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651U - 금긋기 공구 - Google Patents

금긋기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651U
KR20120004651U KR2020120003784U KR20120003784U KR20120004651U KR 20120004651 U KR20120004651 U KR 20120004651U KR 2020120003784 U KR2020120003784 U KR 2020120003784U KR 20120003784 U KR20120003784 U KR 20120003784U KR 20120004651 U KR20120004651 U KR 20120004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tool
male screw
female
au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도수
Original Assignee
최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도수 filed Critical 최도수
Priority to KR2020120003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651U/ko
Publication of KR20120004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25H7/045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ar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긋기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초경 소재의 송곳(S)이 압입 고정되며, 송곳(S)이 압입된 부위와 그 반대측에 수나사부(11)(12)가 각각 형성된 몸체(10)와, 일측에 암나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수나사부(11)(12)와 체결되는 연결캡(20)으로 이루어진 금긋기 공구(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수나사부(11)(12)로부터 경사지게 확장되는 경사부(13)의 형성과 함께 경사부(13)로부터 동일직선상의 삽입축부(14)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연결캡(20)에는 암나사부(21)로부터 경사부(13)와 대응되는 경사지지부(22)가 확장 형성되고, 경사지지부(22)로부터는 삽입축부(14)를 안내 지지하는 축지지부(23)가 형성되어 조립 및 분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몸체와 연결캡의 체결을 단순 나사체결로서 이루어지는 기존 방식을 탈피하여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체결은 물론, 경사부와 삽입축부의 이중 삽입효과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해 충분한 지지효과를 갖춤으로써, 강하게 그립하여 사용하는 금긋기 공구의 특성상 특히 연결부위의 손상이 거의 없어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초경 소재의 송곳이 설치되는 몸체의 반대측에는 45C ? 55C 재질로 가공 열 처리된 금긋기용 송곳, 센터펀치용 촉을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2가지 작업에 대한 용도사용에 있어 작업성 및 경제적인 사용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금긋기 공구{A marking tool}
본 고안은 수공구로 사용하는 금긋기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금긋기 공구를 이루는 연결캡 및 몸체의 연결부위를 개선하여 사용중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감이 있는 그립 감 제공과 함께 금긋기 작업을 송곳의 재질 상에 따른 용도별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금긋기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작업용 공구로 사용되고 있는 금긋기 공구는 끝이 뾰족하게 가공된 일명 철필로서 판금 작업시 또는 기타 얇은 소재에 구멍을 내거나, 주로 가공표시선을 표시하는데 용도로서 사용된다.
간단한 휴대용에서부터 별도의 가이드장치 등에 부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으로 개인이 지참하여 사용하는 금긋기 공구에 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종래의 금긋기 공구는 펜슬 타입으로서 일측에 초경 소재인 송곳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예가 보편적이다.
상기와 같은 금긋기 공구(1)는, 송곳(S)부위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송곳이 결합된 몸체(10)와, 몸체와 연결되는 연결캡(2)으로 나뉘어져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은 형태로 체결이 이루어진다.
즉, 몸체(10)와 연결캡(20)의 연결로서 이는 하나의 자루손잡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몸체(10)를 연결캡(20)에 체결하는 방향에 따라 금긋기 용도, 휴대에 따른 보관용도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상기 몸체(10)의 양측에는 수나사부(1-1)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캡(20)의 일측 내경에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어 체결되는 형태이다.
상기 몸체의 수나사부(1-1) 및 연결캡(20)의 암나사부(2-1)는 통상적인 나사체결로서 연결되는 것이나, 이는 가공에 의한 나사산 부분의 체결 오차, 사용중 전반적으로 연결부위에 집중되는 힘의 반복작용에 의한 수나사부(1-1), 암나사부(2-1)의 나사산 체결부위의 유격현상발생 등의 요인에서 몸체로부터 연결캡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단순히 수나사부(1-1)와 암나사부(2-1)의 직접적인 체결 정도 만에서 몸체(10)와 연결캡(20)이 연결되는 정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나사산 부위에 힘이 집중되며, 이러한 힘은 점차 나사산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어 상기와 같이 몸체(10)로부터 연결캡(20)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몸체와 연결캡이 체결된 경계부위에는 오링(P)을 삽입하여 줌으로써, 오링으로부터 제공받는 탄력 정도로서 몸체와 연결캡의 연결부위가 헐거워지는 점을 보완하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오링으로서 풀림을 방지할 수만은 없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은 사용자가 금긋기 공구를 손으로 잡는데 있어서 그립 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점은 금긋기 공구의 사용이 매우 불안정하여 다치기 쉽고,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금긋기 공구는 금형 등과 같이 특수강 열처리 된 부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의 어느 한쪽만 초경 소재로 된 송곳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일반적인 비철 부위의 센터펀치의 용도, 일반 금속부위의 금긋기 용도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도에 맞는 소재의 금긋기 공구를 별도로 갖추어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대체로 초경으로 된 송곳이 부러지면 재가공하여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대부분 금형의 용도로 주로 사용하는 금긋기 공구는 여벌로 