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953U - 높은 보안성을 갖는 락-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높은 보안성을 갖는 락-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953U
KR20120005953U KR2020120001092U KR20120001092U KR20120005953U KR 20120005953 U KR20120005953 U KR 20120005953U KR 2020120001092 U KR2020120001092 U KR 2020120001092U KR 20120001092 U KR20120001092 U KR 20120001092U KR 20120005953 U KR20120005953 U KR 201200059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frame
wing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간 캐빗
Original Assignee
칼레 키리트 디스 티카렛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레 키리트 디스 티카렛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칼레 키리트 디스 티카렛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05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53U/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프레임과 이 도어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 윙을 구비한 락-도어 구조가 개시된다. 이 도어-락 구조는 상기 도어 윙(11)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와, 클램프가 전자 락의 슬롯에 의해 수용되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락을 구비한다. 본 도어 구조는 바깥에서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위치되는 상기 전자 락(15)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와 통신하며 그리고 상기 도어 윙(11)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위치되는 ID 인식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높은 보안성을 갖는 락-도어 구조{A High Security Lock-Door Configuration}
본 고안은 높은 보안성을 갖는 락-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도어의 구조는 공지의 도어 프레임 구조의 경우에서와 같이 도어 윙(door wing)에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그만두게 하는데, 도어 윙 대신에 도어 프레임에 잠금장치를 위치시켜서, 외부로부터 악의로 비틀어 여는 것을 방지하며 그리고 도어 윙의 중량을 감소시켜서 잘 알려진 처짐 문제를 확실히 방지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도어 구조의 경우, 도어 잠금 기구는 전형적으로 도어 윙에 위치되는데, 잠금 기구를 작동시키는 실린더 락(실린더)의 일단은 도어의 잠금 및 열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도어의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구조는 두가지 주요한 문제가 있음이 알려졌다.
더 높은 보안성을 갖는 도어를 보장하기 위하여 최근에 더 자주 사용되는 잠금장치들은 슬라이딩 락(sliding lock) 뿐만 아니라 이에 추가하여 복수의 잠금 개소에 후크(hook)와 보안 락(security lock)을 구비한다. 후크형 락(hooked lock)과, 추가 슬라이딩 락 및 추가 보안 락이 존재함으로써 정면 쪽은 물론 윗면, 아래면 및 뒷면에서 도어 잠금이 보장되며, 따라서 높은 수준의 보안이 제공된다.
한편, 도어 윙에 다점(multi-point) 잠금을 허용하는 이 타입의 잠금락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도어 윙 내부에 연결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들에 있어서, 다점 잠금 장치는 무게가 20kg까지 추가로 나간다는 사실로 인해 도어 윙은 더 무겁고 더 부피가 커지는데, 도어 윙의 증가된 무게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어 윙의 처짐을 또한 야기한다. 일부의 경우에는, 주로 장시간에 걸쳐 무거운 도어 윙을 자주 열고 닫는 결과로서 도어 프레임에 도어 윙을 연결하는 힌지들이 고장(breakdown)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더욱이, 무겁고 부피가 큰 도어는 어린이들이나 노인들이 열거나 닫기에 더 큰 어려움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그 보안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문을 좀 더 경량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경우, 기계적인 키 사용이 제거되고 도어의 개폐 제어가 전기적인 잠금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예컨대 집으로부터 이사나가는 등으로)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 기계적인 키를 사용하는 종래의 잠금 시스템은 보안을 위하여 새로운 사용자에 의해 교체된다. 이는 새로운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조작기술을 요구하는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이다.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하는 락/도어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사용자가 기존의 암호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실제적이면서 비용이 들지 않는 방식으로 완전히 보안성 있는 잠금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언제든지 실제적으로 잠금 시스템의 암호를 변경할 수 있고 원할 때마다 시스템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락을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락의 일단은 사용자가 도어 윙에 위치된 락을 열고 닫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어의 바깥쪽,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위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어의 바깥면에 그러한 접근성을 보이는 것은 보안성 면에서 중요한 취약점을 반드시 생성한다. 도둑이 도어를 여는데 있어서 전체 도어 구조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실린더 락 그 자체이다. 예컨대, 도어는 마스터 키를 사용하거나, 실린더 락을 구부려서 부러뜨리거나 실린더 튜브의 구멍을 열거나 또는 어떤 식으로든 키에 접근함으로써 악의의 사람들에 의해 열려지는 것을 종종 알 수 있다. 따라서, 바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락의 존재는 보안성 면에서 중요한 취약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윙이 아닌 도어 프레임에 잠금 기구를 위치시킴으로써 도어 윙의 무게가 상당히 감소되는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타입의 도어 구조의 경우, 도어 윙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문 처짐 및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게로 인한 힌지 베어링의 파괴와 같은 문제는 물론 부피(bulkiness) 문제가 제거될 것이다. 