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910U -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910U
KR20120007910U KR2020110004001U KR20110004001U KR20120007910U KR 20120007910 U KR20120007910 U KR 20120007910U KR 2020110004001 U KR2020110004001 U KR 2020110004001U KR 20110004001 U KR20110004001 U KR 20110004001U KR 20120007910 U KR20120007910 U KR 201200079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ver
tile
strut
pla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은
Original Assignee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은 filed Critical 정재은
Priority to KR2020110004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910U/ko
Publication of KR20120007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타일이 다양한 형태로 장식 배열된 타일장식부가 구비되되, 상기 지주를 중앙에 두고 서로 맞대어지면서 상기 지주를 감싸게 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타일장식부가 형성되는 외장판재와, 상기 외장판재의 양단에서 상기 지주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커버부재와, 상기 지주를 감싸는 복수의 커버부재를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식효과가 탁월한 타일장식부를 통해 가로등이나 신호등이 주변환경과 조화되면서 도시의 가로 미관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충격이 지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시킴과 함께 변형이나 파손시에는 부분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관리가 보다 용이하며, 감전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Protecting cover with decorative tile}
본 고안은 지주의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에 설치되어 지주를 보호하되, 특히 외측면에 타일이 장식 배열됨으로써 주변환경과의 조화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절연기능의 제공 및 파손시 부분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 도로 등에는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다수의 가로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로시설물은 주로 상부측에 설치되는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등기구와, 상기 등기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가로시설물의 지주는 가혹한 환경에서도 견고함을 장시간동안 유지해야 하므로 주로 주철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관체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가로시설물의 지주는 금속 특유의 차갑고 삭막한 느낌을 주게 됨으로써 거리의 분위기를 우울하게 만들거나, 주변환경과 미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서 도로나 거리의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종래에는 이러한 지주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외형의 디자인에 많은 비용을 과도하게 소모하게 됨으로써 가로시설물 지주의 제조원가가 추가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로시설물의 지주는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의 충돌과 같은 외부충격에 의해 지주가 파손될 수 있으며, 이렇게 파손된 경우 지주 전체를 새롭게 교체해야만 하였으므로 그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대폭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주 자체가 금속재로서 전도체이기 때문에 자칫 보행자의 감전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취약할 수 있는 문제점도 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식효과가 탁월한 타일장식부를 통해 가로등이나 신호등이 주변환경과 조화되면서 도시의 가로 미관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이 지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시킴과 함께 변형이나 파손시에는 부분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관리가 보다 용이하며, 감전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타일이 다양한 형태로 장식 배열된 타일장식부가 구비되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가 개시된다.
이러한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는 상기 지주를 중앙에 두고 서로 맞대어지면서 상기 지주를 감싸게 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타일장식부가 형성되는 외장판재와, 상기 외장판재의 양단에서 상기 지주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커버부재와, 상기 지주를 감싸는 복수의 커버부재를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세 개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를 중앙에 두고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네 개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를 중앙에 두고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는,
종래 금속재인 지주가 나타내는 삭막하고 차가운 분위기를 탈피하고 타일이 제공하는 다양한 장식효과를 통해 주변환경과의 조화 및 도시 미관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이 지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시킴으로써 지주를 보호함과 함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그 부분의 커버부재만을 부분교체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면서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주의 둘레를 타일장식부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가로시설물의 지주에 특별한 구조변경을 가함이 없이 간편하게 지주를 감싸도록 결합시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상승이나 설치시간에 대한 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고안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장식 보호커버의 평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장식 보호커버의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100)는 복수의 커버부재(10)와, 상기 커버부재(10)에 구비되는 타일장식부(20)와, 상기 커버부재(1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0)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전신주 등과 같은 구조물의 지주(200)를 중앙에 두고 서로 맞대어지면서 지주(200)를 감싸도록 설치가 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00)는 상기 타일장식부(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로 평평한 형상을 갖는 외장판재(11)와, 상기 외장판재(1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지주(200)측으로 연장이 되는 지지판재 (12)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판재(11)는 복수의 커버부재(10)가 서로 맞대어져 설치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그 외측면에는 상기 타일장식부(2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지지판재(12) 한 쌍은 상기 외장판재(11)의 양단에서 상기 지주(20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주(200)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커버부재(10)가 내측의 지주(200)에 지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상기 지지판재(12)의 끝단에는 지주(200)의 외주면에 보다 넓은 면적에서 접하면서 용이하게 지지가 되도록 지지발(13)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커버부재(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것처럼 지주(200)를 중심에 두고 서로 맞대어지면서 지주(200)를 감싸도록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커버부재(10)의 형상이나 갯수는 보호커버(100)의 형태나 설치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보호커버(100)를 사각형의 형태로 디자인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부재(10) 네 개가 서로 맞대어질 때 사각형의 형태가 될 수 있도록 커버부재(10)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 네 개의 커버부재(10)를 지주(200)를 중심에 두고 서로 맞대어 결합시키면 사각형 형태의 보호커버(100)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보호커버(100)를 삼각형의 형태로 디자인할 경우에는 상기한 커버부재(10) 세 개가 서로 맞대어질 때 삼각형의 형태가 될 수 있도록 커버부재(10)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때에는 세 개의 커버부재(10)를 지주(200)를 중심에 두고 서로 맞대어 결합시키면 삼각형 형태의 보호커버(10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타일장식부(20)는 상기 커버부재(10)의 외측면, 보다 정확하게는 외장판재(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보호커버(100)의 심미감 및 장식효과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타일장식부(20)는 다수의 타일(21)이 타일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외장판재(11)에 부착 배열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타일(21)은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한 색상이나 모양, 또는 다양한 재질의 타일들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타일장식부(20) 자체의 형상 또한 주변환경과의 조화, 디자인을 고려하여 외장판재(11)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복수의 커버부재(10)가 지주(200)를 감싸도록 서로 결합한 상태일 때, 각 커버부재(10)들을 서로 체결시켜 고정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체결부재(30)로는 도시된 것처럼 서로 맞대어진 커버부재(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체결띠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호커버(100)의 내부에 완충부재(4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커버부재(10)가 지지판재(12)에 의해서 지주(200)의 외주면에 지지가 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재(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에 완충부재(40)가 구비됨으로써 커버부재(1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충돌 등이 지주(200)에 가해지지 않도록 완충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40)로는 다양한 것이 채택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부재(10) 내부에 완충쿠션을 마련하거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부재(10) 내측면에 완충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는 외측면에 타일장식부(20)가 구비됨으로써 타일에 의한 다양한 심미감,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가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 주변환경과 어울리면서 자연친화적인 미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지주를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보호커버가 파손된 경우 그 파손된 커버부재만을 부분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관리가 보다 용이하며, 금속재의 지주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타일장식부(20)가 노출되므로 감전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보호커버
200: 지주
10: 커버부재
11: 외장판재
12: 지지판재
20: 타일장식부
21: 타일
30: 체결부재
40: 완충부재

