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415U -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415U
KR20120006415U KR2020120001741U KR20120001741U KR20120006415U KR 20120006415 U KR20120006415 U KR 20120006415U KR 2020120001741 U KR2020120001741 U KR 2020120001741U KR 20120001741 U KR20120001741 U KR 20120001741U KR 20120006415 U KR20120006415 U KR 201200064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utton module
module structure
portable electric
electric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040Y1 (ko
Inventor
웨이 슈
Original Assignee
웨이즈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즈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웨이즈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06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8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ontacts, e.g. conductive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02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12Two keys simultaneous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36Plural multifunctional miniature keys for one symb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를 제공하는 바, 상기 버튼 모듈 구조는 인쇄회로기판, 실리카 버튼, 케이스 및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중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적어도 한 그룹(두 개)의 탄소막 바와 리드선 용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실리카 버튼의 일단에는 융기된 헤드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함몰되었고 두 개의 전도 탄소막 알갱이가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의 탄소막 바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실리카 버튼의 헤드부의 표면은 요홈면으로 디자인 되어 양단이 볼록하고 중간이 함몰된 구조를 가지며, 다수의 다른 작용점의 조작 방식이 구비되어 필요한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는 천공이 구비되어 완전하게 실리카 버튼을 커버하고, 또한 상기 실리카 버튼의 요홈면과 양단의 볼록면이 모두 천공보다 높이 노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버튼 모듈이 모두 세 가지 이상의 다른 기능을 구비하여 버튼 수를 줄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며, 조작 시간을 단축시키고 오조작의 우려를 감소시키며, 또한 완전한 문자, 숫자, 부호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Button modular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휴대식 전기기구 버튼 모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버튼 모듈이 모두 세 가지 이상의 다른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각 기능의 사용은 모두 해당 버튼을 한번만 누르면 지정된 기능을 가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버튼의 수를 줄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며, 조작 시간을 단축시키고 오조작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식 전기기구 버튼 모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휴대식 전기기구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과 구비되지 않는 것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휴대식 전기기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가정용 만능 리모컨, TV 리모컨,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리모컨, 게임기 제어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전기기구 상의 기본적인 리모컨 기능은 버튼 수량과 같은 바, 즉 하나의 버튼이 하나의 기능을 가지고, 기능이 많을 수록 버튼도 상대적으로 많아지며, 아울러 각 버튼 내에는 저저항 탄소막 알갱이(바)가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민감하게 해당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또한 전기제품의 추세가 지속적으로 가볍고 얇으며, 짧고 작은 것을 디자인의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부피가 변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버튼의 배열이 조밀해지고 각 버튼이 점점 작아짐으로 인하여, 결국 사용자 조작 시 식별하기 어렵고 필요한 기능 버튼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휴대식 전기기구는 일반적으로 부품이 많고 제조 원가가 높으며, 조작이 번거롭고 필요한 기능 버튼을 찾기 어려우며, 버튼이 민감하여 오조작 가능성이 높으며, 문자, 숫자, 부호 입력 처리 기능이 구비되지 않는 등 결함이 존재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휴대식 전기기구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예를 들면, 핸드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전자사전, MP3(MEPG Audio Player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전기기구는 기능성 버튼을 구비하고, 해당 버튼은 또한 문자, 숫자, 부호 입력 처리 기능을 구비하는 바, 이는 버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음을 뜻하며; 각 버튼은 모두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기능 조합을 갖고 있고 하나의 버튼은 순환 입력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동일한 버튼이 중국어 부수 입력 기능을 구비하여
Figure utm00001
Figure utm00002
Figure utm00003
를 입력할 수 있는 바, 해당 버튼을 한번 누르면
Figure utm00004
를 입력하고, 해당 버튼을 두번 누르면
Figure utm00005
를 입력하며, 해당 버튼을 세번 누르면
Figure utm00006
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버튼이 반복적으로 수회 눌러야 하는 경우가 많고, 순환 입력을 진행하기 때문에 지나가 버리면 되돌릴 수 없고 다시 연속하여 눌러 필요한 부수가 나타날 때까지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작에 필요한 시간이 길며; 또한 사용자가 간편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버튼 내에는 역시 저저항 탄소막 알갱이(바)가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민감하게 해당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말하면 역시 오조작 가능성이 높고; 또한 이러한 전기제품의 추세가 언제나 가볍고 얇으며, 짧고 작은 것을 디자인의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부피가 변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버튼의 배열이 조밀해지고 각 버튼이 점점 작아짐으로 인하여, 결국 사용자 조작 시 식별하기 어렵고 필요한 기능 버튼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휴대식 전기기구는 일반적으로 부품이 많고 제조 원가가 높으며, 조작이 번거롭고 필요한 기능 버튼을 찾기 어려우며, 버튼이 민감하여 오조작 가능성이 높으며, 문자, 숫자, 부호 입력 처리 기능이 구비되지 않는 등 결함이 존재한다.
