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244A -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244A
KR20120009244A KR1020100071289A KR20100071289A KR20120009244A KR 20120009244 A KR20120009244 A KR 20120009244A KR 1020100071289 A KR1020100071289 A KR 1020100071289A KR 20100071289 A KR20100071289 A KR 20100071289A KR 20120009244 A KR20120009244 A KR 20120009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air inlet
air
power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윤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해진 filed Critical 윤해진
Priority to KR102010007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244A/ko
Publication of KR2012000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6Converting flow of air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6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wind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주행풍으로 발전시켜 얻어진 전기를 차량 운행에 필요한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자동차로 이루어지되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주행풍이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관로와, 상기 공기유입관로의 선단에 구비되어 주행풍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기유입통과, 공기유입관로 상에 설치되어 주행풍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발전장치와, 상기 발전장치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관로에 주행풍의 진행방향으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공기흡입장치와, 상기 발전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Wind driven Electric automobile}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주행풍으로 발전시켜 얻어진 전기를 차량 운행에 필요한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하여 현재 자동차 산업분야에서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조도를 감소시키거나 대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수소자동차 등의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개발이 최대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미래형 자동차, 특히 전기자동차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를 또 다른 화석연료나 원자력발전에 의해 얻어야 하는 것이어서 근본적으로 친환경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전기자동차는 충전된 배터리가 소진될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배터리의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 전기자동차를 실제적으로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장차 미래형 자동차를 개발하고 이를 실용화함에 있어서, 배터리 충전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차량운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동력 또는 새로운 형태의 전력공급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주행풍으로 발전시킨 전기를 축전하여 자동차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발전장치가 구비된 공기유입관로에 공기흡입장치가 설치되어 주행풍의 진행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발전블레이드의 회전력 발생시에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서 된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 자동차에 구비된 공기유입관로 선단에 주행풍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유입통을 설치하되 주행풍의 유입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공기유입통의 일측에 구비한 풍량조절판에 의해 주행풍의 유입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발전장치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자동차로 이루어지되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주행풍이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관로와, 상기 공기유입관로의 선단에 구비되어 주행풍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기유입통과, 공기유입관로 상에 설치되어 주행풍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발전장치와, 상기 발전장치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관로에 주행풍의 진행방향으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공기흡입장치와, 상기 발전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유입관로의 주행풍 진행방향 후단부에 설치된 공기흡입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주행풍을 배출방향으로 빨아내듯이 보내게 되므로 발전블레이드의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전효율을 높여주면서 자동차가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축전지의 발전소모량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 주행 등에 의해 주행풍이 과도한 경우에는 공기유입통의 하부 일측면에 설치된 풍랑조절판에 의해 공기유입관로의 공기유입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발전장치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방지하여 안정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발전장치의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의 공기유입통 설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의 풍력발전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의 풍력발전수단 구성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의 공기유입통을 통한 주행풍의 유입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에서 주행풍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경우에 풍량조절판이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자동차로 이루어지되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주행풍이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관로(10)와, 상기 공기유입관로(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주행풍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기유입통(20)과, 공기유입관로(10) 상에 설치되어 주행풍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발전장치(30)와, 상기 발전장치(30)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관로(10)에 주행풍의 진행방향으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공기흡입장치(40)와, 상기 발전장치(30)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입관로(10)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주행풍이 자동차의 전방에서 유입되어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그 공기유입관로(10) 상에 발전장치(30)와 공기흡입장치(40)가 설치되며, 공기유입관로(10)의 후방은 공기배출이 용이하도록 점차적으로 넓게 확산된 배출부(12)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입통(20)은 주행풍을 최대한 모아 공기유입관로(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이 확산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공기유입통(20)의 하부 일측면은 개구부(22)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22)에 풍량조절판(24)이 설치되어 주행풍의 유입량에 따라 개구부(22)가 개폐되어 공기유입관로(10)로 주행풍이 과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풍량조절판(24)의 일측은 개구부(22) 차단방향으로 탄성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스프링 등의 탄성압지부재(26)가 연결되어 공기유입통(20)에 주행풍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경우에 탄성압지부재(26) 반대편의 풍량조절판(24)이 열리면서 일부 공기는 공기유입관로(10)로 보내지지 않고 곧바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 수단으로 공기유입관로(10)의 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발전장치(30)의 블레이드(32)가 바람이 많은 게절이나 고속 주행시에도 정속회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발전장치(30)의 블레이드(32)가 1750~1800 RPM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발전장치(30)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위함이다.
