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759U - 공압식 흡착피커 - Google Patents

공압식 흡착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759U
KR20120004759U KR2020100013275U KR20100013275U KR20120004759U KR 20120004759 U KR20120004759 U KR 20120004759U KR 2020100013275 U KR2020100013275 U KR 2020100013275U KR 20100013275 U KR20100013275 U KR 20100013275U KR 20120004759 U KR20120004759 U KR 201200047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cylinder
adsorption
slide
p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3781Y1 (ko
Inventor
이순녀
임태중
Original Assignee
이순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녀 filed Critical 이순녀
Priority to KR2020100013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78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푸싱로드를 구비한 근접 실린더(13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싱로드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 원통(150); 및 상기 슬라이드 원통(150)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 원통(150)의 단부로 돌출되는 흡착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에 따르면, 핫픽스를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받는 과정에서 핫픽스에 대한 충격을 줄이어 핫픽스의 이탈을 줄이고, 핫픽스에 대한 접촉을 원활하게 하여 핫픽스의 배열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정확히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압식 흡착피커{PNEUMATIC ABSORPTION PICKER}
본 고안은 공압식 흡착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핫픽스를 흡착하여 배열하는데 사용되는 공압식 흡착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핫픽스는 의류, 신발, 벨트, 장식품 등과 같은 소비재의 외부 장식에 사용되는 인조 보석이다. 핫픽스는 무늬와 일대일 대응으로 테이프와 같은 시트에 배열된 후 접착장치에 의해 장식 부위에 부착된다.
핫픽스는 공급장치부터 하나씩 공급되어 배열장치에 의해 시트 상에 배열되는데, 이를 위하여 배열장치에는 핫픽스를 흡착하여 시트 상에 내려 놓기 위한 흡착기구가 사용되며, 흡착기구에는 핫픽스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피커가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핫픽스의 흡착을 위한 공압식 흡착피커를 사용하면, 핫픽스가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과정에서 핫픽스에 접촉할 때 핫픽스에 충격이 가해져 핫픽스가 이탈되고 핫픽스에 충분히 접근한 상태에서 핫픽스에 대해 접촉하는 스트로크를 제공하지 못하여 공정 상의 에러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는 핫픽스가 시트 상에 배치될 때 핫픽스가 시트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핫픽스의 배열이 흐트러지거나 흠집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핫픽스를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받는 과정에서 핫픽스에 대한 충격을 줄여 핫픽스의 이탈을 줄이고, 핫픽스에 대한 접촉을 원활하게 하여 핫픽스의 배열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정확히 하도록 할 수 있는 공압식 흡착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는,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푸싱로드(140)를 구비한 근접 실린더(13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싱로드(140)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 원통(150); 및 상기 슬라이드 원통(150)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 원통(150)의 단부로 돌출되는 흡착부(17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근접 실린더(130)의 일측 부분과 나사결합되고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제1 홀(111)이 형성되는 헤드부(110); 및 상기 헤드부(110)의 개방된 일면부에 대면하여 접하고 상기 근접 실린더(130)와 나사결합되고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제2 홀(121)이 형성되는 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실린더(130)에는 상기 헤드부(110)와 상기 몸체부(120)의 내주 나선에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선(131)과 제2 나선(1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111)에 연결된 공압 라인으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가압공간(133)이 상기 근접 실린더(13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실린더(130)는 상기 가압공간(133)과 연통되는 제1 슬라이드 공간(134)이 형성된 실린더 몸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몸체(135)의 상기 가압공간(133)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가압공간(133)으로 공압을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유입 슬릿(14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원통(150)은, 상기 몸체부(120)의 제2 홀(121)이 형성된 둘레부의 내측에 걸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홀(121)로부터 공압을 제공받는 다수의 유입홀(156)이 형성된 덮개부(155); 상기 덮개부(155)가 결합되며 상기 흡착부(170)를 위한 제2 슬라이드 공간(162)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160); 및 상기 원통부(160)의 내부에 설치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덮개부(155)와 흡착부(170)에 지지되는 완충 스프링(16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55)는, 상기 원통부(160)의 내측 면부에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66)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166)에는 완충 스프링(165)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완충 스프링(165)을 직선으로 유지하는 지지나사(167)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55)의 유입홀(156)은 4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170)는, 상기 원통부(160)의 제2 슬라이드 공간(162)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공압이 제공되어 통과하는 원형 슬라이드(171a); 및 상기 원형 슬라이드(171a)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원형 슬라이드(171a) 측으로부터 흡입을 위한 공압을 제공받는 흡착관(17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에 따르면, 