상기 휴대식 전기기구의 발전에 따라, 향후의 전기기구는 더욱 많은 기능을 구비할 것인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전기기구는 소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문자 입력 기능 등을 추가할 수 있는 바, 종래 이러한 기능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식 전기기구에 구비된 기능이었기 때문에 다원화라 칭하기 어려우므로, 낮은 제조 원가 및 사용과 조작 상의 편리성을 고려하고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개선을 진행하여 본 고안의 "휴대식 전기기구 버튼 모듈 구조"를 고안하였다.
본 고안은 각 버튼 모듈이 모두 세 가지 이상의 다른 기능을 구비하여 버튼 수를 줄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며, 조작 시간을 단축시키고 오조작의 우려를 감소시키며, 또한 완전한 문자, 숫자, 부호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식 전기기구 버튼 모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휴대식 전기기구, 예를 들면, 핸드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전자사전, MP3(MEPG Audio Player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 등에 결합시킬 수 있는 휴대식 전기기구 버튼 모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휴대식 전기기구, 예를 들면, 가정용 만능 리모컨, TV 리모컨,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리모컨, 게임기 제어기, 냉방기 리모컨 등에 결합시킬 수 있는 휴대식 전기기구 버튼 모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에 있어서,적어도 한 그룹(두 개)의 탄소막 바와 리드선 용접점이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일단에는 융기된 헤드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함몰되었고 두 개의 전도 탄소막 알갱이가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의 탄소막 바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의 표면의 중앙은 요홈면으로 디자인 되고 양단에는 볼록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다른 작용점의 조작 방식이 구비되어 필요한 기능에 대응되는 실리카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버튼 모듈 구조는 인쇄회로기판, 실리카 버튼, 케이스 및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적어도 한 그룹(두 개)의 탄소막 바와 리드선 용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실리카 버튼의 일단에는 융기된 헤드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함몰되었고 두 개의 전도 탄소막 알갱이가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의 탄소막 바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실리카 버튼의 헤드부의 표면은 요홈면으로 디자인 되어 양단이 볼록하고 중간이 함몰된 구조를 가지며, 다수의 다른 작용점의 조작 방식이 구비되어 필요한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는 천공이 형성되어 완전하게 실리카 버튼을 커버하고, 또한 상기 실리카 버튼의 요홈면과 양단의 볼록면이 모두 천공보다 높이 노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실리카 버튼으로 하여금 다수의 다른 작용점의 조작 방식을 제공하여 세 가지 이상의 다른 기능을 제어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 및 백커버는 버튼 모듈 구조가 결합되는 휴대식 전기기구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돌출부와 홈의 결합 방식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나사 또는 후크를 이용하는 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버튼 모듈이 휴대식 전기기구에 결합된 도면.
