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066A - 녹조제거초음파장비 - Google Patents

녹조제거초음파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066A
KR20120009066A KR1020100070787A KR20100070787A KR20120009066A KR 20120009066 A KR20120009066 A KR 20120009066A KR 1020100070787 A KR1020100070787 A KR 1020100070787A KR 20100070787 A KR20100070787 A KR 20100070787A KR 20120009066 A KR20120009066 A KR 2012000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algae
water
ultrasonic
buoy
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053B1 (ko
Inventor
윤병돈
김성배
박천영
이성재
최낙철
Original Assignee
(주)인바이어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바이어플랜텍 filed Critical (주)인바이어플랜텍
Priority to KR102010007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0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소나 하천에 발생된 녹조를 제거하기 위한 녹조제거초음파장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호소(2)나 하천의 수면에 떠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부표(10)들; 상기 각각의 부표(10)에 설치되어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는 녹조감시부(20)들; 상기 복수의 부표(10)들 중 상기 녹조감시부(20)에 의해 녹조현상이 감지된 부표(10) 주변에 상기 녹조 제거를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녹조제거초음파장비{ULTRASONIC WAVES SYSTEM FOR REMOVING WATER BLOOM}
본 발명은 환경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소나 하천에 발생된 녹조를 제거하기 위한 녹조제거초음파장비에 관한 것이다.
부영양화된 호소나 유속이 느린 하천 등에서는 부유성의 조류(식물플랑크톤)가 대량 증식하여 수면에 집적함에 따라 수체가 착색, 즉 물색이 현저하게 녹색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녹조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녹조현상은 많이 알려진 바와 같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녹조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많이 대두되고 있다. 예컨대, 영양분이나 수생생물을 통해 조류를 통제하거나, 차광막에 의해 광합성을 제한하거나, 살조제 등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호소나 하천 전체에 대하여 대량의 녹조를 제거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 대형 장비나 시스템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감시의 어려움, 많은 시간과 비용 소요 등의 문제로 인해, 보편적으로 호소나 하천 전체에 어느 정도 녹조현상이 진행되고 나서야 녹조제거처리를 하기 때문에, 녹조현상이 진행되는 동안의 악영향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소나 하천 전체에 대하여 인위적으로 녹조제거를 함에 따라, 수중 생태계가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됨으로써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국부적으로 녹조현상을 감시하여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할 수 있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호소(2)나 하천의 수면에 떠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부표(10)들; 상기 각각의 부표(10)에 설치되어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는 녹조감시부(20)들; 상기 복수의 부표(10)들 중 상기 녹조감시부(20)에 의해 녹조현상이 감지된 부표(10) 주변에 상기 녹조 제거를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를 제시한다.
상기 녹조감시부(20)는 수중 내 용존산소량에 따라 상기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부표(10)에 설치되어 수중 내 용존산소량을 센싱하는 센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부표(10)의 하측에는 상기 센서(22)가 상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이격된 수심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22)를 지지하는 지지부(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기(30)는 상기 각각의 부표(10)마다 설치되며, 상기 호소(2)나 하천 주변에 설치된 제어박스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초음파발생기(30)에 의해 녹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호소(2)나 하천의 수면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소나 하천에 대하여 국부적으로 녹조현상을 감시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제거초음파장비의 평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제거초음파장비의 측면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조제거초음파장비는, 호소(2)나 하천의 수면에 떠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부표(10)들과; 각각의 부표(10)에 설치되어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는 녹조감시부(20)들과; 복수의 부표(10)들 중 녹조감시부(20)에 의해 녹조현상이 감지된 부표(10) 주변에 녹조 제거를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녹조감시부(20)에 의해 녹조가 감지되면, 호소(2)나 하천에 초음파발생기(30)로부터 초음파가 발생되어,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부유성의 조류(식물플랑크톤)의 세포가 파괴됨으로써, 녹조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녹조감시부(20)가 항시 부표(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실시간으로 녹조현상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녹조현상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녹조현상으로 인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발생기(30)가 녹조감시부(20)와 함께 항시 부표(10)에 의해 지지되어 수중에 준비된 상태이므로, 녹조제거를 위한 장비를 준비하는 시간 소모가 없어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녹조현상으로 인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호소(2)나 하천의 복수 지점에서 녹조감시부(20)에 의해 녹조현상을 감시하고 초음파발생기(30)에 의해 녹조제거를 할 수 있다. 