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261A - 혼합수전의 구조 - Google Patents

혼합수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261A
KR20120006261A KR1020100066894A KR20100066894A KR20120006261A KR 20120006261 A KR20120006261 A KR 20120006261A KR 1020100066894 A KR1020100066894 A KR 1020100066894A KR 20100066894 A KR20100066894 A KR 20100066894A KR 20120006261 A KR20120006261 A KR 2012000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water
mixed
flow path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616B1 (ko
Inventor
이용춘
이근기
이누리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승금속
이승준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승금속, 이승준, 이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to KR102010006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6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수전 카트리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상부는 혼합수전 카트리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냉수유입구, 온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혼혼합수유출구가 형성되는 혼합수전 본체 및 혼합수전 카트리지와, 혼합수전 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냉수홀, 온수홀 및 혼합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유로 변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냉수유입구의 중심 및 온수유입구의 중심은 냉수구의 중심, 온수구의 중심 및 혼합수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원 영역의 혼합수전 본체의 투영 영역으로부터 외부에 위치하며, 냉수 및 온수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수 및 온수는, 혼합수전 본체 내에서 상방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1냉수 및 제1온수 유로, 제1냉수 및 제1온수 유로로부터 혼합수전 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2냉수 및 제2온수유로, 및 제2냉수 및 제2온수유로로부터 상방을 따라 냉수홀로 이동하는 제3냉수 및 제3온수 유로를 구비하는 냉수 및 온수 유로부를 따라 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혼합수전의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혼합수전의 본체가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되었기 때문에 청수나 납성분 등이 흘러나오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수전의 구조 {Struture of mixing faucet}
본 발명은 혼합수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한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고 위생적인 혼합수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혼합수전은 내부에 냉수, 온수 및 혼합수가 이동하는 각각의 유로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상기 냉수 및 온수의 비율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혼합수전 본체부(30)의 유로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혼합수전 본체부(30)의 냉수유로 및 온수유로는, 냉,온수 혼합수전 본체부(30)의 하부 냉,온수 인입부(1,2)를 통과한 냉,온수는 상측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좌,우 방향으로 각각 꺾여져 다시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카트리지 냉,온수 유로(31,32)로 이동하는, 전체적으로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 온수 유로로부터 공급받은 냉수 및 온수는 카트리지에서 냉수와 온수의 비율이 조절되고 이렇게 냉수 및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는 카트리지 혼합수 연결유로(33)를 통과하여 카트리지 혼합수 수평유로(34) 를 지나 L자형 유로로 혼합수 출구(35)을 향해 토출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0은 토수구, 20은 전환레버 본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수전은 내부에 형성된 상기 냉수유로 및 온수유로는(1,2)는 복잡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혼합수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청동 또는 황동을 이용한 주조금형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되었으며, 특히 상기 혼합수전 내부의 냉수, 온수 및 혼합수의 복잡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주조금형으로 상기 유로를 모래와 접착재를 이용, 중자를 만들고 그 중자를 주조금형 내 유로가 형성될 부분에 넣은 후 주조 금형틀에 쇳물을 부어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복잡한 유로를 갖는 혼합수전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황동 및 청동으로 제조된 혼합수전은, 사용 시 혼합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에서 청수가 흘러나오고 납성분 등 사람에게 해로운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에 혼합수전제품에 대한 법적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혼합수전 제조사는 상기한 황동 및 청동 등을 이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혼합수전 내부의 복잡한 유로구조로 인하여 사출성형 및 황동단조금형으로 제품을 제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물론, 냉,온수 인입부(1,2)와 카트리지 냉,온수 연결유로(31,32)를 I형 구조로 하고 슬라이드 코아를 이용한 사출 금형을 통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겠으나, 이 또한 냉,온수 결합부가 상호 겹쳐 있기 때문에 냉,온수 결합부를 형성할 수 없어 도 3과 도 4와 같은 구조의 혼합수전 본체부(30)와 같은 유로의 구조를 갖는 사출 제품을 생산할 수 없었고, 이 외, 냉,온수 연결유로(31,32) 좌우로 넓게 이격되게 하단방향으로 배치하고 각각 4방 입체슬라이드 유로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또한 사출 후 불필요한 유로를 나사 또는 용접방식으로 막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나사 또는 용접방식으로 막은 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 들이 있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혼합수전은 주조금형 방식으로만 생산할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혼합수전은 그 내부에 형성되는 냉수유로, 온수유로 및 혼합수유로가 지그재그형상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그 유로구조 특성상 주조금형으로만 제조가 가능하였기 때문에, 주조금형에서 제조된 후 실시해야하는 후처리공정으로 작업이 까다로운 표면 연마작업을 해야 하는 등 작업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졌으며, 또한 주조가공을 위해서는 그 재질이 황동 및 청동을 이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혼합수전에서 공급되는 냉수, 온수 및 혼합수에서 청수가 흘러나오거나 납성분 등 인체에게 유해한 물질이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가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생산적이고, 무엇보다 유해한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고 