도2는 다른 종래의 버튼 모듈이 휴대식 전기기구에 결합된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휴대식 전기기구의 일 방향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휴대식 전기기구의 다른 일 방향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휴대식 전기기구의 외관도.
도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버튼 모듈 구조 단면도.
도7의 (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버튼 모듈 구조 동작도.
도7의 (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버튼 모듈 구조 동작도.
도7의 (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버튼 모듈 구조 동작도.
도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버튼 모듈 구조 실시 응용 예시도.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휴대식 전기기구의 일 방향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버튼 모듈 구조 단면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기능은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휴대식 전기기구 버튼 모듈 구조에서, 해당 휴대식 전기기구는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만능 리모컨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바, 해당 만능 리모컨은 인쇄회로기판(1), 칩 형식의 다수 실리카 버튼(2) 및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4) 및 백커버(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에는 적어도 한 그룹(두 개)의 탄소막 바(11)와 리드선 용접점(12)이 구비되며;
상기 실리카 버튼(2)의 일단에는 융기된 헤드부(21)가 구비되고, 타단은 함몰되었고 두 개의 전도 탄소막 알갱이(22)가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 표면의 탄소막 바(11)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21)의 표면의 중앙은 요홈면(23)으로 디자인 되고 양단에는 볼록면(24)에 구비되며, 다수의 다른 작용점의 조작 방식이 구비되어 필요한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케이스(4)와 백커버(5)는 일체로 상호 결합될 수 있고, 케이스(4)의 중앙에는 천공(41)이 구비되어 백커버(5)와 함께 완전하게 실리카 버튼(2)을 커버하고, 또한 상기 실리카 버튼(2) 일단의 헤드부(21) 중앙의 요홈면(23)과 양단의 볼록면(24)이 모두 천공(41)보다 높이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4)와 백커버(5)의 결합에 있어서, 케이스(4) 내면에 약간의 돌출부(42)이 구비되고, 백커버(5) 내변의 둘레로 대응되는 홈(51)이 구비되어, 돌출부(42)이 홈(51)에 걸리는 것을 통하여 케이스(4)와 백커버(5)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나, 본 고안은 이러한 결합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나사 또는 후크를 이용하는 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도5에 도시된 휴대식 전기기구 외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에 있어서, 상기 유닛 중의 실리카 버튼(2) 및 인쇄회로기판(1)을 순차적으로 케이스(4)와 백커버(5)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설치하고 케이스(4)의 돌출부(42)과 대응되는 백커버(5)의 홈(51) 사이의 걸림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완전한 만능 리모컨을 구성하고, 또한 각 실리카 버튼(2)으로 하여금 세 가지 기능을 작동방식을 구비하도록 한다.
도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버튼 모듈 구조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의 두 탄소막 바(11) 상에 대응되게 전도 탄소막 알갱이(22)가 구비되어 상기 두 전도 탄소막 알갱이(22) 상에 설치된 실리카 버튼(2)으로 하여금 다른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실리카 버튼(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전도 탄소막 알갱이(22)는 위측에 떠 있고 아래의 대응되는 탄소막 바(11)와 접촉되지 않아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도7의 (a), (b), (c)는 버튼 모듈 동작도로서, 그 중에서, 도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실리카 버튼(2)의 좌측(도면의 표시된 방향)의 볼록면(24)에 가해질 때, 동일측 아래의 전도 탄소막 알갱이(22)는 아래로 대응되는 탄소막 바(11)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며; 마찬가지로,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실리카 버튼(2)의 우측의 볼록면(24)에 가해질 때, 동일측 아래의 전도 탄소막 알갱이(22)는 아래로 대응되는 탄소막 바(11)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며; 그리고, 도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실리카 버튼(2) 중앙의 요홈면(23)에 