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469U - 양념 제조기 - Google Patents

양념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469U
KR20120005469U KR2020110000572U KR20110000572U KR20120005469U KR 20120005469 U KR20120005469 U KR 20120005469U KR 2020110000572 U KR2020110000572 U KR 2020110000572U KR 20110000572 U KR20110000572 U KR 20110000572U KR 20120005469 U KR20120005469 U KR 201200054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wall
cutout
blades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동양피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피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피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0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469U/ko
Publication of KR20120005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4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8Beaters or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부절단부가 탈착이 가능하며, 탈착이 가능한 상?하부절단부 및 칼날의 여분이 더 구비되고, 또한 상기 탈착이 가능한 상?하부절단부 및 칼날의 수납공간을 더 구비한 양념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양념의 제조가 가능한 양념제조기이다.

Description

양념 제조기{Seasoning maker}
본 고안은 상?하부 용기에 부착된 상?하부절단부를 이용하여 각종 야채 등을 절단하는 양념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하부절단부가 탈착이 가능하며, 탈착이 가능한 상?하부절단부 및 칼날의 여분이 더 구비되고, 또한 상기 탈착이 가능한 상?하부절단부 및 칼날의 수납공간을 더 구비한 양념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요리를 함에 있어서 양념을 만들기 위하여 각종 야채나 마늘 등을 잘게 다지는 방법은 매우 빈번하게 쓰이는 조리법 중 하나이다. 특히, 마늘 및 파 등을 이용한 양념의 사용이 많은 한식을 포함하는 아시아계 요리에서 이러한 조리법은 더욱 빈번하게 쓰인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이러한 다지는 과정을 절구 등을 이용하여 수행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그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지는 과정에서 재료의 소실이 있을 수 있어 경제적이지도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양념을 요리가 조리된 후 즉석해서 다져서 첨가하거나 음식점에서 손님이 기호에 맞게 다져서 첨가하는 것에 있어서 종래의 방법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그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양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그 조리과정이 용이하고 재료의 소실이 없는 조리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다지기가 완료된 음식물을 손 쉽게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분쇄 밀도로 조리가 가능하고, 절단부 등의 손상시 간단한 방법으로 절단부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양념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을 다지는데 용이하고 재료의 소실을 막기 위해서 상?하부용기로 구성되고, 상?하부절단부와 하부용기의 하부측벽에 배출구를 가지는 양념 제조기를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절단하고, 절단부 등의 손실 시 간단하게 대체 가능하며, 여분의 절단부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절단부, 여분의 절단부 및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양념 제조기를 제안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이하고 재료의 소실을 막으면서 음식물을 다질 수 있고, 다양한 재료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절단할 수 있으며, 손쉽게 다져진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절단부 등의 손실 시 간단히 대체가능하며, 여분의 절단부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양념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출구를 가진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형 배출구를 가진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경첩형 배출구를 가진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S"자 형태의 하부절단부를 가진 하부용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탈착이 가능한 하부절단부를 가진 하부용기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고안의 탈착이 가능한 칼날을 가진 하부용기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수납공간을 가진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수납공간을 가진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원형의 하부판(22), 상기 하부판의 내측표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의 "1"자 형태 또는 "S"자 형태로 돌출된 다수개의 칼날로 이루어진 하부절단부(24), 및 상기 하부판의 테두리에 1cm 내지 8cm의 높이로 형성된 원주형 하부측벽(26)을 갖는 하부용기(20)와 원형의 상부판(32), 상기 상부판의 내측표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판의 절단기 사이로 여유공간을 형성하며 회전가능하도록 돌출된 다수개의 칼날로 이루어진 상부절단부(34), 및 상기 상부판의 테두리에 1cm 내지 6cm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측벽의 내측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는 원주형 상부측벽(36)을 갖는 상부용기(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절단부 등"이란 하부절단부(24), 상부절단부(34), 및 상기 상?하부 절단부를 이루는 칼날(25, 35)와 상기 상?하부 절단부와 칼날의 여유분(24-1, 34-1, 25-1, 35-1) 모두를 의미한다.
도 1과 같이, 본 고안은 하부용기(20)와 상부용기(30)를 갖는다.
상기 하부용기(20)는 하부판(22), 하부절단부(24) 및 하부측벽(26)을 갖는다.
상기 하부판(22)은 원판 모양으로 되어있다. 하부판의 반지름은 2cm 내지 10cm가 가능하다. 하부판의 두께는 0.2cm 내지 3cm가 가능하다. 하부판은 내측표면과 외측표면이 존재한다. 내측표면이란 하부절단부(22)와 결합되는 부위이며 상부용기(30)와 마주보는 측면을 의미한다. 외측표면이란 내측표면의 반대쪽 표면을 의미한다.