위생적인 혼합수전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에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구,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구, 및 내부에서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의 혼합비율이 조절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혼합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혼합수전 카트리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상부는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냉수공급배관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냉수유입구, 온수공급배관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온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혼합수구와 연통되어 상기 혼합수가 유출되는 혼합수유출구가 형성되는 혼합수전 본체 및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와 상기 혼합수전 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구, 상기 온수구 및 상기 혼합수구가 각각 삽입되어 끼워지는 냉수홀, 온수홀 및 혼합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유로 변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유입구의 중심 및 상기 온수유입구의 중심은 상기 냉수구의 중심, 상기 온수구의 중심 및 상기 혼합수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원 영역의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투영 영역으로부터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수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수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 내에서 상방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1냉수 유로, 상기 제1냉수 유로로부터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2냉수 유로, 및 상기 제2냉수 유로로부터 상방을 따라 상기 냉수홀로 이동하는 제3냉수 유로를 구비하는 냉수 유로부를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이동하고, 상기 온수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온수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 내에서 상방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1온수 유로, 상기 제1온수 유로로부터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2온수 유로, 및 상기 제2온수 유로로부터 상방을 따라 상기 온수홀로 이동하는 제3온수 유로를 구비하는 온수 유로부를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혼합수전의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혼합수전의 본체가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되었기 때문에 청수나 납성분 등이 흘러나오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 매립형 혼합수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혼합수전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평면상 및 측면상에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혼합수전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수전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로변경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혼합수전 본체와 유로변경 플레이트에 의한 유로구성을 평면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8은 도 5의 혼합수전 본체와 유로변경 플레이트에 의한 유로구성을 측면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기밀패킹이 구비된 혼합수전 카트리지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혼합수전 본체와 유로변경 플레이트와 혼합수전 카트리지에 의한 유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혼합수전 본체에 마감커버가 결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의 마감커버와
도 13은 도 5의 혼합수전의 유로를 평면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혼합수전 본체에 냉수 및 온수공급배관과 혼합수공급배관이 각각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마감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5의 마감커버에 혼합수전과 조절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5의 혼합수전이 적용되는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수전함의 결합 구성 상태 및 벽체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수전의 구조는,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와, 혼합수전 본체(200)와, 유로변경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는, 하부에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구(111),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구(112), 및 내부에서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의 혼합비율이 조절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혼합수구(113; 도 9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는 규격화된 제품으로 상기 냉수구(111), 온수구(112) 및 혼합수구(113)의 직경 및 배치관계가 규격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는 상부에 혼합수전 조절레버(550)에 형성된 고정삽입부(552)와 대응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는,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것으로, 주로 합성수지나 플라스틱의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는, 상부는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카트리지 삽입구(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냉수공급배관(43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냉수유입구(210), 온수공급배관(44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온수유입구(220)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의 혼합수구(113)와 연통되어 상기 혼합수가 유출되는 혼합수유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수유입구(210)의 중심 및 상기 온수유입구(220)의 중심은, 상기 냉수구(111)의 중심, 상기 온수구(112)의 중심 및 상기 혼합수구(11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원 영역의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투영 영역으로부터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도 7참조). 즉, 상기 냉수유입구(210)와 상기 온수유입구(220)는 상기 냉수구(111), 온수구(112)와 서로 얼라인(align)되어 있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혼합수구(113)와 연통되는 혼합수 유로 또한 평면상으로 봤을 때 그 중심이 어긋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7의 231은 유로 변경 플레이트(300)에 의한 혼합수 유도통로를 말하고, 232는 혼합수관 수평유로, 221은 온수유도통로, 211은 냉수유도통로를 말한다.
