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153A -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 - Google Patents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153A
KR20120007153A KR1020100067743A KR20100067743A KR20120007153A KR 20120007153 A KR20120007153 A KR 20120007153A KR 1020100067743 A KR1020100067743 A KR 1020100067743A KR 20100067743 A KR20100067743 A KR 20100067743A KR 20120007153 A KR20120007153 A KR 20120007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styrene
exchange membrane
polystyrene
sulf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588B1 (ko
Inventor
황택성
백영민
곽노석
정재철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5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01D67/00791Different components in separ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8Polymers of vinyl aromatic compounds
    • B01D71/281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12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on-exchange material in the form of ribbons, filaments, fibres or sheets, e.g.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4Molecular weight or degree of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2Ion-exchange 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을 비활성기체 하에 혼합 교반한 후 Sb2O5를 첨가 교반하여 기재에 코팅하고, 가교 반응시켜 복합 이온교환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이온교환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복합 이온교환막은 이온전도도 및 이온교환용량이 우수하며, 열적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100℃~200℃에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에서의 이온교환막으로 응용이 가능하며, 고분자량의 polystyrene을 술폰화함으로써 비가교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Preparation of organic-inorganic hybrid ion-exchange membrane}
본 발명은 이온교환능력이 있는 Sb2O5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술폰화된 polystyrene을 블렌딩한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교환능력이 있는 Sb2O5를 블렌딩하여 기존의 이온교환막보다 이온교환용량 및 이온전도도가 우수하며, 열적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100℃~200℃에서 활용 가능한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이온교환막은 수중에서 음이온 및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선택투과막이라고도 불리며 이러한 이온교환막은 여러가지 특성이 요구된다. 높은 선택성을 가져야하며 용매 및 비 이온 용질의 낮은 투과성, 선택된 투과이온의 확산에 대한 낮은 저항,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을 필요로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온교환막은 연료전지, 산세 폐액으로부터 산 및 금속화학종을 회수하기 위한 확산투석, 초순수 제조공정, 해수의 담수화, 산과 염기 회수를 위한 물분해 전기투석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이 중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막은 양극간의 차압제어와 가압화가 쉽고, 상온에서 기동할 수 있으며, 고전류밀도와 고출력밀도를 얻을 수 있어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무공해 자동차, 가정용 발전시스템, 이동통신장비, 의료기기, 군사용 장비, 우주사업용 장비 등의 분야에 폭넓게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이온교환막은 연료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불소계 양이온교환막(Dupont: Nafion,7,8 Gore: Gore-select, Asahi:Aciplex & Flemion 등), styrene을 기재로 사용한 이온교환막(Tokuyama: CMX & AMX, Asahi: CMV & HJC 등), rubber계 고분자를 사용한 막(Dais-Analytic: S-SEBS) 등이 있다 이러한 이온교환막은 일반적으로 주사슬에 플루오르화 알킬렌을 가지고 있고, 플루오르화비닐 에테르 측쇄의 말단에 술폰산기를 가지는 과풀루오로설폰산 고분자(perfluorosulfonic acid polymer)막을 사용하고 있다(예: Nafion, Dupont사 제조).
이와 같은 플루오르계 이온교환막은 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수소이온 전도성도 우수하지만, 플루오르 치환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매우 높아서 자동차용 연료 전지에 적용하기에는 난점이 있으며, 수분의 함습량이 좋지 않기 때문에, 촉매의 피독을 방지하기 위해 100℃이상의 고온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수분이 증발하여 이온전도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전지의 운전이 정지되며, 유리전이온도가 낮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이 열악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염기성 중합체에 강산을 도핑시킨 양성자 이온교환막이 개발되었는데, 이들은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PBI)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Poly(2,5-benzimidazole:ABPBI)등의 염기성 중합체를 인산 등의 강산으로 도핑시킨 후, 수분이 개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인산을 통한 그루트스 메커니즘(Grotthus mechanism)에 의해 전도성을 갖도록 하는 형태의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막이다.