또한, 도어 윙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도 도어의 개폐가 용이해 질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안성이 업그레이드되고 또한 원재료를 덜 사용함으로써 원가를 줄이는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깥쪽에서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도어 잠금 시스템을 구비한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키 사용을 그만둠으로써 강제로 락 기구를 열거나 (강제로 비틀어서) 도어를 여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인 키 사용을 제거하고 전자 락에 의해 제어 가능한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타입의 도어 구조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바뀌는 등의 경우에, 새 사용자는 간단히 락의 암호를 전자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완전히 보안성 있는 잠금 시스템을 획득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원할 때마다 실제적으로 잠금 시스템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도어 잠금 시스템을 구비한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 윙에 어떠한 걸쇠나 볼트 또는 후크를 구비하지 않고 따라서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이 부품들을 위치시킴으로써 레버(lever)를 사용하는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이 방지되는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 오프닝(opening)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도어 프레임과 힌지에 의해 상기 도어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 윙을 구비하는 도어 구조로서, 상기 도어 윙의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위치되며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도록 된 슬롯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도어 구조는 바깥에서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위치되는 상기 전자 락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와 통신하며 그리고 상기 도어 윙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위치되는 ID 확인수단을 구비한다. ID 확인수단은 키패드, 지문 리더기, ID카드 리더기 (예컨대 MIFARE 카드), ID/IB/TOM 키 리더기 일 수 있고 또는 원격제어될 수 있다. 윙에 위치되는 클램프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 구조를 가지며 락 스트라이커(lock striker) 내의 슬롯으로 들어가고, 락은 도어 프레임의 안쪽 부분에 남아 있기 때문에 바깥쪽으로부터의 침입에 대하여 방어가 보장된다.
본 고안의 도어 구조는 도어 윙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문 처짐 및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게로 인한 힌지 베어링의 파괴와 같은 문제는 물론 부피(bulkiness)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도어 윙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도 도어의 개폐가 용이해 질 것이다.
본 고안의 도어 구조는 바깥쪽에서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도어 잠금 시스템을 구비한 도어 구조를 제공하여, 키 사용을 그만둠으로써 강제로 락 기구를 열거나 (강제로 비틀어서) 도어를 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어 구조는 기계적인 키 사용을 제거하고 전자 락에 의해 제어 가능한 도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뀌는 등의 경우에, 새 사용자는 간단히 락의 암호를 전자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완전히 보안성있는 잠금 시스템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할 때마다 실제적으로 잠금 시스템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도어 잠금 시스템을 구비한 도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어 구조는 도어 윙에 어떠한 걸쇠나 볼트 또는 후크를 구비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이 부품들을 위치시킴으로써 레버(lever)를 사용하는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도시되는데, 이 도면들은 본 고안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에서 사용되는 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에서 사용되는 락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락의 앞쪽과 뒤쪽을 나타낸다.
도 4는 키패드로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버전(versio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지문 리더기로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버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ID 키 리더기로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버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원격제어 수신기로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버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ID 카드 리더기로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버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구성요소들은 (도면의 간단한 설명은 위에 기재함) 첨부도면의 부재번호들을 참조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사시도로서, 도어 프레임(10)의 도어 윙(11)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어 윙(11)에는 슬라이딩 락이나 후크같은 어떠한 잠금 부재 또는 잠금 기구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도어 윙에는 도어 프레임에 위치되는 락(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클램프만이 설치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클램프(12)는 락(15)에 위치된 슬롯(16)으로 들어가며 걸쇠(13)로 채워진다. 따라서 도어 윙의 무게는 20kg 까지의 무게를 가진 락을 사용하는 대신에, 몇 그램 정도의 무게를 갖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감소된다. 이 특징은 제조 및 판매 비용도 감소시키며 도어 윙 제조에 소요되는 노동시간도 최소화한다.
