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476U - 펜던트 모듈 - Google Patents

펜던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476U
KR20120006476U KR2020110002036U KR20110002036U KR20120006476U KR 20120006476 U KR20120006476 U KR 20120006476U KR 2020110002036 U KR2020110002036 U KR 2020110002036U KR 20110002036 U KR20110002036 U KR 20110002036U KR 20120006476 U KR20120006476 U KR 20120006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ver
necklace
pendan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955Y1 (ko
Inventor
박성룡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10002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5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펜던트 모듈은 본체부, 덮개부 및 간격 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면에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의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Description

펜던트 모듈{PENDANT MODULE}
본 고안은 펜던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이 용이한 펜던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는 펜던트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펜던트를 수리해야 하거나, 펜던트의 디자인이 지겨워져서 펜던트를 교체하고자 할 때, 목걸이를 새로 구입해야 한다. 한편, 펜던트가 목걸이의 줄(ring)과 탈착이 가능한 제품도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에서도 목걸이 줄과 펜던트 사이의 특별한 결합구조를 채택하고 있지 않으며, 목걸이 줄을 목에서 푼 상태에서 풀린 부분을 통해 펜던트를 탈착하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펜던트의 교체를 원하는 경우, 목걸이를 목에서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펜던트를 교환할 수 있는 펜던트와 목걸이 줄과의 결합 구조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걸이 줄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펜던트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펜던트 모듈은 본체부, 덮개부 및 간격 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의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홀이 형성된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덮개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각각은 제1 및 제2 삽입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던트 모듈은 목걸이 결합부 및 목걸이 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걸이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며, 상기 목걸이 줄은 상기 목걸이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목걸이 결합부의 단면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목걸이 결합부는 상기 제1 삽입부들을 통해서는 삽입되나, 상기 제2 삽입부들 통해서는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간격 유지부에 의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덮개부 사이의 고정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삽입홀의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와 본체부 사이에 판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펜던트 모듈을 형성함으로써, 펜던트를 목걸이 줄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취향 및 추세에 맞는 펜던트로 교환이 용이하다.
즉, 펜던트를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덮개부와 본체부로 모듈화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높이고,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목걸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펜던트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펜던트 모듈의 목걸이 줄과 삽입 및 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펜던트 모듈이 목걸이 줄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펜던트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펜던트 모듈(100)은 본체부(10), 덮개부(20) 및 간격 유지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목걸이 줄(40) 및 목걸이 결합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장식부(11) 및 체결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부(11)에는 다양한 무늬 및 다양한 금속이나 보석 등이 장식되며,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 기둥 형상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11)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부(12)가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12)는 상기 장식부(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11)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부(12)는 후술할 상기 덮개부(20)의 내부로 삽입되며 결합되므로, 상기 덮개부(20)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장식부(11)의 둘레보다 작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12)의 측면에는 제1 삽입부(13) 및 제2 삽입부(14)를 갖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체결부(12)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들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삽입홀의 제1 삽입부(13)는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의 체결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l1 만큼의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14)는 동일한 방향으로 l2 만큼의 너비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삽입부(13)의 너비는 상기 제2 삽입부(14)의 너비보다 크다.
상기 제1 삽입부(13)의 너비 l1 은 후술할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삽입부(13)를 통과하여 상기 체결부(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삽입부(14)의 너비 l2 는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2 삽입부(14)를 통과하지 못한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체결부(12)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12)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며 결합된다. 상기 덮개부(20)의 내부 또는 상기 체결부(12)의 외부에는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홈(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의 측면에는 제1 삽입부(21) 및 제2 삽입부(22)를 갖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홀은 상기 덮개부(2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들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삽입홀은 상기 체결부(12)의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의 배치 관계는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21)는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의 체결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l3 만큼의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22)는 동일한 방향으로 l4 만큼의 너비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삽입부(21)의 너비는 상기 제2 삽입부(22)의 너비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의 너비인 l1 및 l3, l2 및 l4의 크기는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미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제1 삽입부(21)의 너비 l3 는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삽입부(21)를 통과하여 상기 덮개부(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삽입부(22)의 너비 l4 는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2 삽입부(22)를 통과하지 못한다.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체결부(12)가 상기 덮개부(20)의 내부로 삽입되며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 내부의 서로 마주하며 결합되는 면에 고정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일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중앙부가 상기 체결부(12)를 향하도록 휘어진 판스프링이므로,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30)의 중앙부가 상기 체결부(12) 방향으로 휘어져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면, 외력의 작용이 없는 경우,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휨 정도에 해당하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간격 유지부(30)의 중앙부는 상기 외력에 의해, 휨 정도가 줄어들게 된다. 즉,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의 간격은 줄어들게 된다. 다만, 상기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 상기 간격 유지부(3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는 다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목걸이 줄(40)은 후술할 목걸이 결합부(41)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린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줄(40)은 탈부착을 위한 연결고리를 포함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목걸이 줄(40)이 상기 본체부(10) 및 덮개부(20)와 분리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고리는 필요 없다.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목걸이 줄(40)의 양 끝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와 결합된다.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구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너비는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의 제1 삽입부들(13, 21)의 너비인 l1 및 l3 보다는 작고, 상기 제2 삽입부들(14, 22)의 너비인 l2 및 l4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삽입부들(13, 21)을 통해서는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지만, 상기 제2 삽입부들(14, 22)을 통해서는 삽입 및 이탈이 불가능하게 된다. 결국,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삽입부들(13, 21)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제2 삽입부들(14, 22)의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덮개부(20)와 결합되며, 다시 상기 제1 삽입부들(13, 21)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덮개부(20)와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목걸이 줄(40)은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삽입부들(14, 22)의 너비인 l2 및 l4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도 1의 펜던트 모듈의 목걸이 줄과 삽입 및 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유지부(30)에 의해 고정되는 힘보다 큰 외력(F)이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의 결합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장식부(11)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의 간격이 감소한다. 이 때, 상기 장식부(11)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유지되는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삽입홀의 제1 삽입부(13)는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21)와 중첩되며, 상기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14)는 상기 제2 삽입홀의 제2 삽입부(22)와 중첩된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의 제1 삽입부들(13, 2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의 제1 삽입부들(13, 21)이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도 2b는 도 1의 펜던트 모듈이 목걸이 줄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작용하던 외력(F)이 소멸되면, 상기 간격 유지부(3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외력(F)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하여, 상기 간격 유지부(30)에 의해 상기 체결부(12)의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14)와 상기 덮개부(20)의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21)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2)의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체결부(12)의 상기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14)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체결부(12)의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며,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12)의 제1 및 제2 삽입부들(13, 14) 및 덮개부(20)의 제1 및 제2 삽입부들(21, 22)의 형상 및 위치관계를 상기 간격 유지부(30)가 갖는 탄성 회복력을 고려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력을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를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에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가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목걸이 줄(40) 및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와 서로 용이한 분리 및 재결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새로운 장식부(11)가 형성된 본체부(10) 및 덮개부(20)로 교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와 본체부 사이에 판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펜던트 모듈을 형성함으로써, 펜던트를 목걸이 줄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취향 및 추세에 맞는 펜던트로 교환이 용이하다.
즉, 펜던트를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덮개부와 본체부로 모듈화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높이고,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목걸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귀금속 악세사리의 일종인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보석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는 귀금속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가진다.
100 : 펜던트 모듈 10 : 본체부
20 : 덮개부 30 : 간격 유지부
40 : 목걸이 줄 41 : 목걸이 결합부