핫픽스를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받는 과정에서 핫픽스에 대한 충격을 줄여 핫픽스의 이탈을 줄이고, 핫픽스에 대한 접촉을 원활하게 하여 핫픽스의 배열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정확히 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a, 3b는 도 1의 I-I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슬라이드 원통과 흡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가 원형 플레이트 측으로 회전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가 이동 피커의 하단부로 회전된 상태도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a, 3b는 도 1의 I-I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슬라이드 원통과 흡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는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푸싱로드(143)를 구비한 근접 실린더(130), 하우징(10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푸싱로드(143)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 원통(150), 슬라이드 원통(150)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 원통(150)의 단부로 돌출되는 흡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근접 실린더(130)의 일측 부분이 나사결합되고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제1 홀(111)이 형성되는 헤드부(110), 헤드부(110)의 개방된 일면부에 대면하여 접하고 근접 실린더(130)와 나사결합되고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제2 홀(121)이 형성되는 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10)의 제1 홀(111)은 헤드부(1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둘레부(1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111)은 제1 둘레부(112)의 외면부에서 헤드부(110)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헤드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몸체부(120)의 제2 홀(121)도 몸체부(1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둘레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121)은 제2 둘레부(122)의 외측에서 몸체부(120)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몸체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0)와 몸체부(120)의 대면하는 내측 부근 양측에는 근접 실린더(130)가 결합되는 내주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근접 실린더(130)에는 헤드부(110)와 몸체부(120)의 내주 나선에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선(131)과 제2 나선(1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1 홀(111)에 연결된 공압 라인으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가압공간(133)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가압공간(133)과 연통되며 푸싱로드(140)가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 공간(134)이 형성된 실린더 몸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몸체(135)의 가압공간(133)이 형성된 부분에는 가압공간(133)으로 공압을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유입 슬릿(14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 슬릿(145)은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대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푸싱로드(140)는 실린더 몸체(135)의 슬라이드 공간에 이동가능하게 구속되는 원형 슬라이더(141), 원형 슬라이더(141)에 결합되며 실린더 몸체(135)의 제1 슬라이드 공간(134)으로부터 실린더 몸체(135)의 외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로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슬라이더(141)는 실린더 몸체(135)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귀 스프링(1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43)은 실린더 몸체(135)에 공압이 가해져 푸싱로드(140)가 더 돌출된 상태에서 공압이 차단되었을 때, 푸싱로드(1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로드(142)는 마주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원통(150)의 일측 면부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나사가공될 수 있다.
슬라이드 원통(150)은 몸체부(120)의 제2 홀(121)이 형성된 둘레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형 걸림턱(125)에 걸리도록 배치되며 제2 홀(121)로부터 공압을 제공받는 다수의 유입홀(156)이 형성된 덮개부(155), 덮개부(155)가 밀봉되게 결합되며 덮개부(155)의 반대 측에 반경방향으로 환형턱(161)이 형성되며 흡착부(170)를 위한 제2 슬라이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160), 원통부(160)의 내부에 설치되며 양 단부가 각각 덮개부(155)와 흡착부(170)에 지지되는 완충 스프링(165)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55)는 원통부(160)의 내측 면부에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166)에는 완충 스프링(165)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완충 스프링(165)을 직선으로 유지하는 지지나사(167)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55)의 유입홀(156)은 사방에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170)는 원통부(160)의 제2 슬라이드 공간(162)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공압이 제공되어 통과하는 원형 슬라이드(171a), 원형 슬라이드(171a)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원형 슬라이드(171a) 측으로부터 흡입을 위한 공압을 제공받는 흡착관(171b)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 슬라이드(171a)와 흡착관(171b) 사이에는 원통부(160)의 환형턱(161)에 걸리는 단턱(17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착관(171b)은 원형 슬라이드(171a)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단부는 핫픽스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촉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원형 슬라이드(171a)의 내부에는 완충 스프링(165)의 단부가 삽입되어 구속되며, 원형 슬라이드(171a)는 완충 스프링(165)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 도2 및 도 3을 참조하여, 공압식 흡착 피커의 근접 실린더(130)에 의한 슬라이드 원통(150)의 이동과 슬라이드 원통(150)의 이동에 따른 흡착부(170)의 이동을 살펴본다.
