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566B1 - 해양환경자동경보및양식생물보호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환경자동경보및양식생물보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566B1
KR100293566B1 KR1019980040616A KR19980040616A KR100293566B1 KR 100293566 B1 KR100293566 B1 KR 100293566B1 KR 1019980040616 A KR1019980040616 A KR 1019980040616A KR 19980040616 A KR19980040616 A KR 19980040616A KR 100293566 B1 KR100293566 B1 KR 100293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environment
aquaculture
control signal
seawater
outpu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900A (ko
Inventor
배헌민
배일순
김학균
윤성종
이필용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1998004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5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양식어장 주변에 이상 해수가 접근할 때, 이상해수에 의한 해양환경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감지하여, 자동 경보와 더불어 그 해양환경 상태를 양식장 관리자에게 직접 알리고, 육상 양식어장 또는 해상 양식어장에 이상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적당하게 사후처리하여 양식생물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양식장 주변의 해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해양환경 측정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들을 구비한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되는 값이나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해양 환경이 정상적일때에 해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해양 환경 기준치를 각각 종류별로 구분하여 상기 설정수단을 통해 저장할 수 있는 제 1기억수단과;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을 미리 설정된 해당 기준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출력포트 및 통신포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해양환경에 의해 양식장 주변의 수질이 나빠졌을 경우 양식생물을 보호할 있는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식어장 주변에 이상 해수가 접근할 때, 이상해수에 의한 해양환경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감지하여, 자동 경보와 더불어 그 해양환경 상태를 양식장 관리자에게 직접 알리고, 육상 양식어장 또는 해상 양식어장에 이상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적당하게 사후처리하여 양식생물을 보호할 수 있는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어장 주변의 해상에 이상 해수(예를 들면, 기준치 이상의 적조농도, 냉수대 유입, 고수온 상태, 탁도 상승, 저염분 상태, 용존산소 저하, 산도(pH)가 비정상적인 상태인 해수를 칭함)가 발생하여, 그 이상 해수가 해상 양식어장이나 육상 양식어장에 유입되는 경우, 양식생물들이 떼죽음을 당하게 되는 등의 피해가 심각하게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우리 나라의 경우, 최근 1995년 9월부터 10월까지 2개월 이상 남해안과 동해안에서 지속적인 적조 발생으로 인한 피해액은 약 700억을 초과한 상태에 있고, 이러한 적조에 의한 양식 어장의 피해는 갈수록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해상에 이상 해수가 발생하였을 때 물리 및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양식어장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기술들이 일본이나 미국 등지에서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양식 어장에서의 피해 저감을 위해 물리적인 만구를 개발하거나, 해수 유동 촉진 등의 환경 개선 연구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대규모의 적조 생성에 의한 피해방지에 관한 연구, 적조 발생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해역 특성에 의한 피해 방지 기술 개발등 이상 해수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그 이상 해수에 의한 양식어장의 피해를 경감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현재 우리나라의 남해 연안과 서해 연안 및 동해남부 연안의 수질 부영양 상태는 앞으로도 계속 이상현상을 충분히 일으킬 수 있는 수준으로서, 이와 같은 현실로 볼 때 이상 해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육상 오염물질의 규제와 환경 기초시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성이 높은 연안 어장 특히 폐쇄성 또는 반폐쇄성 어장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양식장 주변의 피해 저감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재 저층에 설치된 취수 파이프로 해수를 취수하여 수질을 관리하도록 되어 있는 육상 양식어장의 경우, 수질 관리인이 어장 근처의 해수를 주기적으로 취수하여 현미경 등을 이용해 취수된 해수의 상태(적조 농도, 수온(냉수대 또는 고수온), 탁도, 염도, 용존산소량, 산도(pH) 등)를 체크한다. 그 확인 결과 비정상적인 해수가 검출되면 부근 해역에 인위적으로 경보를 발령하여 해상에 이상 해수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게 되며, 따라서 각 양식 어민들은 해수 취수 펌프를 인위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이상 해수가 양식 어장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육상 양식어장에서는 부근 해역에 경보가 내려졌을 때, 적조의 경우, 적조 생물은 실제로 표층에서 수심 5m 근처까지 포진해 있게 되므로 해수 유동에 의해 해수 취수장소(저층에서 취수하는 경우)를 그냥 지나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해수 취수펌프를 미리 차단시켜 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해양 양식어장에서는 이상 해수가 언제 양식장내로 유입될지 계속적으로 감시하면서 해수를 취수하여 해수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해수가 유입될 경우에는 양식생물을 회수하는 등의 피해 방지대책이 있으나, 그 효과가 미약하다. 