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102U -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직조한 침구용 포 - Google Patents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직조한 침구용 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102U
KR20120005102U KR2020110000046U KR20110000046U KR20120005102U KR 20120005102 U KR20120005102 U KR 20120005102U KR 2020110000046 U KR2020110000046 U KR 2020110000046U KR 20110000046 U KR20110000046 U KR 20110000046U KR 20120005102 U KR20120005102 U KR 201200051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layer
wrinkles
inn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천
Original Assignee
(주)풍전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전티.티 filed Critical (주)풍전티.티
Priority to KR2020110000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102U/ko
Publication of KR20120005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 D04H1/0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by treatment to produce shrinking, swelling, crimping or curling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0Treatment influencing the crease behaviour, the wrinkle resistance, the crease recovery or the ironing ease

Abstract

본 고안은 침장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을 구성하는 표면층과 내부층간의 직물의 수축율차를 이용한 영구적인 주름을 형성하여, 침구용 제품으로 사용할 때 인체와 접촉하는 면적이 적으며, 공기 유통이 많아 쾌적하고, 땀이 많이 차지 않는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직물지는 기존에는 표면에 열을 이용하여 표면에 crease를 부여한 원단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crease는 사용간 주름이 펴져서 효과가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위와 같은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단을 제직할 때 3층이상으로 구성하되, 표면층은 피부 접촉시 땀흡수에 유리한 Cotton을 주성분으로 구성하고, 내부층은 고수축사, 잠재권축사, 고신축사등과 같이 염색공정에서 축소율이 큰 원사를 전부 혹은 일부에 적용하고, 구성한 표면층과 내부층을 접결하여 생지를 제직한다. 이렇게 직조한 생지는 축소, 염색공정에서 표면층과 내부층간에 축소율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러한 축소율의 차이는 접결점에 의하여 의도한 간격으로 각 층이 붙어 있어, 층간이 벌어지면서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직물지는 표면층이 땀흡수가 좋은 원단으로 구성되고, 표면에 주름 혹은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유통이 많아, 사용시 쾌적하고 시원한 원단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직조한 침구용 포{bedding cloth with crinckle effect}
본 고안은 침구 혹은 침장류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을 제직 혹은 편직할 때 직물을 3층 이상으로 구성하고, 중간층의 소재로 표면층보다 수축율이 큰 소재를 사용하고, 중간층과 표면층의 수축에 의하여 표면층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한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원단은 표면에 요철형태의 주름이 있어, 인체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적은 특징이 있어, 피부에 끈적하게 붙지않고, 피부와 침구를 구성하는 원단 사이에 공기의 유통이 많아, 사용간 쾌적한 장점이 있다.
최근 유아용품과 노인용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침구용 원단에 요구되는 기능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전에는 예쁜 외관이 제품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면, 최근에는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 인체와의 친화성, 자연과의 친화성등도 제품의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주거환경도 변화하여, 이전의 주거환경에 비하여, 아파트로 대표되는 현대의 주거환경과 같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도 춥지 않은 환경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므로 기존과 같이 두꺼운 솜이불로 대표되는 보온성 침구류보다도, 얇고 가벼우면서도 통기성이 좋은 침구류가 많이 사용될 전망이다.
현재 이러한 환경변화를 만족시키는 침구소재로서, 가장 일반적인 소재는 linen류와 같이 뻣뻣하면서 시원한 소재를 사용하여 피부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거나, 얇은 솜을 안쪽에 대고 퀼팅한 소재를 사용하여 왔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인견(rayon)으로 제직후 crease 가공을 하여 냉감소재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는 소재 자체의 가격이 높거나, 원단에 발생한 주름이 영구적이지 못하여, 판매시에만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만족감을 주나, 실제 사용간 주름이 약해져,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자일리톨 등의 냉감소재를 섬유표면에 코팅하거나 캡슐을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기능성 가공도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사용간 마찰과 세탁 등으로 그 기능이 소멸하여 오랜 기간 냉감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침구 혹은 침장류에 있어, 침구가 피부에 접촉하여도 시원하며 쾌적하게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직물을 구겨서 열처리하여 직물의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고 구겨진 원단으로 인하여 피부접촉면적을 줄이는 기존의 방법이, 사용중 주름이 펴지면서 효과를 상실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품의 표면층과 내층간에 수축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반영구적인 주름을 형성한 직물을 제조함에 목적이 있다.