한편,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냉수유입구(210), 온수유입구(220) 및 혼합수유출구(230)는 삽입되는 공급배관들의 직경이 규격화되어 있어 상기 규격화된 공급배관들에 대응하여 형성되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의 냉수구(111), 온수구(112) 및 혼합수구(113) 또한 규격화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냉수유입구(210), 온수유입구(220) 및 혼합수유출구(230)와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의 냉수구(111), 온수구(112) 및 혼합수구(113)는 서로의 직경이 다를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각 유로직경의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상기 냉수유입구(210), 온수유입구(220) 및 혼합수유출구(230)와 상기 냉수구(111), 온수구(112) 및 혼합수구(113)는 유로중심이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서로 얼라인 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때문에,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는 상기 냉수유입구(210), 온수유입구(220) 및 혼합수유출구(230)와 상기 냉수구(111), 온수구(112) 및 혼합수구(113)를 서로 대응되게 연통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 유로가 지그재그 형상의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냉수유입구(210)와, 온수유입구(220)와, 혼합수 유출구(230)는, 외주면에 각각의 조임너트(411,421,630)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체결부재(262)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 결합부(260)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3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카트리지 삽입구(2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삽입구(240)에 삽입되어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와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 사이에 배치되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냉수구(111), 상기 온수구(112) 및 상기 혼합수구(113)가 각각 삽입되어 끼워지는 냉수홀(311), 온수홀(312) 및 혼합수홀(313)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수전는,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300)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와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 사이에서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기밀패킹(310)과, 제2기밀패킹(32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기밀패킹(310)은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상면과,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300)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300)의 상기 냉수홀(311), 상기 온수홀(312) 및 상기 혼합수홀(313) 각각을 구분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제1 내지 제3기밀홀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기밀패킹(320)은,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300)의 상면과,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300)의 상기 냉수홀(311), 상기 온수홀(312) 및 상기 혼합수홀(313) 각각을 구분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제4 내지 제6기밀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한 혼합수전 본체(200)의 내부 유로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는, 제1냉수 유로(271), 제2냉수 유로(272) 및 제3냉수 유로(273)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냉수 유로부(270)와, 제1온수 유로(281), 제2온수 유로(282) 및 제3온수 유로(283)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온수 유로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수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수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 내에서 상방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1냉수 유로(271), 상기 제1냉수 유로(271)로부터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2냉수 유로(272), 및 상기 제2냉수 유로(272)로부터 상방을 따라 상기 냉수홀(311)로 이동하는 제3냉수 유로(273)를 구비하는 냉수 유로부(270)를 따라 상기 본체(200) 내부에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온수유입구(220)로부터 유입된 상기 온수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 내에서 상방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1온수 유로(281), 상기 제1온수 유로(282)로부터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2온수 유로(282), 및 상기 제2온수 유로(282)로부터 상방을 따라 상기 온수홀(312)로 이동하는 제3온수 유로(283)를 구비하는 온수 유로부(280)를 따라 상기 본체(200) 내부에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를 설명함에 있어 상방에 대하여의 의미는 수직한 상방향 및 경사진 상방향을 모두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제1냉수유로(271)는, 상기 냉수공급배관(432)의 상방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냉수배관단차(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온수유로(281)는, 상기 온수공급배관(442)의 상방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온수배관단차(20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기존의 지그재그형의 복잡한 내부유로로 인한 언더컷 때문에 사출성형으로는 제조될 수 없었던 혼합수전 본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를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를 사출 성형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그런 다음 상기한 지그재그형상의 냉수 유로부(270)와 온수유로부(280)를 유로 변경 플레이트(300)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출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출되는 물에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나아가 가공 등이 쉽고 대량생산이 유리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한편,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상기 냉수유입구(210)와 상기 온수유입구(220)의 단면적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의 상기 냉수구(111), 상기 온수구(112) 및 상기 혼합수구(113)의 단면적 크기는 동일하며, 여기에 한정을 두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냉수, 온수, 혼합수의 단면적 크기를 각각 달리 할 수 있으며, 상기 냉수구(111), 상기 온수구(112) 및 상기 혼합수구(113)의 중심을 연결하면 정삼각형의 형상을 갖는다(도 9참조).
