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327U -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327U
KR20120007327U KR2020110003210U KR20110003210U KR20120007327U KR 20120007327 U KR20120007327 U KR 20120007327U KR 2020110003210 U KR2020110003210 U KR 2020110003210U KR 20110003210 U KR20110003210 U KR 20110003210U KR 20120007327 U KR20120007327 U KR 201200073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ire
cage
weight
gondola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선
박윤우
박용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3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327U/ko
Publication of KR20120007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4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guide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8Cable weight compens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지의 상승시 고정추도 함께 상승되도록 하여 지면에 다니는 중장비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물(선박, 건물 등)의 상부에는 고정대가 설치되고,
일단부는 고정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케이지 양측에 설치된 와인더에 권취된 주와이어와, 주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상시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보조와이어와, 상기 보조와이어에 매달린 고정추를 포함하는 곤돌라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상기 보조와이어의 일단부는 고정대에 연결되고 보조와이어의 타단부는 고정추를 걸어 케이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the secondary wire and weights for gondola}
본 고안은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지의 승강에 따라 고정추도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지면에서 고정추로 인한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공업, 건축, 선박 등 대형의 구조물을 상대로 하는 작업 시에는 고소 작업이 상당부문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소 작업은 대개 지면으로부터 설치된 고소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이거나, 이러한 고소차량이 미치지 못하는 보다 높은 대상물에 대해서는 구조물의 상부로부터 작업지점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곤돌라 등의 승강식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곤돌라는 사람이나 화물 등을 건물의 원하는 위치까지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건물 옥상의 난간 등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1: 도 3a참조)와, 이 고정대(1)의 일측에 결합되어 건물의 외측으로 연장된 암(1a)과, 일단부는 고정대(1)의 암(1a)을 경유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향 연장된 주와이어(10)와, 이 주와이어(10)에 의해 매달려있는 케이지(20)에 보조와이어(30) 및 멈춤장치(40)를 설치하여 주와이어(10)가 절단되더라도 케이지(20)가 추락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보조와이어(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지(20)에 설치된 멈춤장치(40)에 연결되어 주와이어(10)에 대한 절단 발생시 케이지(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내용은 등록실용신안(20-0124691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보조와이어(30)의 일단부는 고정대(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케이지(20)의 멈춤장치(40)를 통과하여 지면에 늘어뜨려지게 된다.
이때, 보조와이어(30)의 하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추(50)가 매달리게 된다.
고정추(50)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유동방지부재로써, 지면에 늘어뜨려진 보조와이어(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추(50)가 보조와이어(30)에 매달림으로써, 보조와이어(30)는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유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보조와이어(30)가 지면에 늘어뜨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지면을 지나는 중장비에 대하여 장애가 되는 일이 발생하였다.