즉 호소(2)나 하천의 전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국부적으로 녹조현상을 감시 및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녹조현상이 호소(2)나 하천에 전체에 걸쳐 진행되기 전 초기에 녹조를 신속하게 제거함에 따라, 녹조현상으로 인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국부지역의 소량의 녹조만 제거하면 되므로, 녹조를 제거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으며, 소형의 장비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녹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발생기(30)가 수중에서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녹조제거를 위해 호소(2)나 하천의 수체를 호소(2)나 하천의 주변 지역에 구축한 수처리시설로 펌핑하지 않아도 되므로, 녹조제거로 인한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예컨대, 교반, 교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녹조제거로 인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발생기(30)가 수중에 설치되기 때문에, 호소(2)나 하천의 주변에 대형의 수처리시설을 구축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녹조현상이 발생되면, 수중의 큰 변화 중 하나가 용존산소량이 급감하며,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22)는 많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초음파를 너무 빈번하게 발생시키면 초음파발생에 따른 비용낭비 및 녹조류 이외의 수중생물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수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녹조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런데, 수체의 착색 등의 수면의 변화로는 녹조현상이 초기단계인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인지 분별이 불가능하므로, 용존산소량 급감 등의 수중의 변화에 의해 녹조현상을 감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녹조감시부(20)는 여러가지 방법이 대두될 수 있으나, 특히 수중 내 용존산소량에 따라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각각의 부표(10)에 설치되어 수중 내 용존산소량을 센싱하는 센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22)는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감시할 수 있도록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이격된 수심에 위치되는 것이 유리한 바, 각각의 부표(10)의 하측에는 수면으로부터 수심을 향해 소정 깊이로 지지부(12)가 설치되어, 지지부(12)에 의해 센서(22)가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이격된 수심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될 수 있다.
초음파발생기(30)는 항상 각각의 부표(10)에 준비되어 대기할 수 있도록 국부적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부표(10)마다 설치되며, 호소(2)나 하천 주변에 설치된 제어박스부(50)와 전기 및/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발생기(30)는 특수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가 가능하며,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하기 위한 기기는 당업자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부표가 이동하면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하나의 부표로부터 초음파가 발생하여 전지역을 커버할 수도 있으나, 녹조는 국부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바, 복수의 부표가 각각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국부적으로 녹조현상을 감시, 제거하는 것이 보다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녹조제거초음파장비는 또 다른 녹조감시부로서,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여 초음파발생기(30)에 의해 녹조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호소(2)나 하천의 수면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녹조는 수면에 먼저 생긴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심으로 가라앉는데, 감시카메라(40)를 통해 수면을 직접적으로 감시하여 감시카메라(40)에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녹조현상발생여부 및 그 위치 등을 자동으로 판독함으로써, 녹조현상에 대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녹조감시부(20)의 센서(22)에 의한 녹조현상감시는 녹조현상을 직접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용존산소량에 의한 녹조현상발생여부의 추정인데, 감시카메라(40)에 의해 직접적으로 녹조현상을 감시함에 따라, 녹조감시부(20)의 센서(22)에 의한 용존산소량 급감의 결과가 녹조현상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를 보다 정확하게 판독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카메라(40)는 여러대가 국부적으로 호소(2)나 하천의 수면을 촬영할 수도 있고, 감시카메라(40)의 촬영범위가 광범위한 바 한대가 호소(2)나 하천의 전체 수면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부표 20; 녹조감시부
22; 센서 30; 초음파발생기
40; 감시카메라 50; 제어박스부

