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675U -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 - Google Patents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675U
KR20120008675U KR2020110005094U KR20110005094U KR20120008675U KR 20120008675 U KR20120008675 U KR 20120008675U KR 2020110005094 U KR2020110005094 U KR 2020110005094U KR 20110005094 U KR20110005094 U KR 20110005094U KR 20120008675 U KR20120008675 U KR 201200086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control
curtain wall
st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판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상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상공
Priority to KR2020110005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675U/ko
Publication of KR20120008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6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으로 사용되는 커튼월(Curtain Wall)에 적용되는 여닫이창문을 창틀에 고정할 때 사용하는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문틀에 창문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문 스테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창문 스테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3로드를 창틀벤트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조절홀더에 피스로 고정하되, 상기 조절홀더의 일단에는 창틀에 고정된 조절블록상의 조절공간에 내입되는 조절구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구에는 조절블록에 나사조립된 조절볼트의 선단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조절볼트를 돌리는 작동에 의해 제3로드가 결합되어 있는 조절홀더가 위치 이동이 되도록 하고, 위치 이동된 조절홀더를 고정나사로 창틀벤트에 고정되게 하였다.

Description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Window stay for Curtain Wall}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으로 사용되는 커튼월(Curtain Wall)에 적용되는 여닫이창문을 창틀에 고정할 때 사용하는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포바 암(4bar arm)이라고도 함)에 관한 것이다.
고층 또는 초고층 건물에서는 벽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외벽 즉, 덧붙인 벽으로서 수직하중을 지탱하지 않은 비내력벽으로 커튼월이 많이 사용된다.
커튼월은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패널을 들어 올려서 조립하여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공기 단축 등에 매우 유리한 구조물이다.
커튼월은 설치방법에 따라 스틱시스템(Stick system), 유닛트시스템(Unit system), 유니트와 머리온시스템(Unit and mullion system), 판넬시스템(Panel system), 기둥커버와 스판드렐 시스템(Column cover-Spandrel system)으로 분류된다.
유닛트시스템과 유니트와 머리온시스템, 판넬시스템, 기둥커버와 스판드렐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공장에서 제작된 패널에 유리를 결합한 상태로 이어 붙이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창문 또한 유리가 결합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큰 문제가 없다.
한편 스틱시스템의 경우 구조물에 머리온(Mullion) 수직 구조재를 먼저 설치하고 난 후, 차례로 수평구조재인 트랜섬과 판넬과 유리 끼우기 등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파넬과 유리끼우기 등은 내부 취부가 불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외부에서 고정 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한 스틱시스템은 창문을 설치함에 있어서도, 머리온과 트랜섬에 의해 형성된 격자 중 하나를 문틀로 하고, 이에 유리창이 내입되는 창틀의 양측 상하부를 트랜섬과 창문스테이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창문 설치방법의 경우 창틀을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유리창을 창틀에 끼워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유리창의 하중에 의해 창문 스테이에 의해 고정된 창틀이 처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 창문 설치에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커튼월 시스템의 분류 중 스틱시스템에 적용되는 창문 설치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게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창틀의 상부에 결합되는 창문 스테이의 제3로드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 창틀에 조립하여 유리창 결합으로 인해 창틀이 처짐현상 등의 문제점을 즉시 해소하여 창문 설치 따른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문틀에 창문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문 스테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창문 스테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3로드를 창틀벤트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조절홀더에 피스로 고정하되, 상기 조절홀더의 일단에는 창틀에 고정된 조절블록상의 조절공간에 내입되는 조절구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구에는 조절블록에 나사조립된 조절볼트의 선단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조절볼트를 돌리는 작동에 의해 제3로드가 결합되어 있는 조절홀더가 위치 이동이 되도록 하고, 위치 이동된 조절홀더를 고정나사로 창틀벤트에 고정되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를 사용할 경우 커튼월 시스템의 분류 중 스틱시스템에서 유리창을 끼울 때 하중에 의해 창틀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조절나사를 돌리는 수고로움으로 간편하고 손쉽게 이를 보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창문 설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소에서의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등 기대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커튼월에 창문을 설치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커튼월에 창문을 설치하는 예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발췌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발췌 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도 4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커튼월에 창문을 설치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도 6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발췌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문틀(23)에 고정되는 제1로드(2)와 창문(30)을 구성하는 상하측 수평방향 창틀벤트(31)에 결합되는 제3로드(3)를 열림각이 제한되도록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제2, 4로드(4)(5)를 리벳(6)으로 조립한 창문 스테이(1)(1')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3로드(3)와 창틀벤트(31)의 결합 구조를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창틀벤트(31)의 처짐을 쉽게 보정할 수 있게 하였다.
통상 커튼월(20)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창문(30)은 일측 상하부를 수평 구조재인 트랜섬(22)과 창문 스테이(1)(1')로 연결하여 창문(30)의 열림각을 제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창문(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창문 스테이(1)를 설치함에 있어서, 창틀벤트(31)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3)을 형성하여 조절홀더(7)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끼우고 조절홀더(7)에 상기 제3로드(3)를 접시머리나사(8)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홀더(7)의 일단에는 조절구(7a)를 형성하되, 조절구(7a)에는 선단에 걸림턱(7b)을 형성하여 창틀벤트(31)에 고정된 조절블록(9)에 형성된 조절공간(9a)에 내입된 상태에서 조절공간(9a)의 입구쪽에 형성된 걸림턱(9b)에 걸림되게 한다.
상기 조절구(7a)에는 조절블록(9)에 끼워져 이링(e-ring)(11)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되는 조절볼트(10)를 나사조립하여 조절볼트(10)를 돌리는 작동에 의해 제3로드(3)가 결합되어 있는 조절홀더(7)이 위치 이동되어 창틀 벤트(31)의 처짐 상태를 즉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홀더(7)에는 창틀벤트(31)에 조절홀더(7)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2)를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1)는 도 4와 같이 커튼월(20)을 구성하는 머리온(21)과 트랜섬(22)에 의해 형성된 격자 안에 조립되는 부분을 프레임(23)로 하고, 이에 유리창(24)이 내입되어 고정되는 창틀벤트(31)의 양측 상하부를 프레임(23)과 창문 스테이(1)(1')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머리온(21)과 트랜섬(22)에 의해 형성된 격자 안에 조립되는 프레임(23)에 창틀벤트(3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창문 스테이(1)(1')를 이용하여 창틀벤트(31)를 설치한 상태에서 창틀벤트(31)에 유리창(32)을 결합하면 유리창(32)의 하중에 의해 창문벤트(31)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조절볼트(10)를 돌려서 프레임(23)과 어긋나 있는 창틀벤트(31)을 교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조절볼트(10)를 돌리게 되면 고정구(9)의 조절공간(9a)에 내입된 조절구(7a)가 이동되는데, 이때 조절구(7a)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창틀벤트(31)에 형성된 가이드홈(33)을 따라서 제3로드(3)가 고정된 조절홀더(7)가 이동되어 프레임(23)에 고정되어 있는 제1로드(2)를 기준으로 해서 창틀벤트(31)를 조금 들어 올리거나 또는 조금 내려서 프레임(23)과 수평상태가 되도록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조절 후 조절홀더(7)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나사(12)를 이용하여 조절홀더(7)를 창틀벤트(31)에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창문 스테이 2:제1로드
3:제3로드 4,5:제2,4로드
6:리벳 7:조절홀더
7a:조절구 8:접시머리나사
9:조절블록 9a:조절공간
10:조절볼트 12:고정나사
20:커튼월 21:머리온
22:트랜섬 23:프레임
24:유리창 30:창문
31:창틀벤트