상기 PBI 또는 ABPBI의 장점은 나피온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100℃ 이상의 고온 무가습 조건에서 양성자를 전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천연가스, 가솔린 또는 메탄올 등으로부터 생성된 수소에는 여하한 경우든지 미량의 일산화탄소가 잔류하게 되며, 수 ppm 이상의 일산화탄소는 백금 촉매 표면에 흡착되어 연료의 산화 반응을 방해하므로 연료 전지의 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일산화탄소의 백금촉매에 대한 흡착반응은 발열반응이므로 연료 전지의 작동온도를 120℃ 이상으로 높이게 되면 일산화탄소에 의한 피독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전지의 산화/환원 반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전지의 효율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PBI 또는 ABPBI 등의 염기성 중합체를 사용한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인산 등이 상기 염기성 중합체에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전해질로서 존재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산이 상기 고분자 막에서 용출되어 나올 수 있다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다. 특히, 연료 전지의 작동시 캐소드 측에서는 반응산물로서 물이 생성되는데, 연료 전지의 작동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때에는 상기에서 생성된 물은 대부분 기체확산 전극을 통해 증기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인산의 손실이 매우 적지만, 일부구간에서 작동온도가 100℃ 미만이 되거나, 높은 전류밀도에서 다량의 수분이 발생하는 때에는 생성된 물이 즉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물에 의해 인산이 용출되어 전지의 수명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성능이 우수하고, 열적 기계적 안정성이 높으면서, 1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이온교환막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한국특허공개공보(2004. 12. 8 공개)에는 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상용의 직접메탄올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표면에 실리콘 옥사이드(SiO2), 티타늄 옥사이드(TiO2), 지르코늄 옥사이드(ZrO2) 지르코늄 포스페이트(Zr(HPO4)2), 제올라이트, 실리카라이트 및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 이상 선택되는 무기질로 구성되는 무기질 박막을 1.0 내지 500 나노미터의 두께로 코팅한 복합막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킨 연료 전지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주식회사 파인셀의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2-97295호(2002.12.31 공개)에는 무기물 전구체와 탄소 전구체를 동시에 섞은 후 산 또는 염기 촉매 하에 무기물 전구체의 졸-겔 반응과 탄소 전구체의 가교 반응을 동시에 진행시켜 탄소 전구체와 무기물 복합체를 형성한 후, 이를 불활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무기물 주형/탄소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염기 또는 산으로 처리하여 무기물 주형을 제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코폴리머(copolymer)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e-styrene)과 술폰화된 폴리스티렌(Polystyrene)를 교반한 용액에 이온교환능력이 있는 Sb2O5를 도입한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을 제조한 예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이온교환능력이 있는 Sb2O5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e-styrene),술폰화된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블렌딩한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교환능력이 있는 Sb2O5를 블렌딩하여 기존의 이온교환막보다 열적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100℃~200℃에서 활용 가능한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을 비활성기체 하에 혼합 교반한 후 Sb2O5를 첨가 교반하여 기재에 코팅하고, 가교 반응시켜 복합 이온교환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이온교환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이온교환막은 열적,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유연성을 가지며, 고온에서도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도성, 이온전도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은 10~20중량부, 상기 Sb2O5는 1~5중량부를 첨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조된 복합이온교환막이 깨지기 쉬우며, 함량이 미달되는 경우 막의 이온 교환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Sb2O5는 상기 범위를 크게 미달할 경우 이온교환능력을 발휘하기 힘들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은 클로로메탄에 클로로메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10~30중량부를 첨가하고, 설폰산 40~50중량부를 넣어 30~50℃에서 70~100분간 술폰화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스티렌의 평균 분자량은 1000000~2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000000~2000000인 고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을 술폰화함으로써 비가교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비가교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제조과정이 간단지며, 연료의 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교반응은 80~100℃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이온전도도가 0.012~0.035 S/cm인 복합이온교환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술폰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을 혼합교반한 후 Sb2O5를 블렌딩하여 제조하는 복합 이온교환막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균분자량 1000000~2000000의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비가교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이온교환막을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이 간단해짐으로서 공정의 단순화 및 원료의 절감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온 교환능력이 1.3 meq/g ~4.0meq/g인 Sb2O5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이온교환막은 두께가 0.01~0.04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복합 이온교환막은 이온전도도 및 이온교환용량이 우수하며, 열적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100℃~200℃에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에서의 이온교환막으로 응용이 가능하며, 고분자량의 polystyrene을 술폰화함으로써 비가교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이온교환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2는 15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이온교환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3은 15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1]
폴리스티렌 15g 을 교반기, 냉각기, 질소 주입구 및 시료 주입구가 부착된 1000ml 듀얼 자켓 반응기를 사용하여 1,2-디클로로에탄(1,2-dichloroethane)100g에 용해 후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40 ℃로 승온하여 술폰산(sulfuric acid) 40 g를 넣고 90분간 술폰화 반응을 진행하여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을 제조하였다.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Polystyrene)14g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lene-butadiene-styrene) 1g 교반기, 냉각기, 질소 주입구 및 시료 주입구가 부착된 250ml 4구 플라스크에 넣고 50 ℃에서 질소 퍼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Sb2O5 0.075g를 교반하여 혼합 용액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 용액을 테프론판 위에 캐스팅하고 90 ℃ 건조오븐에서 1시간 동안 가교 반응시켜 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2O5의 함량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상기 제조된 복합이온교환막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2 내지 실시예44]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1에서와 같이 각 구성성분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도 2 내지 3은 하기 표1에서 실시예를 No1~4까지 분류하여 물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하기 도2는 15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이온교환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도3은 15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교예1 내지 비교예4]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2에서와 같이 각 구성성분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표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2]
Figure pat00003

Claims (6)

  1.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을 비활성기체 하에 혼합 교반한 후 Sb2O5를 첨가 교반하여 기재에 코팅하고, 가교 반응시켜 복합 이온교환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이온교환막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은 10~20중량부, 상기 Sb2O5는 1~5중량부를 첨가 혼합하는 복합 이온교환막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술포산기가 치환된 폴리스티렌은 클로로메탄에 클로로메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10~30중량부를 첨가하고, 설폰산 40~50중량부를 넣어 30~50℃에서 70~100분간 술폰화 반응시켜 제조하는 복합이온교환막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의 평균 분자량은 1000000~2000000인 복합이온교환막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반응은 80~100℃에서 수행하는 복합이온교환막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되며 이온전도도가 0.012~0.035 S/cm인 복합이온교환막.