특히, 이상 해수가 양식장 주변에 접근할 때 현장 가까이에서 종합적인 이상 해양환경 조기경보 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은 현재 어디서고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육상 양식어장이나 해상 양식어장 주변에 이상 해수가 접근할 때, 이상 해수에 의한 해양환경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감지하여, 자동 경보와 더불어 그 해양환경 상태를 양식장 관리자에게 직접 알리고, 이상 해수가 양식수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수조내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양식생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식장 주변의 해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해양환경 측정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들을 구비한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되는 값이나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되는 값을 무선 호출번호로 기억하고, 읽을 수 있는 제 1기억수단과;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출력포트 및 통신포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면서, 지정된 시간마다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 진단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진단신호에 의해 피드백되는 신호를 읽어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양식어장으로의 해수 유입을 차단하는 해수유입 차단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양식어장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해양 환경이 나빠진 상황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보일러를 가동시켜 양식장내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양식어장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양식설비 이동수단과; 해양 환경이 정상적일때에 해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해양 환경 기준치를 각각 종류별로 구분하여 상기 설정수단을 통해 저장할 수 있는 제 2기억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통신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제 2기억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읽혀진 번호에 대한 무선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출하는 무선 호출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과, 그때의 시각을 함께 저장하는 제 3기억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통신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을 외부로 송출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해양환경 측정수단 10a : 적조센서
10b : 탁도센서 10c : 수온센서
10d : pH 측정센서 10e : 염분 측정센서
10f : 용존산소 측정센서 11a-11f : 레벨 증폭기
12 : 스위칭 회로 13a, 13b : A/D 변환기
20 : 제어수단(CPU) 31-33 : 기억수단
40 : 전원 공급수단 51 : 설정수단
52 : 표시수단 61 : 통신포트
62 : 무선호출수단 63 : 통신수단
71 : 출력포트 72 : 경보 발생수단
73 : 해수유입 차단수단 74 : 산소 공급수단
75 : 온수 공급수단 76 : 양식설비 이동수단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환경 측정수단(10)은 경보의 필요성이 있는 양식장 주변의 해수를 직접 혹은 관로를 통해 유입시켜 해양환경이 변화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조생물에서 발광되는 적색 파장대의 광량을 체크하여 해수에 포함된 적조 농도를 감지하는 적조센서(1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해수의 탁한 정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10b)와,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센서(10c)와, 해수의 산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pH 측정센서(10d)와,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분 측정센서(10e)와, 해수에 포함된 산소량을 측정하는 용존산소 측정센서(10f) 중의 어느 하나 혹은 다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센서에는 아날로그 형태의 미세한 감지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시키기 위한 레벨 증폭기(11a-11f)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13a, 13b)를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센서들은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원하는 센서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A/D 변환기(13b)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모두 동시에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설정수단(51)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들을 구비한 입력용 키보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센서들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
표시수단(52)은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현재 시각(시, 분, 초 등)이나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되는 값이나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의 측정값 또는 기기의 고장상태 등을 문자 또는 숫자 형태로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나 혹은 액정표시소자(LCD)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수단(20)은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해당 기준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출력포트 및 통신포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장치(CPU)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제어장치에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RS-422 통신포트(61)와, 외부 설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 출력 포트(71)를 한 개 또는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에는 각 센서의 동작상태를 스스로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자가진단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조센서에 대한 자가진단의 경우, 적조생물에서 발광되는 적색 파장대의 빛 대신에 그와 같은 파장대의 적색광을 상기 제어수단이 지정하는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그때마다 반응하는 적조센서의 출력을 자가진단신호로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색 발광다이오드는 적조센서가 적조생물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조내부에 