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987B1 -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987B1
KR100777987B1 KR1020060064272A KR20060064272A KR100777987B1 KR 100777987 B1 KR100777987 B1 KR 100777987B1 KR 1020060064272 A KR1020060064272 A KR 1020060064272A KR 20060064272 A KR20060064272 A KR 20060064272A KR 100777987 B1 KR100777987 B1 KR 100777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cuum
groove
val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덕
Original Assignee
오토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ir blasts producing partial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 흡착패드 내에 밸브고정체와 함께 체크밸브설치여 대상물의 흡착시 밸브작동체를 통한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진공 흡착패드 중 미사용되는 진공 흡착패드로부터 발생되었던 진공 리크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안정된 대상물의 흡착 이송은 물론, 해제시에는 체크밸브를 통한 진공컵 내부의 부압해제를 빠르게 하여 위치시킨 대상물을 정 위치에 올바르게 재치시킬 수 있고, 설정된 진공압을 그대로 유지시켜 대상물의 무게에 의해 진공컵이 연신되어 변형되는 사례를 해결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공, 흡착패드, 체크밸브, 진공컵

Description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Check valve for vacuum suction pad}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진공 흡착패드가 사용되는 상태를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진공 흡착패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a는 종래기술의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물체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b는 종래 기술의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물체의 이격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진공 흡착패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패드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흡착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패드의 진공압 해제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분인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몸체 20: 밸브작동체
30: 고정링 40: 압축스프링
50: 진공컵 60: 밸브고정체
61: 수나사 62: 공기배출홈
63: 토출공 64: 걸림턱
70: 체크밸브 71: 걸림턱
72: 확장부
본 발명은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진공압으로서 물체를 흡착하고, 진공압의 해제로서 물체를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진공 흡착패드에 있어, 동일 진공압 라인 상에 배치되어 미사용되고 있는 진공 흡착패드로부터 외기 흡입을 방지하여 진공 흡착패드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안정적인 흡착으로서 이동중인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며, 진공압 해제시 진공흡착패드로부터 걸리는 부압을 효율적으로 해제시켜 이동시킨 물체의 안정된 재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짐공펌프는 소정의 공간체적을 갖는 챔버 내부에서 공기를 압축시켜 부압을 발생시키고, 이 부압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진공펌프는 주로 자동화기기에서 작업대상물을 이송 하거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대상물을 직접적으로 홀딩하는 수단으로 진공펌프가 사용될때 진공압을 전달받아 대상물(물체)을 흡착하도록 한 것이 진공 흡착패드이다.
상기 진공펌프(도면에서 생략함)를 이용한 진공 흡착패드로서 물체의 이송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진공 라인 선상에 진공 흡착패드가 다수개 구비된 구조로서 운반시키고자 하는 물체(예를 들면 조립식 패널, 철판 등)을 흡착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첨부된 도 2에서는 다수개의 진공 흡착패드 중 일부 진공 흡착패드를 제외한 상태에서 물체를 흡착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체를 흡착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진공 흡착패드 구성을 살피면 첨부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진공 흡착패드(100)의 구성은, 상부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넓은 대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상부에 체결부(11)가 마련되고, 저면 중앙 초입으로부터 암나사턱(12)을 갖는 작동홈(13)이 형성되며, 측면 상에 상기 작동홈(13)으로부터 직각으로 연통되는 통공(14)이 형성되는 한편, 통공(14)의 내부직경에 진공라인(H)과 연결되기 위한 암나사(14a)가 형성되고, 저면 상에 나사체결홈(15)이 다수개 형성된 