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097A -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097A
KR20130058097A KR1020110123921A KR20110123921A KR20130058097A KR 20130058097 A KR20130058097 A KR 20130058097A KR 1020110123921 A KR1020110123921 A KR 1020110123921A KR 20110123921 A KR20110123921 A KR 20110123921A KR 20130058097 A KR20130058097 A KR 20130058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 phone
information terminal
digital information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배
Original Assignee
성기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배 filed Critical 성기배
Priority to KR102011012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8097A/ko
Publication of KR2013005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트래픽량이 최소가 되도록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서,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Smart Infomation System Using Digital Infomation Terminal and Smart Phone}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트래픽량이 최소가 되도록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서,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 디스플레이와 플라즈마 TV 산업이 발전됨에 따라 이들 표시수단들의 가격이 내려가고, 정보 환경이 급변하고 도시 중심의 사회 활동으로 현대인의 생활 패턴이 변화되면서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과 체육관, 도서관, 주민센터 등의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상기한 표시수단들을 공공의 장소에 설치하여 정보 제공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장치, 예를 들면 키오스크 등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키오스크(Kiosk)는 정보 서비스나 업무의 자동화를 위해 만들어진 소형 장치로서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버튼 방식이 혹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수단과 상기한 표시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인 정보 단말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쇼핑몰 등에서 정보를 제공하거나, 쇼와 영화의 정보제공용 및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고속철도 승차권 발매기, 주민등록 등본, 초본, 토지대장과 같은 민원서류 출력용 키오스크 등과 같이 생활과 밀접한 분야로 활용 범위가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키오스크는 지속적으로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서 특정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한해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일부는 지속적으로 오프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서 온(ON)명령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동작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 온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오프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가 용이하지 않아서 키오스크가 갖는 정보전달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지속적으로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전력낭비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었다고 하더라도 그 정보를 계속해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를 출력수단으로 출력하거나, 종이에 메모하거나 기억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출력수단이 없거나 종이가 없거나 기억을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정보를 이용하지 못하게되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종이에 출력하는 경우 관리 비용의 증가와 관리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종이에 출력하는 방법은 동영상, 음성파일, 영상 파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무선 통신 서비스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 모든 분야에서 스마트폰과 연계된 정보 혁명이 일어나고 있으며,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공공 정보와 관광 정보 안내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정보 단말기에도 과거의 종이 또는 무인 정보 단말기의 표시수단의 화면 상에 정보를 출력하는 방식과 달리 무인 정보 시스템과 스마트폰을 연동한 멀티미디어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한 정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무인 디지털 정보 단말기의 정보 안내 수단으로 스마트폰을 연동함으로서, 종래에 달성하지 못한 음성, 영상, 동영상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정보와 HTML 형식의 구조화된 모바일 웹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해당 무인 디지털 정보 단말기로부터 원격지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들이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광고와 공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공공 시설이나 대중 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단순히 무인 디지털 정보 단말기가 제공하는 광고와 공공 정보를 소비하거나 디지털 정보 단말기가 제공하는 화면 출력 형태의 정보를 검색하고 확인하는 단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정보 단말기가 제공하는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가 활용함으로써 정보의 사용 주체가 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반 사용자가 디지털 정보 단말기의 광고나 정보를 주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기술적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단순히 광고와 공공 정보를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통해 수용적 입장에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와 공공 정보가 제공하는 다양한 능동적으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수용적 관계에서 벗어나 참여적 관계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정보 안내 시스템 구축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컨텐츠 전송 방식의 구현이 기존 디지털 정보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다 진보된 수익 창출의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언급한 시스템은 모바일 컨텐츠 판매를 위한 키오스크 구축이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효과적인 정보 전달과 활용에 기초하여 진보된 스마트 정보 서비스의 제공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공 장소에서 광고와 공공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 일반 사용자가 무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스마트 정보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한 정보 전달 방식을 통하여 새로운 정보 안내 시스템을 구현함에 목적이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정보 전달 요소의 활용과 복합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무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와 공공 정보의 이벤트 참여 및 즉석 쿠폰 제공 시스템이다. 