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572U - 칠교놀이 세트 - Google Patents

칠교놀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572U
KR20120004572U KR2020100013035U KR20100013035U KR20120004572U KR 20120004572 U KR20120004572 U KR 20120004572U KR 2020100013035 U KR2020100013035 U KR 2020100013035U KR 20100013035 U KR20100013035 U KR 20100013035U KR 20120004572 U KR20120004572 U KR 201200045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sosceles triangle
coupling
groov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210Y1 (ko
Inventor
백남헌
Original Assignee
백남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헌 filed Critical 백남헌
Priority to KR2020100013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1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669Tesselation
    • A63F2009/0695Tesselation using different types of tiles
    • A63F2009/0697Tesselation using different types of tiles of polygonal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칠교놀이 세트는, 2개의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1개의 중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2개의 소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한 개의 정사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 사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서, 상기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4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2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1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사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2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행 사변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4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칠교놀이 세트{TANGRAM SET}
본 고안은 칠교놀이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칠교놀이 세트를 구성하는 다각형 블럭을 복수개의 직각 이등변 삼각형 블럭편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조합을 통해 여러 가지 최종 형상을 만들 수 있는 칠교놀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칠교놀이는, 7개의 블록을 조합하여 특정 형상을 만드는 블록 교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을 잘라 만든 7개의 블록을 새로이 조합하여 여러 가지 도형, 기호, 숫자, 사물의 형상 등을 만드는 완구로서, 특히 어린이의 창의력, 공간 지각력을 개발하는데 효과가 큰 완구로 알려져 있으며, 현행 초등 교과 과정에도 소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칠교놀이는 목재, 플라스틱, 종이 등으로 만들어진 7개의 평면 또는 입체블록으로 구성된다. 이를 응용하여 7개 이상의 블록을 가진 세트도 주지 되어 있으며, 예컨대 10개 또는 12개의 블록을 가진 세트가 십교놀이 또는 십이교놀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칠교놀이에서는 세트를 이루는 각 블록 자체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각 블록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형상에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칠교놀이를 구성하는 7개의 블록을, 각각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이등변 삼각형 블럭편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보다 다양한 최종 형상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칠교놀이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칠교놀이 세트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개의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1개의 중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2개의 소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한 개의 정사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 사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4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2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1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사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2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행 사변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4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블록 내에서 상기 블록편은 인접한 블록편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중앙에서 서로 밑변이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2개의 블록편과,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2개의 블록편 각각의 등변에 서로 등변이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2개의 블록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편에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봉에 의해 인접한 블록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봉의 단부는 후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 형상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봉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봉의 외주면 또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방지 요홈이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탈방지 요홈에 삽입 가능한 이탈방지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블록편을 도입함으로써 각 블록편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형상의 개수를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칠교놀이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블록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봉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이탈방지수단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이탈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봉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결합봉에 의한 이탈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의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의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칠교놀이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블록편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봉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이탈방지수단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7은 이탈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봉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9는 도8의 결합봉에 의한 이탈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고, 도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의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의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 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대형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0), 1개의 중형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20), 2개의 소형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30), 1개의 정사각형 블록(40), 및 1개의 평행사변형 블록(50)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블록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블록편(片)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편(100)의 일 평면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하게 만나는 2개의 등변(102)과 하나의 밑변(101)으로 이루어지는 직각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에 수직한 3개의 평면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때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3개의 평면이 인접한 블록편(100)과 접하는 접합면(110)을 이룬다.
따라서, 복수 개로 마련되는 블록편(100)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하면 하나의 블록편(100)보다 큰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0, 20)이나 정사각형 블록(40) 또는 평행사변형 블록(50)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조합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 예를 들면 전술한 도형 외에 여러 가지 도형, 기호, 숫자, 사물의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10)은, 도2에 도시된 평면도를 중심으로 볼때, 중앙에 2개의 블록편(100)이 서로 밑변(101)이 접하도록 배치되며, 중앙에 배치된 각각의 블록편의 등변에는 다른 하나의 블록편의 등변(102)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전체로서 4개의 블록편이 합쳐져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외형을 갖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블록편(100)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한편, 상기 블록편(100)의 접합면(1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블록편(100)을 다른 하나의 블록편(100)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결합홈(12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20)에는 결합봉(200)이 삽입된다. 따라서 하나의 블록편(100)에는 3개의 결합면(110)과 3개의 결합홈(120)이 구비된다.