상기 냉수배관 연결구는, 상기 냉수공급배관(432)이 삽입되고, 상기 냉수유입구(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냉수배관체결부와 결합하는 냉수배관 조임너트(411)와, 상기 냉수배관 조임너트(41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냉수배관 조임너트(411)와 상기 냉수공급배관(432)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1기밀부재(415)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온수배관 연결구는, 상기 온수공급배관(421)이 삽입되고, 상기 온수유입구(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온수배관체결부와 결합하는 온수배관 조임너트(421)와, 상기 온수배관 조임너트(42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온수배관 조임너트(421)와 상기 온수공급배관(421)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2기밀부재(4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밀부재(415)와 제2기밀부재(425)는 오링(412,422)과, 와셔(413,423)와, 그랩링(414,424)을 포함하며 상기 조임너트(411,421,630)와 상기 냉수 및 온수공급배관(432,442) 사이에 순차적으로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기밀부재(415)와 제2기밀부재(425)를 상기한 오링(412,422), 와셔(413,423) 및 그랩링(414,424)을 예로 하여 실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혼합수전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기존 공지의 배관 체결방식으로 결합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41,642,643은 오링, 와셔, 그랩링을 나타내며 620은 슬리브, 610은 혼합수배관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냉수공급배관(432)과 온수공급배관(442)은 삽입되는 단부에 형성된 써포트 슬리브(434)와, 혼합수전 본체(200)의 냉수유입구(210) 및 온수유입구(220)에 일정깊이 삽입되는 삽입결합부(4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엘보우형으로 이루어졌으며, 나아가 후렉시블관(431,441)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커버(500)는, 결합부(510)와 지지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510)는 제1삽입홀(511)로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 상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홀(511)의 내주면에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결합부(250)와 결합하는 제1나사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20)는, 상기 결합부(510)의 노출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되어 하면이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상면을 하방으로 접촉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520)는 제2삽입홀(521)이 형성되어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가 삽입되며, 상기 제2삽입홀(521)의 내주면에는 제2나사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너트(530)는 중앙부분에 제3삽입홀(532)이 형성되어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의 상부가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기 지지부(520)의 제2나사부(522)와 나사결합하는 제3나사부(532)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520)와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를 하방으로 압착 조임하면 유로변경 플레이트(300)의 상, 하면의 기밀패킹(310),(320)을 압착하여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가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는, 공지의 혼합수전 마감커버(600)가 결합되며,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체결부재 결합부(510)와 상기 마감커버(60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62)에 의하여 마감커버(600)와 서로 결합한다. 상기 혼합수전 마감커버(600)는, 상기 카트리지 커버(500)와 상기 본체(2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상부가 삽입되는 관통홀(6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26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대략 링형상으로 중앙부에 끼움홀(5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홀(541)로 상기 카트리지 커버(500)의 상부 외주면이 슬라이딩 접촉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단부가 마감커버(600)의 노출면과 밀착 고정되어 상기 체결부재(262)의 노출되는 상부에 위치하는 노출방지캡(540)을 구비한다. 또한, 끼움홀(541)의 내주면과 상기 카트리지 커버(500) 사이에는 상기 노출방지캡(54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기밀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 커버(500)의 외주면의 외부 마감 도금손상 방지 및 정확한 밀착고정을 위하여 오링과 같은 밀착부재(5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 혼합수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커버(500)와 고정너트(530)와 혼합수전 조절레버(260)에 의하여 조립되는데 이러한 세부적인 조립과정을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카트리지 삽입구(240)에 혼합수전 카트리지(100)를 삽입한 후에는, 도 11에서 마감커버(600)와 혼합수전 본체(200)를 혼합수전 본체 피스결합부(260)에 결합피스(262)를 사용하여 마감커버(600)와 혼합수전 본체(200)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커버(500)를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의 나사결합부(250)를 따라 나사결합하여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와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카트리지 커버(500)에 고정너트(530)를 나사결합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너트(530)는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의 상측을 하방으로 지지하는데, 상기 고정너트(530)가 상기 카트리지 커버(500)와 나사체결하여 하측으로 조여질수록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 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서 견고하게 결합되어,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와 유로변경 플레이트(300), 혼합수전 본체(200) 사이를 설치되는 기밀패킹(310),(320)을 압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100)가 