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101U -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 Google Patents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101U
KR20120007101U KR2020110002889U KR20110002889U KR20120007101U KR 20120007101 U KR20120007101 U KR 20120007101U KR 2020110002889 U KR2020110002889 U KR 2020110002889U KR 20110002889 U KR20110002889 U KR 20110002889U KR 20120007101 U KR20120007101 U KR 201200071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ad
roller
compaction roller
cover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816Y1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2020110002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81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01B29/04Rollers with non-smooth surface formed of rotatably-mounted rings or discs or with projections or ribs on the roller body; Land packers
    • A01B29/045Rollers with non-smooth surface formed of rotatably-mounted rings or discs or with projections or ribs on the roller body; Land packers the soil-pressing body being a dr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둑의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어 빗물이 두둑에 고이는 것을 방지토록 한 두둑 다듬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밭에 두둑과, 상기 두둑 양측으로 도랑을 성형하게 되는 복토기에 있어서, 상기 복토기의 후방에는 상기 두둑의 상면에 접촉하는 경사 다짐용 롤러가 지지프레임에 연결 구성되며,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는 그 양단에서 센터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성형하여 상기 두둑의 상면에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의 외형에 상응하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FARMING TOOLS}
본 고안은 복토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밭에 형성된 두둑의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어 빗물이 두둑에 고이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랑식 밭에서 지표면을 높게 쌓아 만든 두둑에는 농작물이 파종되거나 심어져 생육되게 되고, 양측 두둑 사이의 고랑은 사람이 오가면서 작업할 수 있는 통행로가 되게 된다.
이러한 이랑식 밭의 두둑에 대해서는 그 상부에 경작비닐을 덮어 씌우는 비닐피복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닐피복하는 이유로는 두둑을 농작물의 생육에적절한 조건으로 유지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잡초들의 자생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그 비닐피복 방법은 두둑과 고랑이 반복되도록 이랑을 성형한 후에 성형된 두둑의 상부에 광폭의 경작비닐을 피복하고, 피복에 따라 해당 두둑 양측의 고랑측에 위치되는 해당 비닐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흙으로 덮는 복토를 하여 해당 비닐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한편, 이랑식 밭의 두둑을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를 복토기라 하며, 이러한 복토기는 통상 이동수단인 트랙터에 장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복토기를 통해 성형된 두둑의 상면은 평평하게 다듬어진 상태에서 비닐로 피복 처리됨에 따라 우천시, 빗물이 고랑으로 떨어지지 않고 두둑 상면에 고여있는 경우가 많아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밭에 형성된 두둑의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어 빗물이 두둑에 고이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밭에 두둑과, 상기 두둑 양측으로 도랑을 성형하게 되는 복토기에 있어서, 상기 복토기의 후방에는 상기 두둑의 상면에 접촉하는 경사 다짐용 롤러가 지지프레임에 연결 구성되며,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는 그 양단에서 센터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성형하여 상기 두둑의 상면에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의 외형에 상응하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토기와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 사이에는 두둑의 상면에 접촉하는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며, 상기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그 양단에서 센터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함몰부를 형성하여 상기 두둑의 상면을 상기 경사함몰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다듬어주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트랙터의 동력으로 이동하며 밭에 두둑과 고랑을 형성하는 복토기에 경사 다짐용 롤러를 더 설치하여 복토과정에서 평평하게 다듬어진 두둑의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어 빗물이 두둑에 고이지 않고, 두둑 양측의 도랑으로 신속하게 흘러내리도록 하여 작물 생장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로 성형된 두둑과 도랑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에 설치된 복토기의 전체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한 경사 다짐용 롤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경사 다짐용 롤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한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고안에서는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트랙터의 동력으로 이동하며 밭에 두둑과 고랑을 형성하는 복토기에 경사 다짐용 롤러를 더 설치하여 복토과정에서 평평하게 다듬어진 두둑의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어 빗물이 두둑에 고이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로 성형된 두둑(200)과 고랑(300)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복토기로 성형된 두둑(200)은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물이 두둑(200) 상면에 고여지지 않아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첨부된 도 2는 상기한 두둑과 고랑을 성형하는 트랙터에 설치된 복토기의 전체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복토기(10)는 양측으로 쟁기(12)가 설치되고, 상기 쟁기(12) 사이에 두둑성형판(14)을 구비시킨 상태에서 트랙터(100)에 장착시켜, 상기 트랙터(100)의 동력으로 전진 이동하며 밭에 두둑(200)과, 상기 두둑(200) 양측으로 고랑(300)을 성형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복토기(10)의 후방에는 평평하게 복토 처리된 두둑(200)의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질하는 경사 다짐용 롤러(20)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첨부된 도 3은 상기한 경사 다짐용 롤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경사 다짐용 롤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경사 다짐용 롤러(20)는 복토과정에서 평평해진 두둑(200)의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어 빗물이 두둑(200) 상면에 고여지지 않고, 두둑(200) 양측의 고랑(300)으로 신속히 배수되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복토기(10)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프레임(30)에 축(22)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20)는 두둑(20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하되,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20)는 양단(20b, 20c)에서 센터(20a)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성형하여 복토기(10)가 두둑(200)을 성형하고 나면 상기 두둑(2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두둑(200)의 상면에 경사 다짐용 롤러(20)의 외형 형상에 상응하는 경사면부(202)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20)는 전술한 복토기(10)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수단(16)과 동력전달부재(18)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18)를 통해 구동수단(1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토기(10)와 경사 다짐용 롤러(20)의 사이에는 별도의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가 위치하며, 상기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는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2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에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첨부된 도 5는 상기한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는 직사각의 형태로 두둑(20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하되, 그 하단에는 양쪽에서 센터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함몰부(42)를 형성하여 전술한 경사 다짐용 롤러(20)가 두둑(200)을 지나가기 전, 상기 두둑(200)의 상면을 먼저 지나가며, 두둑(200) 상면에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의 경사함몰부(4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일차적으로 다듬어주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복토기(10)를 트랙터(100)에 장착시킨 다음, 트랙터(100)를 이동시키게 되면 복토기(10)에 구비된 쟁기(12)와 두둑성형판(14)이 밭에 두둑(200)과, 상기 두둑(200) 양측으로 고랑(300)을 성형하게 된다.
다음, 복토작업으로 두둑(200)이 성형되고 나면 상기 복토기(10)의 지지프레임(30)에 지지되어 있는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가 두둑(20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어서 트랙터(100)의 이동으로 두둑(200) 상면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두둑(200)의 상면을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함몰부(4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일차 경사지게 다듬어주게 된다.
이어서,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사 다짐용 롤러(20)가 두둑(20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복토기(10)의 구동수단(1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로 일차 다듬어진 두둑(200)의 상면을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20)의 외형의 형상에 상응하게 다듬어 두둑(200)의 상면에 경사면부(20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와 경사 다짐용 롤러(20)를 통해 두둑(200)의 상면에는 경사면부(202)가 형성되어 지며, 이를 통해 우천시 빗물이 두둑의 상면에 고이지 않고, 경사면부를 타고 두둑(200) 양측에 형성된 도랑(300)으로 신속하게 흘러 내려갈 수 있게 된다.
10: 복토기 20: 경사 다짐용 롤러
30: 지지프레임 40: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
100: 트랙터 200: 두둑
300: 고랑

