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856U - 구멍 없는 화분 - Google Patents

구멍 없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856U
KR20120007856U KR2020110003872U KR20110003872U KR20120007856U KR 20120007856 U KR20120007856 U KR 20120007856U KR 2020110003872 U KR2020110003872 U KR 2020110003872U KR 20110003872 U KR20110003872 U KR 20110003872U KR 20120007856 U KR20120007856 U KR 201200078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inner cylinder
holes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506Y1 (ko
Inventor
박갑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Priority to KR2020110003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0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멍 없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내·외통으로 구성된 이중구조로 급수의 편리성과 손쉽게 분리가 가능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심지를 구성하여 공급된 물이 기능성 상토에 원활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구멍 없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구멍 없는 화분을 내·외통으로 구성하여 내통을 분리하여 급수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할 시에는 내통을 들어 외통의 내부에 물을 필요한 만큼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방법이 간편하고,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장기간 외통에 보관된 물은 외통에서 내통을 분리하여 물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사용함으로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청결한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멍 없는 화분{Hole-less flowerpot}
본 고안은 구멍 없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멍 없는 화분을 내통을 손쉽게 분리가 가능한 이중구조로 구성하여 급수 편리성을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내통의 바닥에 심지를 마련하여 급수된 물이 상토에 원활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 없는 화분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화분은 하부 바닥면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토양에 각종 관상용 화초 등을 심어 일정한 주기로 물을 공급하여 관리하고 있었다.
근자에는 물의 공급 주기를 최소화 시키고 장기적으로 관리가 필요 하지 않는 구멍 없는 화분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멍 없는 화분은 급수된 물과 토양이 분리되도록 화분의 내부에 받침판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공급된 물은 수위감지기를 통하여 확인하여 공급되나 내부에 물의 잔여량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으며, 오랜 시간 물이 내부에 고이게 되면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지 못하여 물이 썩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를 상부 토양에 공급될 시 관상용 화초가 병들거나 죽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분갈이할 시 화분 내부에 급수된 물이 있을 경우에는 내부의 물이 완전하게 소진될 때까지 분갈이 시기를 늦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분 내부에 결합된 받침판 상부에 흡수재(펄라이트, 난석 등)를 적층하여 내부에 공급된 물이 흡수재로 흡수된 상태에서 상부의 기능성 상토에 공급되게 하여 각종 관상용 화초를 생장하게 하고 있으나, 이는 수위가 높을 경우에는 원활한 수분 공급이 가능하나, 수위가 낮을 경우에는 화초가 필요 하는 물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구멍 없는 화분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어 수위감지기에서 표현하지 못하는 미세한 잔여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장기간 방치된 물이 썩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내통을 항상 세척하여 청결한 물을 공급하며, 물 공급할 시 토양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화분에 화초를 심고 장식한 난석, 마사토, 색돌 등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갈이할 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적절하게 행함과 신속하고 손쉽게 이루어지며, 내부에 급수된 물이 화초가 생장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화분의 구성을 내·외통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내통의 상부에는 걸림테를 구성하고, 상기 걸림테의 하부에는 내·외통이 이격되도록 간격유지편을 형성한다.
상기 내통 내측바닥에는 통기공과 심지삽입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된다.
상기 심지삽입공에는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심지를 삽입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통의 하부에는 흡수관과 받침관을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흡수관의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유입공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테의 일측에는 수위감지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 아래쪽에는 수위감지기가 안내될 수 있도록 내통 외주면을 안쪽으로 함몰되게 홈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분은 내·외통으로 구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상기 외통을 분리하여 급수가 손쉽게 이루어지며 편리성과 세척이 가능하여 화분을 항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외통에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심지삽입공에 심지를 삽입하여 흡수재와 동시에 물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각종 관상용 화초에 필요로 하는 적절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위감지기를 결합하여 외통에 공급된 물의 급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분 내통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분 내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기간 물을 공급하지 않고 각종 관상용 화초를 생장할 수 있는 구멍 없는 화분(1)을 내·외통(3,2)으로 분리되는 이중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외통(2)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으로 형성하고, 내부면에는 수위표시부(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외통(2)의 하부에는 일반적인 화분에 있는 배수공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내통(3)은 각종 화초를 심을 수 있도록 외통(2)과 같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으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상기 외통(2)의 상부 테두리(2a)에 걸림되도록 걸림테(4)를 구성한다.