결합홈(120)은 블록편(100)의 상/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결합봉(200)이 두 개의 블록편(100)을 연결시킴에 따라 결합홈(120)의 깊이는 결합봉(200)의 길이의 1/2에 해당하는 만큼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이 형성되면 블록편(100)들의 조립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120)은 결합봉(2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5에서와 같이, 결합봉(200)이 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결합홈(120)도 역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결합봉(200)과 결합홈(120)과 상호 끼워맞춤 결합될 때 헐겁게 끼워맞춤 되거나 빡빡하게 끼워맞춤 되지 않도록 결합봉(200)과 결합홈(120)를 제작 시 각각의 치수에 적당한 공차를 부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칠교놀이 세트는 어느 하나의 블록편(10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00)을 연결시키는 결합봉(200)이 결합홈(120)와 상호 끼워맞춤 결합될 때, 결합봉(200)이 결합홈(12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수단(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300)은, 결합홈(120) 및 결합봉(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이탈방지 요홈(310)과, 결합홈(120) 및 결합봉(200)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술한 이탈방지 요홈(150)에 걸림되는 이탈방지 돌기(320)를 포함한다.
도6에서와 같이, 이탈방지 요홈(310)이 결합봉(200)에 형성되면 이탈방지 돌기(320)는 결합홈(120)에 구비되고, 이와는 달리 이탈방지 요홈(310)이 결합홈(120)에 형성되면 이탈방지 돌기(320)는 결합봉(200)에 구비되나, 이하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이탈방지 요홈(310)이 결합봉(200)에 형성되고, 이탈방지 돌기(320)가 블록편(100)의 돌기홈(121)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탈방지 요홈(310)은 결합봉(200)의 원통부(210)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결합봉(200)이 하나의 블록편(10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00)을 연결시키므로 결합봉(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봉(200)의 양측에 상호 마주하며 형성된다.
이탈방지 요홈(310)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결합봉(20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단면이 凹자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탈방지 요홈(310)의 형상이 꼭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 요홈(310)에 걸림 결합되는 이탈방지 돌기(320)는 결합봉(200)이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는 블록편(100)의 결합홈(120)에 구비되는데, 결합홈(120)의 내주면에 내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 돌기(320)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 돌기(320)는 결합홈(120)의 내주면에 돌기홈(121)이 형성되어 있어 이 돌기홈(121)에 이탈방지 돌기(320)의 일부 영역이 돌기홈(121)의 외부로 노출되게 내장되는데, 돌기홈(121)에 삽입된 이탈방지 돌기(320)가 돌기홈(12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아야 하므로 돌기홈(121)의 개구된 영역이 이탈방지 돌기(320)보다 작아야 한다.
그리고 전술하였듯이 이탈방지 돌기(320)가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돌기홈(121) 내부에 탄성체(330)가 구비되고 탄성체(330)와 이탈방지 돌기(320)가 접하며 내장되어 있어 이탈방지 돌기(320)가 탄성체(330)의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인출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이탈방지 돌기(320)가 결합홈(12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 돌기(320)에 대응되는 이탈방지 요홈(310)이 결합봉(20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이탈방지돌기가 결합봉에 구비되고, 결합홈 내측에 이탈방지 요홈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다.