돌출되지 않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예를 들면, 약 10분)간격으로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적색광을 투사한 후 그 수치를 센서 수광부를 통해 입력받으면, 그 진단광의 크기가 자가진단시에 매번 일정한지를 비교하여 그 수치가 조정한 값과 다를때에 고장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문자로 표시하거나 경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이 자가진단 중인 수초 동안에는 적조센서가 적조생물의 농도 측정 작업을 일시 중단하도록 하여 적조센서에서 측정된 수치값은 무시되어 자가진단중에 농도 이상의 적조가 유입되어도 적조경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외 다른 각 센서에 대한 자가진단 기능 및 각 센서의 개방, 단락 등에 대한 자가진단기능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문자 또는 경보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수단(20)은 다수의 기억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 1기억수단(31)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프로그램 내용을 소거하고 새로운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이피롬(EPROM)으로서, 이 이피롬은 해양 환경이 정상적일때에 해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해양 환경 기준치를 각각 종류별로 구분하여 상기 설정수단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기억수단(32)은 상기 설정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쓰고 읽을 수 있는 램(RAM)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램은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되는 무선 호출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 3기억수단(33)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프로그램 내용을 소거하고 새로운 내용을 갱신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과, 그때의 시각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호출수단(62)은 상기 제어수단의 통신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제 1기억수단의 저장내용을 읽고, 읽혀진 번호에 대한 무선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출하는 페이저로 구성할 수 있다.
통신수단(63)은 상기 제어수단의 통신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여 해양환경 관리국 또는 양식장 관리자 등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호를 설정하는 유선 또는 무선 전송수단으로서, 이 통신수단은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을 통신 선로를 매체로 사용하여, 혹은 무선 주파수를 통신 매체로 사용하여 미리 지정된 관리국으로 해양환경에 대한 각 측정치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경보 발생수단(72)은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부저나 발광 소자 혹은 그 밖의 표시장치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부저나 발광소자 또는 표시장치들은 해양 환경이 나빠진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이나 경고등 또는 문자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해수유입 차단수단(73)은 해수를 취수하여 육상 양식어장으로 공급하는 해수 취수펌프의 동작을 자동으로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펌프 차단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펌프 차단기는 해양 환경이 정상적일 때에는 해수 취수펌프를 작동시켜 해수가 육상 양식어장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이상 해수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해수 취수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켜 이상 해수가 육상 양식어장으로 유입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해수 유입 차단수단은 때에 따라서는 손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이 해상 양식어장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산소 공급수단(74)은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압축공기 또는 액화 산소 발생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산소 발생기는 상기 해수유입 차단수단이 작동되어 해수가 취수되지 않을 때에 육상 양식어장 내부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소 공급수단도 상기 해수 유입 차단수단과 마찬가지로 때에 따라서는 손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이 해상 양식어장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온수 공급수단(75)은 냉수대를 형성한 해수가 육상 양식어장으로 취수되는 경우 상기 취수되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가동되는 보일러로 구성할 수 있다.
양식설비 이동수단(76)은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해상 양식어장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와 같은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이 해상 양식어장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해수유입 차단수단과 산소 공급수단 대신에 혹은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해상의 가두리 양식어장 근처에 적조가 발생된 경우, 가두리 망 자체를 적조 생물이 주로 포진하는 표층으로부터 저층으로 침하시키거나 또는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두리 망에 연결된 앵커의 무게나 부자의 부력 또는 계류 로프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동력원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원 공급수단(40)은 교류 전압 혹은 일정한 직류전압을 소정 레벨로 전압 변환부하의 각 부분에서 필요로 하는 다수 레벨의 직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육상 양식어장에 적용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 시스템은 경보의 필요성이 있는 해수를 관로로 통해 유입하여 적조센서(10a), 탁도센서(10b), 수온센서(10c), pH 측정센서(10d), 염분 측정센서(10e), 용존산소 측정센서(10f) 등의 해양환경 측정수단(10)을 관통시켜 그 변이를 감시하고, 키보드를 통해 미리 입력된 수치범위를 벗어나면, 경보출력과 동시에 해수유입을 차단하고, 보조 장치들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면서 각 측정된 해양환경 측정값들을 저장하고 처리한다.