몸체(10)와; 중공형으로 대직경부(20-1)와 소직경부(20-2)로 형성되며, 대직경부(20-1)는 상기 작동홈(13)내에 안내되면서 상, 하부에 작동홈(13)으로부터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O)이 삽입 설치되고, 외측둘레에 공기유도홈(21)이 형성되되, 공기유도홈(21)이 형성된 둘레에 공기 미세제어를 위한 오리피스공(22)이 내부직경으로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20-2)의 일단은 마개(23)가 체결 설치되되, 외측둘레에 상기 대직경부(20-1)의 내부 직경으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공기제어공(24)이 형성된 밸브작동체(20)와; 상기 몸체(10)의 암나사턱(12)에 삽입되어 밸브작동체(20)의 대직경부(20-1) 하단을 받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패킹(P) 및 이 패킹을 고정하는 고정링(30)과; 상기 몸체(10)의 작동홈(13) 내의 상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대직경부(20-1)의 내부 직경에 지지되어 밸브작동체(20)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40)과;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5)에 구비되는 체결나사(S)로서 고정 설치되어 흡착하고자 하는 대상물(A)을 부착시키는 진공컵(5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 흡착패드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사용됨에 있어, 옮기고자 하는 대상물의 흡착은 도 4a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대상물(A)의 수평이되는 표면상에 밸브작동체(20)의 소직경부(20-2)측 마개(23)가 닿게 됨과 동시에, 진공압이 형성되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작동체(20)의 대직경부(20-1)는 몸체(10)의 작동홈(13) 내부로 소직경부(20-2)의 일부분과 함께 밀려 상승되고, 대직경부(20-1)의 후진상태에 따라 몸체(10)의 암나사턱(12)에 설치된 패킹(P)으로부터는 간극이 형성되어 작동홈(13)과 직각으로 연통된 통공(14)을 통해 빠져나가고, 몸체(10)의 하단에 체결나사(S)로서 고정 설치된 진공컵(50)은 납작한 형태로 대상물(A)의 표면을 밀착하면서 흡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진공압으로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초기 상태에서 밸브작동체(20)의 대직경부(20-1)측 공기유동홈(21) 상에 형성된 오리피스공(22)으로부터는 소직경부(20-2)의 공기제어공(24)을 통해서도 미세하게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진공컵(50)의 변형으로서 대상물(A)의 흡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상기 밸브작동체(20)는 작동홈(13) 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40)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진공 흡착패드(100)를 이용한 대상물(A)의 흡착으로서 첨부된 도 1과 같은 상태를 유지시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대상물(A)의 이동에 따라 일정 장소에 대상물을 위치시키고, 진공 해제시에는 진공펌프(도면에서 생략함)로부터 각각의 진공라인(H)을 통해 공기를 상기 통공(14), 작동홈(13)을 통해 공기를 역으로 불어넣어 주면, 진공컵(50)으로 유입된 공기압은 진공컵 내부에 걸린 부압을 강압적으로 해제시켜 대상물(A)로부터 진공컵(50)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진공컵(50)이 대상물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밸브작동체(20)는 초기와 같은 상태로 압축스프링(40)의 가압력 해제에 따라 하향하여 복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흡착, 해제에 따라 대상물을 옮김에 있어, 첨부된 도 2와 같이 대상물(A) 길이가 짧은 경우, 다수개 설치된 진공 흡착패드(100) 중 일부의 진공 흡착패드를 제외한 상태에서 대상물을 이동시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진공라인(H)을 통해 각각 설치된 진공 흡착패드(100) 중 대상물과 접하지 않는 진공 흡착패드는 외부로부터 공기흡입이 이루어진다.
이는 밸브작동체(20)의 소직경부(20-2)에 형성된 공기제어공(24)을 통해 공기는 대직경부(20-1)의 내부직경과 연통되는 오리피스공(22)을 통해 미세하게 유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오리피스공(22), 공기유도홈(22), 몸체(10)의 통공(14) 순으로 유입되는 진공라인(H)을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는 대상물(A)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진공 흡착패드측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는 진공압을 설정된 기준치 압력을 떨어지게 하는 요인이 되어 결국 대상물을 흡착하는 진공 흡착패드의 진공컵(50) 내에 걸리는 부압은 납작하게 변형되어 대상물을 흡착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진공컵(50) 부분은 대상물(A)을 부착하고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대상물이 갖는 중량에 의해 진공컵(50)에 연신되는 변형을 주어 흡착기능성을 상실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은 대상물(A)의 운반도중 낙하하여 대상물은 물론 진공 흡착패드의 진공컵을 상대적으로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상물로부터 진공 흡착패드의 이격시 진공컵이 대상물을 밀착하여 흡착한 상태에서 