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263A -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 Google Patents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263A
KR20120005263A KR1020100065915A KR20100065915A KR20120005263A KR 20120005263 A KR20120005263 A KR 20120005263A KR 1020100065915 A KR1020100065915 A KR 1020100065915A KR 20100065915 A KR20100065915 A KR 20100065915A KR 20120005263 A KR20120005263 A KR 20120005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k
broiler
feed
weight
f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상주시 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상주시 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경상북도 상주시 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102010006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263A/ko
Publication of KR20120005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육계에 공급되는 육계사료와 함께 제공되고, 엄나무 엽, 엄나무 가지 또는 중탕처리한 엄나무 중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CHICKEN PRODUCED USING FEED COMPOSITION}
본 발명은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에 관한 것으로서, 육계사료의 유용한 조성물의 함량을 증가시켜 육계 사육에 사용할 수 있고, 폐사율을 낮출 수 있으며, 증체량 및 도계중량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료요구율을 낮출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고, 엄나무 약리적 작용이 육계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작용을 이용하여 엄나무 기능성 닭고기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과 관련된다.
엄나무(음나무, 멍구나무; Kalopanax pictum var. typicum Nakai)는 오갈피과(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에 속하는 다년생 목본으로 우리나라 전역, 일본, 중국, 러시아 동부지역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만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수고는 30m 직경 1.8m까지 자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가구재료, 건축재료, 악기 등 최고급 목재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수피와 근피는 자양강장 및 신경통약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엄나무 수피에는 수종의 사포닌과 리그난 성분인 있으며, 특히 엄나무의 사포닌은 강장제, 이뇨제로 사용하되어 왔으며, 세포에 대해서는 물질의 투과성을 높이기도하고, 적혈구에서는 용혈작용을 보인다. 이러한 원인으로 자연계 생존하는 식물의 추출물로 항염증, 항당뇨, 향균, 간보호등 질병치료를 하기 위하여 트리터페노이드 사포닌(triterpenoid saponin)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엄나무에 대한 연구는 분리와 구조 동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생리활성은 엄나무에 함유된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 성분의 간보호작용, 진통작용과 알파 헤데린(a-hederin)의 항암작용이 보고된 바 있으며, 장내 미생물이 kalopanax-saponin B를 kalopanax-saponin A, I로 변화시켜 항당뇨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kalopanax-saponin A에 대해서는 항바이러스, 간보호, 항진균, 항경련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엄나무의 효능은 전통적인 한약재로써 여러 가지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나 엄나무를 축산에 접목하여 생산된 제품에 관한 보고는 미약한 실정이며, 더욱이 육계 사료용 조성물 내지는 이를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리고 양축농가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각종세제 혜택, 국가보조 및 융자, 기타 지원금이 보조되었으나, 최근에는 농축산업 분야의 특별한 지원은 기대하기 어려우며, 원자재 및 곡류가격 상승 등에 따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아울러, 축산생산물의 질적 및 양적 향상뿐 아니라, 기능성이 보강된 축산물의 생산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엄나무의 효능을 육계에 효과적으로 전이시키고 이에 따른 기능성 성분이 육계의 사양에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계사료의 유용한 조성물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폐사율을 낮출 수 있으며, 증체량 및 도계중량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료요구율을 낮출 수 있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육계에 공급되는 육계사료와 함께 제공되고, 엄나무 엽, 엄나무 가지 또는 중탕처리한 엄나무 중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육계사료는,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슘, 인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육계사료는, 조단백질 18~23중량%, 조지방 2.0~4.0중량%, 조섬유 4.0~6.0중량%, 조회분 6.0~8.0중량%, 칼슘 0.5~1.0중량%, 인 0.5~1.0중량% 및 아미노산 0.5~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엄나무 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엄나무 엽은 0.1~3mm 크기로 분쇄된다.
여기서, 상기 육계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엄나무 엽은 1~3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상기 사료 조성물은 엄나무 가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엄나무 가지는 0.1~3mm 크기로 분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육계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엄나무 가지는 4~6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엄나무 중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엄나무 중탕은, 엄나무 가지와 엄나무 엽이 3:7 내지 5:5의 비율로 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엄나무 중탕은, 상기 엄나무 가지 및 엄나무 엽의 배합 중량 5kg을 물 20리터에서 5시간 중탕하여 이루어지고, 음용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4~6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로서 엄나무 엽, 엄나무 가지 또는 엄나무 중탕을 사용함으로써, 조단백질, 소화율, 가소화 영양소 총량(Total digestible nutrient, TDN)가가 매우 높은 사료에 의해 사육되고, 특히 엄나무 엽에 의하여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사료를 이용하여, 계육의 에너지가를 높이고 구성 아미노산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에 의하여 사육되는 경우, 육계의 폐사율을 줄일 수 있고 육계 증체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사료요구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엄나무에 의한 유리당에 의하여 계육의 유리당 함량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유기산함량이 높은 계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에 의하여 사육된 육계의 경우 관행구와 비교할 때,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높고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낮게 나타났으므로, 계육의 불포화지방산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급여여가 계육의 pH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급여여가 계육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급여여가 계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급여여가 계육의 총페놀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계육의 DPPH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엄나무의 효능을 육계에 효과적으로 전이시키고 이에 따른 기능성 성분이 육계의 사양에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기술적 특징에 따른 현저한 효과를,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일반 관행구와의 비교시험결과를 토대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시험 조건 및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험 육계의 공시 품종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입추하는 로스품종이며 시험 계사 조건은 12m x 45m = 540m2 동으로서 약 9,000수를 입추할 수 있는 동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은 실제 사육 조건 속에서 엄나무의 효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총 9,000수를 입추 한 후 표 1과 같이 시험동 안에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한 것은 일반 육계 농가에서 실제사육환경을 동일하게 제공하고, 이로부터 발생되는 성장, 사료효율 등 검토함으로서 실험결과 후 현장 적응시 높은 상관관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시험구당 면적은 6.5m x 2.6m = 16.9m2 로 한 3 반복으로 하였으며 구당 시험수수는 250수로서 처리구 당 3 복씩하여 총 3,000수를 입추하여 실험하였다.
