전자장치의 다른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편의성을 높여주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홈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자장치(101), 홈 네트워크 기기(102, 103), 그리고 위 장치 및 기기들 상호간에 통신을 가능케 하여 홈 네트워크를 이루도록 하는 공유기(104)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전자장치(101)는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1)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마트폰 외에 TV, 태블릿, 노트북,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시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도 본 발명의 전자장치(101)가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아니더라도 통신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라면 무엇이든 본 발명의 전자장치(101)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기(102, 103)는 스피커로 도시되어 있으나 홈 네트워크 기기(102, 103)도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전자기기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그 예로는 스마트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오븐, 네트워크 오디오, 인공지능 가전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있다.
도 1은 홈 네트워크 기기 중 하나의 기기(102, 이하 '제1기기')는 이미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상태에서, 다른 홈 네트워크 기기(103, 이하 '제2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려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가 모두 스피커로서 동종의 기기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의 종류가 서로 다르더라도,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이기만 하면 본 발명은 여전히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는 제1기기(102)가 이미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황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어떠한 홈 네트워크 기기도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홈 네트워크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공유기(104)는 도 1에서는 무선랜 또는 Wi-Fi 공유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공유기(104)는 그 종류 및 명칭에 구애 받지 않고 전자장치(101)와 홈 네트워크 기기(102, 103) 상호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홈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방식은 크게 유선기술과 무선기술로 나눌 수 있다. 유선기술로는 전화선, 전력선, 이더넷(Ethernet), IEEE 1394,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한 방식이 있다. 무선기술로는 IEEE 802.11x 계열의 무선랜(LAN), HomeRF, 블루투스(Bluetooth), 광대역통신(UWB, UltraWideBand), Zigbee, HiperLAN 등의 방식이 있다. 전자장치(101)와 홈 네트워크 기기(102, 103)는 애드 혹 모드(ad-hoc mode) 또는 공유기(104)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인프라 스트럭쳐 모드(Intra-structure mode)로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IEEE 802.11x 계열의 무선랜(LAN) 통신 방식을 홈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으로 선택하여 무선랜 AP(Access Point)를 공유기(104)로 사용하는 환경을 전제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 및 작동개요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 및 작동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1)는 통신부(111), 처리부(115)를 포함한다. 전자장치(101)는 저장부(112), 디스플레이부(113), 사용자입력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공유기(104)와 통신할 수 있고 공유기(104)를 통해 홈 네트워크 기기(102, 103)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1)는 위에서 언급한 홈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1)는 공유기(104)를 통하지 않고 직접 홈 네트워크 기기(102, 103)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1)는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12)는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기기인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2)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DRAM 또는 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기기인 제2기기(103)에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할 경우 그 요청 사실 및 요청한 기기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백라이트 유닛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14)는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1)가 복수의 홈 네트워크 기기들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전자기기(101)는 위 요청을 보낸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 후 사용자입력부(114)를 통해 그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4)는 사용자입력의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스크린 상의 가상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고, 그 외에도 전자장치의 외측에 설치된 메뉴버튼,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의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 사용자의 제스처입력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인식하는 마이크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15)는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고 통신부(111) 등 전자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15)는 통신부(111) 제어를 포함하여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작업에 필요한 각종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성된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12)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후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가 있으면 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3)를 제어할 수 있고, 그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사용자입력부(114)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해당 기기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처리부(115) 중 제어를 수행하는 부분은 처리부(115)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고 처리부(115)와는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처리부(115)는 제어 및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전자장치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처리부(115)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1)는 제1기기(102)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한다(S301). 제1기기(102)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종래의 방법들 중 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방법 중 일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의 방법을 사용한 제1기기(102)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는 ①전자장치(101)에서 App 실행, ②Soft-AP 사용 안내문 확인, ③제1기기(102)에 대한 Soft AP Enable 버튼 선택, ④App에서 제1기기(102)의 Soft AP에 해당하는 무선 AP 연결, ⑤Soft AP에 대한 암호 입력, ⑥연결 확인, ⑦제1기기(102)와 연결할 공유기 검색, ⑧공유기에 대한 암호 입력, ⑨연결 완료의 단계를 거쳐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방법 중 일부를 사용하여 제1기기(102)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기기(102)의 전원을 켜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그 이후에 제1기기(102)에서 전자장치(101)로 전송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전자장치(101)가 제1기기(102)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전자장치(101)에서 자동으로 수행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아래의 다양한 실시예들과의 차이는 홈 네트워크 기기, 위 예에서는 제1기기(102)가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을 전자장치(101)에 보낼 당시 홈 네트워크에 기 연결된 홈 네트워크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이 경우 기 연결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연결설정정보가 없어서 이를 제1기기(102)에 전송할 수 없으므로, 전자장치(101)는 홈 네트워크에 대한 자신의 연결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제1기기(102)에 대한 홈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란, 홈 네트워크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설정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공유기(104)가 Wi-Fi 통신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SSID, BSSID, 암호화 방식(WEP, WPA, WPA2 등), 암호, 주파수 대역(2.4GHz, 5GHz) 등을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라면 무엇이든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네트워크 패킷 중 임의 설정 가능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기존의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제조사 정보, 버전, 서비스 제공 옵션 정보, 패킷 번호, 디바이스 타입, 연결 정보, 연결 타입,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1기기(102)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작업이 완료되면, 전자장치(101)는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한다. 다만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자장치(101)에 저장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고, 제1기기(102)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필요 시 이용할 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한다.