상기 혼합수전 본체(200)에서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혼합수유출구(230)에는 상기 냉수유입구(210)에 삽입결합하는 제1기밀부재(415)와 냉수공급배관(432)과 마찬가지로 혼합수배관(610)을 포함한 구성이 삽입체결되는데, 이때 혼합수유출구(230)에 결합하는 세부적인 구성은 냉수유입구(210)에 결합하는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41,642,643은 오링, 와셔, 그랩링이며, 630은 혼합수배관 조임너트, 520은 슬리브, 610은 혼합수공급배관을 나타낸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수전이 벽체 매립형 수전함(800)과 마감커버(600)와 함께 조립되고 벽체 매립형 수전을 조립 완성하여 벽체(1)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들은 벽체(1)에 매립설치되는 벽체 매립수전함(800)의 내부에서 혼합수전 본체(200)의 냉수,온수 및 혼합수 입출구(210,220,230)의 냉,온수 및 혼합수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1냉수배관엘보우(432)와 제2냉수배관엘보우(442)를 이용하여 결합된 것을 도시 하였으며, 제1냉수배관엘보우(432)와 제2냉수배관엘보우(442)의 타단에는 합성고무소재와 연질관 소재의 파이프의 배관용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냉,온수 플렉시블관(431,441)이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방식은 공지의 연질관 파이프의 PB 그립링 결합방식 및 현재 사용되는 여러방식의 결합방식에 맞추어 혼합수전 본체(200)와 제1냉수배관엘보우(432)와 제2냉수배관엘보우(442)를 제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수전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는 혼합수전 카트리지(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나, 이외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유로를 갖고 있는 구성이라면 도 16에 나타탄 바와 같이 전환레버(700) 등에도 모두 적용가능하다.
한편, 미설명부호 511은 손잡이, 620은 조절레버 삽입구, 630은 토수구 삽입구, 260은 혼합수전 본체 피스 결합부(결합피스), 261은 레버손잡이, 700은 전환레버 카트리지, 720은 전환레버 손잡이, 710은 전환레버 본체, 610, 733은 혼합수 결합관, 630은 조임너트, 731은 전환레버/샤워헤드 결합엘보우, 732는 전환레버/토수구 결합엘보우, 734는 토수구 결합엘보우, 810 벽체 매립수전함 속커버, 820냉수 인입 연결부, 830온수 인입 연결부, 2 샤워헤드, 551은 혼합수전 조절레버 손잡이, 500은 카트리지 고정넛트 암나사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혼합수전 카트리지 200... 혼합수전 본체
210... 냉수유입구 220... 온수유입구
230... 혼합수 유출구 270.... 온수 유로부
271... 제1냉수유로 272... 제2냉수유로
273... 제3냉수유로 280... 냉수 유로부
281... 제1온수유로 282... 제2온수유로
283... 제3온수유로 300... 유로변경 플레이트
500... 카트리지 커버 530... 고정너트
540... 노출방지캡

Claims (9)

  1. 하부에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구,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구, 및 내부에서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의 혼합비율이 조절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혼합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혼합수전 카트리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상부는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냉수공급배관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냉수유입구, 온수공급배관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온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혼합수구와 연통되어 상기 혼합수가 유출되는 혼합수유출구가 형성되는 혼합수전 본체; 및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와 상기 혼합수전 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구, 상기 온수구 및 상기 혼합수구가 각각 삽입되어 끼워지는 냉수홀, 온수홀 및 혼합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유로 변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유입구의 중심 및 상기 온수유입구의 중심은 상기 냉수구의 중심, 상기 온수구의 중심 및 상기 혼합수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원 영역의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투영 영역으로부터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수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수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 내에서 상방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1냉수 유로, 상기 제1냉수 유로로부터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2냉수 유로, 및 상기 제2냉수 유로로부터 상방을 따라 상기 냉수홀로 이동하는 제3냉수 유로를 구비하는 냉수 유로부를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이동하고,
    상기 온수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온수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 내에서 상방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1온수 유로, 상기 제1온수 유로로부터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2온수 유로, 및 상기 제2온수 유로로부터 상방을 따라 상기 온수홀로 이동하는 제3온수 유로를 구비하는 온수 유로부를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혼합수전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냉수유로는, 상기 냉수공급배관의 상방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냉수배관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냉수유로는, 상기 온수공급배관의 상방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온수배관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혼합수전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수유입구는,
    상기 냉수공급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냉수유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냉수배관체결부와 결합하는 냉수배관 조임너트와, 상기 냉수배관 조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냉수배관 조임너트와 상기 냉수공급배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1기밀부재를 포함하는 냉수배관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유입구는,
