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936A -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936A
KR20120008936A KR1020100070349A KR20100070349A KR20120008936A KR 20120008936 A KR20120008936 A KR 20120008936A KR 1020100070349 A KR1020100070349 A KR 1020100070349A KR 20100070349 A KR20100070349 A KR 20100070349A KR 20120008936 A KR20120008936 A KR 20120008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region
suction head
connecto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851B1 (ko
Inventor
채병태
채연지
Original Assignee
채병태
채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태, 채연지 filed Critical 채병태
Priority to KR1020100070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8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청소기본체에서 연장되는 플렉시블(Flexible) 흡입호스에 연결된 조작부 또는 연장관의 직경에 적응적으로 특정의 기능을 갖는 흡입헤드(또는 흡입노즐)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는 청소기본체에 연설되는 조작부와 그 조작부에 연결되는 연장관에 대해 흡입헤드(흡입노즐)를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후단에는 상기 흡입헤드에서 연설되는 연결호스가 결합되면서 상기 조작부 또는 연장관에 결합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대해 격벽을 개재하여 연설되면서 최전방으로부터 최후방에 다수의 착탈영역이 형성된 착탈결합부를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ADAPTER FOR CONNECTING CLEANER BODY AND SUCTION HEAD}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청소기본체에 보조기능의 흡입헤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청소기본체에서 연장되는 플렉시블(Flexible) 흡입호스에 연결된 조작부 또는 연장관에 보조기능의 흡입헤드(또는 흡입노즐)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라든지 사무실 또는 업소에서는 바닥면에서 먼지라든지 미세(微細) 또는 미소(微小)한 오물 또는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진공청소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진공청소기는 흡기를 위한 수단이 내장된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헤드(또는 흡입노즐)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헤드(또는 흡입노즐)의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흡입호스와, 그 흡입호스의 단부에 설치되면서 해당하는 진공청소기의 전원ON/OFF라든지 흡입력의 조절을 위한 기능이 갖추어진 조작부 및, 그 조작부와 상기 흡입헤드를 연결하는 연장관이 순차적으로 갖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에 갖추어진 전원스위치를 ON시키거나 흡입력을 'O'으로부터 상승되도록 조작하게 되면 상기 청소기본체에 내장된 흡기수단이 작동하게 되고, 그 흡기수단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연장관-조작부-플렉시블 호스-청소기본체의 경로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청소기본체의 흡입작용에 의해 바닥면 상의 먼지라든지 오물이 청소기본체 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청소기본체에 흡입된 공기는 그 청소기본체의 측면이나 후면에 정의된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바, 그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라든지 오물은 그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바람직하게는 헤파필터)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그러한 진공청소기에는 다양한 기능의 보조적인 흡입노즐 또는 흡입헤드가 포함되는 바, 그 예로는 선단에 브러시가 부착되어 침구라든지 카페트의 청소에 용이한 형태와, 선단이 경사지면서 얇게 가공되어 창틀이라든지 좁은 개소에 대한 청소에 용이한 형태 등이 포함된다.
그런데, 통상적인 진공청소기에서는 흡입헤드(또는 흡입노즐)을 용도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착탈되는 구조를 채용하기는 하지만, 그러한 보조적인 흡입노즐 또는 흡입헤드는 대개 해당하는 청소기본체의 연장관 또는 그 연장관이 착탈되는 조작부의 직경에만 대응하는 구경을 갖기 때문에 댜른 진공청소기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흡입헤드 또는 흡입노즐과 보조적인 기능을 갖는 흡입헤드 또는 흡입노즐은 해당하는 청소기본체에 대해서만 전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치수로 설계되고, 그 때문에 다른 제조회사의 진공청소기에 부가되는 흡입헤드 또는 흡입노즐은 물론이고 동일한 제조회사의 다른 진공청소기에 부가되는 흡입헤드 또는 흡입노즐 조차도 상호 치수가 다르게 설계됨에 따라 호환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한 이유에 비추어 보면, 특수한 기능을 갖는 흡입헤드, 예컨대 침구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타격하여 먼지를 털어주고 청소기본체의 흡입력으로 그 털어낸 먼지는 흡기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침구청소에 적합한 흡입헤드(또는 흡입노즐)은 현존하는 어떠한 진공청소기의 연장관(또는 조작부)에도 정합적으로 착탈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구의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정의 기능을 갖는 헤드(또는 노즐)본체를 현존하는 모든 종류의 진공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연장관 또는 조작부에 호환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직경의 연장관결합구조를 갖춘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본체에 연설되는 조작부와 그 조작부에 연결되는 연장관에 대해 흡입헤드(흡입노즐)를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후단에는 상기 흡입헤드에서 연설되는 연결호스가 결합되면서 상기 조작부 또는 연장관에 결합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대해 격벽을 개재하여 연설되면서 최전방으로부터 최후방에 다수의 착탈영역이 형성된 