이후 전자장치(101)는 새롭게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제2기기(103)로부터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S303).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장치(101)가 주변 기기들 중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지만 아직 연결되지 않은 제2기기(103)를 직접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기기(103)는 제2기기(103)의 전원을 최초로 켰을 때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발송할 수도 있고, 매번 전원이 켜질 때마다 기기 내에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없을 경우 제공 요청을 발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발송하는 시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기기(103)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때라면 언제든지 발송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2기기(103) 등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 수신을 위해서는 전자장치(101)에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1)에서 위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모드로 실행되도록 하여 전자장치(101)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언제든지 그 요청을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그 후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2기기(103)와 전자장치(101) 사이의 통신을 위해 별도의 암호가 요구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2기기(103)로부터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전자장치(101)는 그에 대응하여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로 전송한다(S304). 그러면 제2기기(103)는 전자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1)에서 제2기기(103)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무선랜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제2기기(103)는 사용자의 관여를 최소화한 채로 간편하게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작동 과정과 흐름을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1)는 우선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한다(S401).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은 앞서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그 작업이 완료되면 제1기기(102)와 공유기(104)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면 제1기기(102)는 전자장치(101)가 속한 홈 네트워크로 편입되게 되어 상호간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기기(102)의 홈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된 후 전자장치(101)는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자장치(101)의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한편, 제2기기(103)는 전원이 켜지면(S403)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제2기기(103)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404). 저장되어 있을 경우 그 연결설정정보에 따라 공유기(104)에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편입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제2기기(103)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2기기(103)는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는 패킷을 전자장치(101), 제1기기(102), 공유기(104)를 포함한 타 기기들에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위 요청을 브로드캐스트 하는 데 사용되는 패킷의 형식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IEEE 802.11x 계열의 무선랜 통신 방식을 사용할 경우 802.11x 패킷을 사용하는 것이 별도의 통신 모듈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경제적일 것이다. 그러나 그 외에 제2기기(103)와 다른 홈 네트워크 기기, 특히 전자장치(101)가 공통으로 구비하고 있는 통신 모듈이 있다면 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 예를 들어 Bluetooth 패킷 또는 Zigbee 패킷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는 패킷임을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패킷 헤더에 이를 별도의 필드로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패킷 중 제조사에서 지정할 수 있는 공간에 해당 정보를 정의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 별로 마련된 프로토콜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후자가 보다 유리할 수 있다.