공기압이 유입되는 상태에서 진공컵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공기압은 진공컵 내에 걸려있는 부압의 해제가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이 진공컵의 변형에 의한 손상과 함께 대상물을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점을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동일 진공압 라인 상에 배치되어 미사용되고 있는 진공 흡착패드로부터 외기 흡입(진공 리크(leak))을 방지하여 진공 흡착패드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안정적인 흡착으로서 이동중인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며, 진공압 해제시 진공 흡착패드로부터 걸리는 부압을 효율적으로 해제시켜 이동시킨 물체의 안정된 재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넓은 대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상부에 체결부가 마련되고, 저면 중앙 초입으로부터 암나사턱을 갖는 작동홈이 형성되며, 측면 상에 상기 작동홈으로부터 직각으로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통공의 내부직경에 진공라인과 연결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저면 상에 나사체결홈이 다수개 형성된 몸체와; 중공형으로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대직경부는 몸체의 작동홈 내에 안내되면서 상, 하부에 작동홈으로부터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삽입 설치되고, 외측둘레에 공기유도홈이 형성되되, 공기유도홈이 형성된 둘레에 공기의 미세제어를 위한 오리피스공이 내부직경과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의 일단은 마개가 체결 설치되되, 외측둘레에 상기 대직경부의 내부 직경으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공기제어공이 형성된 밸브작동체와; 상기 몸체의 암나사턱에 삽입되어 밸브작동체의 대직경부 하단을 받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패킹 및 이 패킹을 고정하는 고정링과; 상기 몸체의 작동홈 내의 상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대직경부의 내부 직경에 지지되어 밸브작동체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체결홈에 구비되는 체결나사로서 고정 설치되어 흡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부착시키는 진공컵으로 이루어진 진공흡착패드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체의 소직경부가 형성되는 내부 직경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도록 외측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홈이 형성되되, 외측으로부터 공기배출홈과 연통되는 토출공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토출공이 형성되는 외부직경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밸브고정체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고정체의 토출공이 형성되는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밸브작동체의 소직경부측의 공기제어공 방향으로 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인 진공 흡착패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패드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흡착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패드의 진공압 해제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분인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넓은 대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상부에 체결부(11)가 마련되고, 저면 중앙 초입으로부터 암나사턱(12)을 갖는 작동홈(13)이 형성되며, 측면 상에 상기 작동홈(13)으로부터 직각으로 연통되는 통공(14)이 형성되는 한편, 통공(14)의 내부직경에 진공라인(H)과 연결되기 위한 암나사(14a)가 형성되고, 저면 상에 나사체결홈(15)이 다수개 형성된 몸체(10)와; 중공형으로 대직경부(20-1)와 소직경부(20-2)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대직경부(20-1)는 몸체(10)의 작동홈(13) 내에 안내되면서 상, 하부에 작동홈(13)으로부터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O)이 삽입 설치되고, 외측둘레에 공기유도홈(21)이 형성되되, 공기유도홈(21)이 형성된 둘레에 공기의 미세제어를 위한 오리피스공(22)이 내부직경과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20-2)의 일단은 마개(23)가 체결 설치되되, 외측둘레에 상기 대직경부(20-1)의 내부 직경으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공기제어공(24)이 형성된 밸브작동체(20)와; 상기 몸체(10)의 암나사턱(12)에 삽입되어 밸브작동체(20)의 대직경부(20-1) 하단을 받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패킹(P) 및 이 패킹을 고정하는 고정링(30)과; 상기 몸체(10)의 작동홈(13) 내의 상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대직경부(20-1)의 내부 직경에 지지되어 