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859A -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 Google Patents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859A
KR20120005859A KR1020100066542A KR20100066542A KR20120005859A KR 20120005859 A KR20120005859 A KR 20120005859A KR 1020100066542 A KR1020100066542 A KR 1020100066542A KR 20100066542 A KR20100066542 A KR 20100066542A KR 20120005859 A KR20120005859 A KR 20120005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clined plate
switching unit
bicycle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272B1 (ko
Inventor
정재근
Original Assignee
정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근 filed Critical 정재근
Priority to KR102010006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2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16B1/02Means for securing elements of mechanisms af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가 개시된다. 그러한 자전거는 뒤바퀴와, 페달과, 체인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안장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1전환부; 핸들 및 핸들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비주행 자세 전환시 상기 제 1전환부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2전환부; 상기 제 2전환부에 구비되며 앞바퀴를 포함하는 제 3전환부; 그리고 상기 제 2전환부와 제 3전환부의 사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비 주행 자세로 전환시에는 상기 제 3전환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궤적을 따라 상기 뒤바퀴 방향의 하방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앞바퀴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비 주행 자세시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경사 전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BICYLE CAPABLE OF TRANSFORMING POS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주행자세 혹은 비주행 자세로 용이하게 자세 전환이 가능하며, 비주행 자세 전환시 작은 부피를 차지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 이동수단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과거 자동차가 널리 보급되기 전에 주요한 이동수단이었으며, 근래에는 레저문화의 활성화로 인하여 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전거 사용자는 자전거를 차량에 적재하거나, 전철을 이용하여 교외 혹은 자전거 전용도로로 이동하여 자전거를 타게 된다.
이때, 자전거의 크기는 자전거를 이동하는데 제약이 되므로, 자전거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세를 전환할 수 있는 자전거가 개발되었다.
즉, 자전거가 이송중인 경우에는 접어서 비주행 자세로 전환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는 펼쳐서 주행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는 프레임의 링크를 구부려서 자전거의 부피를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접는 구조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전거를 접는 경우에도 앞바퀴 또는 뒤바퀴가 완전히 내측으로 접히지 못하고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자전거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전거가 주행자세인 경우에는 지지대를 펼쳐서 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자전거가 직립상태로 세워질 수 있으나, 자전거가 비주행 자세인 경우에는 지지대도 접힘으로써 자전거를 직립상태로 세울 수 없어서 측방으로 넘어지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자전거를 잡거나 혹은 벽체 등에 자전거를 지지한 상태에서 커버를 펼치고 자전거를 커버에 수납해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자세와 비주행 자세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고, 비주행 자세 전환시 작은 부피를 차지할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뒤바퀴와, 페달과, 체인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안장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1전환부; 핸들 및 핸들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비주행 자세 전환시 상기 제 1전환부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2전환부; 상기 제 2전환부에 구비되며 앞바퀴를 포함하는 제 3전환부; 그리고
상기 제 2전환부와 제 3전환부의 사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비 주행 자세로 전환시에는 상기 제 3전환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궤적을 따라 상기 뒤바퀴 방향의 하방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앞바퀴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비 주행 자세시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경사 전환부를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뒤바퀴와, 페달과, 체인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회전되는 선회 프레임;
일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주행 자세 시에는 펼쳐져서 상기 선회 프레임을 지지하며, 비 주행 자세 시에는 접혀지는 제 1링크부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상기 선회 프레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선회 프레임에 적첩되는 서브 프레임;
일측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주행 자세 시에는 펼쳐져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지지하며, 비 주행 자세 시에는 접혀지는 제 2링크부재;
