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380U -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 Google Patents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380U
KR20120007380U KR2020110003265U KR20110003265U KR20120007380U KR 20120007380 U KR20120007380 U KR 20120007380U KR 2020110003265 U KR2020110003265 U KR 2020110003265U KR 20110003265 U KR20110003265 U KR 20110003265U KR 20120007380 U KR20120007380 U KR 201200073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arm band
clothes
armband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255Y1 (ko
Inventor
송태욱
Original Assignee
효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3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5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9/00Belt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가 개시된다. 암밴드는 의류의 착용방향으로 골이 형성된 파형부가 전체 또는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형성된 폐루프 형태의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의류의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암밴드 내면의 골 사이로 의류의 주름이 자리잡게 되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구김이 발생하지 않으며, 골 하부에서는 신체가 압박되지 않으므로 혈액 순환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Arm band for fixing clothes}
본 고안은 작업자가 움직이는 동안 의류가 흘러내려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암밴드에 관한 것이다.
작업자가 긴팔 상의와 같은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의복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소매를 접게 된다. 그러나 긴팔 상의의 소매를 접는 경우 손목 부위보다 팔꿈치 부위가 더 굵기 때문에 작업과정에서 상의가 자꾸 흘러 내려가는 불편함은 누구든 한 번쯤 겪어보았을 것이다.
따라서 작업이 빈번히 수행하는 작업자는 도 1과 같은 일반적으로 팔을 끼울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된 천의 상단과 하단에 밴드부가 구비된 토시를 사용한다. 이러한 토시는 물에 손을 담가야 하는 일을 하는 경우 상의와 함께 토시를 손목으로부터 위로 끌어올려 착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길이가 고정된 토시의 상단과 하단이 팽팽한 상태로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토시의 하단이 손목과 팔목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가는 손목 방향으로 토시가 흘러 내려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토시에 오염물이 묻게 되면 세척이 필요하며, 자주 세척을 하지 않는 경우 세균 번식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가 많았다.
한편, 이러한 토시는 부피가 커서 주로 작업량이 많은 작업자만이 소지하고 있으며, 토시가 없는 경우에는 임시방편으로 통상의 고무줄이나 머리띠로 사용되는 고무줄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줄이나 탄성 재질의 머리띠는 팔 부위를 느슨하게 압박하면 상의가 흘러내리게 되며, 반대로 강하게 압박하면 장시간 착용시 작업자의 신체에 자국이 생김은 물론 혈액 순환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고무줄이 착용된 부분의 의류에 심한 구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의 암밴드를 사용하여 의류가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 착용 부위의 신체 압박 정도를 완화하고 의류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착용방향으로 골이 형성된 파형부가 전체 또는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형성된 폐루프 형태의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는 연속된 사인파, 사각파, 삼각파 중 어느 하나이거나, 파형부 일면의 산은 삼각파로 형성되고, 타면의 산은 사인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형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2 이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체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며, 상기 실리콘 고무에 세라믹, 게르마늄, 연옥, 토르말린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를 사용하면 암밴드의 내면에 착용 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부의 골 사이로 의류의 주름 부분이 끼워지게 되고, 암밴드 내면의 산이 의류와 신체를 압박하게 되어 의류의 구김 발생 없이 의류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밴드 내면의 골 부분은 신체를 압박하지 않게 됨에 따라 착용자의 혈액 순환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부가 암밴드 일부분에 형성되는 경우 파형부와 비파형부 경계 부분이 의류와 이격되어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비파형부 표면에 별도의 장식이 가능하므로 액세서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암밴드의 재질을 신체에 무해한 실리콘 고무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인파형 암밴드의 사시도, 정면도. 및 착용 상태도.
도 4, 5는 도 2의 암밴드 착용 상태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 7은 사인파형 암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내지 10은 사각파형 암밴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내지 13은 삼각파형 암밴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암밴드의 형상을 파(波)의 형태로서 설명하고, 파고(波高) 부분을 '산'으로, 파저(波低) 부분을 '골'로서 설명하며, 암밴드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내면과 외면이 반전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의류와 접촉하는 부분을 '내면'으로, 그 바깥면을 '외면'이라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파형부(波刑剖)가 사인파(sine wave) 형태로 이루어진 암밴드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밴드(10)는 전체의 내면과 외면에 사용자의 착용 방향(암밴드의 원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골(11)과 복수개의 산(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사인파 형태의 파형부(13)를 구비한다.