밸브작동체(20)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40)과;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5)에 구비되는 체결나사(S)로서 고정 설치되어 흡착하고자 하는 대상물(A)을 부착시키는 진공컵(50)으로 이루어진 진공흡착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체(20)의 소직경부(20-2)가 형성되는 내부 직경에 암나사(2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암나사(25)에 체결되도록 외측둘레에 수나사(61)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공(22)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홈(62)이 형성되되, 외측으로부터 공기배출홈(62)과 연통되는 토출공(63)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토출공(63)이 형성되는 외부직경 일측에 걸림턱(64)이 형성된 밸브 고정체(60)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고정체(60)의 토출공(63)이 형성되는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밸브작동체(20)의 소직경부(20-2)측의 공기제어공(24) 방향으로 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체크밸브(70)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70)는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밸브고정체(60)의 걸림턱(64)에 결합되도록 중앙 내부직경에 결합턱(7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71)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그 하부방향으로 결합턱(71)이 갖는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두께를 갖고, 결합턱(71)의 내부 직경 보다 큰 직경의 확장부(72)가 형성되어 토출공(63)의 외측부분을 감싸 공기압 배출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체크밸브(70)의 소재는 고무, 합성수지계열 등으로 탄력성과 밀착성이 있는 소재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의 설치에 따른 작용 및 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압을 이용한 대상물(A)의 흡착과 해제는 종래기술과 전반적으로 동일하게 작용 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진공 흡착패드(100)가 전반적으로 대상물의 흡착한 상태는 첨부된 도 7a에서와 같이, 대상물(A)의 수평이되는 표면상에 밸브작동체(20)의 소직경부(20-2)측 마개(23)가 닿게 됨과 동시에, 진공압이 형성되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작동체(20)의 대직경부(20-1)는 몸체(10)의 작동홈(13) 내부로 소직경부(20-2)의 일부분과 함께 밀려 상승되고, 대직경부(20-1)의 후진상태에 따라 몸체(10)의 암나사턱(12)에 설치된 패킹(P)으로부터는 간극이 형성되어 작동홈(13)과 직각으로 연통된 통공(14)을 통해 빠져나가고, 몸체(10)의 하단에 체결나사(S)로서 고정 설치된 진공컵(50)은 납작한 형태로 대상물(A)의 표면을 밀착하면서 흡착이 이루어진다.
즉, 진공 흡착패드(100)는 밸브작동체(20)의 상승됨에 따른 패킹(P)과의 공극발생으로서 흡착조건이 이루어지고,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밸브작동체의 내부에 설치된 체크밸브(70)에 의해 밸브작동체(20)로부터는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진공흡착패드(100)측에서 발생되고 있는 진공압 형성에 따라 대상물(A)의 흡착은 대상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설정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되어 안정적인 대상물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공압으로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져 대상물을 흡착함에 있어 밸브작동체(20)는 작동홈(13) 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40)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서 대상물(A)의 이동에 따라 일정 장소에 대상물을 위치시키고, 진공 해제시에는 진공펌프(도면에서 생략함)로부터 각각의 진공라인(H)을 통해 공기를 상기 통공(14), 작동홈(13)을 통해 공기를 역으로 불어넣어 주면, 진공컵(50)으로 유입된 공기압은 진공컵(50) 내부에 걸린 부압을 강압적으로 해제시켜 진공컵(50)을 대상물(A)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가 진공컵측으로 보내지는 상태(대상물로부터 진공컵이 이 격되지 않는 상태)에서 밸브작동체(20)는 어느 정도 진공이 해제되고 있는 과정에서 압축스프링(40)의 가압력 해제와 더불어 원상태로 하강하고, 몸체(10)측의 통공(14)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압은 상기 밸브작동체(20)의 대직경부(20-1)측 공기유도홈(21), 오리피스공(22), 소직경부(20-2)로 이어지는 밸브고정체(60)의 공기배출홈(62), 토출공(63)의 순서로 공기를 더 가하고, 가해진 공기압은 체크밸브(70)의 확장부(72)를 첨부된 도 7b 및 도 8에서와 같이 토출공(63)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면서 확장시켜 결국 소직경부(20-2)의 공기제어공(24)을 통해 진공컵(50) 내부로 공기를 더해줌으로써 대상물(A)을 부착한 진공컵(50)을 이격시켜 준다.
이와 같은 점으로 대상물을 놓고자 하는 정 위치에 바르게 재치시켜 놓을 수 있기 때문에 후 작업성이 그만큼 편리해지는 이점이 제공된다.
한편, 첨부된 도 2와 같은 형태로 길이가 짧은 대상물(A)의 흡착으로서 나머지 2개의 비흡착 상태는 다음과 같다.