상기 서브 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된 축관을 통하여 삽입되며, 핸들이 구비되는 핸들 프레임; 그리고 상기 핸들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핸들 프레임에 구비되는 앞바퀴 사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절첩되도록 연결함으로써, 비 주행 자세로 전환시에는 상기 앞바퀴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궤적을 따라 상기 뒤바퀴 방향의 하방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앞바퀴가 상기 핸들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경사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는 제 1 내지 제 3전환부로 구성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짐으로써, 자세가 주행자세와 비주행자세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고, 경사 전환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앞바퀴가 뒤바퀴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접혀질 수 있음으로 자전거가 비주행 자세로 전환된 경우 자전거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전환이 용이한 자전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의 자세 전환을 위한 제 1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의 자세 전환을 위한 제 2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록킹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의 자세 전환을 위한 제 3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의 경사 전환부에 의하여 제 3전환부를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A" 단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세 전환이 용이한 자전거(1)는 뒤바퀴(5)와, 페달(17)과, 체인(Chain;19)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f1)과;
안장(3)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f1)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계방향(a1)으로 회전하여 상기 뒤바퀴(5)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1전환부(7)와;
핸들(9)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비주행 자세 전환시 상기 제 1전환부 방향(a2)으로 접혀지는 제 2전환부(13)와;
상기 제 2전환부(13)에 구비되며 앞바퀴(11)를 포함하는 제 3전환부(15); 그리고
상기 제 2전환부(13)와 제 3전환부(15)의 사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비 주행 자세로 전환시에는 상기 제 3전환부(15)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7,13)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후방의 궤적을 따라 상기 뒤바퀴 방향의 하방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앞바퀴(11)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7,13)의 사이에 배치되어 비 주행 자세 전환시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경사 전환부(7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자세 전환이 용이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제 1전환부(7)는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안장(3)이 구비되는 선회 프레임(f2)과, 메인 프레임(f1) 및 선회 프레임(f2)을 서로 연결하여 선회 프레임(f2)이 메인 프레임(f1)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제 1링크부재(First link member;25)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f1)은 일측에는 뒤바퀴(5)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후술하는 제 2전환부(13)의 서브 프레임(f3)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f1)은 상측으로 관체(33)가 돌출되며, 상기 관체(33)의 상부는 상기 선회 프레임(f2)의 하부와 힌지핀(Hinge Pin;P)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선회 프레임(f2)은 힌지핀(P)을 중심으로 시계방향(a1)을 따라 선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링크부재(25)는 메인 프레임(f1)에 제 1힌지핀(First Hinge Pin;P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1링크(First Link;39)와, 선회 프레임(f2)에 제 2힌지핀(Second Hinge Pin;P2)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2링크(Second Link;43)와, 제 1 및 제 2링크(39,43)를 힌지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3힌지핀(Third Hinge Pin;P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링크부재(25)는 선회 프레임(f2)이 시계방향(a1)을 따라 메인 프레임(f1)측으로 선회될 때, 제 1 및 선회 프레임(f1,f2)의 내측방향(a3)으로 절곡됨으로써 제 1링크부재(25)가 뒤바퀴(5)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전환부(13)는 메인 프레임(f1)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프레임(Sub Frame;f3)과, 서브 프레임(f3)의 선단에 구비되며 핸들 프레임(Handel Frame;47)이 삽입되는 축관(49)과, 일측은 상기 축관(49)과 서브 프레임(f3)의 결합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전환부(7)의 힌지핀(P)에 연결되는 제 2링크부재(5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2전환부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f3)은 일측은 메인 프레임(f1)의 타측에 제 4힌지핀(P4)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축관(49)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축관(49)에는 핸들 프레임(47)이 결합되며, 핸들 프레임(47)의 하부에는 상기 앞바퀴(11)가 구비된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서브 프레임(f3)은 핸들 및 