상기 걸림테(4)의 하부에는 외통(2)에 결합할 시 내·외통(3,2)이 이격되도록 간격유지편(4a)을 수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편(4a)이 외통(2)의 내부면과 결합되어 내통(3)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내통(3)의 내측 바닥에는 통기공(3a), 심지삽입공(7)을 형성한다.
상기 심지삽입공(7)은 내통(3)의 내부 바닥에 한 개 또는 수개 형성하고, 심지(10)가 흡수재층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심지삽입공(7)에는 심지(1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통기공(3a)은 내통(3)의 내부 바닥에 한 개 또는 수개 형성한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내통을 살펴보면,
상기 내통(3)의 하부 바닥에는 흡수관(5) 및 받침관(6), 통기공(3a), 심지삽입공(7)을 형성한다.
상기 흡수관(5)은 내통(3)의 하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개구된 유입공(5a)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외통(2)에 저장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재(20)를 담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관(6)은 외통(2)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내통(3)의 하부 바닥에 한 개 또는 수개 형성하고, 하부 바닥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6a)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흡수재(20)가 내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심지삽입공(7)에는 외통(2)에 저장된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심지(10)를 삽입하거나 심지(10)가 삽입되지 않고 내통(3)을 사용할 경우 심지삽입공(7)을 통하여 흡수재(20)가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씌울 수 있도록 덮개(12)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내통(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통(3) 상부 일측에 수위감지기(8)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9)을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9) 아래쪽에는 수위감지기(8)의 끝단이 외통(2)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안내되게 내통(3) 외주면을 안쪽으로 함몰되게 홈(3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9)에 물 공급량을 알 수 있도록 수위감지기(8)를 끼움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멍 없는 화분(1)은 내통(3)을 분리하여 물 공급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을 사용하고 할 시에는 외통(2)의 상부 테두리(2a)에 내통(3)의 걸림테(4)를 안치시키고 내통(3) 하부 바닥에 형성된 심지삽입공(7)에 심지(10) 끝단이 외통(2)의 바닥에 닿도록 내입 구성한다.
그리고 내통(3) 하부에 일정한 높이까지 흡수재(20)를 넣어 흡수재층을 형성한다.
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내통(3)을 사용할 경우에는 내통(3) 하부에 형성된 흡수관(5)과 받침관(6)에 흡수재(20)를 넣고 내통(3)의 하부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까지 재차 흡수재(20)를 넣어 흡수재층을 형성한다.
상기 흡수재층은 외통(2)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토양에 공급하는 층이다.
상기 흡수재층 상부에는 미생물의 활동으로 토양의 유기물을 발효시킨 농법에 의해서 식물에게 유익한 양질의 영양분을 공급하며, 식물의 필수효소 생산 등에서 뛰어난 기능성 상토(30)를 투입한 상토층이 구성된다.
상기 상토층에 각종 관상용 화초를 심고, 상토층 상부에 장식적인 미감을 부각시키도록 난석 및 마사토, 색돌 등으로 적층한 장식층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구멍 없는 화분(1)에 물을 공급할 시에는 각종 관상용 화초가 심어진 내통(3)을 들어 외통(2)의 내부에 물을 필요한 만큼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방법이 간편하고,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된 물의 양은 내통(3)을 들어 올려 확인하거나 다른 실시예 처럼 수위감지기(8)로 1차 확인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동안 사용한 물은 내통(3)을 외통(2)에서 분리하여 외통(2)에 있는 물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사용함으로 오염된 물이 상토층에 공급되어 상토(30)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항상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외통(2)에 물을 공급할 시 외통의 내부면에 형성된 수위표시부(11)를 보면서 적당량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통(2)에 물이 있을 경우라도 언제든지 사용자들이 내통(3)을 분리하여 분갈이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외통(2) 내부에 들어 있는 물이 내통(3)의 구성된 흡수재(20)를 통하여 흡수하여 기능성 상토(30)로 공급이 될 시 원활한 공급을 위해 심지(10)를 부가하여 기능성 상토에 물 공급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바,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도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 (구멍 없는) 화분 2: 외통
2a: 테두리 3: 내통
3a: 통기공 3b: 홈
4: 걸림테 4a: 간격유지편
5: 흡수관 5a: 유입공
6: 받침관 6a: 통공
7: 심지결합공 8: 수위감지기
9: 결합공 10: 심지
11: 수위표시부 12: 덮개
20: 흡수재 30: (기능성) 상토