KR1020100067743A 2010-07-14 2010-07-14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 KR10116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743A KR101165588B1 (ko) 2010-07-14 2010-07-14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743A KR101165588B1 (ko) 2010-07-14 2010-07-14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53A true KR20120007153A (ko) 2012-01-20
KR101165588B1 KR101165588B1 (ko) 2012-07-23

Family

ID=4561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743A KR101165588B1 (ko) 2010-07-14 2010-07-14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5497A (zh) * 2013-01-31 2014-08-06 大连多相触媒有限公司 一种均相阴离子交换膜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395B1 (ko) 2016-02-26 2017-07-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투수가 용이한 이온선택성 흡착 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5516B2 (ja) 2001-07-19 2011-04-27 Ag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陰イオン交換膜の製造方法
JP4610820B2 (ja) 2001-11-15 2011-01-12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無機電解質膜および無機電解質膜型燃料電池
TW571455B (en) 2002-12-31 2004-01-11 Ind Tech Res Inst Layered prot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6008993A (ja) 2004-05-21 2006-01-12 Asahi Glass Engineering Co Ltd 一価陽イオン選択透過性陽イオン交換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5497A (zh) * 2013-01-31 2014-08-06 大连多相触媒有限公司 一种均相阴离子交换膜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588B1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ee et al. Cost effective cation exchange membranes: A review
Iulianelli et al. Sulfonated PEEK-based polymers in PEMFC and DMFC applications: A review
JP5707187B2 (ja) ポリマー溶液の製造方法、ポリマー溶液、薄膜の製造方法および薄膜
Zhang et al. A new high 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ased on tri-functional group grafted polysulfone for fuel cell application
Scott et al. Intermediate temperature proton‐conducting membrane electrolytes for fuel cells
CA2571138C (en) Electrolyte membrane for polymer electolyte fuel cell,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5740030B2 (ja) ヒドロキシ基を含有するスルホン化ポリエーテルスルホンの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及びそれを含む膜電極接合体
KR20090053499A (ko) 측쇄에 산성기를 갖는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 상기단량체로 제조된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 상기 양성자전도성 고분자의 제조 방법, 상기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를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상기 전해질막을 채용한 막-전극접합체
JP4997971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
KR20040091724A (ko) 중합체성 매트릭스에 분산되고, 선택적으로 개질된지르코늄 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이온 전도성 복합체 막물질, 상기 막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Wen et al. Sulfonated poly (ether sulfone)/silica composit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JP2010248508A (ja) ポリスルホン系重合体、これを含む高分子電解質膜、これを含む膜−電極接合体、これを採用した燃料電池、及び前記重合体の製造方法
KR101569719B1 (ko) 방사선을 이용한 다이올 가교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4972867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
Ryu et al. Dual-sulfonated MOF/polysulfone composite membranes boosting performance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Li et al. All‐carbon backbone aromatic polymer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s
KR101165588B1 (ko)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
KR20100055185A (ko)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고분자막,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Othman et al. Recent development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a review
JP2008098179A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
KR101235738B1 (ko) 양성자 전도성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304240B1 (ko) 솔젤 반응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 포함 하이브리드 막의 제조방법
JP6252886B2 (ja) パーフルオロスルホン酸ポリマー−アゾール−酸ブレンド膜及びその製造方法、パーフルオロスルホン酸ポリマー−アゾールブレンド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ロトン交換膜燃料電池
WO2013161405A1 (ja) 電解質膜用組成物、固体高分子電解質膜、該電解質膜の製造方法、膜-電極接合体、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水電解セルおよび水電解装置
KR101142208B1 (ko) 이종의 알코올 단량체가 함유된 수소이온 전도성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 막, 상기 막의 물성개선방법 및 상기 막을 채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