앞바퀴(9,11)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f3)은 중간이 앞바퀴(11)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즉, 서브 프레임(f3)의 일측부(55a)는 수평선에 대하여 상향으로 일정 각도(θ) 기울어지고, 타측부(55b)는 수평선에 대하여 일측부의 각도 보다 더 큰 각도(θ1)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f3)이 시계방향(a2)을 따라 제 1전환부(7)로 접히는 경우, 서브 프레임(f3)이 직선형상인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작게 접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링크부재(51)는 메인 프레임(f1)의 힌지핀(P)에 연결되는 제 3링크(59)와, 서브 프레임(f3)에 제 5힌지핀(P5)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4링크(61)와, 제 3 및 제 4링크(59,61)를 힌지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6힌지핀(P6)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링크부재(51)는 서브 프레임(f3)이 시계방향(a2)을 따라 선회 프레임(f2)측으로 선회될 때, 선회 프레임(f2) 및 서브 프레임(f3)의 외측방향(a4)으로 절곡됨으로써 제 2링크부재(51)가 서브 프레임(f3)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선회 프레임(f2)과 서브 프레임(f3)은 록킹부(63)에 의하여 서로 고정됨으로써 접혀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f1)에는 걸림핀(65)이 구비되고 서브 프레임(f3)에는 이 걸림핀(65)이 결합되는 수납구(67)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전환부(7)가 접혀지고, 제 2전환부(13)가 접혀질 때,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걸림핀(65)이 서브 프레임(f3)의 수납구(67)에 걸림으로써 비주행 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3전환부(15)는 핸들 프레임(47)의 하부에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상부 경사판(70)과, 상기 상부 경사판(7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앞바퀴(11)를 고정시키는 포크(72)가 연결되는 하부 경사판(74)과, 상기 상부 경사판(70)과 하부 경사판(74)의 일측을 각각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Hinge Shaft;83)과, 상기 하부 경사판(74)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경사판(70)의 타측에 결합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경사판(70,74)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메인 록킹부재(Main Locking Member;78)와, 상기 상부 경사판(7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경사판(74)을 젖혀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보조 록킹부재(8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3전환부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사판(70)은 핸들 프레임(47)의 축방향 중심선(L1)의 법선(L2)에 대하여 그 선단이 하방으로 예각(θ2)을 이루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 경사판(74)도 이러한 상부 경사판(70)과 동일 각도로 기울어짐으로써 상부 경사판(70)의 저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경사판(70,74)이 상하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록킹부재(78)가 체결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경사판(70,74)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경사판(70,74)은 메인 록킹부재(78)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주행자세에서 핸들(9)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록킹부재(78)는 하부 경사판(74)의 타측에 힌지핀(83)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경사판(70)의 타측에 걸리는 걸림쇠(82)와, 상기 걸림쇠(82)의 상부를 탄력적으로 당기는 탄성부재(84)와, 상기 걸림쇠(82)에 연결되어 상부 경사판(70)에 결합된 걸림쇠(82)를 젖힘으로써 걸림쇠(82)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레버(Lever;8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메인 록킹부재(78)는 상기 걸림쇠(82)가 탄성부재(84),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에 의하여 당겨짐으로써 상부 경사판(70)의 타측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경사판(70)의 타측 저면은 경사면(8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쇠(82)가 이 경사면(87)에 접촉하여 점차로 미끄러짐으로써 상부 경사판(70)의 타측 상면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부 경사판(70)에 걸린 걸림쇠(82)는 상기 레버(86)에 의하여 젖혀짐으로써 상부 경사판(70)과의 결합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86)는 상기 하부 경사판(74)에 돌출된 브래킷(Bracket;B)에 편심핀(83)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레버(86)가 반시계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걸림쇠(82)도 반시계 방향으로 젖혀짐으로써 걸림쇠(82)가 상부 경사판(7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심핀(83)은 원통형상을 갖음으로써 브래킷(B)과 걸림쇠(82)를 관통하게 되고, 편심핀(83)의 일측에 편심캠(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쇠(82)의 내부에 형성된 편심홀(h1)의 일측에도 편심면(C1,C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편심면(C1,C2)은 편심홀(h1)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직경이 큰 편심면(C1)과, 직경이 작은 편심면(C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편심면(C1,C2)은 편심홀(h1)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타원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레버(86)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편심핀(83)의 편심캠(C)이 걸림쇠(82)의 편심면(C1,C2)에 접촉함으로써 걸림쇠(82)를 같이 회전시킬 수 있다.