802.11x 패킷을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802.11x의 일반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제2기기(103)를 soft AP로 작동하도록 한 후 802.11x의 Beacon 패킷을 이용할 수도 있다. Beacon 패킷을 이용할 경우 전자장치(101)를 포함한 타 홈 네트워크 기기는 별도의 설정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 등의 필요 없이 바로 해당 패킷을 수신하고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2기기(103)가 아직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그 요청을 수신하고 인식하고 위해서는 수신장치, 예를 들어 전자장치(101)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전자장치(101)에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킬 수도 있고 필요시에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시킬 수도 있음은 앞서 본 바와 같다. 한편, 공유기(104)가 제2기기(103)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한 후 이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장치(101)에 다시 발송하는 형태로 위 요청이 전자장치(101)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2기기(103)의 전원을 켠 후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보내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기기(103)의 전원이 켜졌을 때 그것이 최초 전원 ON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바로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보내도록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제2기기(103)에 별도의 버튼이나 터치감지부를 구비한 후 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
제2기기(103)로부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패킷을 수신한 전자장치(101)는,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한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한다(S406). 여기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란, 그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이 있는 기기, 즉 제1기기의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기기임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는 위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자격이나 신뢰도를 더 포함하는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자격이나 신뢰도에 대한 검증 없이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모든 기기들에게 요청에 따라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 경우, 홈 네트워크의 보안을 확보하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하는 기기의 자격이나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 중 하나는, 사용자가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 기기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하는 기기들의 목록을 전자장치(101)의 화면에 표시한 후 그 중 그 요청에 따라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한 기기에 대해서만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가 이러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한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S406)'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한 기기 중 그 요청을 승인할 제2기기(103)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S506). 이에 의하면 기 설정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 기기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결정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하는 기기의 자격이나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기기(103)가 홈 네트워크에 기 연결된 제1기기(102)와 동종의 기기라면 사용자가 동일한 기기를 하나 더 구입한 후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상황이라고 보아 제2기기(103)의 요청을 승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는 제1기기(102)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제1기기(102)의 홈 네트워크 연결 자격 및 신뢰성을 확보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만약 제2기기(103)로부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이 제2기기(103)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발송되는 실시예의 경우라면, 예를 들어 제2기기(103)에 버튼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그 버튼을 누를 경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이 발송되는 경우라면, 브로드캐스트 패킷 내에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필드를 구비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시의 사용자의 입력으로 그 요청의 신뢰를 검증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제2기기(103)가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라고 판단되면, 전자장치(104)는 저장부(112)에 저장하고 있던 제1기기(102)의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한다(S407). 전자장치(101)로부터 위 연결설정정보를 수신한 제2기기(103)는 수신한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한다(S408). 그 결과 제2기기(103)도 홈 네트워크에 연결이 완료된다. 나아가 제2기기(103)는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별도로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수시한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 내에 저장함으로써, 이후 제2기기(103)의 전원이 켜졌을 때 재차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하는 작업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S409).
한편, 이상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2기기(103)에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하는 패킷을 다른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위 요청을 반드시 브로드캐스트 형식으로 발송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해 줄 전자장치(101)에 직접 연결하여 그 장치에만 요청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기기(102)와의 사이에서 전자장치(101)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하고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601, S602)는 앞서 살펴본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후 제2기기(103)에서 최초로 전원이 켜지면 전자장치(101)는 제2기기(103)를 감지하여 제2기기(103)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최초로 전원이 켜지는 경우에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가 연결되는 것은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기기(103)에 네트워크 연결 설정이 필요한 다른 상황에서도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 사이의 연결은 특정한 통신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가 모두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두 장치는 블루투스 페어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가 Wi-Fi 통신 모듈만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전자장치(101)를 soft AP로 동작하도록 한 후 전자장치(101)에서 발송되는 Beacon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를 연결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는 블루투스 BLE, SPP,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Zig bee)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서도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경우 제2기기(103)는 전자장치(101)와 직접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기기(103)는, 앞서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할 필요 없이, 전자장치(101)에만 요청을 보낼 수 있다. 또는 별도로 요청을 보낼 필요 없이, 두 장치의 연결 시 제2기기(103)에서 전자장치(101)에 보내는 패킷에 제2기기(103)가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필요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보낼 수도 있다. 아니면 제2기기(103)에서는 별도의 정보를 보내지 않더라도 제2기기(103)와 연결된 전자장치(101)에서 직접 제2기기(103)에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음을 판단하여 위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는 해당 통신 모듈에 따른 패킷 중 제조사에서 지정할 수 있는 공간에 제조사 정보, 버전, 해당 서비스 제공 옵션 정보, 패킷 번호, 디바이스 타입, 연결 정보, 연결 타입, 어드레스 등 필요 정보를 제조사의 규칙에 맞게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1)와 제2기기(103)가 블루투스 페어링에 의해 연결될 경우, 제2기기(103)에서 전자장치(101)로 보내는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패킷은 블루투스 패킷 중 블루투스 Advertisement 패킷과 스캔 Response 패킷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제2기기(103)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받거나 제2기기(103)에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전자장치(101)는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한다(S605). 이 후 제2기기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살펴본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
한편, 이상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01)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하고 난 후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자장치(101) 내에 저장했으나,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반드시 전자장치(101) 내에 저장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고, 전자장치(101)나 서버에 별도 저장하지 않고 필요 시 제1기기(102)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가 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별도의 서버에 저장하는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실시예가 위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전자장치(101)에서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한 후(S701),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자장치(101)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서버(105)에 전송하여 저장한다는 점이다(S702, S703). 사용자별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해 두는 것이 사용자별 홈 네트워크의 보안을 확보하는 데 유리할 것이다.
