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061U - 다목적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061U
KR20120008061U KR2020110004220U KR20110004220U KR20120008061U KR 20120008061 U KR20120008061 U KR 20120008061U KR 2020110004220 U KR2020110004220 U KR 2020110004220U KR 20110004220 U KR20110004220 U KR 20110004220U KR 20120008061 U KR20120008061 U KR 201200080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ckle
cutting device
hole
replacement blad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656Y1 (ko
Inventor
유창해
Original Assignee
유창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해 filed Critical 유창해
Priority to KR2020110004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65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2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 B25F1/04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brought into working positions by a pivoting or slid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4Sick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8Attaching means for blades
    • A01D1/12Attaching means for blades with blades adjustable in several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06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percussion tool-heads or -blades, e.g. hammers,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와, 상부에 일측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 자루; 상기 수납부의 상단부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고, 톱과 교체용 날이 장착되는 낫으로 이루어진 절단공구; 및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을 위해 회동되어진 상기 절단공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보관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사용자를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목적 절단장치{MULTIPURPOSE AMPUT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다목적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톱과 교체용 날이 장착되는 접이식 낫으로 이루어진 절단공구를 수납부에 수납되게 함으로써, 보관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사용자를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톱과 낫은 나무나 풀 따위를 베어내는 절단장치이다. 이 중, 낫은 담배의 귀를 따는 데 사용하는 작은 크기의 담배낫, 풀이나 갈대 등을 밀어서 깎는 밀낫, 보통 낫보다 날이 짧은 버들낫, 벌판의 무성한 갈대 따위를 휘둘러서 베는 벌낫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톱과 낫은 주로 별개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데, 이와 같이, 각 절단장치를 별개로 제작할 경우, 제조비용 및 구입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보관 및 휴대성에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톱과 낫을 함께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절단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과정에서 톱과 낫이 마모될 경우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특히, 낫의 날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톱과 교체용 날이 장착되는 접이식 낫으로 이루어진 절단공구를 수납부에 수납되게 함으로써, 보관성, 휴대성 및 사용자를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와, 상부에 일측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 자루; 상기 수납부의 상단부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고, 톱과 교체용 날이 장착되는 낫으로 이루어진 절단공구; 및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을 위해 회동되어진 상기 절단공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다목적 절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손잡이의 외주연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凹凸)형의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내부에 중공형의 보관공간이 구비되고, 하단부의 개구부가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공간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교체용 날과, 상기 교체용 날 사이에 구비되어 녹슴을 방지하는 녹슴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낫은 끝 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형성되고, 상기 교체용 날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낫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낫 몸체는 상기 수납부의 상단에 사용가능한 'ㄱ'자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식 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낫 몸체는 상기 교체용 날이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상에 구비되어 상기 교체용 날을 고정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1개 내지 4개의 고정구와, 상기 수납공간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제2체결공과, 상기 고정핀과 맞물려 사용시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2움직임 방지공과, 상기 장착부의 양측 및 등부분에 외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교체용 날의 양단부 및 등부분을 끼워 고정하는 끼움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체용 날은 상기 낫 몸체보다 큰 경사각으로 만곡형성되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낫 몸체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장착력을 강하게 하는 가로홈과, 세로방향에 파형(波形)으로 형성되어 베임성을 향상시키는 다수개의 세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톱은 상기 수납부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되,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제1체결공과, 상기 고정핀과 맞물려 사용시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1움직임 방지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제3체결공과, 상기 고정핀이 끼움 결합되는 핀고정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부의 수납공간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는 상기 톱과, 상기 낫 및 상기 고정수단 사이에 와셔(Washe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숫나사부와 암나사부로 구성되되, 상기 숫나사부의 일측에 이탈방지공을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가 체결된 후 상기 이탈방지공에 풀림방지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숫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절단장치에 의하면, 톱과 교체용 날이 장착되는 접이식 낫으로 이루어진 절단공구를 수납부에 수납되게 함으로써, 보관성, 휴대성 및 사용자를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톱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낫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톱과 낫으로 이루어진 절단공구가 수납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절단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반용 낫에 낫 몸체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관공간을 갖는 손잡이가 마련된 일반용 낫에 낫 몸체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절단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절단장치(100)는, 손잡이(112)가 구비된 자루(110)와, 절단공구(120)와, 절단공구(12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루(110)는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112)와, 절단공구(120)를 수납하는 수납부(114)로 이루어진다.