결국, 레버(86)가 회전되는 경우, 걸림쇠(82)도 같이 회전됨으로써 상부 경사판(7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경사판(74)은 상부 경사판(70)으로부터 이탈하여 힌지축(83)을 중심으로 자전거(1)의 후미방향으로 자세가 전환될 수 있으며, 보조 록킹부재(80)에 의하여 고정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보조 록킹부재(80)는 상부 경사판(70)의 상면에 돌출된 상부 브래킷(90)과, 상기 상부 브래킷(90)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록킹바(Locking Bar;92)와, 상기 록킹바(92)의 일단과 상부 경사판(7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94)과, 상기 하부 경사판(74)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록킹바(92)에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9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보조 록킹부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94)은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므로, 상기 록킹바(92)의 일단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바(92)의 타단은 하부 경사판(74)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경사판(74)이 힌지축(76)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 상기 하부 브래킷(96)이 록킹바(92)에 결합되며, 록킹바(92)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부 브래킷(96)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결국, 자전거(1)의 제 3전환부(15)는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보조 록킹부재(80)에 의하여 고정되어 비주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경사판(74)은 핸들 프레임(47) 중심선(L1)의 법선(L2)에 대하여 앞바퀴(11) 방향으로 소정 각도, 즉 예각(θ2)을 이루어 하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 3전환부(15)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7,13)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후방의 궤적을 따라 상기 뒤바퀴(5) 방향의 하방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앞바퀴(11)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7,13)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자전거(1)를 비 주행 자세로 전환한 경우, 상기 제 3전환부(15)의 앞바퀴(11)가 제 1 및 제 2전환부(7,13)가 형성하는 구역 범위 이내에 위치함으로써 자전거(1)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와 달리 하부 경사판(74)이 법선(L2)에 대하여 수직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제 3전환부(15)를 후방으로 젖히면, 앞바퀴(11)의 전방부(11a;도5)가 핸들 프레임(47)을 넘어서 상부로 돌출되므로 비주행 자세시 자전거(1)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경사판(74)이 경사진 상태이므로 앞바퀴(11)가 핸들 프레임(47) 이내 구역에 수용되므로 자전거(1)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하부에는 받침대(100)가 구비된다. 이 받침대(100)는 하부로 돌출되며 밑변이 수평형상인 사각 고리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자전거(1)를 비주행 자세로 전환 한 후, 지면에 세울 때, 이 받침대(100)를 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자전거(1)는 비주행 자세에서도 세울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자세 전환 과정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의 자세를 주행자세에서 비주행 자세로 전환하는 경우, 제 1전환부(7)의 선회 프레임(f2)을 힌지핀(P)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선회 프레임(f2)이 시계 방향(뒤바퀴 방향;a1)으로 회전하면, 제 1링크부재(25)의 제 1링크(39)와 제 2링크(43)가 내측방향(a3)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제 2전환부(13)의 서브 프레임(f3)을 제 4힌지핀(P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a2)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서브 프레임(f3)이 제 1전환부(7) 방향으로 접근함에 따라 제 2링크부재(51)가 외측방향(a4)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 2링크부재(51)가 절곡됨에 따라 제 4링크(61)가 제 3링크(59)의 상부에 포개짐으로써 서브 프레임(f3)과 선회 프레임(f2)의 사이 간격이 최소화된다.
더욱이, 서브 프레임(f3)의 일측부(55a) 및 타측부(55b)가 수평선에 대하여 큰 각도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서브 프레임(f3)이 직선형상인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작게 자전거(1)를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레임(f3)이 시계방향(a2)으로 회전하여 선회 프레임(f2)에 접근함에 따라 서브 프레임(f3)의 걸림핀(67)도 메인 프레임(f1)의 수납구(65)에 접근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7,13)가 걸림핀(67)과 수납구(65)의 결합에 의하여 비주행 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전환부(7,13)가 접혀진 후, 제 3전환부(15)를 접게 되며, 제 3전환부(15)는 후미의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접혀진다.