상기 발전장치(30)는, 공기유입관로(10) 상에 발전블레이드(32)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주행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발전장치(3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축전지(50)에 축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발전장치(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2개의 발전장치(30)가 설치되어 많은 발전량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발전장치(30)가 설치되더라도 발전장치(30)의 후방에 설치된 공기흡입장치(40)에 의해 주행풍의 진행방향으로 흡입력을 갖게 되므로 복수로 설치된 발전블레이드(32)의 공기저항을 줄여 자동차의 주행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공기흡입장치(40)는, 흡입팬(42)과 구동모터(44)가 구비되어 축전지(50)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모터(44)가 구동되면서 흡입팬(42)이 회전되게 한 수단으로 주행풍의 진행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44)의 흡입팬(42) 반대편에 동력전달축(46)을 구비하여 유니버설 조인트(46a)로 유압펌프(60)와 연결하여 유압펌프(60)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압모터(62)와 연결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자동차의 시동 및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서는 흡입팬(42)의 끝단부 둘레에 플라이휠(48)을 더 구비하여 자동차의 시동시에 구동모터(44)가 작동하면서 플라이휠(48)의 원심력에 의해 구동모터(44)가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자동차의 스타트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축전지(50) 전원으로 자동차의 시동 및 주행이 이루어지되 자동차의 시동시에 공기흡입장치(40)가 동시에 작동되면서 자동차의 주행풍 진행방향으로 공기유입관로(10)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면 상기 공기유입관로(10)의 선단에 구비된 구비된 공기유입통(20)을 통해 공기유입관로(10)로 주행풍이 유입되어 발전블레이드(32)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발전장치(30)에 발전이 이루어져서 발전된 전기를 축전지(50)에 축전하게 된다.
이때 발전블레이드(32)에 주행풍이 부딪히게 되면서 공기저항을 받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주행풍의 진행방향 후단부에 설치된 공기흡입장치(4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주행풍을 배출방향으로 빨아내듯이 보내게 되므로 발전블레이드(32)의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전효율을 높여주면서 자동차가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축전지(50)의 발전소모량도 줄이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속 주행 등에 의해 주행풍이 과도한 경우에는 공기유입통(20)의 하부 일측면 개구부(22)에 설치된 풍량조절판(24)이 주행풍의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열리면서 일부 공기는 공기유입관로(10)로 보내지지 않고 곧바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 수단으로 공기유입관로(10)의 공기유입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발전장치(3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방지하여 안정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발전장치(30)의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공기유입관로 12 : 배출부
20 : 공기유입통 22 : 개구부
24 : 풍량조절판 26 : 탄성압지부재
30 : 발전장치 32 : 블레이드
40 : 공기흡입장치 42 : 흡입팬
44 : 구동모터 46 : 동력전달축
46a : 유니버설 조인트 48 : 플라이휠
50 : 축전지 60 : 유압펌프
62 : 유압모터

Claims (7)

  1.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자동차로 이루어지되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주행풍이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관로(10)와,
    상기 공기유입관로(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주행풍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기유입통(20)과,
    공기유입관로(10) 상에 설치되어 주행풍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발전장치(30)와,
    상기 발전장치(30)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관로(10)에 주행풍의 진행방향으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공기흡입장치(40)와,
    상기 발전장치(30)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로(10) 상에 발전장치(30)와 공기흡입장치(40)가 설치되며, 공기유입관로(10)의 후방은 공기배출이 용이하도록 점차적으로 넓게 확산된 배출부(1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통(20)의 하부 일측면은 개구부(22)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22)에 풍량조절판(24)이 설치되어 주행풍의 유입량에 따라 개구부(22)가 개폐되어 공기유입관로(10)로 주행풍이 과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장치(40)는, 흡입팬(42)과 구동모터(44)가 구비되어 축전지(50)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모터(44)가 구동되면서 흡입팬(42)이 회전되게 한 수단으로 주행풍의 진행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4)의 흡입팬(42) 반대편에 동력전달축(46)을 구비하여 유니버설 조인트(46a)로 유압펌프(60)와 연결하여 유압펌프(60)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압모터(62)와 연결한 구성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7. 제 6항에 있어서,