시험구 크기 및 공시 수수
항목 관행구 엄나무 가지
처리구
엄나무 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구당면적(m2) 6.5m x 2.6m 6.5m x 2.6m 6.5m x 2.6m 6.5m x 2.6m
반복수 3 3 3 3
총면적(m2) 50.7 50.7 50.7 50.7



구당
(수수)
250수 250수 250수 250수
반복수 3 3 3 3
총수수 750수 750수 750수 750수
처리 방법은 일반 관행구인 배합사료구, 배합사료+엄나무 엽 2% 첨가구, 배합사료+엄나무가지 5% 첨가구 및 배합사료+엄나무가지 중탕구(자유음수)로 한 4처리구로 하였다. 그리고 시험구 처리에 있어서 농후사료, 엄나무, 음수 급여방법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구 처리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배합사료 무제한급여 무제한급여 무제한급여 무제한급여
엄나무 - 엄나무가지
5%첨가
엄나무엽
2%첨가
-
음수 자유음수
(수도물)
자유음수
(수도물)
자유음수
(수도물)
엄나무중탕
시험에 사용한 배합사료는 입추시 육계 병아리 사료, 육계 전기사료, 육계후기사료로 한 3단계로 나누어 급여하였다. 이들 사료 성분은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추사료는 조단백질함량이 22.5%로 높지만 사육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후기에는 18.8%로 떨어지는 사료였다. 그러나 정미 에는지는 입추사료는 2.95Mcal/kg 였지만, 후기에는 3.13Mcal/kg로서 사료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높아지는 사료였다.
배합사료 성분
항목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슘(%) 인(%) MET+CYS
(%)
정미에너지
(Mcal/kg)
입추사료 22.5 2.6 4.5 7.6 0.9 0.9 0.9 2.95
전기사료 20.5 3.3 5.6 6.5 0.8 0.9 0.8 3.10
후기사료 18.8 3.2 5.7 6.7 0.7 0.9 0.7 3.15
엄나무엽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병아리 및 성추들이 쉽게 채식할 수 있도록 1mm 이하로 분쇄하여 급여하고, 엄나무가지는 톱밥분쇄기로 1차 분쇄한 후 대형 함마 밀 분쇄기로 1mm 이하로 분쇄하여 급여하며, 엄나무 중탕은 엄나무가지 40%, 엽 60%로 배합하여 물 20리터에 엄나무 5kg(가지 2kg + 엽 3kg)를 넣어 5시간 중탕 한 후 냉장 보관하여 음용수에 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폐사율은 입추시부터 출하시까지 처리구별(250수 x 3반복 =750수)로 1일 간격으로 조사하여 총 입추수에 대하여 폐사수를 나누어 구하였다.
증체량은 입추시부터 1주일 간격으로 반복별 20수(20수 x 3반복 = 60수)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도체중량은 반복별 10수를 박피 도계(머리, 내장, 다리 제거)하여 평균 값을 구하였다.
사료 요구율은 각 처리구별로 총사료섭취량을 총 증체량으로 나누어 구하였다. 즉 '사료요구율 = 사료섭취량 /1kg 증체량' 공식을 활용하였다.
일반성분은 AOAC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즉, 수분함량은 105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dahl 질소정량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섬유는 Henneberg Stohmann법, 조회분은 직접회화법으로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탄수화물은 100에서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을 뺀 값으로 구하였다.
아미노산을 분석하기 위한 전처리는 시료를 약 1 g씩 정확히 칭량하여 6N-HCl 10 mL를 첨가한 후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밀봉하였다. 110에서 24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킨 후 여액을 농축하고 염산가스를 제거하였다. 여액을 45 감압농축하여 0.2 M sodium citrate buffer(pH 2.2)용액 5 mL로 정용하고, Sepak C18 처리한 후 0.45 membrane filter로 재여과하여 Automatic amino acid analyzer(Biochrom-30, Pharmacia Biotech Co., Swiss)로 분석하였다. 이때 column은 Na form column으로 분석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시료에 75% 에탄올(v/v) 용액을 가하여 80로 유지되는 수욕조에서 1시간 동안 환류냉각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냉각, 여과, 감압농축시켜 증류수로 100 mL되게 정용한 후 이중 50 mL를 취하고 여기에 25% trichloroacetic acid(TCA) 용액을 동량 가하여 1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면서 단백질을 침전시킨 다음 원심분리(3,000 rpm, 20 min)하였다. 상등액을 감압하에 농축건고시킨 다음 lithium citrate buffer(pH 2.2)에 5 mL로 정용하고, Sepak C18 처리한 후 0.45 membrane filter로 재여과하여 Automatic amino acid analyzer(Biochrom-20, Pharmacia Biotech Co., Swiss)로 분석하였다(49).