제 3전환부(15)의 접혀지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및 하부 경사판(70,74)은 상하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록킹부재(78)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즉, 하부 경사판(74)의 걸림쇠(82)가 상부 경사판(70)에 걸림으로써 상부 및 하부 경사판(70,74)이 경사진 상태에서 일체로 고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레버(86)를 반시계 방향으로 젖힘으로써 걸림쇠(82)도 반시계 방향으로 젖혀짐으로써 걸림쇠(82)가 상부 경사판(7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경사판(74)이 상부 경사판(7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이때, 하부 경사판(74)은 선단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하부 경사판(74)은 자중에 의하여 별도의 외력 없이 후미 하방으로 젖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중에 의하여 젖혀진 하부 경사판(74)이 하방으로 일정 거리 젖혀지면, 사용자가 하부 경사판(74)을 밀어서 보조 록킹부재(80)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경사판(74)을 밀면, 하부 브래킷(96)이 상부 경사판(70)의 록킹바(92)에 걸림으로써 하부 경사판(74)이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자전거(1)의 제 3전환부(15)는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보조 록킹부재(80)에 의하여 고정되어 비주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경사판(74)은 핸들 프레임(47) 중심선(L1)의 법선(L2)에 대하여 소정 각도 하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제 3전환부(15)를 자전거(1)의 후미방향으로 접는 경우, 앞바퀴(11)가 후미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접혀짐으로써 비주행 자세로 전환된 자전거(1)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하부 경사판(74)이 법선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제 3전환부(15)를 후방으로 젖히면, 앞바퀴(11)의 전방부(11a)가 핸들 프레임(47)을 넘어서 상부로 돌출되므로 비주행 자세시 자전거(1)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경사판(74)이 경사진 상태이므로 앞바퀴(11)가 핸들 프레임(47) 이내 구역에 수용되므로 자전거(1)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전거(1)가 비주행 자세로 전환된 후, 받침대(100)를 지면 등에 지지함으로써 자전거(1)를 직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1)를 주행자세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경사판(74)의 선단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이므로, 상기 록킹바(92)의 후단을 단순히 누르면, 상기 앞바퀴(11) 등의 자중에 의하여 제 3전환부(15)가 전방으로 젖혀지므로 추가적인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전환부(15)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제 3전환부(15)를 밀어서 걸림쇠(82)가 상부 경사판(70)에 걸림으로써 주행자세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1)는 주행자세와 비주행 자세 사이의 전환이 용이하다.
1: 자전거 3: 안장
5: 뒤바퀴 7: 제 1전환부
13: 제 2전환부 15: 제 3전환부
25: 제 1링크부재 51: 제 2링크부재
71: 경사 전환부 78: 메인 록킹부재

Claims (8)

  1. 뒤바퀴와, 페달과, 체인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안장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1전환부;
    핸들 및 핸들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비주행 자세 전환시 상기 제 1전환부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2전환부;
    상기 제 2전환부에 구비되며 앞바퀴를 포함하는 제 3전환부; 그리고
    상기 제 2전환부와 제 3전환부의 사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비 주행 자세로 전환시에는 상기 제 3전환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궤적을 따라 상기 뒤바퀴 방향의 하방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앞바퀴가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비 주행 자세시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경사 전환부를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
  2. 뒤바퀴와, 페달과, 체인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회전되는 선회 프레임;
    일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주행 자세 시에는 펼쳐져서 상기 선회 프레임을 지지하며, 비 주행 자세 시에는 접혀지는 제 1링크부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상기 선회 프레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선회 프레임에 적첩되는 서브 프레임;
    일측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주행 자세 시에는 펼쳐져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지지하며, 비 주행 자세 시에는 접혀지는 제 2링크부재;
    상기 서브 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된 축관을 통하여 삽입되며, 핸들이 구비되는 핸들 프레임; 그리고
    상기 핸들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핸들 프레임에 구비되는 앞바퀴 사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절첩되도록 연결함으로써, 비 주행 자세로 전환시에는 상기 앞바퀴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궤적을 따라 상기 뒤바퀴 방향의 하방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앞바퀴가 상기 핸들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경사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회전되는 선회 프레임;
