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918U -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918U
KR20120007918U KR2020110004018U KR20110004018U KR20120007918U KR 20120007918 U KR20120007918 U KR 20120007918U KR 2020110004018 U KR2020110004018 U KR 2020110004018U KR 20110004018 U KR20110004018 U KR 20110004018U KR 20120007918 U KR20120007918 U KR 201200079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tact
connector
rimless glass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규
Original Assignee
김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규 filed Critical 김남규
Priority to KR2020110004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918U/ko
Publication of KR20120007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에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이 표면에 다중 접촉하여 밀착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결구는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하여 렌즈에 홈을 형성해야 하거나, 렌즈의 표면에 고정돌기가 점접촉하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결프레임의 양측에 볼트가 각각 형성되어 렌즈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무테안경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양측에는 좌우로 연장 형성된 밀착부가 상하,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렌즈의 표면에 다중 접촉하여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밀착부가 렌즈의 표면에 다중 접촉으로 밀착됨으로써 렌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루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에 고정을 위한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작공정이 단축되고, 조립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Coupler for rimless glasses with multi contact point}
본 고안은 두 개의 렌즈를 연결하는 무테안경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에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이 표면에 다중 접촉하여 밀착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유테안경과 더불어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하고자 미적요소를 한층 부가시킨 무테안경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무테안경은 렌즈 도수에 따라 적정한 곡률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렌즈를 별도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고, 각 렌즈의 연결부위 반대편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부를 갖는 안경다리를 접첩 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종래의 연결구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단의 전면에 볼트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의 양측에는 원뿔 형상을 이룬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는 간격을 이룬 두 개의 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렌즈를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렌즈에 형성된 볼트홀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간단히 고정된다.
이때 볼트와 너트의 체결만으로는 사용 중 렌즈가 회전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돌기를 렌즈의 볼트홀 양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렌즈에 홈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렌즈의 표면에 말단이 밀착함으로써 고정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렌즈에 홈을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는 고정돌기가 렌즈의 표면에 점접촉에 의해 밀착되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구가 렌즈의 표면에 다중 접촉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는 연결프레임의 양측에 볼트가 각각 형성되어 렌즈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무테안경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사방에 좌우로 연장 형성된 밀착부가 상하,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4개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렌즈의 표면에 다중 접촉하여 밀착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에 의하면,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밀착부가 렌즈의 표면에 다중 접촉으로 밀착됨으로써 렌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루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에 고정을 위한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작공정이 단축되고, 조립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무테안경의 연결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 표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좌측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렌즈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0)의 양측 전면에는 볼트(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20)의 양측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연장 형성된 밀착부(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밀착부(30)는 상하,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밀착부(30)를 볼트를 중심으로 사방(四方)에 형성하는 것은 외부의 충격시 안경알에서 안경테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에 결합함으로써 간격을 이룬 두 개의 렌즈(1)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볼트(20)는 렌즈(1)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말단이 돌출되고 너트(2)가 체결되어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복수의 밀착부(30)는 전면이 렌즈(1)의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연결구와 렌즈(1)가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최근 기술 개발에 의해 고가의 코팅렌즈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코팅렌즈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리콘부재를 더 구비한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한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부(30)의 전면 말단에 결합홀(3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31)에 실리콘부재(32)를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렌즈의 표면(1)과 실리콘부재(32)가 밀착되어 렌즈(1)의 손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보다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부재(32)는 이중사출에 의해 밀착부(30)의 말단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연결프레임(10)에 형성된 복수의 밀착부(30)가 렌즈(1)의 표면에 다중 접촉으로 밀착됨으로써 렌즈(1)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루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1)에 고정을 위한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작공정이 단축되고, 조립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연결프레임 20 : 볼트
30 : 밀착부 31 : 결합홀
32 : 실리콘부재

Claims (2)

  1. 연결프레임의 양측에 볼트가 각각 형성되어 렌즈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무테안경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사방(四方)에는 좌우로 연장 형성된 밀착부가 상하,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4개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렌즈의 표면에 다중 접촉하여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말단에는 실리콘부재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밀착부의 말단에 형성된 결합홀에 실리콘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KR2020110004018U 2011-05-11 2011-05-11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KR201200079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018U KR20120007918U (ko) 2011-05-11 2011-05-11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018U KR20120007918U (ko) 2011-05-11 2011-05-11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18U true KR20120007918U (ko) 2012-11-21

Family

ID=4751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018U KR20120007918U (ko) 2011-05-11 2011-05-11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91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7809A1 (en) Eyeglasses
US20150316784A1 (en) Rimless eyeglasses
KR10123783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635223B1 (ko) 안경
KR200466527Y1 (ko) 안경다리 조립 구조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120007918U (ko) 다중 접촉식 무테안경의 연결구
KR200416684Y1 (ko) 안경의 코받침 결합구조
CN105487252A (zh) 一种360°全方位方向弯折的眼镜腿组件
MX2013010903A (es) Anteojos.
KR200410499Y1 (ko) 무테안경의 렌즈지지구조
KR10147704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CN201804166U (zh) 插接式眼镜镜腿连接结构
KR20140146799A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US20140132912A1 (en) Hinge structure of spectacle frame
KR20160000628A (ko) 안경가사리와 안경다리의 결속력을 상승시킨 결합부재
CN103217807B (zh) 一种易更换镜片的眼镜架及由其组成的眼镜
US20110304813A1 (en) Apparatus for of rimless spectacles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CN208752323U (zh) 眼镜用弹弓组件
KR200483264Y1 (ko)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WO2020186452A1 (zh) 眼镜架及眼镜
KR101711179B1 (ko) 보조안경의 결합구조
KR20080003637U (ko) 와이어 타입 안경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