가해질 때, 동시에 전도 탄소막 알갱이(22)를 아래로 눌러 동기화로 아래로 탄소막 바(11)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 모듈 구조를 휴대식 전기기구에 응용할 때,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휴대식 전기기구, 예를 들면, 가정용 만능 리모컨, TV 리모컨,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리모컨, 게임기 제어기, 냉방기 리모컨 등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휴대식 전기기구, 예를 들면, 핸드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전자사전, MP3(MEPG Audio Player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버튼 모듈을 만능 리모컨에 응용하는 것을 예로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 상에 누르거나 선택할 수 있는 전환 스위치(중국어/영문/숫자/부호)(6), 공백키(SPACE)(7)(이 두 가지 기능 버튼은 종래의 공개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및 다수의 규칙적으로 배열된 버튼 모듈이 포함되고, 각 버튼 모듈은 모두 세 가지 동작 모드를 갖고 있어 각 버튼으로 하여금 모두 세 가지 다른 부수, 알파벳, 숫자 또는 부호를 대표하도록 할 수 있는데, 즉 하나의 버튼이 세 개 버튼의 작용을 구비하는 바, 이와 종래 기술의 가장 큰 구별점이라면, 중국어 부수, 영문 알파벳, 숫자 또는 부호 중의 임의 한 가지를 입력하고자 할 때, 단지 해당 선택된 버튼 모듈 상에서 한번 누르기만 하면(좌측 또는 중간 또는 우측) 간편하게 완성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중국어 "朋友(친구)"라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할 때, 제1행 제1열의 버튼 모듈 중앙의 요홈면(31)을 한번 누르고(
Figure utm00007
), 제2행 제4열의 버튼 모듈 우측의 볼록면(31)을 한번 누르며(
Figure utm00008
), 다시 공백키(SPACE)(7)를 한번 누르면 "朋"자를 입력할 수 있고, 이어 제2행 제4열의 버튼 모듈 중앙의 요홈면(23)을 한번 누르고(
Figure utm00009
), 제1행 제4열의 버튼 모듈 중앙의 요홈면(23)을 한번 누르며(
Figure utm00010
), 다시 공백키(SPACE)(7)를 한번 누르면 "友"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조작 사용에 있어서, 모든 중국어 부수, 영문 알파벳, 숫자 또는 부호 등은 어떠한 것이든 선택 입력 시 단지 한번만 누르면 되므로 누름 조작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아울러, 각 버튼 모듈 내에 모두 탄소막 바(11)에 전도 탄소막 알갱이(22)가 대응되도록 하기 때문에 오조작의 우려를 확실하게 줄일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휴대식 전기기구 버튼 모듈 구조 분해도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만능 리모컨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바, 해당 만능 리모컨은 인쇄회로기판(1), 하나 이상의 실리카 버튼(3), 하나 이상의 버튼 커버(3) 및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4) 및 백커버(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 모듈 구조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칩 형식의 다수의 실리카 버튼(2)의 헤드부(21) 위에 독립적인 버튼 커버(3)가 커버되는 방식을 취하는 바, 해당 버튼 커버(3)는 실리카 버튼(2) 일단의 헤드부(21)를 커버할 수 있고, 또한 표면 중앙에 요홈면(31)을 형성하고 양단에 볼록면(32)을 형성하며, 이로써 사용 상에 있어서,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실라카 버튼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파손으로 인한 조작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스(4)와 백커버(5) 부분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바, 서로 일체로 결합되고, 또한 케이스(4) 중앙에 천공(41)을 형성하여 백커버(5)와 함께 버튼 커버(3)와 실리카 버턴(2)을 커버하며, 상기 버튼 커버(3)의 요홈면(31)과 양단의 볼록면(32)이 모두 천공(41)보다 높이 노출되도록 하여 누름 조작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버튼 모듈 구조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의 두 탄소막 바(11) 상에 대응되게 전도 탄소막 알갱이(22)가 구비되어 상기 두 전도 탄소막 알갱이(22) 상에 설치된 버튼 커버(3)으로 하여금 다른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버튼 커버(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전도 탄소막 알갱이(22)는 위측에 떠 있고 아래의 대응되는 탄소막 바(11)와 접촉되지 않아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이로써 조작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실제 요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외력을 버튼 커버(3)의 좌측 볼록면(32), 우측 볼록면(32) 또는 중앙의 요홈면(31)에 가할 수 있는 바, 이때 아래의 도전 탄소막 알갱이(22)로 하여금 탄소막 바(11)의 대응되는 위치를 누르도록 하여 필요한 기능을 트리거 시킨다.