Claims (1)

  1. 프레임(23)에 고정되는 제1로드(2)와 창문(30)을 구성하는 상하측 수평방향 창틀벤트(31)에 결합되는 제3로드(3)를 열림각이 제한되도록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제2,4로드(4)(5)를 리벳(6)으로 조립한 창문 스테이(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측 창틀벤트(3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3)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된 조절홀더(7)에 제3로드(3)를 접시머리나사(8)로 고정하고;
    상기 조절홀더(7)의 일단에는 선단에 걸림턱(7b)이 돌출된 조절구(7a)를 형성하여 창틀벤트(31)에 고정된 조절블록(9)에 형성되며 입구에 걸림턱(9b)이 구비된 조절공간(9a)에 내입하고;
    상기 조절구(7a)에는 조절블록(9)에 끼워져 이링(11)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되는 조절볼트(10)를 나사조립하며;
    상기 조절볼트(10)에는 창틀벤트(31)에 조절홀더(7)를 고정하는 고정나사(12)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
KR2020110005094U 2011-06-08 2011-06-08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 KR201200086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94U KR20120008675U (ko) 2011-06-08 2011-06-08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94U KR20120008675U (ko) 2011-06-08 2011-06-08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75U true KR20120008675U (ko) 2012-12-18

Family

ID=5368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094U KR20120008675U (ko) 2011-06-08 2011-06-08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6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637A (zh) * 2016-12-20 2017-05-17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幕墙风撑
CN116044064A (zh) * 2022-12-27 2023-05-02 江苏金贸建设集团有限公司 外循环对流双层通风玻璃环保幕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637A (zh) * 2016-12-20 2017-05-17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幕墙风撑
CN116044064A (zh) * 2022-12-27 2023-05-02 江苏金贸建设集团有限公司 外循环对流双层通风玻璃环保幕墙
CN116044064B (zh) * 2022-12-27 2023-12-22 江苏金贸建设集团有限公司 外循环对流双层通风玻璃环保幕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3726B1 (en) Screen device
KR20170057942A (ko) 창호 설치용 유리 난간대
KR101242388B1 (ko) 고층 건축물용 미서기 창호 시스템
KR101036303B1 (ko) 커튼월
EP3091164A1 (en) Reinforced door
KR20120008675U (ko) 커튼월용 창문 스테이
KR200424732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JP5638478B2 (ja) 下枠および建具
EP3321458B1 (en) A hinge arrangement, in particular a hidden hinge arrangement
JP6769800B2 (ja) 建具
KR101996887B1 (ko) 높이조절형 마감패널 및 내진구조를 구비한 발코니용 다목적 미서기창호
EP3467247A1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KR101674343B1 (ko) 가변성과 장착성을 개선한 리모델링 창호
JP2018016991A (ja) 下枠および建具
EP3039207B1 (en) Leaf of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and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provided with such a leaf
JP2007239210A (ja) 屋外構築物の土間コンクリート不陸吸収装置
KR20220061448A (ko)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KR101908614B1 (ko) 복층 창호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CN110621843A (zh) 用于窗户的遮盖装置
KR20220169814A (ko) 발코니 창호용 유리난간대
KR20240036176A (ko) 발코니 창호용 유리난간대
KR20190020480A (ko) 난간대가 구비된 창호
KR20170001415U (ko) 창호 시공용 고정 브래킷
KR20180001208U (ko)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