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954A -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954A
KR20120005954A KR1020110064660A KR20110064660A KR20120005954A KR 20120005954 A KR20120005954 A KR 20120005954A KR 1020110064660 A KR1020110064660 A KR 1020110064660A KR 20110064660 A KR20110064660 A KR 20110064660A KR 20120005954 A KR20120005954 A KR 20120005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uni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2000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시물, 홍보물 등을 전자종이를 포함한 전자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서버로부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표시부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부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displaying using electron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게시물, 홍보물, 안내판 등의 형태로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종이 등의 전자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탈로그, 홍보물, 명함 등과 옷, 가방, 소지품, 물건 등에 새기거나 부착된 도안, 라벨 등은 일단 타인 또는 소비자에게 배포되거나 전달된 후, 그리고 벽, 구조물, 차량의 안팎 등에 부착된 게시물, 간판, 광고판, 안내판 등의 부착 후 그 내용을 변경시킬 수 없으며, 내용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기록물을 다시 제작하여 직접 전달하거나 교체, 재부착 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번거로움, 경제적 부담, 종이 등의 자원 낭비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안팎에 부착된 광고판, 안내판, 게시물 등이 항상 동일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대신 차량의 현 위치에 기반한 정보와 광고를 제공한다면 차량 이용객과 차량 주변의 사람들은 해당 지역과 관련한 보다 유익한 정보와 광고를 접할 수 있게 되고, 광고효과도 높아져 광고주 등에도 이익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종이와 같은 전자적 디스플레이로 광고판, 안내판, 게시물, 간판, 카탈로그, 홍보물 등과 옷, 가방, 소지품, 물건 등에 부착되는 도안, 라벨 등을 제작하고 거기에 표시되는 내용을 유무선망을 통해 원격으로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 내외에 부착된 광고판, 안내판, 게시물 등을 전자종이와 같은 전자적 디스플레이로 제작하고 측위 장치를 이용해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 제공과 광고 표출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서버로부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표시부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부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리드된 콘텐츠를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표시 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측위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는 단계, 상기 리드된 콘텐츠를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게시물, 간판, 광고판, 안내판 등의 부착 후에도, 그 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어 이들의 재제작, 전달, 교체, 재부착에 따른 번거로움,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차량 안팎에 부착된 광고판, 안내판, 게시물 등이 차량의 현 위치에 기반한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유동적으로 콘텐츠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콘텐츠 관리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연결된다.
콘텐츠 관리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될 콘텐츠를 관리한다.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콘텐츠가 운용자 등에 의해 입력 또는 변경되면 해당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02), 통신부(104), 메모리부(106) 및 전자종이 등의 표시부(108a, 108b)를 포함한다.
통신부(104)는 콘텐츠 관리 서버(300)로부터 표시부(108a, 108b)에서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를 수신한다.
메모리부(106)는 통신부(104)를 통해 수신된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6)는 디스플레이할 표시부(108a, 108b)가 복수인 경우 각 표시부에 따른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02)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부(108a, 108b)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08a, 108b)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표시부(108a, 108b)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1단계에서 관리서버(300)로부터 표시부(108a, 108b)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콘텐츠를 22단계에서 메모리부(106)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23단계에서 표시부(108a, 108b)에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관리서버와 통신부 없이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를 메모리부(106)에 기 저장하여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리드(read)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102), 메모리부(106), 표시부(108a, 108b) 및 측위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체에 탑재되거나 그 자체로 이동이 가능한 장치이다.
측위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존재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측위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106)는 상기 측위부(110)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또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전자종이 등의 표시부(108a, 108b)가 복수인 경우 각 표시부에 따른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02)는 상기 측위부(110)로부터 수집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메모리부(106)에 기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부(108a, 108b)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08a 108b)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표시부(108a, 108b)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1단계에서 측위부(110)에서 수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2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의 변경이 요구되는지를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의 변경이 요구되면 상기 메모리부(106)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에 따른 새로운 콘텐츠를 43단계에서 표시부(108a, 108b)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제공할 콘텐츠를 관리하고 제공한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02), 통신부(104), 메모리부(106), 표시부(108a, 108b) 및 측위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체에 탑재되거나 그 자체로 이동이 가능한 장치이다.
