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495U - 물고기용 먹이통 - Google Patents
물고기용 먹이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5495U KR20120005495U KR2020110000595U KR20110000595U KR20120005495U KR 20120005495 U KR20120005495 U KR 20120005495U KR 2020110000595 U KR2020110000595 U KR 2020110000595U KR 20110000595 U KR20110000595 U KR 20110000595U KR 20120005495 U KR20120005495 U KR 2012000549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food
- container
- feeding container
- feeding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99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고기용 먹이통에 관한 것으로, 수족관 안에 부설되어 물고기에게 먹이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로서, 상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뿔관을 통한 먹이의 투여와 물고기의 출입구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여 먹이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먹이통의 조합으로 먹이의 공급 관리와 물고기가 먹고 남긴 먹이와 먹이로부터 유출되는 기름 성분 등의 오염 유발 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물고기의 먹이 섭취 활동 영역을 먹이통 안으로 제한시키기 위한 것으로, 물고기가 먹고 남긴 먹이의 부패와 먹이로부터 유출되는 기름 성분 등의 수족관의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을 먹이통 안에 가두어, 필요 시에는 물고기가 먹고 남긴 먹이 등의 오염 유발 물질을 쉽게 회수할 수도 있어서, 물고기에게 공급하는 먹이의 양도 관리하고 먹이로 인한 수족관의 수질 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물고기용 먹이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고기용 먹이통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수족관의 물속에 잠겨 있는 형태로 수족관 내측에 부착되어 먹이를 효과적으로 먹이통 안으로 가두는 효과도 미미하고, 먹이로부터 유출되는 기름 성분 등도 그대로 수족관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수족관에 먹이를 급여하면 급여 후에 먹이로부터 유출되는 기름 성분 등으로부터 수족관이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과 물고기가 먹고 남긴 먹이가 수족관의 사방으로 흩어져 바닥에 가라앉아 부패하여 수족관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물고기용 먹이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먹이 공급과 관련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1고안은 상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뿔모양의 기구인 원뿔관에 관한 것으로, 먹이통 내부에 부설되어 먹이가 물살에 휩쓸려 수족관의 사방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먹이로부터 나오는 기름 성분 등도 원뿔관 안에 일차적으로 가두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공급된 먹이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관의 통로를 통과하면서 물살과 물고기의 움직임으로 인해서 먹이가 먹이통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예방하면서 먹이가 안전하게 먹이통 바닥으로만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고안은 물고기의 출입구가 있는 먹이통에 관한 것으로, 먹이통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고 있는 원형의 물고기 출입구가 있어서 물고기의 먹이통 안에서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되는 물살의 영향으로 먹이통 바닥에 가라앉은 먹이가 먹이통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물고기용 먹이통의 사용으로 먹이 공급과 관련된 수족관의 수질 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먹이가 먹이통 안으로 한정되어 공급됨으로 해서 물고기의 먹이 소비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계측할 수 있어서 물고기에게 필요한 먹이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는 먹이 공급 관리의 편의성과 과잉 공급된 먹이가 수족관 바닥에 흩어져 있지 않고 먹이통 내부로 한정되어 필요 시 쉽게 수거되어, 물고기에게 항상 신선한 먹이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먹이로 인한 수질 오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기용 먹이통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기용 먹이통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기용 먹이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기용 먹이통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기용 먹이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족관에 먹이통(2)을 설치하면 먹이통(2)의 플라스틱 재질에 따른 자체 부력에 의해 먹이통(2)의 상부가 일정 부분 수면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물속에 잠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뿔관(1)을 먹이통(2) 안에 부설하면 원뿔관(1)도 플라스틱 재질에 따른 자체 부력에 의해 원뿔관(1)의 상부가 일정 부분 수면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물속에 잠긴 상태가 된다. 다음에 먹이를 원뿔관(1)의 먹이 투입 홀(1A) 안에 투여하면 시간이 흐르면서 먹이는 원뿔관(1)의 먹이 통과 홀(1B)을 통과하여 먹이통(2)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먹이통(2)의 바닥에 가라앉은 먹이는 먹이통(2)의 바닥과 물고기 출입구(2A)와의 높이 차에 의해 먹이통(2)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먹이는 먹이통(2) 안에 항상 있게 되어 물고기가 먹고 남은 먹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필요 시 쉽게 회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먹이통(2) 안에 원뿔관(1)이 존재함으로 해서 먹이통(2) 안에서의 물고기의 운동성에 제약이 오게 되어 물고기의 움직임으로 인한 물살의 영향으로부터 먹이의 먹이통(2) 밖으로의 유출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먹이로부터 유출되는 기름 성분 등을 원뿔관(1)과 먹이통(2) 안에 가두어 처리함으로 해서 수족관의 수질의 오염을 최대한 예방할 수도 있다.