만약, 과다한 적조생물이 포함된 해수가 양식장 바로 근처 적당한 곳(해수 취수위치)까지 유입되었을 때, 해양환경 측정수단(10)의 적조센서(10a)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적조농도가 검출되면, 아날로그 형태의 미세한 감지신호는 레벨 증폭기(11a)를 거치면서 소정 레벨 증폭된 후 A/D 변환기(13a)로 입력된다. 이때 A/D 변환기(13a)에서는 아날로그 형태의 측정신호를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수단(20)으로 입력시키며, 상기 제어수단(20)에서는 그 각각의 값을 내부 연산 처리하여 표시수단(52)에 표시한다. 이러한 처리 동작은 적조 센서 이외의 다른 여러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된다.
따라서 제어수단(20)에서는 상기 연산된 값이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기억수단(31)에 미리 설정해 둔 상한치를 초과하는지 또는 하한치에 미달되는지를 비교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 각 수치가 정상 범위내의 값일 때에는 경보 발생수단(72)을 통해 "정상"임으로 표시하는 등화를 점등하며, 정상 범위를 벗어난 값일때에는 "경보" 등화를 점등하면서 그와 동시에 경보벨을 작동시켜 경보구역내의 관리자에게 경보를 발령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에서는 경보가 발생된 시점의 적조농도 측정치와 그때의 상기 표시수단(52)에 표시되는 현재 시각을 월, 일, 시, 분으로 상기 제 3기억수단(33)에 함께 저장시켜, 관리자가 경보 상황 처리 이후에도 그 시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조농도 측정치와 경보시각 데이터는 직전 5회까지 저장될 수 있으며, 이것은 기억수단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게 된다.
그와 동시에 출력포트(71)를 통하여 해수 유입 차단수단(73)을 작동시켜 패수 취수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이상 해수가 육상 양식어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그와 동시에 산소 공급수단(냉수대가 유입된 경우는 온수 공급수단이 가동됨)등을 가동시켜 해수 취수가 차단된 양식어장내의 수조에 산소를 공급하여 양식생물이 폐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에서는 제 2기억수단(32)에 기억된 호출번호를 읽어 통신포트(61)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무선 호출수단(62)에서는 해당 번호의 무선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출함으로써, 양식어장 근처의 적조 발생상황을 미리 지정된 양식어민에게 무선호출로 알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신국에서 멀리 떨어져 본 발명의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 시스템이 설치된 경우, 상기 제어수단(20)에서는 RS-422 통신 포트(61)를 통하여 유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지정된 곳(수신국)에 해양환경 측정값들을 보낼수 있으며, 특히 바다위에 시설되어 있을 때에는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수신국에 보낼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이 해상 양식어장에 적용된 경우, 상기 제어수단(20)에서는 출력포트를 통해 양식설비 이동수단(76)을 작동시켜 가두리 어망 자체를 저층으로 침하시키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식생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환경 자동 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은 경광등, 경보벨 발생수단 및 출력포트를 제거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게 구성하여 이동형(휴대용) 해양 환경 측정 장치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센서에서 측정한 값을 표시수단을 통해 바로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측정한 데이터 값을 저장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자유로이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장내에 진입하는 이상 현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경보와 동시에 육상 양식어장의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취수펌프의 구동을 중단시켜 해수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액화산소 발생장치를 구동시켜 양식장 수조내에 산소를 공급해주어 양식생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해상 양식어장에서는 경보와 더불어 양식 시설물을 이동, 침하 또는 양식 어류의 회수 및 이상 해수 유입의 차단과 같은 방법을 취하게 하여 양식장내에 유입하는 이상해수로 인한 피해를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양식장 주변의 해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해양환경 측정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들을 구비한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되는 값이나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해양 환경이 정상적일때에 해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해양 환경 기준치를 각각 종류별로 구분하여 상기 설정수단을 통해 저장할 수 있는 제 1기억수단과;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을 미리 설정된 해당 기준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출력포트 및 통신포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감지신호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진단신호를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 주기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진단신호에 의해 피드백되는 신호를 읽어 임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두 신호가 서로 다를 때에 고장으로 판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자가진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양식어장으로의 해수 유입을 차단하는 해수유입 차단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양식어장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해양 환경이 나빠진 상황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보일러를 가동시켜 양식장 내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양식어장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양식설비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되는 값을 무선 호출번호로 기억하고, 읽을 수 있는 제 2기억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통신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제 2기억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읽혀진 번호에 대한 무선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출하는 무선 호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포트 제어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과, 그때의 시각을 함께 저장하는 제 3기억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통신포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해양환경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값을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이 통신 선로를 매체로 사용하는 유선 전송수단으로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이 상기 무선 주파수를 통신 매체로 사용하는 무선 전송수단으로 구성된 해양환경 자동경보 및 양식생물 보호시스템.