휴대전화의 일반화와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종래의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통해 홍보와 고객 참여 방식은 점차 사용자의 관심이 줄어 들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단순한 이벤트 참여 방식과 전자우편 주소와 전화번호 입력을 통한 이벤트 응모는 즉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참여자의 관심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유선 인터넷과 4G 이동통신과 같은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벤트 서버와 실시간 연동을 통해 이벤트 참여와 당첨 확인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활용한 실시간 이벤트 참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디지털 정보 단말기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광고와 공공 기관의 이벤트에 참여하도록 유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무인 정보 시스템과 스마트폰이 상호 연동하여 실시간 이벤트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정보 단말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검색한 정보를 프린터로 출력하거나 메모장에 수기로 적거나 암기해야 하기 때문에, 획득한 정보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물론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검색할 수 있으나 필요한 정보만을 얻기에는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부족하고 검색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단말기에서 스마트폰으로 정보 전달 방식은 일반 사용자가 누구나가 쉽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스마트폰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다. 디지털 정보 단말기는 단말기의 공간과 위치 특성에 맞는 컨텐츠를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광지에서는 관광지와 관계된 지도 정보와 관광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교통 시설에서는 교통 시설과 관계된 안내 정보와 버스나 기차로 이동 중에 이용할 수 있는 음악과 도서, 매거진과 같은 유료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단말기가 스마트폰 컨텐츠 제공 기능을 함으로써, 상기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소와 더불어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유인하고자 한다.
넷째, 모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사용성 개선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터치스크린을 통해 정보검색이 어려운 사용자나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사용자가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서버(200)와 인터넷망을 통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인접한 스마트폰과 통신을 담당하는 유무선네트워크(160),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120),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130), 터치스크린(110), 음성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사운드입출력부(150)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 QR코드, NFC, URL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으로 가공된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 스마트폰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컨텐츠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장치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정보 안내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110) 또는 모션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요청을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받고자 하는 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유무선네트워크를 제어하여 QR코드, NFC, URL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으로 가공된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에 있다.
한편, 상기에서 모션센서(120)로부터 특정 움직임에 대한 신호 입력이 있거나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을 경우 제어부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10) 상에 사용자가 광고를 포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공공 장소에서 다양하고 많은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광고와 공공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사용자간의 정보 활용의 이용 및 보관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단말기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터치 스크린과 모션 센서를 통해 광고와 홍보로 진행하는 이벤트에 참여하고 참여 결과를 즉시 스크린과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당첨 결과로 제공되는 모바일 쿠폰이나 모바일 컨텐츠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단방향적이고 수동적인 광고 방식에서 탈피하여 광고 대상자가 상호 대화형으로 참여 방식으로 광고나 홍보의 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단말기는 그 장비가 설치된 공공 장소에서, 공공 기관의 정보 제공과 기업의 광고 매체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공공 시설 위치 안내, 교통 정보 안내, 관광 정보 안내 등의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공공 정보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주는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보다 밀접하게 광고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노출 형태의 방식보다 광고 효과에 만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 정보 단말기 운영자는 효율적으로 광고를 수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 공공 장소의 일반 사용자들은, 스마트 정보 안내 시스템을 통해서 주변의 공공 정보와 생활 정보, 그리고 관광 정보를 시스템의 스크린과 스마트폰을 통해 활용이 가능하며, 긴급 상황 시나 장애인의 경우에는 시스템에 제공된 영상 통화 서비스를 통해 해당 긴급 상황에 대한 도움과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 정보 안내 시스템을 활용하는 사용자들은, 시스템에서 검색한 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하고자 할 때 QR코드나 NFC 태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정보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정보 단말기의 정보 활용을 기존 방식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광고나 홍보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와 다양한 문화 및 생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직접 제공 받을 수 있고, 디지털 정보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스마트폰용 컨텐츠를 QR코드와 NFC 기능을 통한 모바일 결제를 통해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정보를 검색하고 노출된 광고를 수용하기만 했던 사용자에게 정보 활용의 편리함과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단순한 정보 제공 수단이 아니라 문화적 공간의 사회적 인프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안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가 이벤트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가 지도 정보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가 교통 정보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가 스마트폰 모바일 컨텐츠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가 긴급 영상 통화 및 장애인용 영상통화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살펴본다.
