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217U -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 Google Patents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217U
KR20120006217U KR2020110001663U KR20110001663U KR20120006217U KR 20120006217 U KR20120006217 U KR 20120006217U KR 2020110001663 U KR2020110001663 U KR 2020110001663U KR 20110001663 U KR20110001663 U KR 20110001663U KR 20120006217 U KR20120006217 U KR 201200062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d
size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최명환
김잉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기
김잉길
최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김잉길, 최명환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2020110001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217U/ko
Publication of KR20120006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6Mattress under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는, 침대의 매트리스를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침대의 받침판이 간격조절용 판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침대의 사이즈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싱글사이즈, 슈퍼싱글사이즈, 더블사이즈, 퀸사이즈, 킹사이즈 등으로 침대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의 외측으로 측판과 후드를 간편하게 교체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측판과 후드를 사용하여 미적 심미감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침대의 분해시 받침판이 다수로 분리되게 되어 부피와 무게가 가볍게 되어 이동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받침판이 사출에 의해 제조되므로 그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인력이 절감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 A bad have self assembly type supporting plate }
본 고안은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침대의 매트리스를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침대의 받침판이 간격조절용 판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침대의 사이즈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싱글사이즈, 슈퍼싱글사이즈, 더블사이즈, 퀸사이즈, 킹사이즈 등으로 침대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의 외측으로 측판과 후드를 간편하게 교체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측판과 후드를 사용하여 미적 심미감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침대의 분해시 받침판이 다수로 분리되게 되어 부피와 무게가 가볍게 되어 이동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받침판이 사출에 의해 제조되므로 그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인력이 절감되게 되는 것이 가능한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침대에 매트리스를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트리스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의 목재 또는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등으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받침판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침대(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2)를 받치는 받침판(1)이 목재 또는 MDF등으로 형성되어 침대의 규격에 따라 정해진 사이즈로 제작되므로 사이즈 변경이 불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상기 받침판(1)이 목재 또는 MDF 등으로 제조되므로 습기, 곰팡이 또는 벌레등에 의해 쉽게 훼손되어 장기간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받침판(1)의 사이즈가 매트리스(2)의 사이즈와 동일하게 싱글사이즈, 슈퍼싱글사이즈, 더블사이즈, 퀸사이즈, 킹사이즈로 정해진 규격에 맞게 제조되므로 그 크기와 부피가 커지게 되어 침대의 이동이 매우 불편하게 되고, 받침판(1)이 목재 또는 MDF등을 가공하여 제조하여야 하므로 고가의 제조비용과 제조인력이 소모되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의 매트리스를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침대의 받침판이 간격조절용 판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침대의 사이즈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싱글사이즈, 슈퍼싱글사이즈, 더블사이즈, 퀸사이즈, 킹사이즈 등으로 침대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의 외측으로 측판과 후드를 간편하게 교체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측판과 후드를 사용하여 미적 심미감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침대의 분해시 받침판이 다수로 분리되게 되어 부피와 무게가 가볍게 되어 이동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받침판이 사출에 의해 제조되므로 그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인력이 절감되게 되는 것이 가능한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전면에 측판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부에 덮개판이 고정되고 하부에 받침목이 끼워져 고정되어 간격조절용 판재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된 다수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측면에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단부가 헤드의 전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된 측판과, 상기 받침판의 전면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 후드와,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는, 침대의 매트리스를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침대의 받침판이 간격조절용 판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침대의 사이즈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싱글사이즈, 슈퍼싱글사이즈, 더블사이즈, 퀸사이즈, 킹사이즈 등으로 침대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의 외측으로 측판과 후드를 간편하게 교체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측판과 후드를 사용하여 미적 심미감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침대의 분해시 받침판이 다수로 분리되게 되어 부피와 무게가 가볍게 되어 이동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받침판이 사출에 의해 제조되므로 그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인력이 절감되게 되는 것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간격조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대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A)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측판(30)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는 헤드(10)와, 상기 헤드(10)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부에 덮개판(25)이 고정되고 하부에 받침목(27)이 끼워져 고정되어 간격조절용 판재(26)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된 다수의 받침판(20)과, 상기 받침판(20)의 측면에 끼워져 일측단부가 헤드(10)의 전면에 고정수단(321)에 의해 고정설치된 측판(30)과, 상기 받침판(20)의 전면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 후드(40)와, 상기 받침판(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5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10)는, 판재로 형성되어 전면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며 측판(30)의 일측단부가 나사못과 같은 고정수단(321)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상기 받침판(20)은, 상부에 덮개판(25)이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251)에 의해 고정되도록 내측의 격자형상의 지지벽(21)의 사방에 나사못 고정홈(22)이 형성되고, 외측면 4면에 간격조절용 판재(26)와 측판(30) 및 후드(4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끼움고정홈(23)이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받침목(27)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받침목 고정홈(24)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20)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격자형상의 지지벽(2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벽(21) 사이에는 다수의 중공형태의 홈(211)이 형성되므로 강도는 보강되고 중량은 가볍게 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받침판(2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벽(21)이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허니보드형상의 다양한 지지벽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고 할 것이다.
상기 덮개판(25)은, 합성수지, MDF, 원목, 레자 및 가죽 등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미적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받침판(20)의 상부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덮개판(25)이 고정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침대의 제조단가와 디자인을 고려해 상기 덮개판(25)을 제외하여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간격조절용 판재(26)는, 목재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20)의 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판(20)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고정홈(23)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인접한 다른 받침판(20)과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간격조절용 판재(26)는, 받침판(20)의 간격을 싱글사이즈, 슈퍼싱글사이즈, 더블사이즈, 퀸사이즈, 킹사이즈 등으로 이격시켜 조정할 수 있도록 각 사이즈에 해당하는 다양한 넓이의 간격조절용 판재(26)가 사용된다.
상기 받침목(27)은, 목재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20)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목 고정홈(24)에 끼워진 후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241)에 의해 상기 받침목 고정홈(24) 상에 고정설치되어 받침판(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따른 침대(A)는 받침판(20)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목 고정홈(24)에 받침목(27)을 끼워 고정함으로서 침대를 바닥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배치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A)의 이동이 간편하도록 받침판(20)의 저면에 캐스터 등의 바퀴(28)가 고정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측판(30)은, 판재로 형성되어 외측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받침판(20)의 끼움고정홈(23)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끼움고정부(31)가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ㄱ'자 형상의 측판고정대(32)가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321)에 의해 고정된 후 헤드(10)의 전면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측판(30)은 내측의 끼움고정부(31)가 받침판(20)의 외측에 형성된 끼움고정홈(23)에 삽탈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되므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측판(30)으로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후드(40)는, 판재로 형성되어 외측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받침판(20)의 끼움고정홈(23)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끼움고정부(4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A)는, 상부에 덮개판(25)이 덮혀져 고정된 다수의 받침판(20)을 인접하게 배치시킨 후 상기 받침판(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고정홈(23) 내에 싱글사이즈, 슈퍼싱글사이즈, 더블사이즈, 퀸사이즈, 킹사이즈 중 원하는 사이즈의 간격조절용 판재(26)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받침판(20)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목 고정홈(24) 내에 받침목(27)을 끼워넣은 후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271)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면 다수의 받침판(20)이 고정설치된다. 이후 받침판(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고정홈(23) 내에 측판(30)과 후드(40)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고정부(31,41)를 이용하여 받침판(20)의 외측면에 측판(30)과 후드(40)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측판(30)의 일측단부에 고정설치된 'ㄱ'자 형상의 측판고정대(32)를 나사못등의 고정수단(321)을 이용하여 헤드(10)의 전면에 고정하고 받침판(20) 상부에 매트리스(50)를 배치하게 되면 원하는 사이즈의 침대가 완성되므로 침대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20)의 외측으로 측판(30)과 후드(40)를 용이하게 교체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측판(30)과 후드(40)를 사용하여 미적 심미감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20)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침대의 분해시 받침판(20)이 다수로 분리되게 되어 부피와 무게가 가볍게 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받침판(20)이 사출에 의해 제조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인력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는 일반 침대 제조공장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10. 헤드 20. 받침판
30. 측판 40. 후드
50. 매트리스