이하 상기와 같은 칠교놀이 세트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복수 개의 블록편(10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블록편(10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00)을 연결시키기 위해 결합봉(200)이 블록편(100)의 측면(1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20)과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기 위해 결합홈(120)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며 들어갈 때 결합봉(200)의 단부가 결합홈(120)의 내부에 구비된 이탈방지 돌기(320)와 접하여 걸리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결합봉(200)를 결합홈(120)의 내부로 좀 더 강하게 밀어 넣으면 이탈방지 돌기(320)는 돌기홈(121) 내부의 탄성체(330)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체(330)가 수축되며 이탈방지 돌기(320)가 돌기홈(121)의 내부로 삽입되며 결합봉(200)이 결합홈(120)의 내부로 좀 더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봉(200)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 요홈(310)이 결합홈(120)의 이탈방지 돌기(320)와 동일한 위치가 되면 이탈방지 돌기(320)는 탄성체(330)의 인장되려는 힘에 의해서 이탈방지 돌기(320)의 일부 영역이 돌기홈(121)의 개구된 영역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되고 이때 이탈방지 돌기(320)가 이탈방지 요홈(310)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결합봉(200)이 결합홈(120)과 상호 끼워맞춤 되면 결합봉(200)이 결합홈(120)로부터 쉽게 재이탈 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탈방지 요홈(310)은 결합봉(200)의 외주면 또는 결합홈(120)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탈방지 돌기(320)가 이탈방지 요홈(310)을 따라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블록편(100)과 다른 하나의 블록편(100)을 결합봉(200)를 이용하여 연결시킨 후 조립된 블록의 모양을 변경하고자 할 때 다른 하나의 블록편(100)의 상/하를 뒤집는 회전 동작만으로도 블록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도10은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10)의 우측 하단 블록편을 하나 뒤집은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우측 상단의 블록편을 다시 뒤집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위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이탈방지수단이 의미하는 이탈방지란, 결합봉(2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을 어느 정도 제한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합봉(200)과 블록편(100)사이의 회전까지 제한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결합봉(200)과 블록편(100) 사이의 상대회전은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결합봉(200)의 결합봉(120) 내에서의 슬라이딩 역시 블록편 자체의 자중에 의해, 결합된 2개의 블록편(10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제한을 의마하며, 일단 이탈방지 돌기(320)가 이탈방지 요홈(310)에 삽입되고 나면 다시는 이탈이 안될 정도의 영구적인 위치 고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결합봉(200)을 상기 결합봉(120)으로부터 인출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결합봉(200)이 삽입될때와 동일한 원리로 이탈방지 돌기(320)가 후퇴하며, 상기 결합봉(200)이 상기 결합홈(120)으로부터 인출되어 빠져나올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봉과 결합홈이 일단 결합되면,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이탈방지수단을 이루는 이탈방지 돌기(320a)와 이탈방지 요홈(31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앞선 실시형태의 경우, 결합홈(120)에 삽입된 결합봉(200)이, 이를 인출하려는 외력이 가해지면 다시 빠져나올 수 있었던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이탈방지수단(300a)에 의하면, 일단 결합봉(200)이 블록편(100)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나면, 다시 빼내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 돌기의 결합봉(120)쪽을 향하는 면이 상기 결합봉(120)의 길이방향 내측(결합홈의 더 깊은 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돌출 형성되다가 끝부분에서는 대략 결합봉(1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꺽인다. 도7의 결합봉은 도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형태를 취하게 되면, 결합봉(200)이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될때에는 이탈방지 돌기(320a)의 경사면(321a)을 타고 슬라이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 돌기(320a)가 가압되어 탄성체(330a)가 압축됨으로 인해, 무리 없이 상기 결합봉(200)이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지만, 결합봉(200)이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 돌기(320a)가 상기 이탈방지 요홈(310a)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탄성체(330a)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이탈방지 요홈(310a)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결합봉(200)의 연장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이탈방지 돌기(320a)의 일측면과 상기 이탈방지 요홈(310)의 일측면이 접하게 되므로, 반대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도8 및 도9는 결합봉이 결합홈 내측에 삽입되고 나면 다시 분리되지 않는 이탈방지수단 및 결합봉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결합봉(200b)은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통부(210b)와 그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부(320b)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320b)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을 따라 탄성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부(321b)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이탈방지수단(300b)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블록편(100b)에는 결합홈(120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20b)은 단면이 대략 원형을 갖는다. 상기 결합홈(120b)의 단부에는 이탈방지 요홈(310b)가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 요홈(310b)은 상기 결합홈(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므로, 상기 결합홈(120b)과 상기 이탈방지 요홈(310b)이 접하는 부분에는 단차면이 생기게 되며, 이 단차면이 걸림턱(321b)을 형성하게 된다.