착탈결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와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연장관 중 어느 하나와의 결합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와 고무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착탈결합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착탈영역은 그 최선단에 최소직경의 제 1착탈영역(72a)과, 상기 제 1착탈영역(72b)의 후방에 정의되면서 그 제 1착탈영역(72a)에 비해서는 직경이 크면서 소정 길이로 후방향으로 상승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착탈영역(72b), 상기 제 2착탈영역(72b)의 후방에 정의되면서 그 제 2착탈영역(72b)의 후단 직경과 동일하면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 3착탈영역(72c), 상기 제 3착탈영역(72c)의 후방에서 일정한 각도로 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4착탈영역(72d), 상기 제 4착탈영역(72d)의 후방에서 그 제 4착탈영역(72d)의 후단 직경에 대응하면서 소정 구간으로 형성되는 제 5착탈영역(72e), 상기 제 5착탈영역(72e)의 후방에서 그 제 5착탈영역(72e)에 비해 큰 직경으로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제 6착탈영역(72f)을 포함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내면에는 강성의 보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호스가 결합되는 나사형상의 호스결합영역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경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거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에 의하면, 그 전방의 착탈결합부에 상호 다른 직경으로 다수의 착탈영역이 정의되기 때문에, 그 연결구가 연결된 별개의 흡입헤드 또는 흡입노즐은 그 연결구를 매개하여 현존하는 진공청소기의 조작부 또는 그 조작부에 연결되는 연장관에 결합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입헤드 또는 흡입노즐에 부가된 특정의 기능(예컨대 침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타격하여 청소하기 위한 기능)이 진공청소기와 연계되어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의 측면도.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에 구성되는 보강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10으로 표시된 진공청소기의 청소기본체에는 소정 길이의 플렉시블 흡입호스(20)가 연결되고, 그 흡입호스(20)의 단부에는 해당하는 진공청소기의 전원ON/OFF라든지 흡입력의 조절을 위한 기능이 갖추어진 조작부(30)가 갖추어지며, 그 조작부(30)의 전단에는 연장관(도시는 생략)이 연결되는 연장관결합구(30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30)의 연장관결합구(30a)에는 특정의 기능을 갖는 흡입헤드(또는 흡입노즐)(40)이 착탈가능한 바, 그 흡입헤드(40)로는 침구를 두드리면서 청소하거나 자동으로 타격하여 먼지를 일으켜서 상기 청소기본체(10)의 흡입력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형태가 상정된다.
상기 흡입헤드(40)의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40a)의 후단에는 플렉시블 연결호스(50)가 연결되고, 그 연결호스(50)의 종단에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60)가 갖추어지게 된다.
즉, 상기 연결구(60)는 상기 흡입헤드(40)가 상기 조작부(30)의 연장관결합구(30a)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구(60)가 모든 진공청소기의 조작부(40) 또는 그 조작부(40)에 연결되는 연장관(도시는 생략)의 하단에 정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구(60)는 상기 조작부(30)의 연장관결합구(30a) 또는 연장관(도시 생략)에 결합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예컨대 TPE, PVC 등)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60)는 그 연결구(60)를 상기 조작부(30)의 연장관결합구(30a)에 결합하는 경우에 잡기 위한 파지부(70)와, 실제 상기 조작부(30)의 연장관결합구(30a)에 결합되는 착탈결합부(72) 및, 상기 파지부(70)와 상기 착탈결합부(72)의 사이에 대직경으로 형성되는 격벽(74)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격벽(74)은 해당하는 연결구(60)를 상기 조작부(30)의 연장관결합구(30a)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70)를 잡고서 상기 착탈결합부(72)를 밀어넣는 경우에 손이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60)의 착탈결합부(72)는 그 최선단에 최소직경의 제 1착탈영역(72a)이 형성되고, 그 제 1착탈영역(72b)의 후방에는 그 제 1착탈영역(72a)에 비해서는 직경이 크면서 소정 길이로 후방향으로 상승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착탈영역(72b)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착탈영역(72b)의 후방에는 그 제 2착탈영역(72b)의 후단 직경과 동일하면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 3착탈영역(72c)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 3착탈영역(72c)의 후방에는 일정한 각도로 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4착탈영역(72d)이 형성되고, 그 제 4착탈영역(72d)의 후방에는 그 제 4착탈영역(72d)의 후단 직경에 대응하면서 소정 구간으로 형성되는 제 5착탈영역(72e)이 형성되며, 그 제 5착탈영역(72e)의 후방에는 그 제 5착탈영역(72e)에 비해 큰 직경으로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제 6착탈영역(72f)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60)의 표면은 마찰계수가 높으면서 비교적 유연성의 수지로 형성되는 바,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파지부(70)의 내측에는 비교적 강성의 수지로 보강부재(76)가 내설된다(도 4 참조).
여기서, 상기 연결구(60)가 상기한 바와 같이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류로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경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지만,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류를 적용해도 된다.