4개의 주어진 진공 흡착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흡착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2개의 진공 흡착패드(100)는 밸브작동체(20)가 대상물(A)과 비접촉된 상태에서 밸브작동체(20) 내의 체크밸브(70)는 밸브고정체(60)의 토출공(63)을 역으로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공기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진공 흡착패드와 달리 진공 리크(leak)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나머지 4개의 진공 흡착패드측은 설정된 진공압에 의해 대상물을 안정된 상태에서 흡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중의 진공압이 떨어져 대상물을 낙하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안정적인 진공컵의 흡착에 따라 진공컵은 이동중에 있어 흡착상태가 강하게 작용하여 진공컵이 대상물의 무게로 인해 연신되어 변형되는 사례를 자연 방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공컵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흡착패드 내에 밸브고정체와 함께 체크밸브설치여 대상물의 흡착시 밸브작동체를 통한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진공 흡착패드 중 미사용되는 진공 흡착패드로부터 발생되었던 진공리크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안정된 대상물의 흡착 이송은 물론, 해제시에는 체크밸브를 통한 진공컵 내부의 부압해제를 빠르게 하여 위치시킨 대상물을 정 위치에 올바르게 재치시킬 수 있고, 설정된 진공압을 그대로 유지시켜 대상물의 무게에 의해 진공컵이 연신되어 변형되는 사례를 해결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넓은 대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상부에 체결부(11)가 마련되고, 저면 중앙 초입으로부터 암나사턱(12)을 갖는 작동홈(13)이 형성되며, 측면 상에 상기 작동홈(13)으로부터 직각으로 연통되는 통공(14)이 형성되는 한편, 통공(14)의 내부직경에 진공라인(H)과 연결되기 위한 암나사(14a)가 형성되고, 저면 상에 나사체결홈(15)이 다수개 형성된 몸체(10)와; 중공형으로 대직경부(20-1)와 소직경부(20-2)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대직경부(20-1)는 몸체(10)의 작동홈(13) 내에 안내되면서 상, 하부에 작동홈(13)으로부터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O)이 삽입 설치되고, 외측둘레에 공기유도홈(21)이 형성되되, 공기유도홈(21)이 형성된 둘레에 공기의 미세제어를 위한 오리피스공(22)이 내부직경과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20-2)의 일단은 마개(23)가 체결 설치되되, 외측둘레에 상기 대직경부(20-1)의 내부 직경으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공기제어공(24)이 형성된 밸브작동체(20)와; 상기 몸체(10)의 암나사턱(12)에 삽입되어 밸브작동체(20)의 대직경부(20-1) 하단을 받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패킹(P) 및 이 패킹을 고정하는 고정링(30)과; 상기 몸체(10)의 작동홈(13) 내의 상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대직경부(20-1)의 내부 직경에 지지되어 밸브작동체(20)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40)과;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5)에 구비되는 체결나사(S)로서 고정 설치되어 흡착하고자 하는 대상물(A)을 부착시키는 진공컵(50)으로 이루어진 진공흡착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체(20)의 소직경부(20-2)가 형성되는 내부 직경에 암나사(2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암나사(25)에 체결되도록 외측둘레에 수나사(61)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공(22)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홈(62)이 형성되되, 외측으로부터 공기배출홈(62)과 통하는 토출공(63)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토출공(63)이 형성되는 외부직경 일측에 걸림턱(64)이 형성된 밸브고정체(60)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고정체(60)의 토출공(63)이 형성되는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밸브작동체(20)의 소직경부(20-2)측의 공기제어공(24) 방향으로 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체크밸브(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70)는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밸브고정체(60)의 걸림턱(64)에 결합되도록 중앙 내부직경에 결합턱(7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71)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그 하부방향으로 결합턱(71)이 갖는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두께를 갖고, 결합턱(71)의 내부 직경 보다 큰 직경의 확장부(72)가 형성되어 토출공(63)의 외측부분을 감싸 공기압 배출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KR1020060064272A 2006-07-10 2006-07-10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KR100777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272A KR100777987B1 (ko) 2006-07-10 2006-07-10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272A KR100777987B1 (ko) 2006-07-10 2006-07-10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987B1 true KR100777987B1 (ko) 2007-11-21

Family