손잡이(11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부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라운드형으로 처리된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12)의 외주연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凹凸)형의 미끄럼방지부(112a)가 구비된다. 손잡이(112)의 내부에는 중공형의 보관공간(112b)이 구비되는 바, 이 보관공간(112b)의 하부에 마련된 개구부(112c)는 덮개(113)에 의해 개폐된다. 보관공간(112b) 내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교체용 날(124b)과, 교체용 날(124b)의 녹슴을 방지하는 녹슴방지부재(124c)가 구비된다. 녹슴방지부재(124c)는 기름종이 등 교체용 날(124b)의 녹슴을 방지하는 조건하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절단공구(120)는 상단부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고, 톱(122)과 교체용 날(124b)이 장착되는 낫(124)으로 이루어진다.
톱(122)은 수납부(114)의 상단부에 체결부재(125)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에 의해, 보관시 또는 사용이 완료된 후에 톱(122)을 수납부(114)의 수납공간(114a) 내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톱(122)의 일측에는 수납공간(114a)에 체결부재(125)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제1체결공(122a)이 형성된다. 제1체결공(122a)과 인접된 위치에는 고정핀(132)과 맞물려 톱(122) 사용시 움직임을 방지하는 관통형성된 제1움직임 방지공(122b)이 마련된다.
낫(124)은 끝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만곡되게 형성되며, 교체용 날(124b)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낫 몸체(12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낫 몸체(124a)는 수납부(114)의 상단에 원상태로 사용가능한 'ㄱ'자 형태의 고정식 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부(114)의 수납공간(114a) 내에 수납되는 접이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낫 몸체(124a)는 장착부(124a-1)와, 고정구(124a-2)와, 제2체결공(124a-3)과, 제2움직임 방지공(124a-4)과, 끼움홈(124a-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착부(124a-1)는 교체용 날(124b)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교체용 날(124b)은 낫 몸체(124a)보다 큰 경사각으로 만곡형성되도록 한다. 교체용 날(124b)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홈(124b-1)이 마련된다. 가로홈(124b-1)은 교체용 날(124b)이 낫 몸체(124a)의 장착부(124a-1)에 장착되는 장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교체용 날(124b)의 세로방향으로는 다수개의 세로홈(124b-2)이 구비될 수 있다. 세로홈(124b-2)은 파형(波形)으로 형성되어 베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세로홈(124b-2)은 교체용 날(124b)이 닳아지거나 사용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당기는 힘을 배가시켜 베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구(124a-2)는 장착부(124a-1) 상에 구비되어 교체용 날(124b)을 안정감있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구(124a-2)는 자성체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24a-2)는 자력(磁力)의 세기정도에 따라 1개 내지 4개로 마련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체결공(124a-3)은 낫 몸체(124a)를 수납공간(114a)에 체결부재(125)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움직임 방지공(124a-4)은 고정수단(130)의 고정핀(132)과 맞물려 낫(124) 사용시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끼움홈(124a-5)은 장착부(124a-1)의 양측 및 등부분에 외향(外向)으로 함몰형성된다. 끼움홈(124a-5)은 교체용 날(124b)의 양단부 및 등부분을 끼워 안정감있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교체용 날(124b)이 장착부(124a-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수단(130)은 수납공간(114a)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수단(130)에는 제3체결공(131)과, 핀고정공(130a)이 마련된다. 제3체결공(131)은 고정수단(130)을 체결부재(125)를 통해 수납공간(114a)에 체결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핀고정공(130a)은 톱(122)의 제1움직임 방지공(122b)과, 낫(124)의 제2움직임 방지공(124a-4)과 맞물려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핀(132)을 구비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수단(130)은 사용을 위해 회동되어진 절단공구(12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톱(122), 낫(124) 및 고정수단(130)을 수납부(114)의 수납공간(114a)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25)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부(125a)와 암나사부(125b)로 구성될 수 있다.