유리당을 분석하기 위한 전처리는 시료를 약 5 g씩 정확히 칭량하여 80% 에탄올용액 100 mL를 가하여 환류냉각 추출장치에 넣어 부착된 heating mantle에서 80, 2시간 동안 당성분을 반복추출 후 Whatman No. 5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hexane으로 지질을 제거하고 40 진공 농축 건고 후 증류수 5 mL로 정용한 다음 Sepak C18를 통과시켜 0.45 ㎛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Waters 2414, Waters Co., USA)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때 column은 carbohydrate column(ID 3.96×300 mm, Waters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column oven 온도는 30, mobile phase는 85% acetonitrile, flow rate는 2.0 mL/min., 시료주입량은 20 ㎕의 조건으로 Refractive Index(RI) detector, Waters 2414, Waters Co., USA)에서 검출하였다(50). 표준품은 sucrose(Sigma, U.S.A), D-(+)-glucose(Sigma, U.S.A) 및 rhamnose (Sigma, U.S.A)를 일정량씩 혼합하여 증류수에 녹여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표준품과 시료의 당성분은 머무른 시간(tR)을 직접 비교하여 확인하였고 각 표준품의 검량곡선을 작성하여 peak의 면적으로 개별 당성분의 함량을 산출하였다.
유기산 분석은 시료 5 g에 80% 에탄올용액 100 mL를 가하여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heating mantle에서 80, 2시간 반복추출 후 Watman No. 5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hexane으로 지질을 제거하고 40 진공 농축 건고 후 증류수 5 mL로 정용한 다음 고분자 물질과 색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Sepak C18 cartridge 및 0.45 ㎛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Waters 2414, Waters Co., USA)로 분석하였다. 이때 column은 RSpak KC-811(Shodex Co.)를 사용하였으며, column 온도는 40, mobile phase은 0.1% phosphoric acid, flow rate은 1 mL/min., 검출기는 Refractive Index(RI) detector, Waters 2414, Waters Co., USA)로 분석하였다(51). 표준품은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및 malic acid(Sigma, U.S.A)를 일정량씩 혼합하여 증류수에 녹여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표준품과 시료의 유기산 성분은 머무른 시간(tR)을 직접 비교하여 확인하였고 각 표준품의 검량곡선을 작성하여 peak의 면적으로 개별 유기산성분의 함량을 산출하였다.
지방산 분석은, 시료를 Folch 등(1957)의 방법을 이용하여 조지방을 추출하고, 추출된 조지방 시료에 chloroform 1ml을 넣어 녹인 다음, 이 중 100 ul를 취하여 20 ml tube에 넣고, 이때 1 ml의 methylation(methanolic-HCl-3N) 시약을 넣고 항온수조에서 60로 40분간 반응시키며, 반응이 끝난 후 방냉시킨다. 반응이 끝난 후 방냉시키고, hexane 3ml와 증류수 8ml를 넣고 강하게 섞어준 다음 시료를 24시간 방치하여 층분리시키고 상층액 중 1 ml를 주입하여 Gas chromatography(GC)로 분석하였다.
무기질 분석은, 시료 5 g을 정확히 칭량하여 도가니에 담아 550에 4시간 건식회화하여 얻은 회분에 10방울의 탈이온수를 첨가하고 4 mL의 HNO3용액(HNO3 : H2O = 1 : 1)을 가한후 hot plate에서 증발, 건고시켰다. 이를 다시 500에서 1시간 동안 회화하고 10 mL의 HCl용액 (HCl : H2O = 1 : 1)에 완전히 용해시켜 50 mL volumetric flask로 정용한 후 분석용액으로 하였다. Ca, Co, Cu, Fe, K, Mg, Mn, Mo, Na, Zn, As, Cd, Cr, Ni, Pb 등은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IRis Intrepid, Thermo Elemental Co., UK)로 A393.366, A228.616, A324.754, A259.940, A766.491, A285.213, A257.610, A202.030, A588.995, A213.856, A189.042, A226.502, A283.563, A231.604, A220.353 에서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approximate RF power가 1,150w이며, analysis pump rate는 100rpm, nebulizer pressure와 observation height는 각각 30psi 및 15mm로 하였다.
pH분석은, 근막, 지방 등을 제거한 후 세절한 시료 3g을 pH 6.8의 증류수 27 ml와 함께 homogenazer(MSE, U.S.A.)로 14,000rpm에서 10초간 균질하여 pH meter(691 pH Meter, Metrohm, swiss)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은 색차계(Spectrocolorimeter, USXE/SAV/UV-2, Hunterlab Overseas, Ltd, U.S.A)를 이용하여 명도(L-value, lightness), 적색도(a-value, redness) 및 황색도(b-value, yellowness) 값을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의 표준 백색판(L=99.11, a=0.23, b=-0.28)을 사용하였다(63).
사포닌 및 쿠라린 측정은,Total saponin은 Namba와 Fujita 등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분말화된 시료를 열수추출하여 Watman No. 3 여과지로 여과한 액에 동량의 diethylether을 가하여 diethylether층으로 이행되는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하였다. 다름에 동량의 수포화 n-butanol을 가하여 saponin을 4회 반복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에 물을 가하여 유리당을 제거한 후 70에서 감압농축하여 n-butanol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중량법으로 정량하였다.