우선 공공장소는 지하철, 철도역, 버스 정류장, 고속버스 터미널, 공항, 여객선 터미널과 같은 교통시설과, 백화점과 아울렛과 같은 다수의 점포가 입점되어 있는 쇼핑몰, 행정 업무를 제공하는 공공 기관, 은행과 증권사와 같은 금융 기관, 다수의 기업이 입점되어 있는 사무용 빌딩, 관광지 등과 같은 물리적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QR코드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며 명칭은 일본 덴소웨이브의 등록상표 Quick Response에서 유래하였다. 종래에 많이 쓰이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보통 디지털 카메라나 전용 스캐너로 읽어들여 활용한다.활용 사례는 모든 산업(생산, 물류, 판매, 모바일 쿠폰 등)에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4cm(1inch)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단거리 무선 통신기술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106kbit/s에서 848kbit/s의 전송률로 동작한다. 사용자들은 NFC칩이 장착된 휴대폰을 통해 신용카드 결제, 티켓 예약 등은 물론 행사 포스터에 내장된 태그를 통해 공연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URL 등 간단한 정보에서부터 사진, 음악, 파일 등 다양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네트워크망을 형성하는 단말기들은 물리적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단말기들과 연결되며, 물리적으로 분리된 독립된 지역을, 본 발명에서는 일종의 “지역망”으로 용어를 정의하고, 다수의 지역망이 속한 공공 장소의 네트워크를 “광역망”으로 정의하며, 광역망에 속한 지역망들의 물리적으로 떨어진 거리는 수 km에서 수십 km 내지 수백 km에 이를 수 있다.
도 1인 본 발명의 전체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정보 안내 장치는 크게,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 컨텐츠 관리 서버(200), 스마트폰 컨텐츠 서버(300), 컨텐츠 결제 서버(400), 그리고 관리자 컴퓨터(500)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들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들은 지역망 내부에서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연결되어 인터넷 망을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200)와 연결되어 관리되며, 그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살펴본다.
우선, 상기한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는 서버(200)와 인터넷망을 통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인접한 스마트폰과 통신을 담당하는 유무선네트워크(160),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120),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130),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105), 터치스크린(110), 음성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사운드입출력부(150), NFC처리부(140)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어부(170)는 모션센서(120)로부터 특정 움직임에 대한 신호 입력이 있거나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을 경우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를 구동시켜 터치스크린(110)상에 사용자가 정보(광고 등)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10) 또는 모션센서(120)로부터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 동작에 대한 신호 입력이 있을 경우 해당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터치스크린(110)을 통해서 출력해주며,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받기를 희망하는 경우 유무선네트워크를 제어하여 스마트폰용으로 가공된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주게 되는데, 이때 전송되는데이터형태는 QR코드, NFC, URL 등으로 트래픽량이 최소가 되도록 스파트폰용으로 특정하게 가공된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한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트래픽이 최소가 되도록 전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용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201, 202, 20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광고와 공공 정보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 등이 기록되는 것으로 이들 정보는 해당 광역망과 지역망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추가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상기에서 스마트폰으로 가공된 데이터는, QR코드, NFC, URL 등이다.