이렇게 서버(105)에 저장된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이후 제2기기(103)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이 수신되고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판단되면, 전자장치(101)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전자장치(101)로 전송된 후 다시 제2기기(103)로 전송된다(S704, S705).
한편, 도 7의 제2기기(103)가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은 도 4 또는 도 5의 실시예를 따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6과 같이 제2기기(103)가 전자장치(101)에 직접 연결되어 전자장치(101)에 직접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이하의 도 8 내지 도 1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필요 시 제1기기(102)에 요청하여 전송하는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앞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달리,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한 이후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자장치(101)나 서버(105)에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제1기기(102)에만 저장한다(S802). 이후 제2기기(103)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이 수신되면(S805), 전자장치(101)는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한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 판단한 후, 제1기기(102)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송받아(S807) 이를 제2기기(103)에 전송한다. 도 8에서는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 판단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와 동종의 기기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즉, 전자장치(101)는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한 제2기기(103)와 동종의 제1기기(101)에 대하여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자장치(101)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함으로써(S806)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와 동종의 기기일 경우에만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 판단하는 방법이 위와 같이 동종 기기인지 여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수신해도 무방한 기기라는 점이 확인된다면, 예를 들어 제2기기(103)가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라는 점이 확인된다면, 두 기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기기이어도 무방하다. 별도의 확인 없이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경우 전자장치(101)에서 전송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전송 요청을 제1기기(102)가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인식하기 위하여 제1기기(102)에는 이를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된 펌웨어가 설치되거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101)에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지 않고도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제2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자장치(101)가 스마트폰일 경우 외부와의 통신이 빈번하여 상대적으로 보안에 취약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전자장치(101)에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하지 않고도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제2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의 간편함은 유지하면서도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위 제4실시예에서 제1기기(102)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전자장치(101)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2기기(103)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이러한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제5실시예는 제2기기(103)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요청받은 전자장치(101)가 제1기기(102)에 대하여, 제2기기(103)에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S906)까지는 앞서 살펴본 제4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기기(102)에 대하여 위 요청 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자장치(101)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제2기기(103)로 바로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그에 따라 전자장치(101)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받은 제1기기(102)는 저장하고 있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바로 제2기기(103)로 전송한다(S907).
제1기기(102)가 저장하고 있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 사이에서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두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경우, 연결을 수행한 후 연결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가 모두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두 장치는 블루투스 페어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가 Wi-Fi 통신 모듈만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제1기기(102)를 soft AP로 동작하도록 한 후 제1기기(102)에서 발송되는 Beacon 신호를 이용하여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를 연결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는 블루투스 BLE, SPP,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Zig bee)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서도 연결될 수 있다.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가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1기기(102)에서 제2기기(103)로 발송하는 패킷이 제조사에서 정한 특정 구조를 갖도록 생성하여 발송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제1기기(102)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 제2기기(103)는 아직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들 사이에서 연결설정정보의 송수신이라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조를 갖는 패킷을 생성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기(102)에서 전송할 패킷 생성 시 전자장치(101)로부터 제공받은 제2기기(103)에 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킷을 생성하는 제1기기(102) 및 패킷을 수신하는 제2기기(103)에 대하여 별도의 펌웨어를 설치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101)의 중개 없이 직접 제1기기에서 제2기기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2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작업을 더욱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 사이에서의 연결설정정보 요청 및 제공은 위 제5실시예와 같은 전자장치(101)의 중개 없이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러한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1기기 및 제2기기 사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위 제5실시예의 경우, 전자장치(101)가 제2기기(103)로부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인식하고,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 제1기기(102)를 선택하여 제1기기(102)로 하여금 저장 중인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6실시예의 경우는,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제1기기(102)가 직접 제2기기(103)로부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인식한 후(S1005), 제2기기가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 여부도 스스로 판단하여(S1006), 그 결과에 따라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한다(S1007). 즉, 전자장치(101)가 수행하던 역할을 제1기기(102) 스스로 직접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자장치(101)의 중개가 필요 없게 된다. 제1기기(102)와 제2기기(103) 사이의 연결설정정보 요청 전송 및 그에 따른 연결설정정보 전송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법들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101)가 없거나 전자장치(101)에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제2기기(103)로부터의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제1기기(102)에서 직접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빠르게 홈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전자장치의 작동 모습과 전자장치의 UI 예시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1기기(102)인 스피커 A가 이미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전자장치(101)에서 생성되어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에 따른 음악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기기(102)인 스피커 B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발송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1)는 그 요청을 수신한 뒤 요청을 발송한 기기를 인식한 후, 해당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3)에 도 11과 같은 UI(110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장치(101)의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된 UI(1100)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의 제공을 요청한 기기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고 그 기기에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사용자입력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1101, 1102).