하우징(100)의 제1 홀(111)에 연결된 공압 라인을 통해 가압을 위한 공압이 제공될 경우, 근접 실린더(130)는 유입 슬릿(145)을 통해 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근접 실린더(130)의 푸싱로드(140)는 작동되어 실린더 몸체(135)로부터 이동되어 더 돌출되고, 덮개부(155)가 푸싱로드(140)에 결합된 슬라이드 원통(150)은 하우징(100)에서 근접 실린더(130)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며, 슬라이드 원통(150)에 설치된 흡착부(170)는 근접 실린더(130)의 스트로크만큼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근접 실린더(130)에 공압이 제공되어 흡착부(170)가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작동을 제1 작동으로 정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1 작동에 이어 흡착부(170)의 흡착관(171b)에 부압의 공압이 제공되어 흡착관(171b)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는 핫픽스에 대한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는 제2 작동을 살펴본다.
제2 작동은 하우징(100)의 제2 홀(121)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압의 공압이 가해지면서 시작된다. 제2 홀(121)에 가해진 공압은 슬라이드 원통(150)의 유입홀(156)을 통해 원형 슬라이드(171a)를 통과하여 흡착관(171b)에 가해질 수 있다. 흡착관(171b)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는 핫픽스는 흡착관(171b)에 고정되어 이동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가 원형 플레이트 측으로 회전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흡착피커가 이동 피커의 하단부로 회전된 상태도이다.
공압식 흡착피커의 제1, 2 작동상태를 바탕으로 도 4와 도 5에 공압식 흡착피커의 사용예를 살펴본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피커(183)는 공압 실린더(18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 피커(183)는 원형 플레이트(181)에 배치된 핫픽스(190)를 흡착하여 이동 피커(183)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공압식 흡착피커(P)로부터 핫픽스(190)를 전달받을 수 있다.
공압식 흡착피커(P)가 원형 플레이트(181)로부터 핫픽스(190)를 흡착할 때, 흡착관(171b)은 원형 플레이트(181) 상에 배치된 핫픽스(190)에 근접한 상태에서 제1 작동에 따라 핫픽스(190)에 접촉되고, 제1 작동을 위한 공압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2 작동에 따른 부압의 공압이 흡착관(171b)에 제공됨으로써 핫픽스(190)는 흡착관(171b)에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핫픽스(190)가 제1, 2 작동의 순서에 따라 흡착관(171b)에 흡착될 때, 핫픽스(190)에 대한 흡착관(171b)의 충격을 완충 스프링(165)에 의해 감소시켜 핫픽스(19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핫픽스(190)는 공압식 흡착피커(P)에 대한 기구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 피커(183)의 하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도 5 참조).
핫픽스는(190)는 공압식 흡착피커(P)의 제1 작동에 의해 이동 피커(183)의 하단부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고, 그 후 이동 피커(183)에 흡착력을 위한 공압이 가해지고 제2 작동을 위한 공압이 차단됨으로써 핫픽스(190)는 이동 피커(183)의 하단부로 흡착될 수 있다(도 5 참조).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피커(183)는 공압식 흡착피커(P)가 다른 핫픽스(190)를 흡착하기 위해 원형 플레이트(181) 측으로 회전하여 이동했을 때, 공압 실린더(18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공압 실린더(180)의 하방에는 핫픽스(190)를 배열되기 위한 시트가 배치된다. 이동 피커(183)에 대한 부압의 공압이 차단됨으로써 핫픽스(190)는 시트의 소정 위치에 정확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라인을 생략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100: 하우징 110: 헤드부
111: 제1 홀 112: 제1 둘레부
120: 몸체부 121: 제2 홀
122: 제2 둘레부 125: 원형 걸림턱
130: 근접 실린더 131: 제1 나선
132: 제2 나선 133: 가압공간
134: 제1 슬라이드 공간 135: 실린더 몸체
140: 푸싱로드 141: 원형 슬라이더
142: 슬라이딩 로드 145: 유입 슬릿
150: 슬라이드 원통 155: 덮개부
156: 유입홀 160: 원통부
161: 환형턱 165: 완충 스프링
166: 나사부 167: 지지나사
170: 흡착부 171a: 원형 슬라이드
171b: 흡착관 172: 단턱
180: 공압 실린더 181: 원형 플레이트
183: 이동 피커 190: 핫픽스

Claims (10)

  1.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푸싱로드(140)를 구비한 근접 실린더(13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싱로드(140)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 원통(150); 및
    상기 슬라이드 원통(150)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 원통(150)의 단부로 돌출되는 흡착부(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근접 실린더(130)의 일측 부분과 나사결합되고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제1 홀(111)이 형성되는 헤드부(110); 및