상기 보강부재(76)의 내면에는 상기 흡입헤드(40)에 연결된 상기 연결호스(50)가 회동되어 끼워지는 나사형상의 호스결합영역(78)이 형성된다.
또, 상기 보강부재(76)의 외면에는 상기 파지부(70)의 사출성형 후에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80,82)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는 상기 착탈결합부(72)에는 상호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착탈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청소기본체(10)에 제공되는 조작부(30)의 연장관결합부(30a)의 상호 다른 직경에 충분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갖도록 설계된 별도의 흡입헤드(40)의 경우에도 어떠한 청소기본체(10)에도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구(60)의 상기 착탈결합부(72)의 형상이 적용된 경우이면 어떠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파지부(70)에 해당하는 영역의 내면에 상기 연결호스(50)가 내설되는 나사형상의 호스결합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부재(76)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결합부(72)의 전체 외주면에는 상기 조작부(30) 또는 연장관에 장착되는 경우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미소한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한 연결구는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설명되고 있지만, 상호 다른 직경의 호스와 호스 또는 원형 관과 원형 관의 연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청소기본체, 20: 흡입호스,
30: 조작부, 30a: 연장관결합부,
40: 흡입헤드(흡입노즐), 50: 연결호스,
60: 연결구, 70: 파지부,
72: 착탈결합부, 76: 보강부재.

Claims (3)

  1. 청소기본체에 연설되는 조작부와 그 조작부에 연결되는 연장관에 대해 흡입헤드(흡입노즐)를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후단에는 상기 흡입헤드에서 연설되는 연결호스가 결합되면서 상기 조작부 또는 연장관에 결합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대해 격벽을 개재하여 연설되면서 최전방으로부터 최후방에 다수의 착탈영역이 형성된 착탈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연장관 중 어느 하나와의 결합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와 고무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착탈영역은 그 최선단에 최소직경의 제 1착탈영역(72a)과, 상기 제 1착탈영역(72b)의 후방에 정의되면서 그 제 1착탈영역(72a)에 비해서는 직경이 크면서 소정 길이로 후방향으로 상승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착탈영역(72b), 상기 제 2착탈영역(72b)의 후방에 정의되면서 그 제 2착탈영역(72b)의 후단 직경과 동일하면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 3착탈영역(72c), 상기 제 3착탈영역(72c)의 후방에서 일정한 각도로 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4착탈영역(72d), 상기 제 4착탈영역(72d)의 후방에서 그 제 4착탈영역(72d)의 후단 직경에 대응하면서 소정 구간으로 형성되는 제 5착탈영역(72e), 상기 제 5착탈영역(72e)의 후방에서 그 제 5착탈영역(72e)에 비해 큰 직경으로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제 6착탈영역(72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내면에는 강성의 보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호스가 결합되는 나사형상의 호스결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경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KR1020100070349A 2010-07-21 2010-07-21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KR10125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49A KR101254851B1 (ko) 2010-07-21 2010-07-21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49A KR101254851B1 (ko) 2010-07-21 2010-07-21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36A true KR20120008936A (ko) 2012-02-01
KR101254851B1 KR101254851B1 (ko) 2013-04-15

Family

ID=4583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349A KR101254851B1 (ko) 2010-07-21 2010-07-21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8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132A (ja) * 1994-01-21 1995-08-0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02172493A (ja) 2000-12-01 2002-06-18 Takeshi Kikuchi ペットボトル圧縮用吸引ノズル
KR100474899B1 (ko) * 2002-05-14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과 손잡이의 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851B1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4267B1 (en) Vacuum cleaner
US10238255B2 (en) Vacuum nozzle with integrated light
KR100712282B1 (ko)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흡입호스 설치구조
US20070039118A1 (en) Suction hose supporting structure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HK1102904A1 (en) Vacuum cleaner
CN104970736A (zh) 真空清洁用具
US9737183B2 (en) Vacuum cleaner
US11160426B1 (en) Amalgamated handheld vacuum appliance dusting attachment
WO2007084543A3 (en) Stair cleaning vacuum cleaner
JP201319870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アタッチメント
EP2992800A1 (en) Vacuum cleaner
KR101254851B1 (ko) 청소기본체와 흡입헤드의 연결구
JP2007185222A (ja) 電気掃除機
JP2009066332A (ja) 電気掃除機
US10238257B2 (en) Vacuum attachment including a pressurized air source
KR102277145B1 (ko) 청소기
JP6306303B2 (ja) 電気掃除機
KR20100020644A (ko) 청소기 브러시
KR20110010891U (ko) 진공청소기용 고무 호스
JP6133179B2 (ja) 電気掃除機
KR200364058Y1 (ko) 진공청소기의 스위치 결합구조
KR200357526Y1 (ko) 손잡이가 달린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JPWO2022070370A5 (ko)
JP2012120703A (ja) 吸込口体
JP2007283014A (ja) 隙間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