암밴드(1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형부(13)의 파장 즉, 인접한 골(11)과 골(11) 사이의 거리 또는 산(12)과 산(12) 사이의 거리는 좁으나, 사용자가 암밴드(10)를 착용한 경우 암밴드(10)는 신장되면서 파장이 길어진다.
위와 같이 형성된 암밴드(10)는 그 재질로서 일반 합성 고무에 비하여 탄성 변형 정도가 작은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암밴드(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주로 파형부(13)의 탄성 변형 즉, 파장의 변화를 통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신장되기 때문이며, 암밴드(10) 재질 자체 특성에 따라 발생되는 길이 변형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만약, 일반 고무줄에 사용되는 합성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 길이 변형이 커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암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력이 커져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혈액 순환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리콘 고무는 두께 1mm, 폭 10mm로 하였을 때 일반 성인의 힘으로 신장시켰을 때 길이 변형이 150% 내지 3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변형이 너무 작은 경우 착용이 불편함은 물론 팔이 굵은 사용자가 사용하거나 또는 신체의 굵은 부분에 사용하는 경우 심한 압박감을 느낄 수 있으며, 반대로 길이 변형이 너무 큰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일반 고무줄을 사용한 경우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한편, 암밴드(10)는 의류에 착용하지 않는 경우 보관을 목적으로 하거나 액세서리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팔 또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암밴드(10)가 직접 피부와 접촉하게 되므로, 암밴드의 주재료를 실리콘 고무로 하되 부재료로서 음이온 발생 효과가 있는 세라믹, 게르마늄, 연옥, 토르말린 등을 첨가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까지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암밴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의류(2)의 소매 부분에 암밴드(10)를 착용한 경우, 암밴드(10)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골(11) 사이로 의류(2)의 주름(3)이 형성되어 장기간 암밴드(10)를 사용하더라도 구김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로서, 신장된 암밴드(10)의 내면에 형성된 산(12) 하부에는 의류(2)와 사용자의 팔(1) 부분이 밀착한 상태로 있으나, 골(11) 하부에는 의류(2)와 팔(1) 부분이 각각 이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암밴드(10)가 착용되는 의류(2) 부분을 살펴보면, 암밴드(10) 내면의 산(12) 부분만이 의류(2)를 압박하게 되고, 골(11) 하부의 의류(2)는 구김 없이 주름만 형성될 뿐 암밴드(10)에 의한 압박은 없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암밴드(10)를 착용하더라도 의류(2)에 구김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암밴드(10)를 최초 착용한 상태에서 암밴드(10) 하부에 위치한 의류를 아래로 잡아당겨 주면 각각의 골(11) 사이로 의류(2)의 주름이 골고루 자리잡게 되어 주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암밴드(10)를 착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살펴보면, 암밴드(10)가 착용되는 팔(1)은 암밴드(10) 내면의 산(12) 부분에 의한 부분적인 압박만이 있고, 골(11) 하부에서 팔(1)의 살 부분이 착용 방향을 따라 위로 팽창될 뿐이다. 따라서 암밴드(10) 둘레를 따라 팔(1) 전체를 압박하지 않고, 암밴드(10) 내면의 골(11)에 착용 방향을 따라 형성된 통로로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암밴드(10)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암밴드(10)는 전체에 걸쳐 파형부(13)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일부에만 1 이상의 파형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파형부가 형성되지 않은 스트립 형태의 비파형부(非波刑剖)를 구비할 수 있다.
비파형부는 그 외면 및/또는 내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미감을 높일 수 있다.
암밴드의 재질을 실리콘 고무로 사용하는 경우 파형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암밴드 파형부의 중심을 따라 가상 선을 그었을 때의 원주 길이에 대하여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리콘 고무가 일반 합성 고무에 비하여 탄성 변형의 정도가 작으며, 특히 비파형부는 파형부에 비하여 그 길이 변화가 작기 때문에 파형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작은 경우 압박력이 작아서 의류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7은 파형부(23)가 전체의 1/2만 형성되고 나머지 1/2은 스트립 형태의 비파형부(24)를 구비한 사인파형 암밴드(20)의 사시도이다.