많이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일반적인 금긋기 공구 또한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긋기 공구를 이루는 연결캡 및 몸체의 연결부위를 개선하여 사용중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감이 있는 그립 감 제공과 함께 금긋기 작업을 송곳의 재질 상에 따른 용도별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금긋기 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일측에 초경 소재의 송곳이 압입 고정되며, 송곳이 압입된 부위와 그 반대측에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된 몸체와, 일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연결캡으로 이루어진 금긋기 공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수나사부로부터 경사지게 확장되는 경사부의 형성과 함께 경사부로부터 동일직선상의 삽입축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캡에는 암나사부로부터 경사부와 대응되는 경사지지부가 확장 형성되고, 경사지지부로부터는 삽입축부를 안내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형성되어 조립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초경 소재의 송곳이 압입 고정되는 몸체 반대측 수나사부의 일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일측에 체결부를 갖으며, 비철금속을 위한 45C ? 55C 재질로 가공 열 처리된 금긋기용 송곳, 센터펀치용 촉 중 어느 하나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금긋기 공구는 몸체와 연결캡의 체결을 단순 나사체결로서 이루어지는 기존 방식을 탈피하여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체결은 물론, 경사부와 삽입축부의 이중 삽입효과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해 충분한 지지효과를 갖춤으로써, 강하게 그립하여 사용하는 금긋기 공구의 특성상 특히 연결부위의 손상이 거의 없어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초경 소재의 송곳이 설치되는 몸체의 반대측에는 45C ? 55C 재질로 가공 열 처리된 금긋기용 송곳, 센터펀치용 촉을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2가지 작업에 대한 용도사용에 있어 작업성 및 경제적인 사용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금긋기 공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금긋기 공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금긋기 공구를 조립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금긋기 공구를 분리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긋기 공구의 반대로 위치시킨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일측에 초경 소재의 송곳(S)이 압입 고정되며, 송곳(S)이 압입된 부위와 그 반대측에 수나사부(11)(12)가 각각 형성된 몸체(10)와, 일측에 암나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수나사부(11)(12)와 체결되는 연결캡(20)으로 이루어진 금긋기 공구(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수나사부(11)(12)로부터 경사지게 확장되는 경사부(13)의 형성과 함께 경사부(13)로부터 동일직선상의 삽입축부(14)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연결캡(20)에는 암나사부(21)로부터 경사부(13)와 대응되는 경사지지부(22)가 확장 형성되고, 경사지지부(22)로부터는 삽입축부(14)를 안내 지지하는 축지지부(23)가 형성되어 조립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초경 소재의 송곳(S)이 압입 고정되는 몸체(10) 반대측 수나사부(12)의 일측에는 체결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2a)에는 일측에 체결부를 갖으며, 비철 금속을 위한 45C ? 55C 재질로 가공 열 처리된 금긋기용 송곳(S1), 센터펀치용 촉(S2) 중 어느 하나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금긋기용 송곳(S1)은 45C ? 55C 재질로 가공 열 처리한 환봉을 가공하여 제작하되, 일측에 체결용 턱을 형성하여 체결공에 체결시 간단한 집게 공구로 집어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터펀치용 촉(S2)은 6각봉을 가공하여 제작하며, 육각봉 형상의 특성을 살려 일부분 육각 부분을 남기게 가공하여 간단한 집게 공구로 집어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인 금긋기 공구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캡(20)에 대한 몸체(10)의 양측 수나사부(11)(12)를 연결캡의 암나사부(21)에 체결시 몸체(10)의 경사부(13)와 삽입축부(14)는 연결캡(20)의 경사지지부(22)와 축지지부(23)는 삽입효과를 이중으로 갖게 된다.
이러한 점은 수나사부(11)(12)와 암나사부(21)의 단지 체결뿐만이 아닌 2중결합효과를 갖는 것으로, 몸체(10)와 연결캡(20)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경계부위에 집중될 수 있는 힘을 분산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외부에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에 가해져 점차적으로 유격이 크게 발생하는 기존의 금긋기 공구와는 달리 안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점은 통상 몸체(10)로부터 연장 결합된 연결캡(20)은 하나의 자루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 부분을 강하게 쥐고 당기는 금긋기 작업시 몸체와 연결캡의 경계부위에 받는 힘을 각 삽입축부(14), 경사부(13), 수나사부(11)(12)로부터 분산시키기 때문에 금긋기 공구(1)의 연결부위 휨 발생에 의한 수명을 대폭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나사 체결부위와 함께 삽입으로서 결합되는 경사부(13)는 수나사부(11)(12)와 삽입축부(14) 사이에서 수나사부의 체결방향과 더불어 삽입축부를 더욱 안정되게 받쳐 지지하기 때문에 몸체와 연결캡(20)의 결합시 유격발생을 없애 안정적인 그립 감을 제공하여 금긋기 공구(1)의 안정된 작업,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나사부(12)에 형성한 체결공(12a)에 별도로 결합할 수 있는 금긋기용 송곳(S1), 센터펀치용 촉(S2)은 45C ? 55C 재질로 가공 열 처리되어 있는 이유에서 초경 소재의 송곳과는 달리 일반 금속 및 비철 금속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현장에서 2가지 작업시 연결캡(20)으로부터 몸체(10)의 위치교환 정도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45C ? 55C 재질로 가공 열 처리된 상기 금긋기용 송곳(S1), 센터펀치용 촉(S2)은 초경소재의 송곳(S)과는 달리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령 초경 소재의 송곳이 부러져 사용할 수 없더라도 몸체의 반대측은 항상 상기 금긋기용 송곳(S1), 센터펀치용 촉(S2)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1: 금긋기 공구 10: 몸체
11,12: 수나사부 12a: 체결공
13: 경사부 14: 삽입축부
20: 연결캡 21: 암나사부
22: 경사지지부 23: 축 지지부
S: 송곳 S1: 금긋기용 송곳
S2: 센터 펀치용 촉