KR1019980040616A 1998-09-29 1998-09-29 해양환경자동경보및양식생물보호시스템 KR100293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16A KR100293566B1 (ko) 1998-09-29 1998-09-29 해양환경자동경보및양식생물보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16A KR100293566B1 (ko) 1998-09-29 1998-09-29 해양환경자동경보및양식생물보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900A KR19980087900A (ko) 1998-12-05
KR100293566B1 true KR100293566B1 (ko) 2001-07-12

Family

ID=3752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16A KR100293566B1 (ko) 1998-09-29 1998-09-29 해양환경자동경보및양식생물보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89B1 (ko) 2007-07-13 2009-05-18 오우용 활어 수조의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322B1 (ko) * 1999-12-24 2003-09-19 (주)바이오텔 산소 농도 자동 조절 시스템
KR20030072981A (ko) * 2002-03-07 2003-09-19 김재동 설정된 적정산소의 이상을 입력된 전화번호로 알려주는기계장치
KR100785931B1 (ko) * 2003-12-31 2007-12-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해수감지 시스템
KR100799323B1 (ko) * 2005-11-11 2008-01-30 (주)신세계산업 부표형 양식장 수질 관리 시스템
KR100814906B1 (ko) * 2006-06-02 2008-03-19 김기석 경보장치가 구비된 벽걸이 수족관 및 그 경보장치를 이용한 외부 침입자 감지방법
KR101320215B1 (ko) * 2012-02-13 2013-10-21 소나테크 주식회사 해양 생물 유입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물 유입 감지 방법
KR102353056B1 (ko) * 2021-08-19 2022-01-20 텔레픽스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위험 수준별 해상부유물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89B1 (ko) 2007-07-13 2009-05-18 오우용 활어 수조의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900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189B1 (ko) 활어 수조의 제어시스템
KR100293566B1 (ko) 해양환경자동경보및양식생물보호시스템
KR100913353B1 (ko) 해양 시설물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82990B1 (ko)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CN101542281A (zh) 水质测量设备
WO2021033627A1 (ja) 養殖池用水質管理装置及び方法
CN103380750A (zh) 深水网箱智能化自动沉降系统
EA019596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шельфовых загрязнений
CN209280021U (zh) 一种用于近海岸水域水质监测的设备
KR20110103260A (ko)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양식장 관리 시스템
US20180308338A1 (en) Hand held prob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voltage in bodies of water
NO20110883A1 (no) Fremgangsmate for a detektere vannforurensing ved a bruke levende organismer.
CN113243329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化养殖系统
CN108802321A (zh) 一种水产养殖池塘水质监测系统
CN108106686A (zh) 一种水位监测报警系统
RU2437093C1 (ru) Система оперативного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и индикации
KR101631260B1 (ko) 어장관리 시스템
KR101706605B1 (ko) 전동기 이상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8322B1 (ko) 산소 농도 자동 조절 시스템
Kim et al.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submersible fish cage system
Pramana et al. Remote Water Quality Monitoring with Early–Warning System for Marine Aquaculture
KR100992085B1 (ko) 저염도 경보 시스템
CN112344987A (zh) 一种倒t型坞门用控制管道实时监控系统
JPH06296958A (ja) 貯留水中の浄化設備運転支援装置
CN105486641A (zh) 一种自发电的水质监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