이때 비파형부(24)는 파형부(23)가 형성된 암밴드(20) 외면의 산(2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파형부(23)와 비파형부(24)의 경계 부분에서의 압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이물감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반대로 탄성 재질의 암밴드(20)를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도시되어 있지 않음) 파형부와 비파형부 경계 부분에서의 압박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의류의 흘러내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암밴드(20)를 뒤집어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비파형부의 높이를 파형부 외면의 산과 내면의 산 중간 높이로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도 8의 암밴드(30)는 3개 파형부(33)만이 복수개의 골(31)과 산(32)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파형부(33) 사이에 3개의 비파형부(34)가 형성된 실시예이다. 이때 각 파형부(33)와 비파형부(34)가 차지하는 비율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파형부(33)의 개수를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밴드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형부의 형태를 앞서 설명한 사인파 이외에 도 8 내지 10과 같이 사각파로 하거나, 도 11 내지 13과 같이 삼각파로 형성함으로써 사인파형 암밴드와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도 사용자의 기호에 부응할 수 있다. 특히 파형부가 삼각파인 경우 신체를 압박하는 면적이 사인파에 비하여 좁게 되어 의류를 압박하여 지지하는 힘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반대로 파형부가 사각파인 경우 신체를 압박하는 면적이 사인파보다 넓게 되어 의류를 압박하여 지지하는 힘은 상대적으로 작으나 그만큼 사용자는 이물감을 덜 느끼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파형부의 내면과 외면의 형상을 달리 구성할 수도 있으며, 파형부의 내면 및/또는 외면의 형상을 교번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내면의 산은 삼각파로 형성하고, 외면의 산은 사인파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파형부의 형상을 사인파, 사각, 삼각의 순서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10, 20, 30 : 암밴드 11, 21, 31 : 골
12, 22, 32 : 산 13, 23, 33 : 파형부
24, 34 : 비파형부

Claims (6)

  1.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착용방향으로 골이 형성된 파형부가 전체 또는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형성된 폐루프 형태의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부는 연속된 사인파, 사각파, 삼각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부 일면의 산은 삼각파로 형성되고, 타면의 산은 사인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2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에 세라믹, 게르마늄, 연옥, 토르말린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KR2020110003265U 2011-04-18 2011-04-18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KR200466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265U KR200466255Y1 (ko) 2011-04-18 2011-04-18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265U KR200466255Y1 (ko) 2011-04-18 2011-04-18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80U true KR20120007380U (ko) 2012-10-26
KR200466255Y1 KR200466255Y1 (ko) 2013-04-05

Family

ID=4751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265U KR200466255Y1 (ko) 2011-04-18 2011-04-18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093A (ko) * 2016-12-05 2018-06-14 서진아 발수 탄성 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856Y1 (ko) * 1989-04-10 1991-05-02 이정남 스프링 밴드
KR200322714Y1 (ko) * 2003-05-28 2003-08-14 이원섭 군복바지링의 크기조절 주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093A (ko) * 2016-12-05 2018-06-14 서진아 발수 탄성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255Y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2813B2 (ja) 上半身用衣類
US10806193B2 (en) Suppor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14597B1 (ko) 기능성 레깅스
EP0642777B1 (en) Arm support garment
KR100734557B1 (ko) 팬티
KR200482181Y1 (ko) 공기 방울 고무장갑
KR200466255Y1 (ko) 의류 흘러내림 방지용 암밴드
KR20170074916A (ko) 니트 마사지 의류
JP5036434B2 (ja) 衣服
KR100823696B1 (ko) 고무장갑
KR20160059718A (ko) 다변형 기능성 레깅스
JP6674082B2 (ja) 衣類
KR20090000026U (ko) 허리 조절 기능을 갖는 치마
KR20150029376A (ko) 신체부분을 보호하는 기능성 패션 밴드
KR200440646Y1 (ko) 착용이 용이한 토시
KR200386542Y1 (ko) 팔부분이 구성된 앞치마
TWM446188U (zh) 圓筒形多重彈性立體織物
CN211581650U (zh) 一种带拉链的护膝
JP3164021U (ja) シャツずり上り防止ブリーフ
JP2010007220A (ja) 上半身用被服
KR20220007834A (ko) 관절에 주름이 있어 움직이기 편한 바지
KR200357358Y1 (ko) 의류용 어깨끈
KR200391589Y1 (ko) 고무장갑
TW201709833A (zh) 一種袖套
CN205547441U (zh) 一种吸汗护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