요약하면, 본 고안의 버튼 모듈 구조를 휴대식 전기기구에 응용할 때,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휴대식 전기기구, 예를 들면, 가정용 만능 리모컨, TV 리모컨,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리모컨, 게임기 제어기, 냉방기 리모컨 등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휴대식 전기기구, 예를 들면, 핸드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전자사전, MP3(MEPG Audio Player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버튼 모듈 구조를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휴대식 전기기구에 결합시킬 때, 이러한 유형의 휴대식 전기기구 자체에 문자, 숫자, 부호 입력 처리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고안의 버튼 모듈을 통하여 문자, 숫자, 부호 처리 기능을 제공하여 실용성과 이용 가치를 향상시켜 해당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휴대식 전기기로 하여금 기능 입력에만 제한되지 않고 문자, 숫자, 부호 입력, 처리 범위로 확장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모듈 구조를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휴대식 전기기구에 결합시킬 때, 이러한 유형의 휴대식 전기기구 자체에 이미 문자, 숫자, 부호 입력 처리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버튼 모듈 구조를 통하여 진일보로 버튼의 수를 줄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며, 조작 시간을 단축시키고 오조작의 우려를 감소시키는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1: 인쇄회로기판 11: 탄소막 바
12: 리드선 용접점 2: 실리카 버튼
21: 헤드부 22: 전도 탄소막 알갱이
23: 요홈면 24: 볼록면
3: 버튼 커버 31: 요홈면
32: 볼록면 4: 케이스
41: 천공 42: 돌출부
5: 백커버 51: 홈
6: 전환 스위치 7: 공백키

Claims (8)

  1.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에 있어서,
    적어도 한 그룹(두 개)의 탄소막 바와 리드선 용접점이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일단에는 융기된 헤드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함몰되었고 두 개의 전도 탄소막 알갱이가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의 탄소막 바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의 표면의 중앙은 요홈면으로 디자인 되고, 양단에는 볼록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다른 작용점의 조작 방식이 구비되어 필요한 기능에 대응되는 실리카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버튼 모듈에는 상기 실리카 버튼의 헤드부에 고정 커버되는 버튼 커버를 구비하고, 이의 표면은 요홈면으로 디자인 되고 양단에는 볼록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턴 모듈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모듈 구조에는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 및 백커버가 포함되고, 케이스 중앙에 하나 또는 이상의 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턴 모듈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백커버는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부와 홈을 구비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턴 모듈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백커버는 나사 또는 후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턴 모듈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 모듈 구조와 상기 케이스, 상기 백커버는 결합되어 만능 리모컨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턴 모듈 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 모듈 구조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휴대식 전기기구인, 가정용 TV 리모컨,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리모컨, 게임기 제어기, 냉방기 리모컨에 응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
  8.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 모듈 구조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휴대식 전기기구인, 핸드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전자사전, MP3(MEPG Audio Player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에 응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기기구의 버튼 모듈 구조.