숫나사부(125a)의 일측에는 관통형성된 이탈방지공(125a-1)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숫나사부(125a)가 회동체결공(114b)을 관통하여 암나사부(125b)와 체결된 후 이탈방지공(125a-1)에 풀림방지부재(125c)를 삽입하여 숫나사부(125a) 및 암나사부(125b)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톱(122), 낫(124) 및 고정수단(130)을 안정감있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한편,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낫(124)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용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요소 중 낫 몸체(124a)와, 교체용 날(124b)이 장착되는 장착부(124a-1)와, 장착부(124a-1)상에서 교체용 날(124b)을 고정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고정구(124a-2)들과, 장착부(124a-1)의 양측에 형성되어 교체용 날(124b)의 양단부를 끼워 고정하는 끼움홈(124a-5)의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중, 낫 몸체(124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직접적으로 자루(110)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부(112a)가 형성된 손잡이(112) 측에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덮개(113)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공간(112b)을 마련하여 교체용 날(124b)과 녹슴방지부재(124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고안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다목적 절단장치, 110 : 자루,
112 : 손잡이, 112a : 미끄럼방지부,
112b : 보관공간, 112c : 개구부,
113 : 덮개, 114 : 수납부,
114a : 수납공간, 114b : 회동체결공,
120 : 절단공구, 122 : 톱,
122a : 제1체결공, 122b : 제1움직임 방지공,
124 : 낫, 124a : 낫 몸체,
124a-1 : 장착부, 124a-2 : 고정구,
124a-3 : 제2체결공, 124a-4 : 제2움직임 방지공,
124b : 교체용 날, 124b-1 : 가로홈,
124b-2 : 세로홈, 124c : 녹슴방지부재,
125 : 체결부재, 125a : 숫나사부,
125a-1 : 이탈방지공, 125b : 암나사부,
125c : 풀림방지부재, 130 : 고정수단,
130a : 핀고정공, 131 : 제3체결공,
132 : 고정핀.

Claims (10)

  1.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112)와, 상부에 일측면이 개방된 수납공간(114a)이 형성된 수납부(114)를 갖는 자루(110);
    상기 수납부(114)의 상단부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고, 톱(122)과 교체용 날(124b)이 장착되는 낫(124)으로 이루어진 절단공구(120); 및
    상기 수납공간(114a)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을 위해 회동되어진 상기 절단공구(12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핀(132)이 구비된 고정수단(130); 을 포함하는 다목적 절단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2)의 외주연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凹凸)형의 미끄럼방지부(112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2)는,
    내부에 중공형의 보관공간(112b)이 구비되고, 하단부의 개구부(112c)가 덮개(113)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112b)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교체용 날(124b)과, 상기 교체용 날(124b) 사이에 구비되어 녹슴을 방지하는 녹슴방지부재(124c)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낫(124)은 끝 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형성되고, 상기 교체용 날(124b)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낫 몸체(124a)를 구비하되,
    상기 낫 몸체(124a)는 상기 수납부(114)의 상단에 사용가능한 'ㄱ'자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식 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낫 몸체(124a)는 상기 교체용 날(124b)이 장착되는 장착부(124a-1)와, 상기 장착부(124a-1)상에 구비되어 상기 교체용 날(124b)을 고정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1개 내지 4개의 고정구(124a-2)와, 상기 수납공간(114a)에 체결부재(125)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제2체결공(124a-3)과, 상기 고정핀(132)과 맞물려 사용시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2움직임 방지공(124a-4)과, 상기 장착부(124a-1)의 양측 및 등부분에 외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교체용 날(124b)의 양단부 및 등부분을 끼워 고정하는 끼움홈(124a-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6.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용 날(124b)은 상기 낫 몸체(124a)보다 큰 경사각으로 만곡형성되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낫 몸체(124a)의 장착부(124a-1)에 장착되는 장착력을 강하게 하는 가로홈(124b-1)과, 세로방향에 파형(波形)으로 형성되어 베임성을 향상시키는 다수개의 세로홈(124b-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122)은 상기 수납부(114)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114)의 수납공간(114a) 내에 수납되되,
    상기 수납공간(114a)에 상기 체결부재(125)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제1체결공(122a)과, 상기 고정핀(132)과 맞물려 사용시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1움직임 방지공(122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0)에는 상기 수납공간(114a)에 상기 체결부재(125)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제3체결공(131)과, 상기 고정핀(132)이 끼움 결합되는 핀고정공(130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4)의 수납공간(114a)에 상기 체결부재(125)를 통해 체결되는 상기 톱(122)과, 상기 낫(124) 및 상기 고정수단(130) 사이에 와셔(Washer)(1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10.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25)는 숫나사부(125a)와 암나사부(125b)로 구성되되,
    상기 숫나사부(125a)의 일측에 이탈방지공(125a-1)을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부(125a)와 상기 암나사부(125b)가 체결된 후 상기 이탈방지공(125a-1)에 풀림방지부재(125c)를 삽입하여 상기 숫나사부(125a) 및 상기 암나사부(125b)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절단장치.