ID=3908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272A KR100777987B1 (ko) 2006-07-10 2006-07-10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98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19B1 (ko) 2012-11-05 2013-01-22 (주)지에스엠솔루션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정보 확인 시스템
KR101499542B1 (ko) * 2014-01-28 2015-03-09 주식회사 아프로 입식 게시판 고정용 폴대 지지체
KR101591414B1 (ko) * 2015-07-28 2016-02-03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진공흡착장치
CN107654806A (zh) * 2017-10-25 2018-02-02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单向阀门的支撑装置
KR20180071536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에이아이코리아 진공 흡착 패드
CN105527010B (zh) * 2016-01-14 2019-01-08 东北大学 用于家电生产线产品振动超标检测的真空吸附装置
CN110015566A (zh) * 2019-05-10 2019-07-16 罗峰 一种剃须刀铝顶盖的抓取装置
CN110056566A (zh) * 2019-04-21 2019-07-26 亚米拉自动化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异形表面吸附的真空吸盘
KR102154619B1 (ko) * 2019-11-13 2020-09-10 한광민 진공 흡착기
CN112089361A (zh) * 2020-09-17 2020-12-18 南京弘新锐科技有限公司 一种曲面自适应真空收集系统
KR102643040B1 (ko) 2023-10-17 2024-03-05 오토르 주식회사 진공흡착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68A (en) 1975-06-24 1977-01-07 Seiichi Ito Vacuum cleaner
US4858976A (en) 1987-04-30 1989-08-22 Kurt Stoll Device for handling workpieces
KR200379566Y1 (ko) 2005-01-06 2005-03-21 한국뉴매틱(주) 진공컵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68A (en) 1975-06-24 1977-01-07 Seiichi Ito Vacuum cleaner
US4858976A (en) 1987-04-30 1989-08-22 Kurt Stoll Device for handling workpieces
KR200379566Y1 (ko) 2005-01-06 2005-03-21 한국뉴매틱(주) 진공컵 밸브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19B1 (ko) 2012-11-05 2013-01-22 (주)지에스엠솔루션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정보 확인 시스템
KR101499542B1 (ko) * 2014-01-28 2015-03-09 주식회사 아프로 입식 게시판 고정용 폴대 지지체
KR101591414B1 (ko) * 2015-07-28 2016-02-03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진공흡착장치
CN105527010B (zh) * 2016-01-14 2019-01-08 东北大学 用于家电生产线产品振动超标检测的真空吸附装置
KR20180071536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에이아이코리아 진공 흡착 패드
CN107654806B (zh) * 2017-10-25 2023-09-01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单向阀门的支撑装置
CN107654806A (zh) * 2017-10-25 2018-02-02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单向阀门的支撑装置
CN110056566A (zh) * 2019-04-21 2019-07-26 亚米拉自动化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异形表面吸附的真空吸盘
CN110015566A (zh) * 2019-05-10 2019-07-16 罗峰 一种剃须刀铝顶盖的抓取装置
CN110015566B (zh) * 2019-05-10 2020-09-29 三门县瑶帆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剃须刀铝顶盖的抓取装置
KR102154619B1 (ko) * 2019-11-13 2020-09-10 한광민 진공 흡착기
CN112089361A (zh) * 2020-09-17 2020-12-18 南京弘新锐科技有限公司 一种曲面自适应真空收集系统
KR102643040B1 (ko) 2023-10-17 2024-03-05 오토르 주식회사 진공흡착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987B1 (ko) 진공 흡착패드용 체크밸브
KR880001205Y1 (ko) 에젝터(ejector)펌프
US20060131905A1 (en) Negative-pressure valve device to be used in general purpose gripping panel devices
KR100889638B1 (ko) 진공 패드장치
KR102402899B1 (ko) 흡착 유닛, 흡착 유닛 제조방법 및 흡착장치
US20120132776A1 (en) Suction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s
TW202028643A (zh) 用於操作閥之引導致動控制導引器
KR100968814B1 (ko) 리프트 핀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05028489A (ja) 吸着パッド装置
KR101124372B1 (ko) 진공척
KR200300952Y1 (ko) 진공 이송용 흡착장치
KR102643040B1 (ko) 진공흡착패드
WO1998030805A1 (fr) Cylindre pneumatique
JP2011153652A (ja) 固定装置および固定構造
JP3711195B2 (ja) 吸着エレメントおよび物品吸着装置
KR20070014300A (ko) 공정간 패널 이송장치
KR100676381B1 (ko) 체크밸브
JPH05305592A (ja) 真空チャック
KR100749379B1 (ko) 체크밸브
KR102500162B1 (ko) 진공흡착패드를 구비한 n2 퍼지 시스템
KR200408011Y1 (ko) 공기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의 배출노즐 구조
KR100618308B1 (ko) 솔더볼 흡착장치 및 흡착방법
JP3659655B2 (ja) 真空発生装置
KR0139923Y1 (ko) 진공흡착헤드
KR20040101830A (ko) 버큠 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