    흡입팬(42)의 끝단부 둘레에 플라이휠(48)을 더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KR1020100071289A 2010-07-23 2010-07-23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KR20120009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89A KR20120009244A (ko) 2010-07-23 2010-07-23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89A KR20120009244A (ko) 2010-07-23 2010-07-23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244A true KR20120009244A (ko) 2012-02-01

Family

ID=4583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289A KR20120009244A (ko) 2010-07-23 2010-07-23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24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864A (ko) * 2014-12-10 2016-06-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CN106347141A (zh) * 2016-10-30 2017-01-25 浙江星驰汽车有限公司 具有自动节能减阻结构的汽车及其运作方式
KR20200005677A (ko) * 2020-01-02 2020-01-15 최기호 전기차용 포터블 발전기
CN112224291A (zh) * 2020-09-28 2021-01-15 江阴名鸿车顶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发电功效的车用扰流板
WO2021085940A1 (ko) * 2019-11-01 2021-05-06 정희주 자동차 장착용 풍력발전기
KR102310682B1 (ko) * 2020-10-29 2021-10-12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노면 집진 일체화 청소 차량의 에너지 절감형 흡입 팬 구동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59122B1 (ko) * 2021-04-29 2022-02-08 이옥열 풍력 발전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KR20230053171A (ko) * 2021-10-14 2023-04-21 김형근 차력 전기 발생기
CN117067932A (zh) * 2023-10-17 2023-11-17 四川航天职业技术学院(四川航天高级技工学校) 一种利用太阳能储能的新能源车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864A (ko) * 2014-12-10 2016-06-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CN106347141A (zh) * 2016-10-30 2017-01-25 浙江星驰汽车有限公司 具有自动节能减阻结构的汽车及其运作方式
WO2021085940A1 (ko) * 2019-11-01 2021-05-06 정희주 자동차 장착용 풍력발전기
KR20200005677A (ko) * 2020-01-02 2020-01-15 최기호 전기차용 포터블 발전기
CN112224291A (zh) * 2020-09-28 2021-01-15 江阴名鸿车顶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发电功效的车用扰流板
KR102310682B1 (ko) * 2020-10-29 2021-10-12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노면 집진 일체화 청소 차량의 에너지 절감형 흡입 팬 구동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59122B1 (ko) * 2021-04-29 2022-02-08 이옥열 풍력 발전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KR20230053171A (ko) * 2021-10-14 2023-04-21 김형근 차력 전기 발생기
CN117067932A (zh) * 2023-10-17 2023-11-17 四川航天职业技术学院(四川航天高级技工学校) 一种利用太阳能储能的新能源车
CN117067932B (zh) * 2023-10-17 2023-12-22 四川航天职业技术学院(四川航天高级技工学校) 一种利用太阳能储能的新能源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9244A (ko) 풍력을 이용한 자동차
US9518507B2 (en) Turbo recharger
US8710691B2 (en) Wind driven generator for vehicles
US20120085587A1 (en) Wind Power for Electric Cars
CN101451501A (zh) 风力发电驱动的电动车系统
TW200831318A (en) Improved apparatus of wind power for automobiles
KR20110023297A (ko) 자동차용 풍력 발전 장치
JP2011169297A (ja) 風力発電電気自動車
CN107605590A (zh) 一种发动机的电子增压器控制系统及电子增压器
JP2010112367A (ja) 移動体の風力による過給発電方法並びに装置
KR20180036173A (ko) 전기자동차용 풍력발전시스템
JP2011157865A (ja) 移動式風力発電機
CN201712484U (zh) 风能电动车
KR20090106281A (ko)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자가발전 시스템
CN203175674U (zh) 一种汽车上的增压系统
CN102658779A (zh) 一种微型涡轮发电增程式电动汽车动力控制系统
US20120038159A1 (en)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
CN103195556A (zh) 一种汽车上的增压系统
CN102785577A (zh) 风力发电驱动的电动车系统
KR102105670B1 (ko) 풍력 발전장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장치
CN113027672A (zh) 卧式共轴风力发电机
CN106208117A (zh) 一种孤立微网中储能电池的控制方法
CN201396244Y (zh) 电动车风力发电装置
CN102139633A (zh) 电动汽车前置导风发电机
CN102673412A (zh) 微型涡轮发电增程式电动汽车动力驱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