KR2020120001741U 2011-03-08 2012-03-06 휴대식 전기기구 KR2004710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204099 2011-03-08
TW100204099U TWM413205U (en) 2011-03-08 2011-03-08 Portable appliance key modul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15U true KR20120006415U (ko) 2012-09-18
KR200471040Y1 KR200471040Y1 (ko) 2014-01-29

Family

ID=4470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41U KR200471040Y1 (ko) 2011-03-08 2012-03-06 휴대식 전기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86883B2 (ko)
JP (1) JP3175122U (ko)
KR (1) KR200471040Y1 (ko)
CN (1) CN202258938U (ko)
DE (1) DE202012001456U1 (ko)
GB (1) GB2488861B (ko)
TW (1) TWM41320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8229A (zh) * 2014-12-01 2015-04-22 深圳市新国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pos机按键防拆保护结构及方法
USD829468S1 (en) * 2015-03-27 2018-10-02 Hunter Douglas Inc. Button for a window covering
USD830081S1 (en) 2015-03-27 2018-10-09 Hunter Douglas Inc. Button for a window covering
CN107743647B (zh) 2015-04-20 2020-02-21 路创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用于受控致动的独立悬挂按钮的控制装置
US10888773B2 (en) * 2016-10-11 2021-01-12 Valve Corporation Force sensing resistor (FSR) with polyimide substrate,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D839846S1 (en) * 2017-04-27 2019-02-05 Lutron Electronics Co., Inc. Control module
CN106998611A (zh) * 2017-05-22 2017-08-01 深圳市实益达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遥控器及控制方法
CN109894761B (zh) * 2019-02-27 2020-12-01 江苏爱仕达电子有限公司 蓝牙语音遥控器电路板的自动化焊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8103A (en) * 1982-01-06 1983-10-04 Smith Engineering Joystick operated multiple position switch
EP0123184B1 (de) * 1983-04-20 1990-03-14 Bebié+Co. Tastaturanordnung
JPS59217914A (ja) * 1983-05-25 1984-12-08 オータックス株式会社 電子回路を内蔵したスイツチ
DE3323463A1 (de) * 1983-06-29 1985-01-0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Tastenschalter
GB2144582B (en) * 1983-08-05 1987-06-10 Nintendo Co Ltd Multi-directional electrical switch
US4609791A (en) * 1984-12-20 1986-09-02 Itt Corporation Flexible diaphragm keypad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350593Y2 (ko) * 1986-02-14 1991-10-29
US4734679A (en) * 1986-06-12 1988-03-29 Northern Telecom Limited Pushbutton keyboard assembly
JPS63254624A (ja) * 1987-04-10 1988-10-21 株式会社 石井表記 メンブレン、パネルスイツチの製造方法
US4896003A (en) * 1989-06-30 1990-01-23 Hsieh Man Ching Multi-position electrical switch
JP2553326Y2 (ja) * 1992-06-23 1997-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ラバーコンタクトスイッチ
US5498843A (en) * 1992-06-30 1996-03-12 Sega Enterprises, Ltd. Control key multiple electrical contact switching device
CA2101370C (en) * 1992-07-31 1999-04-27 Hiroshi Matsumiya Control-key mechanism having improved operation feeling
JPH0617068U (ja) * 1992-08-04 1994-03-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シーソスイッチ
US5508479A (en) * 1994-11-17 1996-04-16 Schooley; John L. Elastomeric rocker switch assembly
US5603400A (en) * 1996-01-24 1997-02-18 The Whitaker Corporation Rocker switch
US5714732A (en) * 1996-09-16 1998-02-03 Packard Hughes Interconnect Company Latching switch
US5889242A (en) * 1996-10-17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and multidirectional op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847336A (en) * 1997-05-02 1998-12-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rect keypad backlighting
JP3416700B2 (ja) * 1997-05-28 2003-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の構造
JP3911800B2 (ja) * 1997-11-10 2007-05-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330699B2 (ja) * 1999-06-08 2009-09-1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JP4442963B2 (ja) * 1999-10-26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ボタンスイッチ
US6495784B2 (en) * 2000-05-16 2002-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JP2002352657A (ja) 2001-05-25 2002-12-06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とその製造方法