Claims (2)

  1. 트랙터(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밭에 두둑(200)과, 상기 두둑(200) 양측으로 도랑(300)을 성형하게 되는 복토기(10)에 있어서,
    상기 복토기(10)의 후방에는 상기 두둑(200)의 상면에 접촉하는 경사 다짐용 롤러(20)가 지지프레임(30)으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20)는 그 양단(20b, 20c)에서 센터(20a)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성형하여 상기 두둑(200)의 상면에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20)의 외형에 상응하는 경사면부(202)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기(10)와 상기 경사 다짐용 롤러(20) 사이에는 두둑(200)의 상면에 접촉하는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가 더 설치되며;
    상기 경사 다짐용 플레이트(40)의 하단에는 그 양단에서 센터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함몰부(42)를 형성하여 상기 두둑(200)의 상면을 상기 경사함몰부(4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다듬어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KR2020110002889U 2011-04-06 2011-04-06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KR200465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889U KR200465816Y1 (ko) 2011-04-06 2011-04-06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889U KR200465816Y1 (ko) 2011-04-06 2011-04-06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01U true KR20120007101U (ko) 2012-10-16
KR200465816Y1 KR200465816Y1 (ko) 2013-03-18

Family

ID=4750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889U KR200465816Y1 (ko) 2011-04-06 2011-04-06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8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61A (ko) * 2018-04-11 2019-10-21 정길동 고구마용 이랑 성형기
WO2022114680A1 (ko) * 2020-11-25 2022-06-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막 벼 재배용 물 절약형 복합파종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8819A (en) 1982-05-21 1984-03-27 Ryals Lloyd E Rice levee shaper and packer
JPS63158110U (ko) 1987-04-06 1988-10-17
JPH0837803A (ja) * 1994-05-27 1996-02-13 Isao Minagawa 整畦機
KR20000001375U (ko) * 1998-06-24 2000-01-25 정채호 밭이랑 성형 및 비닐 자동피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61A (ko) * 2018-04-11 2019-10-21 정길동 고구마용 이랑 성형기
WO2022114680A1 (ko) * 2020-11-25 2022-06-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막 벼 재배용 물 절약형 복합파종기
KR20220072163A (ko) * 2020-11-25 2022-06-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막 벼 재배용 물 절약형 복합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816Y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093B1 (ko) 배토기용 두둑 성형 작업기
JP6040734B2 (ja) 作業機
KR101847531B1 (ko) 두둑위치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휴립 피복 복토기
JP2014233234A (ja) 播種機の覆土装置
KR200465816Y1 (ko)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
KR101363086B1 (ko) 배토기
KR101017064B1 (ko) 농업용 이랑 성형기
US8596914B2 (en) Tile laying and covering apparatus
CN109068584B (zh) 甘蔗移植机
KR200462033Y1 (ko) 이랑 성형기
CN208739522U (zh) 一种新型自动深松地下滴灌铺管机
KR200466808Y1 (ko) 비닐피복기용 복토장치
CN103210711A (zh) 田园管理机的起垄装置
JP6193821B2 (ja) 作業機
KR101489295B1 (ko) 접이식 직파기
KR20110082739A (ko) 승용농기계를 이용한 농경지 평탄화 장치
KR101688091B1 (ko) 로타리형 일괄 배토기
JP6566475B2 (ja) 畦成形機
JP6352093B2 (ja) 畦成形装置
JP6149513B2 (ja) 畝成形装置
CN204273022U (zh) 一种喷药、铺滴管、覆膜一体机
JP3219797U (ja) 筋状覆土成型作業機
KR20140013511A (ko) 잔고랑을 형성하는 이랑 성형기
CN113179681B (zh) 一种蜜柚种植用开沟设备
JP4634748B2 (ja) 隆起型心土作溝土層改良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