쿠마린 함량은 시료 5 g에 80% 에탄올용액 100 mL를 가하여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heating mantle에서 80, 2시간 반복추출 후 Watman No. 5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hexane으로 지질을 제거하고 40 진공 농축 건고 후 증류수 5 mL로 정용한 다음 고분자 물질과 색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Sepak C18 cartridge 및 0.45 ㎛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Waters 2414, Waters Co., USA)로 분석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측정에 있어서는, 근육 조직의 콜레스테롤의 추출은 Folch법을 응용하였다. 근육조직 5g을 취해 50ml의 chloroform : methanol(2:1, v/v) 혼합액을 첨가하여 균질하고 1시간 동안 sonication 한 후, Whatman No. 1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건조하였다. 여기에 에탄올 5ml를 가하여 지질을 녹인 후,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의 측정은 (주)아산제약에서 제공하는 효소법에 따랐다. 준비된 시료 0.02ml과 효소시액 3.0ml을 잘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 시약블랭크를 대조로 60분 이내에 파장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액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검체의 흡광도를 표준의 흡광도로 나눈 뒤 300을 곱한 수치를 총콜레스테롤량으로 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준비된 시료 0.2ml와 분리시액 0.2ml을 잘 혼합하여 10분간 실온에 방치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 중 상층액 0.1ml과 효소시액 3.0ml를 잘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방치하고 60분 이내에 시약블랭크를 대조로 하여 파장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액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검체의 흡광도를 표준액의 흡광도로 나눈 뒤 100을 곱한 수치를 HDL-콜레스테롤량으로 하였다.
LDL-콜레스테롤은 Friedwald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riedwald 공식 = (총콜레스테롤 - HDL-콜레스테롤)-중성지방/5
총 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능(DPPH) 측정에 있어서, 총 페놀 함량은 페놀성물질이 phosphomo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한 Folin-Denis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시료 5g에 80% 에탄올용액 100 mL를 가하여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heating mantel에서 80, 2시간 반복추출 후 Whatman No. 5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hexane으로 지질을 제거한 다음 40 진공농축 건고 후 80% 에탄올용액 5 mL로 정용 하였다. 위의 정용액 1 mL 와 Folin-Denis시약 3 mL를 혼합하여 30분간 실온에 방치한 다음 10% Na2CO3 용액 3 mL를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1시간 정치시킨 후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검량곡선은 gar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DPPH(a,a-diphenyl-β picrylhydrazyl) radical 소거활성은 Blois의 방법에 준하여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 1 mL에 60 ㎛ DPPH 3 mL를 넣고 vortex한 후 15분 동안 암소에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하여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엄나무 사료 급여가 육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사육기간 동안 폐사율을 보면 관행구는 2.13%, 엄나무가지 첨가구 1.73%, 엄나무엽 첨가구는 0.93%, 엄나무 중탕 처리구는 1.73%로서, 엄나무엽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폐사율을 보였던 반면 관행구에서는 가장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엄나무엽 처리구는 폐사율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나무사료가 폐사율에 미치는 영향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폐사율
(%)
2.13 1.73 0.93 1.73
엄나무사료가 증체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관행구는 사육기간(35일) 동안 1,647g, 엄나무가지 첨가구 1,677g, 엄나무엽 첨가구는 1,615g, 엄나무 중탕구는 1,652g으로서 엄나무 중탕구가 가장 높은 증체량 및 일당 증체량을 나타냈다. 일당증체량에 대한 상대비율을 보면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 중탕구가 2.8%, 엄나무 가지구가 2% 높은 증체 비율을 나타냈다.
엄나무사료가 증체량에 미치는 영향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입추시무게A)(g) 40.0 40.0 40.0 40.0
종료시무게B)(g) 1,647 1,677 1,655 1,692
증체량(B-A)(g) 1,607 1,637 1,615 1,652
일당증체량(g) 45.9 46.8 46.1 47.2
상대일당증체량(%) 100.0% 102.0 100.4 102.8
엄나무사료가 도계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가지 처리구는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엄나무엽 첨가구 및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관행구에 비하여 높은 도계 중량을 보였다. 이때도계 중량은 박피 도계(털, 껍질, 머리, 내장, 다리 제거)한 중량이었다.
엄나무사료가 도계 중량에 미치는 영향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도계중량(g) 988.3 952.8 1,001.8 1,033.3
상대도계중량(%) 100.0 96.4 101.4 104.6
상대도계중량으로 평가 한다면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엽 첨가구가 1.4%, 엄나무 중탕 처리구가 4.6%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볼 때, 증체량에서 엄나무가지 처리구가 관행구에 비하여 높았지만 도계 중량에서는 엄나무가지 처리구가 관행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실험 샘플 채취에 의한 오차로 사료 된다.
엄나무사료가 사료 요구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먼저 총사료섭취량을 보면 관행구가 2,829g, 엄나무가지 첨가구 2,715g, 엄나무엽 첨가구 2,705g, 엄나무중탕 처리구 2,812g이며, 종료시 무게는 관행구, 엄나무가지 첨가구, 엄나무엽 첨가구,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각각 1,647, 1,677, 1,655 및 1,692g로 나타났다. 따라서 총사료섭취량에 대하여 종료시 무게로 나눈 사료요구율을 보면 엄나무가지 첨가구(1.62) > 엄나무엽 첨가구(1.63) > 엄나무 중탕 처리구(1.66) > 관행구(1.72)순으로 좋게 나타났다.