물론, 케이지(20)가 상방으로 상승되기 전에는, 지면을 지나는 중장비(예컨대, 지게차, 고소차 등)를 탑승한 작업자가 이를 보고, 쉽게 위험인지를 하여 큰 문제가 야기되즌 않았으나, 케이지(20)가 상방으로 상승된 경우에는 중장비에 탑승한 작업자가 보조와이어(30) 및 고정추(50)를 쉽게 인지하기가 어려워 서로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때, 중장비가 보조와이어(30)에 걸린 채로 주행함에 따라, 보조와이어(30)가 당겨지게 되고, 보조와이어(30)의 상부가 연결된 고정대(1)가 휘어지면서 케이지(20)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곤돌라의 상승시 보조와이어 및 고정추도 함께 상승되도록 하여, 지면을 주행하는 중장비에 대하여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한 곤돌라용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물(선박, 건물 등)의 상부에는 고정대가 설치되고,일단부는 고정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케이지 양측에 설치된 와인더에 권취된 주와이어와, 주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상시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보조와이어와, 상기 보조와이어에 매달린 고정추를 포함하는 곤돌라에 있어서,상기 고정추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상기 보조와이어의 일단부는 고정대에 연결되고 보조와이어의 타단부는 고정추를 걸어 케이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추의 상부에는 도르래가 설치되고, 보조와이어의 타단부는 도르래를 통해 케이지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조와이어의 하단부가 케이지에 고정되기 때문에, 케이지가 상승될 때, 보조와이어도 함께 상승되기 때문에 지면을 지나는 중장비에 대하여 보조와이어로 인한 장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중장비들에 대한 안전운행이 제공될 수 있으며, 중장비가 보조와이어의 걸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지가 추락되는 대형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정추와 보조와이어 사이에는 도르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지의 승강시, 고정추는 항상 보조와이어의 최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지의 승강시, 보조와이어는 고정추의 도르래를 구름시키면서 승강되기 때문에, 고정추는 항상 보조와이어의 최저점에 배치되어 고정추에 대한 유동을 안정감 있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곤돌라 및 보조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결합구조에 있어서, 곤돌라가 선박의 외측면을 따라 상부에 오르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결합구조에 있어서, 곤돌라가 선박의 외측면을 따라 상부에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먼저, 곤돌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곤돌라는 주와이어(10)에 의해 매달려 있는 케이지(20)에 보조와이어(30)와 멈춤장치(40)를 설치하여 추락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케이지(20)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작업자가 발을 딛는 부위인 발판(21)과, 발판(21)의 둘레를 따라 펜스 형태로 설치된 난간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지(20)의 양측에는 각각 와인더(23)가 설치되며, 각각의 와인더(23)에는 구동모터(24)가 설치된다.
상기 와인더(23)에는 주와이어(10) 권취되며, 와인더(23)에 권취된 주와이어(10)의 상단부는 선박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1)에 연결된다.
한편, 케이지(20)의 일측에는 케이지(20)의 승강 컨트롤을 위한 컨트롤부(25)가 설치된다.
즉, 작업자는 컨트롤부(25)를 조작하여 구동모터(24)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와인더(23)가 주와이어(10)를 감거나 풀어 케이지(20)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케이지(20)의 양측 상단부에는 각각 멈춤장치(40)가 설치된다.
멈춤장치(40)는 주와이어(10)의 절단시 보조와이어(30)를 자동으로 잡아 케이지(20)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멈춤장치(40)에는 보조와이어(30)가 설치된다.
보조와이어(30)의 일단부 즉, 상단부는 선박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1)에 연결되며, 보조와이어(30)의 타단부는 즉, 하단부는 멈춤장치(40)를 통과한 후, 케이지(20)의 난간프레임(22)에 고정이 된다.
이에 따라, 보조와이어(30)의 하단부는 지면에 늘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한편, 보조와이어(30)에는 보조와이어(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추(50)가 설치된다.
고정추(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갖는 몸체(51)와, 몸체(51)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52)과, 이 브라켓(52)에 설치된 도르래(53)를 포함한다.
몸체(51)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지만 원기둥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라켓(52)은 도르래(53)의 설치를 위한 부분이며, 한 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르래(53)는 보조와이어(30)에 매달리는 부분이며, 케이지(20)의 상승시 보조와이어(3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고정추(50)는 보조와이어(30)의 일정한 위치 즉, 최저점에 항상 배치된다.
고정추(50)가 보조와이어(30)의 최저점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추(50)는 보조와이어(30)에 안정감 있게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된다.
만약, 도르래(53) 없이, 고정추(50)가 보조와이어(30)에 고정된 상태라면, 케이지(20)의 상승시 고정추(50)는 보조와이어(30)의 타단부와 함께 상승됨으로써, 보조와이어(30)의 일단부는 케이지(20)의 하방으로 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지(20)의 하방으로 쳐진 보조와이어(30)로 인해 또 다른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지 않게 된다.