Claims (5)

  1. 통상적인 구멍 없는 화분(1)에 있어서,
    상기 화분(1)은 내·외통(3,2)으로 구성하며,
    상기 내통(3)은 상부에 걸림테(4)를 구성하고, 내측 바닥에는 통기공(3a)과 심지삽입공(7)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테(4)의 하부에는 내·외통(3,2)이 이격되도록 간격유지편(4a)을 형성하며,
    상기 심지삽입공(7)에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심지(10)를 삽입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없는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의 하부 바닥에는 흡수관(5) 및 받침관(6)을 형성하며,
    상기 흡수관(5)의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유입공(5a)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관(6)의 하부에는 통공(6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없는 화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삽입공(7) 상부에 씌울 수 있도록 덮개(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없는 화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 내부면에는 수위표시부(1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없는 화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 걸림테(4)의 일측에는 수위감지기(8)가 삽입되는 결합공(9)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9) 아래쪽에는 내통(3) 외주면을 함몰되게 홈(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없는 화분.
KR2020110003872U 2011-05-04 2011-05-04 구멍 없는 화분 KR200470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72U KR200470506Y1 (ko) 2011-05-04 2011-05-04 구멍 없는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72U KR200470506Y1 (ko) 2011-05-04 2011-05-04 구멍 없는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56U true KR20120007856U (ko) 2012-11-15
KR200470506Y1 KR200470506Y1 (ko) 2013-12-20

Family

ID=4751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72U KR200470506Y1 (ko) 2011-05-04 2011-05-04 구멍 없는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649A (zh) * 2016-05-15 2016-10-12 茹朝贵 一种陶瓷花盆
BE1029501B1 (nl) * 2021-06-15 2023-01-23 The Pots Company Nv Plantenpot met nauw aansluitende wateropvangp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5173B (zh) * 2015-10-23 2018-08-24 大顺国际花卉股份有限公司 一种自吸式花卉培育盆
CN107535218A (zh) * 2016-06-26 2018-01-05 宜兴市培源实验小学 节水阻漏透气型花盆
KR200493264Y1 (ko) * 2020-01-23 2021-03-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웰그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30B1 (ko) 2001-06-27 2003-10-30 강문식 식물 재배용 화분
KR200251374Y1 (ko) 2001-07-10 2001-11-17 김학수 화분
KR200257503Y1 (ko) 2001-09-21 2001-12-29 이수건 자연 급수식 화분
KR100991340B1 (ko) 2008-02-21 2010-11-01 윤영춘 이중 심지급수구조를 가지는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649A (zh) * 2016-05-15 2016-10-12 茹朝贵 一种陶瓷花盆
BE1029501B1 (nl) * 2021-06-15 2023-01-23 The Pots Company Nv Plantenpot met nauw aansluitende wateropvang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506Y1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506Y1 (ko) 구멍 없는 화분
KR200448401Y1 (ko) 저수 및 배수기능이 구비된 화분
KR101249978B1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CN105052603A (zh) 一种滴灌式的陶瓷花盆
KR101361448B1 (ko) 다용도 화분받침
KR101247979B1 (ko)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일회용 컵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200469973Y1 (ko) 이중 화분
KR20160074150A (ko) 다용도 화분받침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CN107950239B (zh) 组合式植物种植容器
KR101914112B1 (ko) 화분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100007706U (ko) 물받이 일체형 화분
KR200470194Y1 (ko) 이중 화분
KR20130007485U (ko) 액자화분
KR20200086831A (ko) 자동 관수 화분
KR20110011906U (ko) 서랍이 내장된 화분
KR20110114765A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TW201234956A (en) Plant planting device and planting method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KR20160002513U (ko) 여닫이문 벽걸이 정원
KR20140001012U (ko)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