엄나무사료가 사료 요구율에 미치는 영향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총사료섭취량A)(g) 2,829 2,715 2,705 2,812
종료시무게B)(g) 1,647 1,677 1,655 1,692
사료요구율(A/B) 1.72 1.62 1.63 1.66
다음으로는, 엄나무 급여가 육계 육질 성분 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엄나무 급여가 일반성분에 미치는 영향은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분함량은 처리구간 72.99 - 73.76% 범위로서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엄나무 급여가 육계의 일반성분에 미치는 영향 (%)
처리구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Moisture 73.15 ±1.18 73.76 ±0.58 73.04 ±1.25 72.99 ±0.41
Crude protein 15.85 ±0.51 15.50 ±0.16 15.90 ±0.12 15.76 ±0.11
Crude fat 2.57 ±1.53 2.39 ±1.93 3.59 ±1.25 4.59 ±3.26
Crude fiber 0.22 ±0.07 0.51 ±0.05 0.79 ±0.04 0.84 ±0.05
Crude ash 1.18 ±0.13 0.97 ±0.17 0.89 ±0.26 0.36 ±0.20
N-free ext. 7.03 ±2.09 6.87 ±1.60 5.78 ±0.82 5.46 ±3.08
Energy (kcal/100g) 114.66 ±5.16 111.02 ±11.22 119.04 ±11.66 126.19 ±17.60
단백질 함량에 있어서도 15.50-15.90%로서 상호 처리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방 함량에 있어서는 관행구가 2.57%인 것에 반하여 엄나무엽 첨가구 및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각각 3.59% 및 4.59%로서 높은 지방함량을 나타냈다. 조섬유함량에 있어서는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를 첨가한 구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를 첨가한 구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회분함량은 대부분 광물질 및 중금속형태가 많은 것을 감안한다면 엄나무 급여가 중금속을 배출시키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에너지가에 있어서는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126.19Kcal/100g로서 가장 높고 엄나무가지 첨가구가 119.04kcal/100g로서 가장 낮은 에너지가를 보였다.
엄나무 급여가 육계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18종 구성 아미노산 중 Alanine 및 Systein함량을 제외하고는 16종 아미노산 함량은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 처리구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관행구가 16.25g/100g, 엄나무가지 첨가구가 18.42g/100g, 엄나무엽 첨가구가 20.6g/100g,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21.26g/100g으로서 관행구를 100%로 한 상대비율을 보면 엄나무가지 첨가구가 113%, 엄나무엽 첨가구가 127%,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131%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관행구에 비하여 총 아미노산함량이 3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엄나무첨가는 관행구에 비하여 아미노산함량을 증가시키는 사료로 인증된다.
엄나무 급여가 육계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g/100g)
처리구
항목
Control T-1 T-2 T-3
Aspartic acid 1.45 ± 0.18 1.65 ± 0.11 1.90 ± 0.14 1.96 ± 0.26
Threonine 0.66 ± 0.08 0.75 ± 0.06 0.86 ± 0.08 0.89 ± 0.12
Serine 0.52 ± 0.07 0.60 ± 0.06 0.68 ± 0.07 0.70 ± 0.09
Glutamic acid 2.38 ± 0.28 2.74 ± 0.21 3.10 ± 0.28 3.20 ± 0.36
Proline 0.52 ± 0.09 0.66 ± 0.10 0.77 ± 0.11 0.79 ± 0.10
Glycine 0.70 ± 0.07 0.81 ± 0.12 0.86 ± 0.08 0.87 ± 0.11
Alanine 0.88 ± 0.10 1.01 ± 0.09 1.14 ± 0.09 1.17 ± 0.16
Cystein 0.08 ± 0.02 0.07 ± 0.03 0.07 ± 0.02 0.07 ± 0.01
Valine 0.88 ± 0.11 0.97 ± 0.07 1.13 ± 0.08 1.17 ± 0.16
Methione 0.44 ± 0.05 0.50 ± 0.03 0.58 ± 0.05 0.67± 0.09
Ileucine 0.79 ± 0.10 0.88 ± 0.06 1.01 ± 0.09 1.05 ± 0.14
Leucine 1.36 ± 0.16 1.53 ± 0.10 1.73 ± 0.14 1.80 ± 0.23
Tyrosine 0.49 ± 0.07 0.57 ± 0.04 0.65 ± 0.06 0.67 ± 0.10
Phenylalanine 0.65 ± 0.08 0.73 ± 0.06 0.85 ± 0.08 0.88 ± 0.12
Histidine 0.52 ± 0.08 0.59 ± 0.02 0.67 ± 0.03 0.69 ± 0.13
Lysine 1.44 ± 0.16 1.61 ± 0.13 1.83 ± 0.17 1.90 ± 0.24
Ammonium chloride 1.49 ± 0.06 1.60 ± 0.04 1.45 ± 0.08 1.42 ± 0.13
Arginine 1.00 ± 0.12 1.15 ± 0.08 1.32 ± 0.11 1.36 ± 0.19
Total
Amino-acid
16.25 ± 0.10 18.42 ± 0.08 20.6 ± 0.09 21.26 ± 0.15
상대비율(%) 100 113 127 131
유리 당 함량을 보면 xylose는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76.88mg/100g으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엄나무엽처리구가 39.61mg/100g으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ructose에 있어서는 관행구가 24.39mg/100g으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엄나무 급여가 육계의 유리당 함량에 미치는 영향 (mg/100g)
처리구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xylose 49.79±3.49 39.70±2.09 39.61±6.44 76.88±20.34
fructose 24.39±6.51 17.51±1.94 20.88±2.87 12.32±10.25
glucose N.D. N.D. N.D. N.D.