상기 하부판의 내측표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칼날로 이루어진 하부절단부(24)가 존재한다. 하부절단부(24)는 다수개의 칼날(25)로 이루어져 있으며 칼날(25)은 4개 내지 16개가 가능하다. 하부절단부(24)는 일반적으로 하부판의 중심을 지나는 "1"자 형태로, 다시 설명하면, 지름에 해당하는 직선 중 하나에 해당하는 위치에 존재하며 이는 상부절단부(34)가 하부절단부(24)의 사이를 통과하며 음식물을 다지는데 사용된다. 하부절단부(24)의 칼날(25)은 하부판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면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하부절단면(24)은 하부판의 지름 중 하나에 해당하는 위치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이 하부판의 중심을 지나는 "S"자 형태의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양념 제조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더욱 효율적인 음식물의 분쇄를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하부판의 테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원주형의 하부측벽(26)이 존재한다. 하부측벽(26)의 높이는 1cm 내지 8cm가 가능하다. 하부측벽(26)은 본 고안의 사용 시 상부측면(36)이 삽입되어 결합해 다져질 음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하부측면(26)은 하부판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원활한 본 고안의 사용을 위하여 2mm 내지 2cm의 공간적 여유를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mm 내지 2cm의 하부판의 공간적 여유 부분을 굴곡지게 형성하여 하부판의 회전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도 3과 같이, 하부측벽(26)에는 배출구(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배출구(28)는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가 가능한 구조는 배출구(28)의 뚜껑이 기존의 하부측벽 부분 위, 아래 또는 내부로 삽입되어 밀려 하부측벽 상에 부착된 틀(29-1)에 의해 안내되어 열리는 슬라이드 형태 또는 배출구(28)의 뚜껑과 하부측벽의 이음새 부분에 경첩(29-2)을 장착하여 뚜껑이 열리는 경첩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배출구(28)의 크기는 양념 제조기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가로 2cm 내지 8cm, 세로 1cm 내지 5cm가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구의 크기를 하부판의 중심각(θ)으로 표현하면 10° 내지 170°가 바람직하다. 본 양념 제조기에 의한 음식물의 다짐이 끝나면 배출구(28)의 뚜껑을 열어 손 쉽게 다져진 음식물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구(28)의 뚜껑에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부판(32), 상부절단부(34) 및 상부측벽(36)을 갖는다.
상기 상부판(32)은 원판 모양으로 되어있다. 상부판의 반지름은 2cm 내지 10cm가 가능하다. 상부판의 두께는 0.2cm 내지 3cm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부판(32)은 하부판과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판은 내측표면과 외측표면이 존재한다. 내측표면이란 상부절단부(32)와 결합되는 부위이며 하부용기(20)와 마주보는 측면을 의미한다. 외측 표면이란 내측표면의 반대쪽 표면을 의미한다.
상기 상부판의 내측표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칼날로 이루어진 상부절단부(34)가 존재한다. 상부절단부(34)는 다수개의 칼날(35)로 이루어져 있으며 칼날(35)은 4개 내지 16개가 가능하다. 상부절단부(34)는 하부절단부(24)의 칼날의 사이 공간을 여유공간을 형성하며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여유공간에 다져질 음식물이 위치하게 되고 상?하부 용기의 회전시 여유공간 사이의 음식물이 으깨어져 다져지게 된다. 상기 여유공간은 다져질 음식물의 종류 및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cm가 가능하다.
상부절단부(34)는 일반적으로 상부판의 지름 중 하나에 해당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상부절단부(34)의 칼날(35)은 상부판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면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상부판의 테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원주형의 상부측벽(36)이 존재한다. 상부측벽(36)의 높이는 1cm 내지 6cm가 가능하다. 상부측벽(36)의 높이는 하부측벽(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측벽의 높이보다 낮은 수준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의 높이 차이가 형성하는 공간이 다져질 음식물이 투입되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하부 절단부(24)의 높이와 상부 절단부(34)의 높이가 동일하다고 하면, 하부측면(26)의 높이는 상부측면(36)의 높이와 상부 절단부(34)의 높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미세한 수준(1cm 이내)으로 작은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부측벽(26)은 상부판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원활한 본 고안의 사용을 위하여 2mm 내지 2cm의 공간적 여유를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mm 내지 2cm의 상부판의 공간적 여유 부분을 굴곡지게 형성하여 상부판의 회전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하부절단부(24), 상부절단부(34) 또는 이를 이루는 개개의 칼날(25 또는 35)은 하부판(22) 또는 상부판(32)와 분리되어 탈착될 수 있다. 탈착이 가능한 하부절단부(24) 및 상부절단부(34)는 이를 이루는 칼날(25 또는 35)과 각 칼날이 고정되는 고정판(25-2 또는 35-2)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판이 하부판(22) 또는 상부판(32)에 부착되어 장착되게 된다. 칼날(25 또는 35)이 탈착되는 경우 칼날 하단에 하부판(22) 또는 상부판(32)과 결합될 수 있는 장치가 부가되게 된다.
상기 절단부 등의 탈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절단부 등의 손실시 간단하게 다른 절단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절단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분쇄 밀도로 야채 등을 다질 수 있다. 분쇄밀도는 하부절단부(24)와 상부절단부(34) 사이의 여유공간의 크기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즉, 상?하부 절단부(24, 34)의 칼날의 두께가 일정하다면, 칼날이 8개로 이뤄진 상?하부 절단부로 다져지는 음식물보다 칼날이 12개로 이뤄진 상?하부 절단부로 다져지는 음식물이 더 잘게 다져지게 된다. 또한, 동일한 칼날의 개수로 이뤄진 상?하부 절단부에 있어서는, 칼날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상?하부 절단부 사이의 여유공간이 줄어들어 음식물이 더 곱게 다져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절단부 등이 탈착되기 위해서는 하부판(22) 및 상부판(32)에 탈착을 위한 절단부의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미도시)
도 6과 같이, 상기 분리된 절단부 등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공간(40)이 본 고안의 양념 제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수납공간(40)은 하부면(22) 또는 상부면(32)의 내측표면 또는 외측표면에 위치한다.
도 6에서는 상부면(32)의 내측표면에 위치한 수납공간(40)을 도시하였다. 수납공간(40)이 상?하부면 내측표면에 위치할 경우, 상?하부 절단부(24 또는 34)는 직접 상?하부면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고정되는 바닥면을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수납공간(40)은 통상적으로 상?하부면(22 또는 32)의 내측표면과 상?하부측벽(26 또는 36)과 상?하부 절단부(24 또는 34)가 고정되는 바닥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과 이를 차폐하는 손잡이(44)가 구비된 수납공간 뚜껑(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공간(40)이 상?하부면 외측표면에 위치할 경우, 수납공간(40)은 통상적으로 하부면(22) 또는 상부면(32)의 외측표면의 테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원주형의 측벽과 측벽을 막아 수납공간을 차폐시키는 수납공간 뚜껑(42)으로 형성될 수 있다.
20 : 하부용기
22 : 하부판 24 : 하부절단부
26 : 하부측벽 28 : 배출구
30 : 상부용기
32 : 상부판 34 : 상부절단부
36 : 상부측벽
40 : 수납공간 42 : 수납공간 뚜껑