하편, 상기 후크부(320b)의 내경은 상기 결합홈(120b)의 직경 보다는 크며 상기 이탈방지 요홈(310b)의 직경 보다는 작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결합봉(200b)을 상기 결합홈(120b)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후크부(320b)가 탄성변형하여 결합홈(120b)을 통과하다가 이탈방지 요홈(310b) 에 다다르면 원래의 형태대로 복원되며, 복원된 후크부(320b)는 반대방향으로 결합홈(120b)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를 유치원 또는 학교에서 아이들의 학습용 완구로 사용할 경우 외부 물체, 예를 들어 칠판과 같은 곳에 자력을 이용해 부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편(100)에 장착되는 자성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는 블록편(1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복수 개의 블록편(100)을 조합하여 다양한 모양의 블록을 조립 시 각각의 블록편(100)의 상/하면을 뒤집어 조립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립 후 최종 형상이 완성된 후 자성체를 부착하거나 재 조립시에는 블록편(100)으로부터 자성체를 분리시킨 후 재조립하여 완성되었을 때 블록편(100)에 자성체를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교구(100)를 이용하면, 복수 개로 마련되는 다각형의 블록편을 도입하게 됨으로써 블록편들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형상의 개수를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특히 블록교구(100)를 학교와 같은 곳에서 아이들의 학습용 완구로 사용하면 블록편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블록을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대형 직각 이등변 삼각형 블록 20: 중형 직각 이등변 삼각형 블록
30: 소형 직각 이등변 삼각형 블록 40: 정사각형 블록
50: 평행 사변형 블록 100: 블록편(片)
101: 밑변 102: 등변
110: 접합면 120: 결합홈
120b: 결합홈 121: 돌기홈
121a: 돌기홈 200: 결합봉
200b: 결합봉 210: 원통부
210b: 원통부 300: 이탈방지 수단
300a: 이탈방지 수단 300b: 이탈방지 수단
310: 이탈방지 요홈 310b: 이탈방지 요홈
311b: 걸림턱 320: 이탈방지 돌기
320a: 이탈방지 돌기 320b: 후크부
321b: 절개부 330: 탄성체
330a: 탄성체 330b: 탄성체

Claims (6)

  1. 2개의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1개의 중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2개의 소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 한 개의 정사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 사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서,
    상기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4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2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1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사각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2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행 사변형 블록은 일 평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2개의 블록편으로 이루어지는 칠교놀이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블록 내에서 상기 블록편은 인접한 블록편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칠교놀이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이등변 삼각형 블록은,
    중앙에서 서로 밑변이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2개의 블록편과,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2개의 블록편 각각의 등변에 서로 등변이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2개의 블록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칠교놀이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편에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봉에 의해 인접한 블록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칠교놀이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의 단부는 후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 형상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봉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칠교놀이 세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의 외주면 또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방지 요홈이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탈방지 요홈에 삽입 가능한 이탈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칠교놀이 세트.
KR2020100013035U 2010-12-16 2010-12-16 칠교놀이 세트 KR200466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035U KR200466210Y1 (ko) 2010-12-16 2010-12-16 칠교놀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035U KR200466210Y1 (ko) 2010-12-16 2010-12-16 칠교놀이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572U true KR20120004572U (ko) 2012-06-26
KR200466210Y1 KR200466210Y1 (ko) 2013-04-05

Family

ID=4685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035U KR200466210Y1 (ko) 2010-12-16 2010-12-16 칠교놀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10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7598B2 (en) * 2005-06-07 2007-09-11 Connector Set Limited Partnership Interfacings between block type and rod and connector type construction toy sets
KR100960796B1 (ko) * 2009-06-24 2010-06-01 백남헌 칠교놀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210Y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5568T3 (es) Sistema de construcción de juguetes
US20210283523A1 (en) Toy construction element
AU2005310758A1 (en) Polyhedral toy
KR101773024B1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KR10144767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US7547020B1 (en) Three dimensional toy having multi-shaped interlocking members which have a spring mechanism inside a cylindrical threaded shaft for interlocking one member to another member
WO2015167650A1 (en) Toy construction set
US20170368448A1 (en) Card connector
KR200478274Y1 (ko) 완구용 블록
KR20170065212A (ko)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KR200466210Y1 (ko) 칠교놀이 세트
JP2016539774A (ja) 鎖および空間構造を作成するための接続可能部品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20038842A (ko) 블록교구
KR101540866B1 (ko) 자석 완구용 자석캡
KR101522282B1 (ko) 조립식 완구용 비대칭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완구 세트
JP2017006605A (ja)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用ジョイント
KR20120035058A (ko) 입체구조물 조립용 블록 및 이의 이용방법
JP7019164B2 (ja) 組立構造体
KR101825271B1 (ko) 장난감 블록완구
KR101389927B1 (ko)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블록 커넥터
JP2016112145A (ja) ユニット式組立構造物キット
KR20050095560A (ko) 조립식 블럭완구
KR20200113732A (ko) 조립식 학습교구
KR200415923Y1 (ko) 자석 완구용 결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