KR2020110004220U 2011-05-17 2011-05-17 다목적 절단장치 KR200466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20U KR200466656Y1 (ko) 2011-05-17 2011-05-17 다목적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20U KR200466656Y1 (ko) 2011-05-17 2011-05-17 다목적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61U true KR20120008061U (ko) 2012-11-27
KR200466656Y1 KR200466656Y1 (ko) 2013-04-30

Family

ID=4751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220U KR200466656Y1 (ko) 2011-05-17 2011-05-17 다목적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6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5220A (zh) * 2015-09-25 2015-12-23 太仓市天开林果专业合作社 一种安全便携镰刀
CN106171236A (zh) * 2016-09-08 2016-12-07 绵阳圣典知识产权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多功能农用折叠式镰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435B1 (ko) * 2016-03-16 2017-10-11 이진우 연장형 낫 조립체
CN108925198A (zh) * 2018-06-13 2018-12-04 岳西县万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除草工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458Y1 (ko) * 1987-04-27 1989-10-26 김만래 다용도 휴대용 낫
JPH029312A (ja) * 1988-06-28 1990-01-12 Nirasawa:Kk 替刃式鎌
JPH057024U (ja) * 1991-07-22 1993-02-02 株式会社ユーエム工業
KR200372950Y1 (ko) * 2004-11-01 2005-01-14 (주)원창화스텍 분할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5220A (zh) * 2015-09-25 2015-12-23 太仓市天开林果专业合作社 一种安全便携镰刀
CN106171236A (zh) * 2016-09-08 2016-12-07 绵阳圣典知识产权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多功能农用折叠式镰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656Y1 (ko) 201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2569T3 (es) Caja con tapa y asa
KR200466656Y1 (ko) 다목적 절단장치
ES2397351T3 (es) Dispositivo de cierre del tipo de salto elástico
US20060278485A1 (en) Assembly for fixing a shoulder strap to containers
US9408350B1 (en) Garden shears
JP6345523B2 (ja) バッテリ駆動式作業機
KR101585520B1 (ko) 예초기의 커팅장치
US20130014394A1 (en) Cutter for woven belts
US8769998B1 (en) Biased cuff assembly
US9505122B2 (en) Detachable tool kit and sheath combination assembly for chainsaw
US5155911A (en) Knife and sheath locking mechanism
US11305442B2 (en) Multifunction foldable knife
US9193091B1 (en) Chainsaw blade storing assembly
US11545714B2 (en) Battery pack and gardening tool
CN209190831U (zh) 一种儿童安全剪刀
KR101454323B1 (ko) 주방용 칼
US20090045090A1 (en) Container and a storage for a saw blade
KR200448264Y1 (ko) 물품 박스 손잡이용 보강판
US20150090079A1 (en) Knot Untier
CN204056601U (zh) 锯片包装盒
KR101162563B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덮개
JP2006130185A5 (ko)
KR102302711B1 (ko) 결속재봉선 확인이 용이한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밴드 케이스
CN217161242U (zh) 一种弧弯伞绳户外手链
KR101101854B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