galactose 55.11±22.54 62.33±7.14 63.00±14.51 108.15±40.21
scrose 16.64±4.53 21.41±1.41 20.43±5.99 25.34±8.82
maltose N.D. N.D. N.D. 16.84±2.74
lactose 32.94±10.25 34.25±4.09 34.47±6.64 43.83±13.40
Total
free sugar
178.87±9.46 175.20±3.33 178.39±7.29 283.36±18.9
상대비율(%) 100.0 97.9 99.7 158.4
1) N.D. : Not Detecter
그러나 glucose는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galactose는 유리 당 함량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108.15mg/100g으로서 매우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 scrose는 유리 당 함량 중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그 중에서도 관행구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maltose는 관행구, 엄나무가지 첨가구 및 엄나무엽 첨가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엄나무중탕 처리구에서는 16.84mg/100g이 검출되었다. lactose함량은 관행구, 엄나무가지 첨가구 및 엄나무엽 첨가구에서는 32.94-34.47mg/100g 범위로서 처리간 차이가 없었지만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43.83mg/100g으로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총 유리당의 함량을 보면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283.36mg/100g으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엄나무가지 첨가구, 엄나무엽 첨가구 및 관행구는 175.20 - 178.87mg/100g 범위로서 상호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유리당에 대한 상대비율을 보면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가지 및 엄나무엽 처리구는 비슷하거나 조금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158.4%로서 관행구에 비하여 58.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나무 급여가 육계의 유기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표 11에 나타내었다.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malonic acid 및 acetic acid은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tartaric acid는 모든 구에서 검출되었으며 이 중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12.14mg/100g으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엄나무엽 첨가구는 51.03mg/100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기산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lactic acid는 엄마무중탕 > 엄나무엽 > 업마무가지 > 관행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계육 성분 중 유기산을 높이는 것에 크게 관여한는 것으로 사료 된다.
엄나무 급여가 육계의 유기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mg/100g)
처리구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oxalic acid N.D N.D N.D N.D
citric acid N.D N.D N.D N.D
tartaric acid 84.19 ± 36.14 60.23 ± 9.77 51.03 ± 2.86 122.14 ± 39.71
malic acid N.D N.D N.D N.D
malonic acid N.D N.D N.D N.D
suiccinic acid N.D N.D N.D N.D
lactic acid 227.41 ± 96.89 229.03 ± 20.84 233.76 ± 28.97 342.14 ± 141.92
acetic acid N.D N.D N.D N.D
1) N.D. : Not Detecter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지방산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lauric acid, 11-methyltridecanoic acid, Myristoleic acid, arachididic acid,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 및 cis-4,7,10,13,16,19- Docosahexaenoic acid 지방산은 검토되지 않았다.
myristic acid는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 palmitic, palmitole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arachidic acid은 모두 엄나무 중탕 처리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mg/100g)
처리구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Lauric acid N.D. N.D. N.D. N.D.
11-
Methyltri-
decanoic acid
N.D. N.D. N.D. N.D.
Myristic
acid
0.79±0.36 2.43±0.64 1.64 ± 0.58 2.03 ± 0.08
Myristoleic
acid
N.D. N.D. N.D. N.D.
Palmitic
acid
53.11±11.54 67.28±40.58 47.10 ± 32.92 78.75 ± 4.18
Palmitoleic
acid
10.85±3.16 14.02±9.36 10.89 ± 8.41 21.58 ± 3.25
Stearic
acid
16.37±2.39 23.86±14.95 13.71 ± 10.01 26.16 ± 2.57
oleic
acid
69.29±14.09 89.54±53.92 64.30 ± 45.66 112.81 ± 6.61
Linoleic
acid
27.46±7.25 45.89±31.97 37.32 ± 28.62 63.61 ± 5.03
Linolenic
acid
0.04 1.40±0.04 1.49 ± 0.72 1.89 ± 0.08
Arachidic
acid
N.D. N.D. N.D. N.D.
Arachidonic
acid
0.79±0.98 6.75±1.67 6.05 ± 0.39 8.20 ± 2.56
cis-5,8,11,14,17-
Eicosapentaenoic
acid
(EPA)
N.D. N.D. N.D. N.D.
cis-4,7,10,13,16,19-
Docosahexaenoic
acid(DHA)
N.D. N.D. N.D. N.D.
포화지방산(SFA)A 70.27±4.76 93.57±18.72 62.45±20.82 106.94±2.28
불포화지방산(UFA)B 108.43±5.10 157.60±19.39 120.05±16.76 208.09±3.06
단가불포화지방산
(MUFA)
80.14±8.63 103.56±31.64 75.19±27.04 134.39±4.93
A : B(%) 39:61 37:63 34:66 34:66
1) N.D. : Not Detecter
지방산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엄나무중탕 > 엄나무가지 > 관행구 > 엄나무엽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불포화지방산함량은 엄나무중탕 > 엄나무가지 > 엄나무 엽 > 관행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방의 두 번째 형태인 단일불포화지방산(MUFA)은 수소 하나 부족한 것으로서 많은 연구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은 LDL을 줄이고 LDL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유익한 지방산이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엄나무중탕 처리구가 134.39mg/100g으로 다른 처리구 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엄나무엽 처리구는 75.19mg/100g 로서 시험구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포화지방산대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을 보면 관행구가 포화지방산함량이 가장 높고, 엄나무엽 및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34%로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엄나무 가지, 엄나무 엽 및 엄나무 중탕은 불포지방산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엄나무 중탕은 단일 불포화 지방산을 증가시키는데 매유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중 Ca를 보면 엄나무중탕 구가 193.724mg/kg로서 다른구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o는 다른 구에서 검출되지 않았지만 엄나무중탕 처리구에서는 미량이 검출되었다. Cu, Fe 및 Mg 함량은 엄나무중탕 처리구에서 K는 관행구에서, Na는 엄나무가지 처리구에서, Zn은 엄나무엽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Ca, Co, Cu, Fe 및 Zn함량은 엄나무를 첨가한 구들이 관행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지만 Mg 및 Na은 관행구와 엄나무처리 구 사이에 일정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다.