Claims (2)

  1.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A)에 있어서,
    상기 침대(A)는, 전면에 측판(30)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는 헤드(10)와,
    상기 헤드(10)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부에 덮개판(25)이 고정되고 하부에 받침목(27)이 끼워져 고정되어 간격조절용 판재(26)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된 다수의 받침판(20)과,
    상기 받침판(20)의 측면에 끼워져 일측단부가 헤드(10)의 전면에 고정수단(321)에 의해 고정설치된 측판(30)과,
    상기 받침판(20)의 전면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 후드(40)와,
    상기 받침판(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은, 상부에 덮개판(25)이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251)에 의해 고정되도록 내측의 격자형상의 지지벽(21)의 사방에 나사못 고정홈(211)이 형성되고, 외측면 4면에 간격조절용 판재(26)와 측판(30) 및 후드(4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끼움고정홈(23)이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받침목(27)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받침목 고정홈(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KR2020110001663U 2011-02-28 2011-02-28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KR201200062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63U KR20120006217U (ko) 2011-02-28 2011-02-28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63U KR20120006217U (ko) 2011-02-28 2011-02-28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17U true KR20120006217U (ko) 2012-09-05

Family

ID=5368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663U KR20120006217U (ko) 2011-02-28 2011-02-28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21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88B1 (ko) * 2013-05-09 2015-06-05 김종기 폭 조절이 가능한 침대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88B1 (ko) * 2013-05-09 2015-06-05 김종기 폭 조절이 가능한 침대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307U (ja) プラスチックパレット成形用型のスライドブロックモジュール
KR101263735B1 (ko) 우물 천장의 경량틀 구조
USD679664S1 (en) Control panel
KR20120006217U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판이 구비된 침대
CN203102831U (zh) 一种木吉他鼓身的上部
KR101525988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침대프레임
USD614429S1 (en) Marble style foam mat
KR2011000775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패널
KR200468887Y1 (ko) 조립식 진열장
KR101449946B1 (ko) 헤드보드 변환 침대
KR100875542B1 (ko) 조립형침대
CN204160598U (zh) 椅框活动组立机
KR101232740B1 (ko)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KR20190000011U (ko) 침대용 온열 깔판
CN205553029U (zh) Eps泡沫塑料模具及其模芯
KR100618193B1 (ko) 용마루기와 성형용 금형
CN102975871B (zh) 航天用餐盘
KR20130000053A (ko) 다용도 조립식 받침판
KR101252562B1 (ko) 가구의 기둥 및 그 기둥을 구비한 탁자
USD624000S1 (en) Set of tower supports
KR200453099Y1 (ko) 조립식 침대
USD690981S1 (en) Bed slat
CN103042635B (zh) 用于led封装注塑模具的模块化成型模芯
KR20140035587A (ko) 바닥 패널과 서포트 결합구조
KR101776200B1 (ko)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