Claims (4)

  1. 원형의 하부판(22), 상기 하부판의 내측표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의 "1"자 형태 또는 "S"자 형태로 돌출된 다수개의 칼날로 이루어진 하부절단부(24), 및 상기 하부판의 테두리에 1cm 내지 8cm의 높이로 형성된 원주형 하부측벽(26)을 갖는 하부용기(20);
    원형의 상부판(32), 상기 상부판의 내측표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판의 절단기 사이로 여유공간을 형성하며 회전가능하도록 돌출된 다수개의 칼날로 이루어진 상부절단부(34), 및 상기 상부판의 테두리에 1cm 내지 6cm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측벽의 내측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는 원주형 상부측벽(36)을 갖는 상부용기(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제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벽(26)은 개폐가 가능한 다져진 음식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28)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28)는 슬라이드형 또는 경첩이 부착된 형태로 개폐되며, 하부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도(θ)가 10° 내지 170°에 이르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제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절단부(24), 상부절단부(34) 또는 이를 이루는 개개의 칼날(25 또는 35)은 하부판(22) 또는 상부판(32)과 탈착이 가능하고,
    분쇄 밀도가 다른 여분의 탈착이 가능한 하부절단부(24-1), 상부절단부(34-1) 또는 이를 이루는 개개의 칼날(25-1 또는 35-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제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22) 또는 상부면(32)의 내측표면 또는 외측표면에 위치하여, 탈착이 가능한 하부절단부(24 또는24-1), 상부절단부(34 또는 34-1) 또는 칼날(25, 25-1, 35 또는 35-1)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4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제조기.
KR2020110000572U 2011-01-20 2011-01-20 양념 제조기 KR201200054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572U KR20120005469U (ko) 2011-01-20 2011-01-20 양념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572U KR20120005469U (ko) 2011-01-20 2011-01-20 양념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69U true KR20120005469U (ko) 2012-07-30

Family

ID=4687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572U KR20120005469U (ko) 2011-01-20 2011-01-20 양념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4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735A1 (en) * 2015-10-26 2017-05-04 Alpaca LLC Systems for grinding and dispen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735A1 (en) * 2015-10-26 2017-05-04 Alpaca LLC Systems for grinding and dispen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691B2 (en) Food chopper
EP1833643B1 (en) Food chopper
US7992476B2 (en) Food chopper
US10011031B2 (en) Onion chopper
US20090243175A1 (en) Frame having peeler and grater in cutting board support platform
US10875203B2 (en) Onion chopper
US20160075043A1 (en) Chopper with slide-in tray
KR20120005469U (ko) 양념 제조기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CN101088723B (zh) 食物切碎器
CN211862604U (zh) 一种面包储存箱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EP1554962B1 (en) A container-grater for friable food product
US20190263013A1 (en) Onion chopper with spiralizer insert
KR102094080B1 (ko) 마늘 세절기 및 마늘 세절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칼날 설치구조
US20230013836A1 (en) Food cutting assembly
KR101828206B1 (ko) 다기능 도마
KR20180001757U (ko) 양면형 도마
US20050051010A1 (en) Cake stand cutter
CN203914668U (zh) 多功能食物料理机
JP2023016485A (ja) まな板
KR200464495Y1 (ko) 주방용 도마
JP2004081363A (ja) 調理機
JP2005305098A (ja) 食材ホルダー
TWM527281U (zh) 食物料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