Claims (5)

  1. 호소(2)나 하천의 수면에 떠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부표(10)들;
    상기 각각의 부표(10)에 설치되어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는 녹조감시부(20)들;
    상기 복수의 부표(10)들 중 상기 녹조감시부(20)에 의해 녹조현상이 감지된 부표(10) 주변에 상기 녹조 제거를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조감시부(20)는 수중 내 용존산소량에 따라 상기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부표(10)에 설치되어 수중 내 용존산소량을 센싱하는 센서(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표(10)의 하측에는 상기 센서(22)가 상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이격된 수심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22)를 지지하는 지지부(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녹조제거초음파장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기(30)는 상기 각각의 부표(10)마다 설치되며, 상기 호소(2)나 하천 주변에 설치된 제어박스부(5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초음파발생기(30)에 의해 녹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호소(2)나 하천의 수면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
KR1020100070787A 2010-07-22 2010-07-22 녹조제거초음파장비 KR101235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787A KR101235053B1 (ko) 2010-07-22 2010-07-22 녹조제거초음파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787A KR101235053B1 (ko) 2010-07-22 2010-07-22 녹조제거초음파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66A true KR20120009066A (ko) 2012-02-01
KR101235053B1 KR101235053B1 (ko) 2013-02-19

Family

ID=4583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787A KR101235053B1 (ko) 2010-07-22 2010-07-22 녹조제거초음파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0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9071A (zh) * 2014-12-05 2015-03-25 河海大学 变化环境下应急调控水华的模拟系统及运行方法
KR20150134659A (ko) * 2014-05-22 2015-12-02 오혁진 녹조 발견 및 제거 로봇
KR102543484B1 (ko) * 2023-03-20 2023-06-19 주식회사 디앤샤인 유해남세균 실시간 모니터링, 예지 및 방제 시스템
KR102543481B1 (ko) * 2023-03-20 2023-06-19 주식회사 디앤샤인 IoT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별 미세조류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15927A (ko) 2022-07-28 2024-02-06 김형주 소수력발전을 갖춘 녹조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99B1 (ko) 2020-02-07 2021-03-22 (주)신성엔지니어링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
KR102365026B1 (ko) 2021-09-07 2022-02-23 (주)에니스환경건설 초음파 반응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00A (ko) * 2001-07-02 2003-01-14 정천희 네트워크와 수서 생물, 박테리아를 이용한 수질검사장치
KR200394533Y1 (ko) 2005-06-22 2005-09-02 김성근 해상 및 해중 시설물 감시장치
KR100892045B1 (ko) * 2007-04-10 2009-04-10 이영선 초고속 초음파 수처리기
KR100752786B1 (ko) * 2007-05-16 2007-08-29 이길준 초음파와 태양광을 이용한 조류제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659A (ko) * 2014-05-22 2015-12-02 오혁진 녹조 발견 및 제거 로봇
CN104459071A (zh) * 2014-12-05 2015-03-25 河海大学 变化环境下应急调控水华的模拟系统及运行方法
CN104459071B (zh) * 2014-12-05 2016-04-27 河海大学 变化环境下应急调控水华的模拟系统及运行方法
KR20240015927A (ko) 2022-07-28 2024-02-06 김형주 소수력발전을 갖춘 녹조방지 시스템
KR102543484B1 (ko) * 2023-03-20 2023-06-19 주식회사 디앤샤인 유해남세균 실시간 모니터링, 예지 및 방제 시스템
KR102543481B1 (ko) * 2023-03-20 2023-06-19 주식회사 디앤샤인 IoT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별 미세조류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053B1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053B1 (ko) 녹조제거초음파장비
KR102234697B1 (ko) 수중드론을 이용하는 어망감시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Honkanen et al. Digital imaging measurement of dense multiphase flows in industrial processes
Katz et al. Submersible holocamera for detection of particle characteristics and motions in the ocean
US4888703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oxicant contamination of water by using aquatic animals
CN116233370B (zh) 基于水质监测的智能化视频监控方法
KR101610485B1 (ko) 감지 조류 제거 시스템 및 방법
Liedermann et al. Typification of vessel-induced waves and their interaction with different bank types, including management implications for river restoration projects
CN111637874A (zh) 一种赤潮海域多auv分层探测系统及探测方法
CN111487245B (zh) 一种类珊瑚礁水域生物质量演化评估系统
Skøien et al. A computer vision approach fo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feed particles in marine fish farms
CN105444742A (zh) 基于浮标锚链的海洋要素垂直剖面观测装置及其观测方法
Liu et al. Research on artificial lateral line perception of flow field based on pressure difference matrix
CN103963939B (zh) 一种内河港口船舶载重测量系统及方法
CN115083134B (zh) 一种水利工程大坝泄洪溶解气体过饱和预警调控系统
JP2009229432A (ja) Gps受信体を利用した津波観測システム
KR100293566B1 (ko) 해양환경자동경보및양식생물보호시스템
Takimoto et al. Comparison of optical and ultrasonic methods for quantification of underwater gas leaks
JP3950971B2 (ja) 水槽内波浪圧力計測設備
WO2021075145A1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事象特定方法
Navea et al. Image-based coral reef formation detection and change assessment system
Takemura et al. Development of an altitude-keeping system for underwater robots using laser beams
CN113009575A (zh) 一种地下水中污染物的监测方法及系统
Dular et al. The influence of the gas content of water and the flow velocity on cavitation erosion aggressiveness
KR100325314B1 (ko) 적조피해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