측위부(110)는 디스플레이 자치가(100)가 존재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측위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측위부(110)에서 수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콘텐츠 관리서버(300)와 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연결된다.
통신부(104)는 측위부(110)에서 수집된 위치정보를 콘텐츠 관리 서버(300)에 송신한다. 통신부(104)는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300)로부터 위치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한다.
메모리부(106)는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6)는 디스플레이 할 표시부(108a, 108b)가 복수인 경우 각 표시부에 따른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02)는 상기 측위부(110)로부터 수집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콘텐츠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표시부(108a, 108b)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08a 108b)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표시부(108a, 108b)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측위부(110)를 통해 61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한 곳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집된 위치정보를 62단계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300)에 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300)로부터 6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64단계에서 메모리부(106)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콘텐츠를 65단계에서 표시부(108a, 108b)에서 디스플레이 한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체에 탑재되거나 그 자체로 이동이 가능한 장치이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위치에 따라 제공할 콘텐츠를 관리하고 제공한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이 가능하고 각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 변경이 필요한 경우, 변경된 콘텐츠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측위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존재하는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측위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02), 통신부(104), 메모리부(106), 표시부(108a, 108b) 및 측위부(110)를 포함한다.
통신부(104)는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300)로부터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를 수신한다.
메모리부(106)는 통신부(104)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6)는 디스플레이 할 표시부(108a, 108b)가 복수인 경우 각 표시부에 따른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02)는 상기 측위부(110)로부터 수집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부(108a, 108b)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08a, 108b)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표시부(108a, 108b)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는 71단계에서 관리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위치에 따라 표시부(108a, 108b)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72단계에서 메모리부(106)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측위부(110)에서 수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한 위치정보를 73단계에서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74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의 변경이 요구되는지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의 변경이 요구되면 상기 메모리부(106)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에 따른 새로운 콘텐츠를 75단계에서 표시부(108a, 108b)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콘텐츠 관리서버로부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표시부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부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2.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리드된 콘텐츠를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3.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4. 콘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측위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는 단계;
    상기 리드된 콘텐츠를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10064660A 2010-07-09 2011-06-30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05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6298 2010-07-09
KR1020100066298 2010-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54A true KR20120005954A (ko) 2012-01-17

Family

ID=4561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660A KR20120005954A (ko) 2010-07-09 2011-06-30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9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1906B (zh) 智能标识系统应用中使用的rfid/nfc板和/或阵列及其使用方法
AU2005201205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elevators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81462B1 (ko)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CN202034001U (zh) 智能互动多媒体信息终端
JP200603088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58097A (ko)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US20080294521A1 (en) Multilanguage Self-Contained Unmanaged Database-Driven Real Time Digital Advertising Display System
KR20120005954A (ko) 전자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EP2204767A1 (en) Electronic display medium and electronic display system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658140A (zh) 对价格统一控制的系统及方法
JP5288358B2 (ja) 壁掛け型デジタ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40010456A (ko) 버스광고시스템
KR20100058008A (ko) 현수막 대체 전광판 광고 시스템 및 이의 광고방법
KR20140107719A (ko) 버스용 전자 포스터 시스템 및 방법
KR101016380B1 (ko) 전자 게시대 시스템
KR200457957Y1 (ko) 벽걸이형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2446A (ko) 정보기록부를 구비하는 홍보, 안내, 행사, 전시, 계몽, 정보전달, 건의, 긴급구조, 표시, 미화용 광고 및 안내 사인 물
Scott et al. E-paper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ystem
JP6648969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それを用いる電子クーポンの配布回収システム
JP3240922U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JP200612006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登録装置
KR102308732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20190092064A (ko) 전면 광고판을 매개로 하는 상점의 이익창출 및 관리 운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