해당 기기에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공할 것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1101), 전자장치(101)는 기 연결된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에 전송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제2기기(103)는 수신한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도 12와 같이, 제2기기(103)도 홈 네트워크에 연결됨에 따라, 전자장치(101)에서 생성되어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에 따른 음악을 제1기기(102)와 마찬가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1)는 복수의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요청을 발송한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목록을 전자장치(101)의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1301)하고 그 중 요청을 승인할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이 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은 사용자의 집 외부에 위치한 기기들로부터도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기기를 정확히 식별할 수 없거나 요청 기기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기(102)는 홈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한 후(S1401), 홈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저장한다(S1402). 이후 제2기기(103)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S1403), 제2기기(103)가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4), 이용할 수 있는 기기라고 판단되면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한다(S1405). 그렇지 않고 제2기기(103)가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기기라고 판단되면(S1404), 제1기기(102)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로 전송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기기(102)는 위와 같이 제2기기(103)가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대신, 전자장치(101)로부터 연결설정정보 전송 요청이 오면 그에 따라 연결설정정보는 전자장치(101) 또는 제2기기(103)에 전송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기(103)는 전원을 ON하면(S1501), 제2기기 내부에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2). 저장되어 있을 경우 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2기기(103)는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을 발송한다(S1504). 위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제2기기(103)는 수신한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수신한 연결설정정보 또는 새로 생성한 연결설정정보를 제2기기(103)에 저장할 수 있다(S150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기기(103)는 전원이 ON된 경우, 위 전원이 최초로 공급된 전원인지 여부를 파악하여 최초 공급 전원일 경우에는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을 발송하여 연결설정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두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될 매체는 저장 위치나 형태, 방식 등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컴퓨터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101)의 저장부(112)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전자장치(101)와는 별개의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전자장치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저장 방식에 있어서도, 자기 방식, 전기 방식, 광학 방식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의 저장 방식이라도 사용가능하므로 자기테이프, 자기드럼,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PROM, EPROM, EEPROM, FLASH-ROM, CF(Compact Flash) Card, Memory Stick, SD Card, USB Memory, CD-ROM, CD-RW, DVD-ROM, DVD-RW 등이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본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101: 전자장치
102: 제1기기
103: 제2기기
104: 공유기

Claims (20)

  1.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제1기기 및 제2기기와 통신하는 제2무선통신부; 및
    상기 전자장치가 네트워크 연결된 상기 AP에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AP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전송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에 연결되게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통신 가능한 상기 제2기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Bluetooth 신호, Zigbee 신호 및 IEEE 802.11 비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상기 제2기기를 감지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기기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상기 제2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네트워크 패킷 중 임의 설정 가능 부분에 마련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제조사 정보, 버전, 서비스 제공 옵션 정보, 패킷 번호, 디바이스 타입, 연결 정보, 연결 타입,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AP(access point)와 통신하고, 제2무선통신부를 통해 제1기기 및 제2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네트워크 연결된 상기 AP에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AP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전송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에 연결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통신 가능한 상기 제2기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기기가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Bluetooth 신호, Zigbee 신호 및 IEEE 802.11 비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상기 제2기기를 감지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연결설정정보를 상기 제2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가 상기 제2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네트워크 패킷 중 임의 설정 가능 부분에 마련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설정정보는 제조사 정보, 버전, 서비스 제공 옵션 정보, 패킷 번호, 디바이스 타입, 연결 정보, 연결 타입,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70046268A 2017-04-10 2017-04-1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4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68A KR102449232B1 (ko) 2017-04-10 2017-04-1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8/003839 WO2018190546A1 (en) 2017-04-10 2018-04-02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8784729.8A EP3574615B1 (en) 2017-04-10 2018-04-02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949,716 US11044658B2 (en) 2017-04-10 2018-04-10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328,399 US11659475B2 (en) 2017-04-10 2021-05-2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68A KR102449232B1 (ko) 2017-04-10 2017-04-1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66A KR20180114466A (ko) 2018-10-18