US6545239B2 (en) * 2001-08-09 2003-04-08 Illinois Tool Works Inc. Rocker switch with snap dome contacts
DE10228185A1 (de) * 2002-06-24 2004-01-22 Völckers, Oliver Einrichtung zur Erfassung einer mechanischen Betätigung eines Eingabeelementes mittels digitaler Technik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und Umwandlung des digitalen Eingabesignals in Befehle zur Steuerung eines Verbrauchers
DE50304379D1 (de) * 2002-09-10 2006-09-07 Siemens Ag Schalter mit einer bedienwippe
US6917000B2 (en) * 2003-01-17 2005-07-12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Signal input device
JP4292103B2 (ja) * 2003-07-28 2009-07-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JP4276494B2 (ja) * 2003-08-15 2009-06-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7460050B2 (en) * 2003-09-19 2008-12-02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trolling device using cues to convey information
JP4265591B2 (ja) * 2005-09-30 2009-05-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バーキー装置、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装置
TWI270908B (en) * 2005-12-26 2007-01-11 Chen Han Prec Mould Co Ltd Waterproof butt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264857A (ja) * 2006-03-28 2007-10-11 Nec Corp 携帯端末装置、キー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873596B1 (de) * 2006-07-01 2009-10-21 NBB Controls + Components AG Tragbarer Funkfernsteuerungssender mit beleuchteten Tasten
CN101192478B (zh) * 2006-12-01 2010-08-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背光键盘
DE102007013678A1 (de) * 2007-03-22 2008-09-25 Preh Gmbh Bedien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US7952044B2 (en) * 2008-11-26 2011-05-31 Eaton Corporation Rocker switch and actuator subassembly therefor
JP5384958B2 (ja) * 2009-01-28 2014-01-08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101110A (en) * 2009-06-18 2011-01-01 Asia Optical Co Inc Input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contact sensitivity
US7952038B1 (en) * 2009-12-04 2011-05-31 Shin-Etsu Polymer Co., Ltd. Two-stage switch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40Y1 (ko) 2014-01-29
GB2488861B (en) 2015-06-03
US20110240453A1 (en) 2011-10-06
TWM413205U (en) 2011-10-01
DE202012001456U1 (de) 2012-03-13
GB2488861A (en) 2012-09-12
US8586883B2 (en) 2013-11-19
GB201200361D0 (en) 2012-02-22
JP3175122U (ja) 2012-04-19
CN202258938U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040Y1 (ko) 휴대식 전기기구
JP6238368B2 (ja) 感圧キーの基準化
US8593404B2 (en) Reduced key arrangemen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351992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US20140055363A1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KR100860695B1 (ko) 터치 센시티브 키패드에 의한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핸드셋
KR20070091530A (ko) 터치 센시티브 키패드를 갖는 이동 핸드셋 및 사용자인터페이스방법
US8154429B2 (en) Keyboard device
JP2015080242A (ja) 携帯通信機器、携帯通信機器の機能表示方法、携帯通信機器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CN102270080A (zh) 电子设备输入装置及移动终端
WO2001071746A1 (en) Alphanumeric keypad
CN106710927B (zh) 键盘开关和键盘
JP2013041797A (ja) シートキー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201563150U (zh) 全电容触控式手机键盘
US20050248472A1 (en) Smart key exclusively for telephones calculator, remote controller and camera
CN102298460A (zh) 电子装置
US200701256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KR20110085522A (ko) 쌍자음 입력이 용이한 분할 키보드
CA2638671C (en) Reduced key arrangemen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2301441B (zh) 电子装置的操作部分的按键结构、使用该按键结构的输入装置和电子装置
US10007357B2 (en) Method for recognizing press of key on keyboard
CN205375382U (zh) 一种游戏键盘
KR101126271B1 (ko) 가상의 6면 입체 키패드 모듈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CN101587792A (zh) 键盘模块、具该键盘模块的便携式电子装置及输入文字的方法
KR100972340B1 (ko) 버튼방식을 이용한 키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