엄나무 첨가는 계육에 있어서 Ca, Co, Cu, Fe 및 Zn함량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 된다.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무기물 성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mg/kg)
처리구

항목
관행구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엽
처리구
엄나무중탕
처리구
Ca 96.302
± 17.835
153.667
± 89.951
132.858
± 24.950
193.724
± 140.489
Co N. D. N. D. N. D. 0.007
± 0.006
Cu 5.474
± 0.561
6.755
± 0.693
8.829
± 0.576
9.873
± 0.289
Fe 126.124
± 19.507
134.028
± 24.527
180.848
± 24.930
196.429
± 7.495
K 4761.581
± 234.840
4530.421
± 214.107
4251.307
± 225.940
4680.851
± 228.019
Mg 310.160
± 18.736
301.276
± 16.838
309.047
± 19.571
348.353
± 14.329
Na 549.333
± 22.040
570.897
± 41.221
539.670
± 19.427
507.287
± 23.699
Zn 11.345
± 1.871
11.455
± 1.359
18.327
± 10.768
12.197
± 1.679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pH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관행구는 6.14, 엄나무가지 첨가구는 6.22, 엄나무엽 첨가구는 6.07 그리고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6.37로서 엄나무엽 처리구가 낮은 pH를 보였던 반면 엄나무 중탕 처리구는 6.37로 시험구 중 가장 높은 pH를 보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 급여가 계육의 pH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pH에 미치는 영향
처 리 구 pH
관행구 6.14 ±0.21
엄나무가지 처리구 6.22 ±0.12
엄나무엽 처리구 6.07 ±0.08
엄나무중탕 처리구 6.37 ±0.34
명도 L값은 관행구가 61.94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엄나무가지 처리구는 57.75로 가장 낮은 명도 값을 나타냈다. 실험구간에 명도 값은 57.75- 61.94 범위 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 급여가 계육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
처리구 L a b
관행구 61.94 ±1.79 11.03 ±2.30 13.90 ±3.07
엄나무가지 처리구 57.75 ±1.55 15.92 ±2.18 17.50 ±3.67
엄나무엽 처리구 58.98 ±0.25 14.66 ±2.93 15.70 ±1.81
엄나무중탕 처리구 59.66 ±1.65 12.37 ±4.12 14.59 ±3.43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명도가 낮았던 엄나무가지 처리구가 15.92로 가장 높은 적색도 보였고 명도가 가장 높았던 관행구가 적색도에 있어서는 11.03으로 가장 낮은 적색도를 보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에 있어서는 엄나무가지 첨가구가 17.50으로 높은 황색도를 나나내었고 명도가 높았던 관행구가 13.90으로 황색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엄나무 첨가는 명도(L)는 떨어지지만, 적색도와 황색도에 있어서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엄나무가지, 엄나무엽 및 엄나무 중탕을 급여한 계육에서는 사포닌과 큐마린이 검출되지 않았다.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사포닌과 큐마린 함량에 미치는 영향
처리구 Saponin Coumarin
관행구 ND ND
엄나무가지 처리구 ND ND
엄나무엽 처리구 ND ND
엄나무중탕 처리구 ND ND
엄나무 첨가급여가 계육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관행구는 87.43ml, 엄나무 첨가구들은 89.82-92.47ml로 관행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엄나무 첨가구 중 엄나무 중탕 처리구가 92.47ml로 가장 높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조직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체외로 내보내게 하는 HDL은 동맥경화에 대한 방어작용을 하는 우리 신체에 유익한 콜레스테롤로서 엄나무 첨가구들은 관행구에 비하여 모두 HDL함량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엄나무 중탕 처리구는 55.11ml로서 실험구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콜레스테롤을 간에서 다른 조직으로 운반하는 역할로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게 하는 LDL은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 첨가구들이 모두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엄나무 첨가구 중 중탕 처리구는 18.95로서 실험구 중 가장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엄나무 첨가는 HDL 수치를 높이고 LDL수치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 급여가 계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mg/dl)
처리구 Total-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관행구 87.43 ±1.65 50.83 ±0.52 25.81 ±0.40
엄나무가지 처리구 89.82 ±1.21 52.79 ±0.40 22.51 ±1.14
엄나무엽 처리구 90.36 ±1.95 53.89 ±1.24 21.78 ±0.93
엄나무중탕 처리구 92.47 ±1.00 55.11 ±1.79 18.95 ±0.64
항산화 역할을 하는 페놀함량을 보면 관행구가 75.59, 엄나무가지 첨가구 78.01, 엄나무엽 첨가구 79.81, 엄나무중탕 처리구 82.1mg/100g으로서 항산도 즉 페놀함량이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엄나무중탕 구는 82.10mg/100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활성산소 제거 능력을 대변할 수 있는 DPPH는 엄나무 머가구들이 관행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엄나무엽 및 엄나무중탕 처리구는 각각 30.64 및 32.79%로서 관행구에 비하여 각각 2.65, 4.8%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엄나무 가지, 엽, 중탕은 총페놀 및 전자공여능을 높이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 급여가 계육의 총페놀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계육의 DPPH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엄나무 첨가 급여가 계육의 총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능(DPPH)에 미치는 영향
처리구 Total phenol (mg GAE/100g) Scavening activity (%)
관행구 75.59 ±1.07 27.99 ±0.53
엄나무가지 처리구 78.01 ±1.42 29.76 ±0.31
엄나무엽 처리구 79.81 ±0.70 30.64 ±1.08
엄나무중탕 처리구 82.10 ±0.40 32.79 ±0.49
상술한 바와 같이, 엄나무 엽은 조단백질, 소화율, TDN가가 높아서 사료가치가 매우 높으며, 특히 엄나무 엽은 가지에 비하여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아서 사료적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엄나무 엽 및 가지는 무기물 K, Na, Mg 함량이 풍부하고, 황색도(b)가 높아서 계육의 명도를 변화 시킬 수 있으며, 총페놀함량이 높아 항산화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폐사율은 관행구 > 엄나무가지 처리구, 엄나무 중탕 처리구 > 엄나무엽 처리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육계의 폐사율을 줄일 수 있는 원료로 사료됨을 알 수 있고, 증체량의 경우, 엄나무엽 처리구 > 엄나무 중탕 처리구 > 엄나무 가지 처리구 > 관행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엄나무는 육계 증체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계 중량은 관행구에 비하여 엄나무 중탕 및 엄나무 엽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사료요구율은 관행구(1.72) > 엄나무 중탕(1.66) > 엄나무 엽(1.63) > 엄나무 가지(1.62)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엄나무 사료는 사료 요구율을 줄일 수 있는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엄나무 처리구와 관행구 사이에 일반 성분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에너지가는 엄나무 중탕 > 엄나무 엽 > 관행구 > 엄나무 가지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엄나무 중탕 및 엽은 계육의 에너지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엄나무 중탕 및 엽 첨가 급여는 구성 아미노산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엄나무 중탕은 계육의 유리당 함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계육의 유기산함량은 엄나무 중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엄나무 중탕, 엽, 가지는 계육의 불포화지방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고, 무기물은 엄나무 중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계 생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육계 성장 및 육계 육질 향상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엄나무 중탕이 가장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육계에 공급되는 육계사료와 함께 제공되고,
