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510U - 가로등 커버 - Google Patents

가로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510U
KR20120006510U KR2020110002066U KR20110002066U KR20120006510U KR 20120006510 U KR20120006510 U KR 20120006510U KR 2020110002066 U KR2020110002066 U KR 2020110002066U KR 20110002066 U KR20110002066 U KR 20110002066U KR 20120006510 U KR20120006510 U KR 201200065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ing member
heat
heat dissipa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준
Original Assignee
안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준 filed Critical 안병준
Priority to KR2020110002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510U/ko
Publication of KR20120006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5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Abstract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방열구를 커버의 상부에 형성하여 전구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으면서도 방열구를 통해 벌레가 커버 내부로 들어올 염려가 없도록 한 가로등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L자 모양의 방열관 부재; 한쪽에 상기 방열관 부재가 끼워지게 결합되고 외측벽에는 압입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부재; 상기 방열관 부재의 출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끼워지게 설치된 메쉬망 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압입 걸림부가 끼워져 밀폐되도록 커버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공에 결합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방열관 부재를 커버 본체 내부에 위치한 입구가 메쉬망 부재가 설치된 출구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커버에 의하여 달성 되어진다.

Description

가로등 커버{omitted}
본 고안은 가로등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구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으면서도 방열 경로를 통해 벌레가 들어올 염려가 없도록 한 가로등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로등은 전구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를 설치하고 있으나 커버 내부로 유입된 모기를 비롯한 벌레의 사체가 차광막 역활을 하게 되며, 전구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원활히 방출되지 못함으로써 커버 내부가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커버의 외부도 부식 되기는 하나 전구의 열에 의해 커버 내부에서 발생되는 부식과 비교할 때 발생비율이 현저히 낮고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1은 하부가 개방된 종래의 가로등 커버를 보인 예시도로써, 이것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벌레가 유입되어 사체가 측벽에 쌓이게 되는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구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열이 개구된 하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상부로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커버의 상부 내벽 부분의 부식이 짧은 기간내에 육안으로 검게 관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밀폐형 구조를 갖는 종래의 가로등 커버를 보인 예시도로써, 이것은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가 설치되는 프레임(a)에 커버(b)를 클립(c)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가로등 커버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내부 온도가 100℃이상까지 상승하게 됨으로써 내부 부식은 물론 전구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a)과 커버(b)사이의 틈새로 벌레가 유입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방열구를 커버의 상부에 형성하여 전구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으면서도 방열구를 통해 벌레가 커버 내부로 들어올 염려가 없도록 한 가로등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L자 모양의 방열관 부재; 한쪽에 상기 방열관 부재가 끼워지게 결합되고 외측벽에는 압입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부재; 상기 방열관 부재의 출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끼워지게 설치된 메쉬망 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압입 걸림부가 끼워져 밀폐되도록 커버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공에 결합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방열관 부재를 커버 본체 내부에 위치한 입구가 메쉬망 부재가 설치된 출구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커버에 의하여 달성 되어진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방열관이 커버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구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신속히 방출되며, 방열관의 출구는 메쉬망에 의해 벌레가 들어올 수 없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버 본체의 내부가 전구에서 발생된 열로 인한 부식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벌레가 커버 본체의 들어와서 생기는 문제를 일소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도 1은 하부가 개구된 종래의 가로등 커버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밀폐 구조를 갖는 종래의 가로등 커버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로등 커버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도면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모양의 방열관 부재(20); 한쪽에 상기 방열관 부재(20)가 끼워지게 결합되고 외측벽에는 압입 걸림부(31)가 형성된 결합부재(30); 상기 방열관 부재(20)의 출구(22)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부재(30)에 끼워지게 설치된 메쉬망 부재(40); 상기 결합부재(30)의 압입 걸림부(31)가 끼워져 밀폐되도록 커버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공(11)에 결합부재(30)가 끼워진 상태에서 방열관 부재(20)를 커버 본체(10) 내부에 위치한 입구(21)가 메쉬망 부재(40)가 설치된 출구(2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공(11)은 커버 본체(10)가 감싸고 있는 전구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열이 방열관 부재(20)를 통해 신속히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 본체(10)는 가로등의 프레임(100)과 사이에 통기성이 있는 연성 패킹(110)에 의해 통공(11) 부위를 제외하고는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설치된다.
전구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상기 방열관 부재(20)는 L자로 구부러져 커버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입구(21)의 하부 수평가상선(S1)이 외부로 노출된 출구(22)의 하부 수평가상선(S2)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빗물이 커버 본체(10)의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방열관 부재(20)로 유입된 빗물은 커버 본체(10)로 들어가지 못하고 출구(22)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입구(21)를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상기 메쉬망 부재(40)는 벌레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활을 하며, 상기 결합부재(30)는 방열관 부재(20)를 커버 본체(10)에 설치하는 역활과 함께 상기 메쉬망 부재(40)를 출구(22)에 설치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30)에 방열관 부재(20)의 한쪽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입구(21)쪽을 통공(11)을 통해 커버 본체(10)에 끼우고, 입구(21)가 상부를 향하도록 돌려준 상태에서 결합부재(30)를 커버 본체(10)에 눌러주게 되면 압입 걸림부(31)가 통공(11)에 압입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결합부위의 기밀이 유지되게 설치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가로등 커버는 열이 방출되는 방열관 부재(20)의 입구(21)가 커버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발열원인 전구와 근접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열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됨으로써 커버 본체(10)의 내부가 전구의 열로 인해 부식될 염려를 해소함으로써 부식으로 인한 가로등의 조도 저하 및 커버 본체(10)가 변색으로 인해 가로등이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를 일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방열관 부재(20)의 출구쪽에는 메쉬망 부재(40)가 설치되어 벌레가 커버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방열관 부재(20)는 L자모양으로 절곡되어 입구(21)가 출구(22)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 하부 개방형 커버(도 1 참조)와 밀폐형 커버(도 2 참조)가 갖는 장점을 모두 갖추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 가로등 프레임(110)에는 상기 통공(11) 부위를 가려주는 반사갓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커버 본체(10)가 전구 열에 의해 변색되지 않고 벌레의 사체가 쌓일 염려가 없어 주간에는 이로인해 가로등 미관이 손상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야간에는 조도가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가로등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커버 본체 11 : 통공
20 : 방열관 부재 21 : 입구
22 : 출구 30 : 결합부재
40 : 메쉬망 부재 S1,S2 : 하부 수평가상선