    상기 헤드부(110)의 개방된 일면부에 대면하여 접하고 상기 근접 실린더(130)와 나사결합되고 공압 라인이 연결되는 제2 홀(121)이 형성되는 몸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실린더(130)에는 상기 헤드부(110)와 상기 몸체부(120)의 내주 나선에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선(131)과 제2 나선(1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111)에 연결된 공압 라인으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가압공간(133)이 상기 근접 실린더(13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실린더(130)는 상기 가압공간(133)과 연통되는 제1 슬라이드 공간(134)이 형성된 실린더 몸체(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135)의 상기 가압공간(133)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가압공간(133)으로 공압을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유입 슬릿(1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원통(150)은,
    상기 몸체부(120)의 제2 홀(121)이 형성된 둘레부의 내측에 걸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홀(121)로부터 공압을 제공받는 다수의 유입홀(156)이 형성된 덮개부(155);
    상기 덮개부(155)가 결합되며 상기 흡착부(170)를 위한 제2 슬라이드 공간(162)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160); 및
    상기 원통부(160)의 내부에 설치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덮개부(155)와 흡착부(170)에 지지되는 완충 스프링(1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55)는,
    상기 원통부(160)의 내측 면부에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66)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166)에는 완충 스프링(165)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완충 스프링(165)을 직선으로 유지하는 지지나사(16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55)의 유입홀(156)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170)는,
    상기 원통부(160)의 제2 슬라이드 공간(162)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공압이 제공되어 통과하는 원형 슬라이드(171a); 및
    상기 원형 슬라이드(171a)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원형 슬라이드(171a) 측으로부터 흡입을 위한 공압을 제공받는 흡착관(17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흡착피커.
KR2020100013275U 2010-12-22 2010-12-22 공압식 흡착피커 KR200463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75U KR200463781Y1 (ko) 2010-12-22 2010-12-22 공압식 흡착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75U KR200463781Y1 (ko) 2010-12-22 2010-12-22 공압식 흡착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59U true KR20120004759U (ko) 2012-07-02
KR200463781Y1 KR200463781Y1 (ko) 2012-11-23

Family

ID=4685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275U KR200463781Y1 (ko) 2010-12-22 2010-12-22 공압식 흡착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7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3792A (zh) * 2019-12-27 2021-06-29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可旋转的缓冲取放装置
KR20220166166A (ko) * 2021-06-09 2022-12-16 (주) 인텍플러스 일체형 진공 피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3792A (zh) * 2019-12-27 2021-06-29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可旋转的缓冲取放装置
CN113053792B (zh) * 2019-12-27 2024-03-12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可旋转的缓冲取放装置
KR20220166166A (ko) * 2021-06-09 2022-12-16 (주) 인텍플러스 일체형 진공 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781Y1 (ko) 201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612B2 (en) Holding structure for robotic arm
US9839981B2 (en) Positioning device
KR200463781Y1 (ko) 공압식 흡착피커
CN1690889A (zh) 具有按钮的时钟
CN107971744B (zh) 自动锁螺丝机
ATE393340T1 (de) Ventilvorrichtung
JPH11227937A (ja) ストッパシリンダ
US8156955B2 (en) Inflating nozzle assembly
US20170152987A1 (en) Display Support Device
KR100777987B1 (ko)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JP2020529543A (ja) スライドドア床操作装置
US20140061986A1 (en) Shock absorber
US20140157977A1 (en) Cylinder mechanism
CN107877536A (zh) 移载单元、移载装置以及保持单元
KR20170130006A (ko) 평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EP2546443A1 (en) Door damper buffer
CN207189499U (zh) 一种磁性定位工装
RU2629870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крючком для подвешивания предметов
JP6525160B2 (ja) 回転ハンドル用キャップ
US8550440B2 (en) Buffer mechanism
CN209050355U (zh) 一种电磁阀蓄能器两侧挡圈同时压装的专用工装
CN209262587U (zh) 吸附式支撑装置
CN107192109B (zh) 出风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JP4137079B2 (ja) 気圧式昇降調整装置の取り付け構造
KR101147304B1 (ko) 도어 댐퍼용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