한편 상기 락(15)은 도어 프레임의 안쪽에 존재하므로, 바깥쪽에서 접근할 수 없어서 보안성이 한층 증가된다. 명백히, 악의의 침입의 제1 표적은 바깥쪽에서 접근하도록 개방된 락 장치 또는 락 장치를 작동시키는 실린더 락이다. 더 중요한 것은, 도어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되는 락(15) 내부에 걸쇠(13)가 위치되어, 바깥쪽으로부터의 어떠한 침입에 대해서도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또다시 매우 중요한 이슈는 클램프의 U 형상 구조이다. 문을 열기 위해 도둑들이 흔히 사용하는 방법은 걸쇠들을 잠금해제(프레임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잠금해제)하기 위하여 잭으로 도어 프레임을 강제로 넓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의 경우 도어 윙에 설치된 클램프(12)의 U 형상 구조로 인해 도어 프레임(10)에 위치된 락(15)의 잠금 해제가 방지된다. 도어 구조의 보안성은 이 구조 때문에 증가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0)에 위치된 락(15)에 슬롯(16)이 있는데, 이 슬롯에 도어 윙(11)에 위치된 클램프(12)가 들어간다. 이 슬롯은 바깥쪽으로부터 걸쇠(13)에 그리고 이 걸쇠에 의해 잠긴 클램프(12)에 시도되는 어떠한 침입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슬롯(16)은 락(15)의 모서리(corner) 부분에만 위치되고, 락(15)은 도어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되며 한쪽 모서리로부터 접근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침입들에 대하여 분리되어 있다. 도어를 열기 위하여 도둑들이 행하는 방법은 걸쇠, 볼트 또는 락의 후크를 파손시켜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에 있어서 도어를 여는 과정은 전자 락(15)에 의해 실현된다. 전자 제어 회로는 바깥쪽에서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방식으로 위치되어,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와 통신하며 그리고 도어 윙 또는 도어 프레임에 위치되는 ID 확인수단 및 상기 전자 락을 작동시킨다. ID 확인수단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키패드(18)
-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지문 리더기(19)
-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ID 카드 리더기(23)(예컨대 MIFARE 카드)
-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ID/IB/TOM 키 리더기(20)
-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격제어 수신기(22)
- 인터넷으로 전송되는 신호
자연적으로, 락(15)과 도어 윙(11)의 대응하는 클램프(12)는 도어 시스템에서 한군데 이상의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클램프(12)들은 도어 윙의 정면, 뒷면, 윗면 또는 아랫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구조에 있어서 당업자가 그 위치와 개수들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하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15)에는 통신포트(14)가 존재한다. 이 포트는 카패드(18), 지문 리더기(19), ID 카드 리더기(23) 또는 ID/IB/TOM 키 리더기(20)의 데이터 교환은 물론 에너지 전송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에 위치된 전자 락(15)의 에너지는 공급 수단을 통해 그리고 또한 온라인 배터리 그룹을 통해 충족되는데, 정전을 고려한다. 이 경우에, 충전 배터리 그룹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회로와 도어를 구비하고 도어 윙 또는 도어 프레임에 위치되는 ID 확인수단의 통신은 임의의 물리적인 충격에 노출됨으로써 완전히 끊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허가되지 않은 사람이 시스템을 단락시키거나 새로운 ID 확인수단을 시스템에 연결함으로써 락을 제어하거나 락을 무력하게 하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은 많은 조합의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회로를 단락시켜서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더욱이, 시스템은 암호화된 ID 숫자를 가지며, 2개의 다른 락의 ID 숫자를 일치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이런 식으로 이루어지는 침입은 결실을 맺지 못할 것이다.
ID 확인수단과 사용자의 통신을 중단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키패드(18)를 통해 입력해야 할 암호를 잊어버리거나 또는 어떤 이유인지 리모콘을 잃어버릴 수 있다. 다른 경우로는,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없거나 ID 카드(24, 21)들이 접속될 수 없거나 사용자가 ID 카드를 분실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도어 윙(11)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어 프레임(10)에 위치되는 통신 채널(포트)을 통해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권한이 있는 서비스 요원을 필요로 하여야 하는데, 포트는 상기 제어회로와 통신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포트는 통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및 에너지 전송 모두가 가능하다. 이와 달리 도어 구조에 제공된 높은 보안성 때문에 구조적으로 손상을 주지 않고 도어를 여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긴급상황의 경우, 에너지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포트(예를 들어 암놈 잭 형상)은 도어 윙(11) 또는 도어 프레임(10)의 바깥쪽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 통신포트는 권한이 있는 서비스 요원에게만 알려진 곳에 위치되거나 이와 달리 권한이 있는 서비스 요원이 인지할 수 있는 숨겨진 사인을 구비하고 여러 도어 구조의 다른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통신은 도어의 장식용 커버링(decorative covering)으로 코팅될 수 있는데 이 장식용 코팅은 긴급한 상황의 경우에만 부분적으로 벗겨질 수 있다 (또는 구멍을 낼 수 있다).