KR102449232B1 true KR102449232B1 (ko) 2022-09-30

Family

ID=6371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268A KR102449232B1 (ko) 2017-04-10 2017-04-1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044658B2 (ko)
EP (1) EP3574615B1 (ko)
KR (1) KR102449232B1 (ko)
WO (1) WO2018190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249B1 (ko) * 2019-03-05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채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911923B1 (en) * 2020-01-15 2021-02-02 Schlage Lock Company Llc Technologies for implementing unified mode bluetooth advertisements
CN113538876B (zh) * 2021-06-23 2023-04-0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自动配网的方法、设备及系统
KR102580209B1 (ko) * 2023-03-23 2023-09-20 주식회사 바이텔 터치 키보드와 터치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통합 리모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2802A1 (en) * 2002-05-09 2003-11-13 Gateway, Inc. Proximity network encryption and setup
US20060101456A1 (en) * 2004-10-18 2006-05-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40012913A1 (en) * 2012-07-05 2014-01-09 Devrim Varoglu Peer-Peer Device Activation and Setup
US20160198397A1 (en) 2015-01-06 2016-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network of audio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362A (ja) * 2001-04-26 2003-01-31 Square Co Ltd ユーザ名称切替方法及びシステム、端末、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437042B1 (ko) * 2002-03-20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29876B1 (ko) * 2002-10-10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방법
US20100169937A1 (en) * 2008-04-04 2010-07-01 Peter Atwal Wireless ad hoc networking for set top boxes
US8359372B2 (en) 2008-06-29 2013-01-2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transfer of information through physical docking of devices
KR101853812B1 (ko) * 2011-03-15 201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식별자를 생성하는 방법과 전자 기기의 식별자를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US20130250801A1 (en) * 2012-03-20 2013-09-2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registering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20140126470A1 (en) * 2012-11-02 2014-05-08 Emily Qi Mechanism to enable rejection and cancellation of request actions from wireless peer-to-peer devices
CN206575439U (zh) 2014-05-12 2017-10-20 菲力尔系统公司 网络摄像机及包括网络摄像机和用户设备的系统
US20160234678A1 (en) * 2015-02-10 2016-08-11 Texas Instruments Incororated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s
KR102381369B1 (ko) 2015-09-23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장치 네트워크 설정 방법
EP3398365B1 (en) * 2015-12-28 2019-11-20 Telecom Italia S.p.A. Methods and systems for opportunistically connecting devices to a communication network
US10050835B2 (en) * 2017-01-15 2018-08-14 Essential Products, Inc. Management of network devices based on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2802A1 (en) * 2002-05-09 2003-11-13 Gateway, Inc. Proximity network encryption and setup
US20060101456A1 (en) * 2004-10-18 2006-05-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40012913A1 (en) * 2012-07-05 2014-01-09 Devrim Varoglu Peer-Peer Device Activation and Setup
US20160198397A1 (en) 2015-01-06 2016-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network of audio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546A1 (en) 2018-10-18
EP3574615A1 (en) 2019-12-04
US11044658B2 (en) 2021-06-22
US11659475B2 (en) 2023-05-23
EP3574615A4 (en) 2019-12-18
EP3574615B1 (en) 2021-07-14
KR20180114466A (ko) 2018-10-18
US20210282073A1 (en) 2021-09-09
US20180295565A1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0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EP29164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US10111025B2 (en)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682385B1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204470B2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KR102449232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5863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08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10125756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7110035A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787222B2 (en) Access point and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CN115134881A (zh) 一种Wi-Fi热点的连接方法及终端
KR2016006840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98162A1 (ja)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US8830958B2 (en) St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mobile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130172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sharing and playing device thereof
US20140065969A1 (en) Method for connectivity information control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60027652A (ko)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