제품을 3층이상으로 구성하되, 표면층과 내부층간의 수축율의 차이가 높도록 제조하여, 각 층간의 수축율의 차이로 인하여, 직물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만든 침장용 포를 제시한다. 각 층간의 수축율 차이와 인체에 편안한 표면층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면층은 Cellulose계통 섬유로 구성하고, 내부층은 탄성사, 잠재권축사 혹은 고수축사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은 침장류의 쾌적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서, 피부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직물의 표면에 인위적인 주름을 후가공에서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반영구적인 주름을 표면에 형성하기 위하여 직물의 설계시 직물을 3층 이상으로 설계하여, 중앙층과 표면층 간의 수축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직물에 주름을 형성하여, 사용간 직물과 피부 사이에 접촉면적이 적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도는 직조한 직물을 염색가공후 표면에 요철이 만들어진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예는 실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례에 불과하며,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면은 셀룰로오스계 섬유인 Cotton을 사용하여 평직, 능직, 주자직 또는 그 응용조직으로 구성하고, 중간층은 주름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잠재권축사 혹은 고수축사를 사용하거나, 중간층의 부피를 키우기위하여 루프의장사를 사용한 예를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경사에 2개 혹은 3개이상의 빔을 사용하되, 제 1빔은 Cotton 30수 단사 혹은 40수/2합, 400~600 T/M을 가한 실로 6,800본의 빔을 만든다. 제 2빔은 PET 150d DTY 4,800본을 호부하여 준비한다. 위사로는 Cotton 30수 단사와 PET 잠재권축사 120d를 400T/M의 꼬임을 부여하여 준비한다. 제 1빔은 표면층으로 사용하는 1층(11)과 3층(31)에 사용하고, 여기에 사용하는 위사는 위에서 준비한 30수 단사를 이용하여 평직으로 구성한다. 제 2빔은 내부층(21)에 사용하여 여기에 사용하는 위사는 PET 잠재권축사 120d를 400T/M의 꼬임을 부여하여 사용하여 8매의 honeycomb 조직을 형성한다. 1(11), 2(21), 3(31)층간의 접결은 1(11), 2(21)층을 연결하고 2(21), 3(31)층을 연결하되, 각 층간의 접결은 2층(21)의 repeat unit를 2개씩 건너서 연결하여 제직한다.
이렇게 제직한 원단을 통상적인 호발 정련을 하고, cotton을 염색한다. 이때 호발/정련 공정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호발 정련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염색공정은 cotton을 염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CPB염색법을 사용할 경우 원단의 표면에 만들어진 요철 때문에 A frame에 원단이 균일하게 감기지 않아, 균염을 얻기 힘들다. 그러므로, rapid 혹은 wince와 같은 액류 염색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염색을 진행하면, 표면(11,31)층은 위사방향으로 약 10~15%의 수축이 생기지만, 중간층(21)은 약 30~45%의 수축이 발생하여, 표면층에 접결한 간격만큼 표면이 부풀어 올라, 외관에 경사방향으로 요철형태의 주름을 형성한 원단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볼륨감과 신축성을 동시에 제공하여 영유아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직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면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면 comb사 40수를 사용하거나, 30 내지 60수의 cotton사를 2합하여 100~600T/M의 꼬임수로 연사하여 경사, 위사의 일부 혹은 전부에 사용한다. 이때 꼬임을 가하지 않고, 단사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단사로 사용할 경우 잦은 세탁에 의하여 표면에 모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초연의 10%~20% 정도로 추가연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직물의 조직은 직물 표면에 두둑형 요철을 만들기 위하여 피케 (pique)조직을 응용하여 양면 피케조직을 사용한다. 편면 피케 조직을 사용하게 되면 두둑이 형성된 반대면은 두둑 부분의 위사가 모두 조직을 이루지 않고 건너 뛰기 때문에, 사용간 긁힘이 발생할 경우 올이 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이때 양면 두둑을 형성하기 위하여 피케를 형성하는 방향의 실은 축소가 잘 되는 실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피케를 형성하는 방향의 실로 스판덱스커버링사, 잠재권축사, 코어스펀사등의 사를 사용하면 두둑 효과가 높아진다. 다만, 유연성과 내구성에서 스판덱스를 사용한 원사보다는 합성섬유 스판덱스 커버링사나 잠재권축사가 유리하다.
또 다른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경사는 comb사 40수 2합사를 면사의 초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400~650T/M을 가하여 준비하고, 경사본수 5,000~6,000본으로 정경하되 정경폭을 69~75인치로 한 경사 빔을 준비한다.
위사는 경사와 동일한 원사와 고신축성 PET 150d/48f 사를 위사로 사용하여 두둑형성용 위사로 사용한다. 이때 고신축성 PET사 대신에 기능성을 가진 고신축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기능성사는 도전사 등 정전기 제거기능성사, 발열사, 소취기능사, 항균사, 항충사등의 기능을 함유한 기능성사를 고신축성사와 함께 사용하거나, 고신축성사가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성 원사를 사용할 경우 보다 쾌적한 기능성 침구를 제조가능하다.
염색가공은 상기와 같이 구성한 직물을 염색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은 필요하지 아니하며, 액류형 염색기를 사용하여 축소, 염색을 진행하면 두둑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11 : 표면층
21 : 내부층 ( 중간층 )
31 : 표면층 ( 이면층 )