    일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주행 자세 시에는 펼쳐져서 상기 선회 프레임을 지지하며, 비 주행 자세 시에는 접혀지는 제 1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상기 선회 프레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선회 프레임에 적첩되는 서브 프레임;
    일측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주행 자세 시에는 펼쳐져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지지하며, 비 주행 자세 시에는 접혀지는 제 2링크부재;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된 축관을 통하여 삽입되며, 핸들이 구비되는 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전환수단은 상기 핸들 프레임의 하부에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상부 경사판과;
    상기 상부 경사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앞바퀴를 고정시키는 포크가 연결되는 하부 경사판과;
    상기 상부 경사판과 하부 경사판의 일측을 각각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과;
    상기 하부 경사판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경사판의 타측에 결합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경사판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메인 록킹부재와; 그리고
    상기 상부 경사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경사판을 젖혀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보조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경사판은 선단이 상기 핸들 프레임의 중심선의 법선에 대하여 상기 앞바퀴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짐으로써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록킹부재는 상기 하부 경사판의 타측에 힌지핀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경사판의 타측에 걸리는 걸림쇠와;
    상기 하부 경사판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쇠의 상부를 상기 핸들 프레임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와; 그리고
    상기 걸림쇠에 연결되어 상부 경사판에 결합된 걸림쇠를 젖힘으로써 걸림쇠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록킹부재는 상기 상부 경사판의 상면에 돌출된 상부 브래킷과;
    상기 상부 브래킷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록킹바와;
    상기 록킹바의 일단과 상부 경사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부 경사판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록킹바에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을 포함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자전거.





KR1020100066542A 2010-07-09 2010-07-09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KR10123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542A KR101231272B1 (ko) 2010-07-09 2010-07-09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542A KR101231272B1 (ko) 2010-07-09 2010-07-09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59A true KR20120005859A (ko) 2012-01-17
KR101231272B1 KR101231272B1 (ko) 2013-02-07

Family

ID=4561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542A KR101231272B1 (ko) 2010-07-09 2010-07-09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2948A (zh) * 2016-11-03 2018-05-15 深圳爱磁声学有限公司 一种可变形电动平衡车
KR102276148B1 (ko) * 2020-06-05 2021-07-12 김용겸 캐리어가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2182U (ko) * 1979-07-31 1981-02-27
KR200371746Y1 (ko) * 2004-09-13 2005-01-03 임춘남 절첩식 자전거
KR200400672Y1 (ko) * 2005-08-23 2005-11-08 서달원 휴대용 자전거
KR100942307B1 (ko) * 2009-08-14 2010-02-16 진영화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2948A (zh) * 2016-11-03 2018-05-15 深圳爱磁声学有限公司 一种可变形电动平衡车
CN108032948B (zh) * 2016-11-03 2024-05-14 爱磁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可变形电动平衡车
KR102276148B1 (ko) * 2020-06-05 2021-07-12 김용겸 캐리어가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272B1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065B1 (ko) 접이식 자전거 프레임
US7441794B2 (en) Foldable stroller
US7367576B2 (en) Foldable bicycle
US7290780B2 (en) Folding bicycle
US20110193313A1 (en) Foldable bicycle
US10501141B2 (en) Folding tricycle
US20090289434A1 (en) Folding bicycle
US9896148B2 (en) Collapsible two-wheeled vehicle
EA008789B1 (ru) Складной велосипед
CN108778918B (zh) 折叠椭圆自行车
US6695334B2 (en) Bicycle
TW201029877A (en) Folding bicycle
KR101231272B1 (ko)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JP5368496B2 (ja) 折り畳み自転車
CN107933790A (zh) 自行车
CN204056145U (zh) 一种折叠自行车
CN104210598A (zh) 一种折叠自行车
CN114919687A (zh) 一种可转换为推车结构的折叠自行车
KR101231363B1 (ko) 비주행 자세전환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
JP2003506253A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用フレーム
JP3214590U (ja) 折り畳み式電気自転車
WO2000029277A1 (en) Foldable bicycle
CN220262956U (zh) 一种折叠式三轮随行车
KR100522110B1 (ko) 절첩식 자전거
KR101195751B1 (ko) 기어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