1: 원뿔관 1A: 먹이 투입 홀
1B: 먹이 통과 홀 2: 먹이통
2A: 물고기 출입구
1B: 먹이 통과 홀 2: 먹이통
2A: 물고기 출입구
Claims (2)
- 수족관 내부에 부설되어 먹이를 공급하는 물고기용 먹이통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에 다수의 원형의 물고기의 출입구가 있는 먹이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 안에 부설되는 상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뿔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595U KR20120005495U (ko) | 2011-01-21 | 2011-01-21 | 물고기용 먹이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595U KR20120005495U (ko) | 2011-01-21 | 2011-01-21 | 물고기용 먹이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495U true KR20120005495U (ko) | 2012-07-31 |
Family
ID=4687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0595U KR20120005495U (ko) | 2011-01-21 | 2011-01-21 | 물고기용 먹이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5495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29743A (zh) * | 2013-05-18 | 2013-08-07 | 宁波市镇海秀洋广告装饰有限公司 | 鱼饵投放器 |
KR20200018062A (ko) * | 2018-08-10 | 2020-02-19 | 용창덕 | 물고기 사료 배급 장치 |
-
2011
- 2011-01-21 KR KR2020110000595U patent/KR20120005495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29743A (zh) * | 2013-05-18 | 2013-08-07 | 宁波市镇海秀洋广告装饰有限公司 | 鱼饵投放器 |
KR20200018062A (ko) * | 2018-08-10 | 2020-02-19 | 용창덕 | 물고기 사료 배급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immons et al. | Review of circular tank technology and management | |
US10149455B2 (en) | Animal feeder with insertable feed restrictor | |
Imre et al. | The effect of visual isolation on territory size and population density of juvenil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
US9439394B2 (en) | Animal feeder with insertable feed restrictor | |
US8082882B1 (en) | Animal feeder with insertable feed restrictor | |
CN106719216A (zh) | 便于投放饵料的深海围网养殖设施 | |
JP2006101738A (ja) | 回遊魚の陸上養殖用水槽 | |
Jermacz et al. | The effect of flow on the competition between the alien racer goby and native European bullhead | |
Greenway et al. | Environmental enrichment in captive juvenile thornback rays, Raja clavata (Linnaeus 1758) | |
TW201902346A (zh) | 水產品養殖裝置 | |
KR20120005495U (ko) | 물고기용 먹이통 | |
KR20140136550A (ko) |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 |
KR101280103B1 (ko) | 축산용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 |
KR101329885B1 (ko) | 어항 장치 및 어항 장치를 이용하여 도시어업을 제공하는 어류 성장 복합 시스템 | |
WO2011109875A1 (en) | Aquaculture tank | |
US11744227B1 (en) | Animal water dispenser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viding fresh water to an animal | |
KR101010473B1 (ko) |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 |
JP2007014231A (ja) | 魚貝類の飼育装置 | |
KR101508687B1 (ko) |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 |
KR101953792B1 (ko) | 어류 보호장치 | |
DK201700266A1 (da) | Indretning til effektivisering af bekæmpelse af lakselus i dambrug, navnlig dambrug på søterritoriet | |
EP3231278A1 (en) | A dust bath for poultry and a method for using the dust bath | |
DE102014107621A1 (de) | Futterautomat | |
KR101963727B1 (ko) | 생물검정 실험장치 | |
DE1913703A1 (de) | Fischaufzucht-Ring-Fliesska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12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912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