Claims (8)

  1.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의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홀이 형성된 덮개부; 및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는 펜던트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각각은 제1 및 제2 삽입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는 목걸이 결합부; 및
    상기 목걸이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목걸이 결합부의 단면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의 단면을 갖는 목걸이 줄을 더 포함하는 펜던트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는 상기 제1 삽입부들을 통해서는 삽입되나, 상기 제2 삽입부들 통해서는 삽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에 의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덮개부 사이의 고정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삽입홀의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모듈.
KR2020110002036U 2011-03-11 2011-03-11 펜던트 모듈 KR200464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36U KR200464955Y1 (ko) 2011-03-11 2011-03-11 펜던트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36U KR200464955Y1 (ko) 2011-03-11 2011-03-11 펜던트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76U true KR20120006476U (ko) 2012-09-20
KR200464955Y1 KR200464955Y1 (ko) 2013-01-25

Family

ID=5136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036U KR200464955Y1 (ko) 2011-03-11 2011-03-11 펜던트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244B1 (ko) * 2015-06-03 2016-12-12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5068B2 (ja) 1998-12-28 2004-05-10 本多精密工業株式会社 ネックレス用ジョイント金具
KR200269199Y1 (ko) 2001-12-12 2002-03-20 임건환 장신구의 연결구조
KR200319379Y1 (ko) 2003-04-03 2003-07-10 김응선 휴대단말기용 목걸이
KR200331806Y1 (ko) 2003-07-28 2003-10-30 정학봉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244B1 (ko) * 2015-06-03 2016-12-12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955Y1 (ko) 201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52506S1 (en) Article of jewelry
USD945918S1 (en) Article of jewelry
USD959315S1 (en) Watch case
USD977475S1 (en) Smart watch
USD911207S1 (en) Wristband
USD920136S1 (en) Watch
USD913140S1 (en) Wristband
USD980106S1 (en) Bracelet
CA113869S (en) Infant event monitoring bracelet
USD565705S1 (en) Spring head assembly for faucet
USD997011S1 (en) Watch case
KR200464955Y1 (ko) 펜던트 모듈
USD911206S1 (en) Wristband
USD968235S1 (en) Watch
USD491078S1 (en) Wrist watch
USD1017428S1 (en) Watch with a QR code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101682374B1 (ko) 반지
KR100760848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USD955914S1 (en) Watch bracelet
KR200467928Y1 (ko) 장신구 모듈
KR101363175B1 (ko)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KR200398495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USD1014296S1 (en) Wrist 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