Claims (4)

  1. 3층 이상으로 구성하되, 표면층보다 내부층의 수축률이 10~50%높아, 표면층과 내부층의 수축율 차이로 인하여 직물의 표면에 잔주름이 형성되는 침장용 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층의 소재는 스판덱스, 잠재권축사, 고수축사, 고신축사 중에서 선택되는 원사로 구성한 침장용 포
  3.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층의 소재는 경사, 위사중 어느 한 쪽 혹은 모두에 cellulose계 섬유를 함유한 원사를 사용한 침장용 포
  4. 제 1 항에 있어서, 신축과 밭두둑형태의 발현을 위하여 사용한 수축성 원사가 표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내부층에 배열하여 직조한 침장용 포
KR2020110000046U 2011-01-04 2011-01-04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직조한 침구용 포 KR201200051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46U KR20120005102U (ko) 2011-01-04 2011-01-04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직조한 침구용 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46U KR20120005102U (ko) 2011-01-04 2011-01-04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직조한 침구용 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959A Division KR101478176B1 (ko) 2013-12-24 2013-12-24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침장용 포의 제조방법 및 침장용 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02U true KR20120005102U (ko) 2012-07-12

Family

ID=4685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046U KR20120005102U (ko) 2011-01-04 2011-01-04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직조한 침구용 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1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93B1 (ko) * 2013-09-30 2015-03-20 정태복 난연 및 전자파 차폐성능을 가지는 항균성 헬스케어 직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93B1 (ko) * 2013-09-30 2015-03-20 정태복 난연 및 전자파 차폐성능을 가지는 항균성 헬스케어 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972B2 (en) Fabrics having double layers of terry or pile
CN203807658U (zh) 一种异彩复合丝四面弹乱麻面料
CN205313768U (zh) 一种包芯纱防钻绒面料
CN108950800A (zh) 一种抗菌舒适型面料及其加工工艺
CN106381595B (zh) 一种空气层织物及其织造方法
KR101478176B1 (ko)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침장용 포의 제조방법 및 침장용 포
CN104452019A (zh) 一种具有双面接触异感的面料
CN107740216A (zh) 一种双面浮雕异花型多层无毛圈巾被织物及其织造方法
JP4571232B1 (ja) 羽毛の吹き出し防止構造
KR100792013B1 (ko) 일방향 주름 직물의 제직 방법 및 그에 따른 일방향 주름 직물
CN207310693U (zh) 一种可水洗羊毛面料
KR20120005102U (ko)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직조한 침구용 포
CN202775425U (zh) 一种椰炭纤维拉舍尔毛毯
CN107385630B (zh) 全棉色织多层大提花毯面料的染整方法
CN106757712B (zh) 羊毛与棉和棉涤交织纬编双面绒面料及制造方法
CN206204535U (zh) 一种空气层织物
JP3172230U (ja) ストレッチ織物
CN108796799A (zh) 一种仿梭织织造的毛棉罗纹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CN204342976U (zh) 一种竹亮纤维面料
CN103866465A (zh) 一种锦涤空变丝面料
US201200668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grading bedding fabric
CN209775764U (zh) 单提花复合毛巾布
CN202775426U (zh) 一种麻赛尔纤维拉舍尔毛毯
TWI690292B (zh) 毛巾製品
CN201253052Y (zh) 美利绒毛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125 Withdrawal of application by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