10: 도어 프레임
11: 도어 윙
12: 클램프
13: 걸쇠
14: 통신 포트
15: 락
16: 슬롯
17: 힌지
18: 키패드
19: 지문 리더기
20: ID/IB/TOM 키 리더기
21: ID 키
22: RF 수신기
23: 카드 리더기
24: ID 카드

Claims (10)

  1. 도어 오프닝(opening)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도어 프레임(10)과 힌지에 의해 상기 도어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 윙(11)을 구비하는 도어 구조로서,
    상기 도어 윙(11)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12)와,
    상기 클램프(1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위치되며 상기 클램프(12)를 수용하도록 된 슬롯(16)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락(15)과,
    바깥에서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위치되는 상기 전자 락(15)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와 통신하며 그리고 상기 도어 윙(11)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위치되는 ID 확인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2)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15)과 상기 클램프(12)는 서로 대응하도록 상기 도어 윙(11)의 정면, 뒷면, 윗면 또는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15)은 어떠한 외부의 침입도 방지하도록 슬롯(16)의 입구 부분에 위치되는 걸쇠(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회로와 통신하는 ID 확인수단은 도어 또는 프레임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키패드(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회로와 통신하는 ID 확인수단은 도어 또는 프레임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지문 리더기(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회로와 통신하는 ID 확인수단은 도어 또는 프레임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ID/IB/TOM 키 리더기(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회로와 통신하는 ID 확인수단은 도어 또는 프레임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RF 원격제어 수신기 회로(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회로와 통신하는 ID 확인수단은 도어 또는 프레임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ID 카드 리더기(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회로와 통신하는 ID 확인수단은 인터넷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KR2020120001092U 2011-02-15 2012-02-13 높은 보안성을 갖는 락-도어 구조 KR20120005953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R201101456 2011-02-15
TR2011/01456 2011-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53U true KR20120005953U (ko) 2012-08-23

Family

ID=4704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092U KR20120005953U (ko) 2011-02-15 2012-02-13 높은 보안성을 갖는 락-도어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20005953U (ko)
CN (1) CN202899816U (ko)
HK (1) HK1157127A2 (ko)
TW (1) TWM43481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6048A (zh) * 2016-08-31 2016-12-21 成都鸿荣通科技有限公司 一种无需外接电源的智能前台大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899816U (zh) 2013-04-24
TWM434814U (en) 2012-08-01
HK1157127A2 (en)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1417B1 (en) Interconnected locking system
CN107429522B (zh) 用于闩锁系统的致动组件
US6564596B2 (en) Door lock assembly with multiple latch devices
US6293207B1 (en) ATM box or safe with concealed hinges and electronic lock
US9691203B1 (en) Door access control system permitt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unlocking
WO2017120205A1 (en) One-piece connector for lock assembly and method of same
EP2476825B1 (en) Enhanced security outdoor use lock mechanism
US8186585B2 (en) Integrated on-line door control system with standardized interfaces
US20180106073A1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20005953U (ko) 높은 보안성을 갖는 락-도어 구조
CN107424242B (zh) 中央管制门禁系统
US20030085796A1 (en) Electronic door lock for a fuel dispenser
US6000348A (en) ATM box or safe with concealed hinges and electronic lock
EP2631882A1 (de) Sicherheitssystem zur Aufnahme von Banknoten und Kassensystem mit mehreren Sicherheitssystemen
WO2010022457A9 (en) A safe secure lock
KR102547132B1 (ko) 스트라이킹 플레이트 조립체
KR100728656B1 (ko) 조작부와 잠금 장치가 분리된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방법
KR102251387B1 (ko)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KR100806623B1 (ko) 도어락용 양방향 잠금장치
CN104134258A (zh) 一种户外环网柜用智能锁具
CN212647545U (zh) 一种锁具控制系统
BR102020020573A2 (pt) Porta anti-arrombamento com tranca automática, sistema eletrônico de acionamento de travas para a dita porta e método para instalação da dita porta
CN215213157U (zh) 安全型防盗门
CN202467377U (zh) 一种防万能钥匙开锁装置及电子锁具
CN106952380B (zh) 一种数字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