Claims (2)

  1. 일측에 초경 소재의 송곳(S)이 압입 고정되며, 송곳(S)이 압입된 부위와 그 반대측에 수나사부(11)(12)가 각각 형성된 몸체(10)와, 일측에 암나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수나사부(11)(12)와 체결되는 연결캡(20)으로 이루어진 금긋기 공구(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수나사부(11)(12)로부터 경사지게 확장되는 경사부(13)의 형성과 함께 경사부(13)로부터 동일직선상의 삽입축부(14)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연결캡(20)에는 암나사부(21)로부터 경사부(13)와 대응되는 경사지지부(22)가 확장 형성되고, 경사지지부(22)로부터는 삽입축부(14)를 안내 지지하는 축지지부(23)가 형성되어 조립 및 분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긋기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경 소재의 송곳(S)이 압입 고정되는 몸체(10) 반대측 수나사부(12)의 일측에는 체결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2a)에는 일측에 체결부를 갖으며, 비철 금속을 위한 45C ? 55C 재질로 가공 열 처리된 금긋기용 송곳(S1), 센터펀치용 촉(S2) 중 어느 하나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긋기 공구.
KR2020120003784U 2012-05-07 2012-05-07 금긋기 공구 KR201200046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784U KR20120004651U (ko) 2012-05-07 2012-05-07 금긋기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784U KR20120004651U (ko) 2012-05-07 2012-05-07 금긋기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51U true KR20120004651U (ko) 2012-06-27

Family

ID=4685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784U KR20120004651U (ko) 2012-05-07 2012-05-07 금긋기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65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3599A (zh) * 2016-11-30 2017-02-01 张碧玉 一种新型木料限位画线装置
CN106514598A (zh) * 2016-11-30 2017-03-22 张碧玉 一种用于木料的限位画线装置
CN106541382A (zh) * 2016-11-30 2017-03-29 张碧玉 一种木料限位画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3599A (zh) * 2016-11-30 2017-02-01 张碧玉 一种新型木料限位画线装置
CN106514598A (zh) * 2016-11-30 2017-03-22 张碧玉 一种用于木料的限位画线装置
CN106541382A (zh) * 2016-11-30 2017-03-29 张碧玉 一种木料限位画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6738A3 (en) A drilling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s well as a loose top therefor
WO2009031438A1 (ja) 穿孔工具
ZA200909031B (en) Shank chisel
WO2009114353A3 (en) Cutting tool with chisel edge
KR20120004651U (ko) 금긋기 공구
EP1908965A3 (de) Einweg-Schraubkombination
CN202378010U (zh) 一种锤子
CN104827097A (zh) 一种双头麻花钻
US20060275091A1 (en) Quick stock remover
CN211278263U (zh) 一种新型凿子
CN207629930U (zh) 一种组合扳手
CN205325622U (zh) 一种多功能斧
CN201685199U (zh) 一种多功能钳子
CN204394668U (zh) 一种新型骨科取钉装置
CN204748543U (zh) 一种多功能扭力扳手
CN211073380U (zh) 一种批嘴装夹套筒
JP3120541U (ja) 打ち込みねじii
CN207857974U (zh) 手动倒角器
CN210139344U (zh) 一种多功能螺丝刀
CN206519884U (zh) 一种固定值扭矩扳手
KR20120000727U (ko) 치핑해머
CN208867070U (zh) 一种新型的两用活扳手
CN207548609U (zh) 一种快速调节扳手
TW200716333A (en) Insertion-replacement tool bit disengaging structure
US680065A (en) Screw-driver or kindred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