고정추(50)는 보조와이어(30)의 최저점에 매달려 있을 때, 보조와이어(30)의 유동방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와이어(30)가 도르래(53)를 통해 케이지(2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추(50)는 도르래(53)의 회전에 의해 보조와이어(30)의 최저점에 항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곤돌라의 케이지(20)가 상승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추(50)는 케이지의 하방에 배치되되, 보조와이어(30)의 최저점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작업자는 케이지(20)에 탑승 후, 컨트롤부(25)를 조작하여 케이지(20)를 상승시킨다.
케이지(2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측면을 따라 상승되며, 이때, 보조와이어(30)에 매달린 고정추(50) 역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고정추(50)는 도르래(53)가 보조와이어(30)를 따라 회전되므로, 자중에 의해 보조와이어(50)의 최저점에 배치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추(50)는 보조와이어(30)의 최저점에 배치되어 보조와이어(30)에 대한 유동 방지를 안정감 있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곤돌라용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는 케이지(20)의 상승시 상기 케이지(20)와 함께 고정추(50)가 상승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면에 다니는 중장비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고정추(50)에 도르래(53)를 설치하고, 보조와이어(30)의 타단부는 상기 도르래(53)를 통해 케이지(20)에 고정됨으로써, 케이지(20)의 상승시 고정추(50)는 도르래(53)의 회전에 의해 보조와이어(30)의 최저점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고정추(50)는 보조와이어(30)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주와이어 20 : 케이지
30 : 보조와이어 40 : 멈춤장치
50 : 고정추 51 : 몸체
52 : 브라켓 53 : 도르래

Claims (2)

  1. 구조물(선박, 건물 등)의 상부에는 고정대가 설치되고,
    일단부는 고정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케이지 양측에 설치된 와인더에 권취된 주와이어와, 주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상시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보조와이어와, 상기 보조와이어에 매달린 고정추를 포함하는 곤돌라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상기 보조와이어의 일단부는 고정대에 연결되고 보조와이어의 타단부는 고정추를 걸어 케이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의 상부에는 도르래가 설치되고, 보조와이어의 타단부는 도르래를 통해 케이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KR2020110003210U 2011-04-15 2011-04-15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KR201200073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210U KR20120007327U (ko) 2011-04-15 2011-04-15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210U KR20120007327U (ko) 2011-04-15 2011-04-15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27U true KR20120007327U (ko) 2012-10-24

Family

ID=4751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210U KR20120007327U (ko) 2011-04-15 2011-04-15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3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1076A (zh) * 2021-03-17 2021-04-16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货物升降设备的定位制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1076A (zh) * 2021-03-17 2021-04-16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货物升降设备的定位制动装置
CN112661076B (zh) * 2021-03-17 2021-06-01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货物升降设备的定位制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2099B2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JP6296249B2 (ja) 大型船舶と海洋プラント建造用超大型エレベーター
CN112960070B (zh) 波浪自适应的海洋平台全自动舷梯装置及其应用方法
CN103193137B (zh) 高空全自动升降机及其使用方法
US20210196995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CN102556890B (zh) 自升钢井架物料提升机安装平台及其安装方法
CN204081437U (zh) 爬升脚手架防坠落装置
JP2010281072A (ja) 足場作業用リフト
US20110168486A1 (en) Fall-arresting system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KR20120007327U (ko) 곤돌라의 보조와이어와 고정추의 결합구조
KR101982932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KR200413596Y1 (ko) 빌딩보수ssp장치
JP6825834B2 (ja) 墜落防止装置
US20070267249A1 (en) Roof safety system
KR20140133378A (ko)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JP3181831U (ja) 墜落防止装置
KR101419026B1 (ko) 다목적 소방호스 건조 타워
JP2015124588A (ja) はしご支持機構
JP2007210708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揚重装置及び揚重方法。
KR200481353Y1 (ko) 선박의 긴급 탈출용 간이형 대빗
CN219090910U (zh) 防坠落装置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KR102591974B1 (ko) 건설용 리프트
CN208518275U (zh) 一种双吊点电梯井道施工双层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