Claims (1)

  1. L자 모양의 방열관 부재(20); 한쪽에 상기 방열관 부재(20)가 끼워지게 결합되고 외측벽에는 압입 걸림부(31)가 형성된 결합부재(30); 상기 방열관 부재(20)의 출구(22)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부재(30)에 끼워지게 설치된 메쉬망 부재(40); 상기 결합부재(30)의 압입 걸림부(31)가 끼워져 밀폐되도록 커버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공(11)에 결합부재(30)가 끼워진 상태에서 방열관 부재(20)를 커버 본체(10) 내부에 위치한 입구(21)가 메쉬망 부재(40)가 설치된 출구(2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커버.
KR2020110002066U 2011-03-14 2011-03-14 가로등 커버 KR201200065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66U KR20120006510U (ko) 2011-03-14 2011-03-14 가로등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66U KR20120006510U (ko) 2011-03-14 2011-03-14 가로등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510U true KR20120006510U (ko) 2012-09-24

Family

ID=5368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066U KR20120006510U (ko) 2011-03-14 2011-03-14 가로등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51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67B1 (ko) * 2015-07-16 2016-01-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등
KR101725165B1 (ko) * 2017-01-19 2017-04-11 (주)휴리트 환기볼트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2094113B1 (ko) 2019-12-23 2020-03-30 (주)크린앤사이언스 탄소섬유 엘이디 가로등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8784A (ko) 2022-01-11 2023-07-19 (주)크린앤사이언스 유리섬유 엘이디 가로등 하우징의 제조방법
KR20240028908A (ko) 2022-08-25 2024-03-05 루미컴 주식회사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하우징이 적용된 led 실외조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67B1 (ko) * 2015-07-16 2016-01-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등
KR101725165B1 (ko) * 2017-01-19 2017-04-11 (주)휴리트 환기볼트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2094113B1 (ko) 2019-12-23 2020-03-30 (주)크린앤사이언스 탄소섬유 엘이디 가로등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8784A (ko) 2022-01-11 2023-07-19 (주)크린앤사이언스 유리섬유 엘이디 가로등 하우징의 제조방법
KR20240028908A (ko) 2022-08-25 2024-03-05 루미컴 주식회사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하우징이 적용된 led 실외조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6510U (ko) 가로등 커버
KR101367757B1 (ko) 엘이디 램프
TWI385348B (zh) 發光二極體燈具及其散熱防水罩
KR10115921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01713B1 (ko) Led 조명 장치
KR101087227B1 (ko) 조명기구용 전등갓 결합구조
WO2013135200A1 (zh) 一种led照明装置
JP2014120536A (ja) 電気機器収納装置
KR101126586B1 (ko) 조명장치의 밀봉구조
KR101131390B1 (ko) 등기구용 내부열 방출장치
JP2007309613A (ja) 給湯器
KR20130004469U (ko) 엘이디 조명장치
CN102734773B (zh) 一种用于led路灯的散热窗及led路灯
KR101036460B1 (ko) 거미 퇴치구가 설치된 가로등
CN103277686B (zh) 一种室外照明装置
KR100938812B1 (ko) 가로등용 헤드
TWI603675B (zh) 捕蚊裝置
CN208566359U (zh) 一种防水投射灯具
CN203309582U (zh) 一种用于安装光源的密封罩及室外照明装置
CN205137350U (zh) 可自由拼接的电源光源整合式led灯
KR20180000077U (ko) 엘이디 등기구
CN203757458U (zh) Led投光灯
KR200369711Y1 (ko) 가로등 방열장치
JP6280424B2 (ja) 交通信号灯器用カバー及び交通信号灯器
JP6867242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