    상기 온수공급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온수유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온수배관체결부와 결합하는 온수배관 조임너트와, 상기 온수배관 조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온수배관 조임너트와 상기 온수공급배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2기밀부재를 포함하는 온수배관 연결구가 구비되는 혼합수전의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상면과,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 하면 사이에는 제1기밀패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기밀패킹은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의 상기 냉수홀, 상기 온수홀 및 상기 혼합수홀 각각을 구분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제1 내지 제3기밀홀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혼합수전의 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의 하면 사이에는 제2기밀패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기밀패킹은 상기 유로변경 플레이트의 상기 냉수홀, 상기 온수홀 및 상기 혼합수홀 각각을 구분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제4 내지 제6기밀홀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혼합수전의 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상기 냉수유입구와 상기 온수유입구의 단면적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의 상기 냉수구, 상기 온수구 및 상기 혼합수구의 단면적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냉수구, 상기 온수구 및 상기 혼합수구의 중심을 연결하면 정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혼합수전의 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전의 구조는 전환레버에 적용되는 혼합수전의 구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삽입홀로 상기 혼합수전 본체 상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결합부와 결합하는 제1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노출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상면을 하방으로 접촉지지하고, 제2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홀로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가 삽입되며, 상기 제2삽입홀의 내주면에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커버와,
    제3삽입홀로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의 상부가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제3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혼합수전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혼합수전의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수전 본체의 상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혼합수전 마감커버와,
    상기 혼합수전 마감커버와 상기 혼합수전 본체에 관통체결되어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혼합수전 본체를 서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끼움홀로 상기 카트리지 커버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노출되는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노출을 방지하는 노출방지캡과,
    상기 끼움홀의 내주면과 상기 카트리지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혼합수전의 구조.
KR1020100066894A 2010-07-12 2010-07-12 혼합수전의 구조 KR101112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894A KR101112616B1 (ko) 2010-07-12 2010-07-12 혼합수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894A KR101112616B1 (ko) 2010-07-12 2010-07-12 혼합수전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61A true KR20120006261A (ko) 2012-01-18
KR101112616B1 KR101112616B1 (ko) 2012-02-15

Family

ID=4561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894A KR101112616B1 (ko) 2010-07-12 2010-07-12 혼합수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6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07714U (en) 1994-12-21 2000-10-01 Ntc Industry Co Ltd Automatic mixing faucet
JP3708848B2 (ja) 2001-07-19 2005-10-19 株式会社Inax 化粧カバー付水栓
JP4879044B2 (ja) 2007-02-28 2012-02-15 株式会社Lixil 水栓装置
KR100857250B1 (ko) 2007-04-23 2008-09-08 이재춘 조립형 수전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616B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264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ucet.
US7819137B2 (en) Valve mounting assembly
US10767352B2 (en) Hybrid faucet assembly and water way for same
CA3081699C (en) Valve cartridge housing assembly
KR101102126B1 (ko) 플라스틱 수도꼭지
KR20140115026A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KR101112616B1 (ko) 혼합수전의 구조
KR101122661B1 (ko) 수전장치
KR20170056819A (ko) 냉온수혼합 수전 및 그 생산방법
KR20190056651A (ko)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KR20190033155A (ko) 사출 수전금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856380B1 (ko) 수전 금구
KR102160882B1 (ko) 수전금구
CN111022706A (zh) 多功能浴室控制盒及卫浴系统
KR20100042950A (ko)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TWI395898B (zh) Integral molding of the faucet module
CN220396654U (zh) 一种侧开单功能龙头结构及龙头
KR100416382B1 (ko) 다용도 코크
KR200440774Y1 (ko) 배관 분기용 연결구
CA2681259C (en) Valve mounting assembly
KR101080121B1 (ko)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CN106122523A (zh) 一种侧分水式浴缸龙头
CN204004585U (zh) 水龙头组件
JP2019203320A (ja) 配管構造
KR200478098Y1 (ko) 지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