Claims (5)

  1.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타일이 다양한 형태로 장식 배열된 타일장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지주를 중앙에 두고 서로 맞대어지면서 상기 지주를 감싸게 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타일장식부가 형성되는 외장판재와, 상기 외장판재의 양단에서 상기 지주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커버부재; 및
    상기 지주를 감싸는 복수의 커버부재를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네 개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를 중앙에 두고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세 개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를 중앙에 두고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KR2020110004001U 2011-05-11 2011-05-11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KR201200079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001U KR20120007910U (ko) 2011-05-11 2011-05-11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001U KR20120007910U (ko) 2011-05-11 2011-05-11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10U true KR20120007910U (ko) 2012-11-21

Family

ID=4751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001U KR20120007910U (ko) 2011-05-11 2011-05-11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91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313B1 (ko) * 2014-01-22 2014-03-28 (유) 포디헤윰 지주용 스티커 부착 방지장치
KR101418819B1 (ko) * 2013-05-06 2014-07-16 송촌이엔씨 주식회사 타일 부착 구조 및 타일 부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19B1 (ko) * 2013-05-06 2014-07-16 송촌이엔씨 주식회사 타일 부착 구조 및 타일 부착 방법
KR101379313B1 (ko) * 2014-01-22 2014-03-28 (유) 포디헤윰 지주용 스티커 부착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910U (ko) 지주의 타일장식 보호커버
KR101030485B1 (ko) 조가선 지지구조의 신호등 지주장치 개선방법
KR102397106B1 (ko) 도로표지병
KR101118682B1 (ko) 지주의 결합구조
KR200464660Y1 (ko) 가로등주 보호커버
KR200411758Y1 (ko) 가로등 지주(支柱) 보호커버
KR200483212Y1 (ko) 중앙 분리대
KR20110000595U (ko) 수목보호판
KR101165331B1 (ko) 밸크로를 이용한 외피 결합형 가로등 지주
KR101083187B1 (ko) 기둥보호용 식생블록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1824140B1 (ko) 지지구조물의 충격완화장치
KR200462729Y1 (ko) 보행 도로 시설물의 지주대 커버 겸용 의자
KR200355877Y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KR20080093753A (ko) 지주대에 장착되는 충격 완화용 보호구
KR102091846B1 (ko) 울타리용 철망 휀스
KR20200088608A (ko) 가로등주 ci 안전표찰기구
KR200392295Y1 (ko) 가로등 지주
KR101476269B1 (ko) 수직 기둥의 녹화장치
KR101191803B1 (ko) 천연재를 이용하면서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등기구
KR200468805Y1 (ko) 타일장식 가로시설물 제어함
KR100650928B1 (ko) 지주형 시설물 충전부 보호장치
KR20130016003A (ko)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및 이의 시공방법
CN207828779U (zh) 桥梁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