    엄나무 엽, 엄나무 가지 또는 중탕처리한 엄나무 중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계사료는,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슘, 인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계사료는,
    조단백질 18~23중량%, 조지방 2.0~4.0중량%, 조섬유 4.0~6.0중량%, 조회분 6.0~8.0중량%, 칼슘 0.5~1.0중량%, 인 0.5~1.0중량% 및 아미노산 0.5~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엄나무 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엄나무 엽은 0.1~3mm 크기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계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엄나무 엽은 1~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6.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엄나무 가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엄나무 가지는 0.1~3mm 크기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계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엄나무 가지는 4~6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8.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엄나무 중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엄나무 중탕은, 엄나무 가지와 엄나무 엽이 3:7 내지 5:5의 비율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엄나무 중탕은,
    상기 엄나무 가지 및 엄나무 엽의 배합 중량 5kg을 물 20리터에서 5시간 중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엄나무 중탕은,
    음용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4~6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KR1020100065915A 2010-07-08 2010-07-08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KR20120005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915A KR20120005263A (ko) 2010-07-08 2010-07-08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915A KR20120005263A (ko) 2010-07-08 2010-07-08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63A true KR20120005263A (ko) 2012-01-16

Family

ID=4561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915A KR20120005263A (ko) 2010-07-08 2010-07-08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2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25427A1 (en) * 2016-11-10 2018-05-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lanar neural probe structure and its assembly structure for chronic implan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25427A1 (en) * 2016-11-10 2018-05-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lanar neural probe structure and its assembly structure for chronic implan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eft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Chamorro et al. Valorization of kiwi agricultural waste and industry by-products by recovering bioactive compounds and applications as food additives: A circular economy model
Goyal et al. Review on ethnomedicinal uses, pharmacological activity and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Ziziphus mauritiana (Z. jujuba Lam., non Mill)
Ojewole et al. Sclerocarya birrea (A. Rich) Hochst.[‘Marula’](Anacardiaceae): a review of its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oxicology and its ethnomedicinal uses
Owis Broccoli; the green beauty: a review
Sroyraya et al.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sea cucumber Holothuria scabra
Maroyi Ximenia caffra Sond.(Ximeniaceae) in sub-Saharan Africa: A synthesis and review of its medicinal potential
Su et al. Dietary alfalfa powder supplementation improves growth and development, body health, and meat quality of Tibetan sheep
Soetan Comparative evaluation of phytochemicals in the raw and aqueous crude extracts from seeds of three Lablab purpureus varieties
Ashraduzzaman et al. Vigna unguiculata linn. Walp. Seed oil exhibiting antidiabetic effects in alloxan induced diabetic rats
WenYing et al. Chicory seeds: a potential source of nutrition for food and feed
KR101899443B1 (ko) 간 보호용 음료조성물
del Hierro et al. Potential of edible insects as a new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gainst metabolic syndrome
Wani et al. Hazelnut
KR101246266B1 (ko) 발효 누에 분말의 제조방법 및 발효 누에 분말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00692A (ko)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Olusola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Hibiscus sabdariffa calyx anthocyanins and ascorbate on 2, 4-dinitrophenylhydrazine-induced damage in rabbits
KR20120005262A (ko)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
KR20150051597A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70015844A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20120005263A (ko) 육계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육된 육계
Poklar Ulrih et al. Coumaric and cinnamic acids in food
KR20130115949A (ko)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약학조성물
Keshri et al. Moringa and its medicinal properties: A review
Kamatit et al. Effects of dietary waterlily (Nymphaea pubescens) stamen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common lowland frog (Rana rugulo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