또한,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스마트폰 컨텐츠 서버(300)와 스마트폰용 유료 컨텐츠의 결제를 관리하기 위해 QR코드와 MFC 기능을 이용한 결제를 제공하는 컨텐츠 결제 서버(400)와 연동하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컴퓨터(500)가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안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을 하기에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가 이벤트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일반인이 사용 중이지 않을 때 광고와 공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터치스크린을 사용 중일 때는 터치 입력을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 예로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이벤트 참여 요청에 대한 입력이 있을 경우, 이벤트 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제공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이벤트에 참여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면, 해당 이벤트의 당첨 여부에 대한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인접한 스마트폰으로 당첨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는 QR코드, NFC, URL 등의 데이터가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한 정보 제공의 예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가 지도 정보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급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지도 정보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해당 디지털 정보 단말기가 위치한 곳의 지도 정보인 경우, 상기 지도 정보에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가 표출되며, 표출된 위치 정보가 선택되고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QR코드를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여 QR코드 애플리케이션으로 인식하거나, NFC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으로 NFC 송수신 모듈에 접촉하면 선택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가 URL의 형태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되며,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통신을 통해서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NFC 기능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할 때 NFC 태그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긴급한 상황과 장애인이 사용 시 안내 센터의 담당자와 음성으로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기능을 사용하기 어려울 경우에 모션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서버(200)와 인터넷망을 통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인접한 스마트폰과 통신을 담당하는 유무선네트워크(160),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120),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130), 터치스크린(110), 음성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사운드입출력부(150)및, 상기 터치스크린(110) 또는 모션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요청을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받고자 하는 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유무선네트워크를 제어하여 QR코드, NFC, URL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으로 가공된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주는 제어부(170)로 구성되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
    QR코드, NFC, URL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으로 가공된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
    스마트폰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컨텐츠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0)는 모션센서(120)로부터 특정 움직임에 대한 신호 입력이 있거나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을 경우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터치스크린(110) 상에 사용자가 광고를 포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장치.
  3. 청구항 1항 또는 2항의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스크린(110) 또는 모션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요청을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받고자 하는 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유무선네트워크를 제어하여 QR코드, NFC, URL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으로 가공된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센서(120)로부터 특정 움직임에 대한 신호 입력이 있거나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을 경우 제어부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10) 상에 사용자가 광고를 포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KR1020110123921A 2011-11-25 2011-11-25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30058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921A KR20130058097A (ko) 2011-11-25 2011-11-25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921A KR20130058097A (ko) 2011-11-25 2011-11-25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097A true KR20130058097A (ko) 2013-06-04

Family

ID=4885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921A KR20130058097A (ko) 2011-11-25 2011-11-25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809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8808A1 (en) 2017-07-14 2019-01-16 Vsoft Spolka Akcyjna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and a web application running on a server
KR102050400B1 (ko) * 2019-06-11 2019-12-02 한국타피컴퓨터(주) Qr코드를 이용한 무인민원발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74795A (ko) 2019-12-12 2021-06-22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음성 단말 연동형 디지털 원격 서비스 단말기
KR20240046962A (ko) 2022-10-04 2024-04-12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IoT 기반의 홍보 및 이벤트 행사 실시간 정보 제공용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40057189A (ko)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빔 프로젝터 원격 제어용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8808A1 (en) 2017-07-14 2019-01-16 Vsoft Spolka Akcyjna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and a web application running on a server
KR102050400B1 (ko) * 2019-06-11 2019-12-02 한국타피컴퓨터(주) Qr코드를 이용한 무인민원발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74795A (ko) 2019-12-12 2021-06-22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음성 단말 연동형 디지털 원격 서비스 단말기
KR20240046962A (ko) 2022-10-04 2024-04-12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IoT 기반의 홍보 및 이벤트 행사 실시간 정보 제공용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40057189A (ko)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빔 프로젝터 원격 제어용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2950A1 (en)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stor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2860683A1 (en) User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system comprising same, and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thereof
CN101809980B (zh) 内容发布系统和方法
WO2006137285A1 (ja) 電子広告システム
KR201200191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쿠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6167232A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58097A (ko)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US9100456B2 (en) Waiting ticket operation system and method
JP5885334B2 (ja) 宣伝配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85813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19157B1 (ko) 통신사 서버와 연동하는 매장 서비스 앱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8721A (ko) 유에프아이디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JP201712590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5348432B2 (ja) 宣伝配信システム及び店舗側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9159676A (ja) 伝票管理システム及び伝票管理装置
US1175060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515702B1 (ko) Nfc를 이용한 sns 광고비 정산 장치 및 방법
JP2006065685A (ja) 地域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地域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6159749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4160480A (ja) 宣伝配信システム及び店舗側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12006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登録装置
JP2005051731A (ja) ブロードバンドitsに対応した車輌向け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US202300375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ass media commerce
KR20100085819A (ko) 전자 방명록 기반의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5204A (ko)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된 무인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