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796B1 - 칠교놀이 세트 - Google Patents

칠교놀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796B1
KR100960796B1 KR1020090056258A KR20090056258A KR100960796B1 KR 100960796 B1 KR100960796 B1 KR 100960796B1 KR 1020090056258 A KR1020090056258 A KR 1020090056258A KR 20090056258 A KR20090056258 A KR 20090056258A KR 100960796 B1 KR100960796 B1 KR 10096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piece
piece
isosceles triangle
paralle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헌
백남구
Original Assignee
백남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헌 filed Critical 백남헌
Priority to KR102009005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044Display boar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669Tesselation
    • A63F2009/0695Tesselation using different types of tiles
    • A63F2009/0697Tesselation using different types of tiles of polygonal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교놀이(tangram)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섯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한 개의 정사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사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다섯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사변형 블록 중 하나 이상의 블록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인 제1 블록편(片) 및 제2 블록편의 조합으로 구성된 가변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칠교놀이, 가변형 블록

Description

칠교놀이 세트{TANGRAM SET}
본 발명은 칠교놀이(tangram)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칠교놀이는 7개의 블록을 조합하여 특정 형상을 만드는 완구이다. 구체적으로 칠교놀이는 정사각형을 잘라 만든 7개의 블록을 새로이 조합하여 여러 가지 도형, 기호, 숫자, 사물의 형상 등을 만드는 완구로서, 특히 어린이의 창의력, 공간지각력을 개발하는데 효과가 큰 완구로 알려져 있으며, 현행 초등 교과 과정에도 소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칠교놀이 세트는 목재, 플라스틱, 종이 등으로 만들어진 7개의 평면 또는 입체블록으로 구성된다. 이를 응용하여 7개 이상의 블록을 가진 세트도 주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10개 또는 12개의 블록을 가진 세트가 십교놀이 또는 십이교놀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칠교놀이 세트에서는 세트를 이루는 각 블록 자체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각 블록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형상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변형 블록을 도입하여 보다 다양한 최종 형상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칠교놀이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섯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한 개의 정사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사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다섯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사변형 블록 중 하나 이상의 블록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인 제1 블록편(片) 및 제2 블록편의 조합으로 구성된 가변형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중 어느 하나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끼워맞춤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각각의 중심부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각각의 중심부에는 탄성밴드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각각의 중심부에는 홈부가 마련되고, 이들 홈부에 결합부재가 고정 설치 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양끝단에 각각 머리부와 걸림돌기가 형성된 축핀, 상기 축핀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머리부에 의해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며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 중 어느 하나의 홈부에 삽입되는 제1 보스, 상기 축핀의 걸림돌기를 고정하며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 중 다른 하나의 홈부에 삽입되는 제2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중 어느 하나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벨크로 후크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벨크로 후크와 결합되는 벨크로 루프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중 어느 하나의 접합면에는 위치고정용 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의 접합면에는 상기 위치고정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고정용 요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칠교놀이 세트에 의하면, 가변형 블록을 도입함으로써 각 블록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형상의 개수를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다. 또한, 가변형 블록을 도형의 면적을 설명하는 보조 교구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칠교놀이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칠교놀이 세트(1)는 제1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1), 제2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2), 제3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3), 제4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4), 제5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5), 정사각형 블록(16), 및 평행사변형 블록(1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블록(11~17)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제1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1)과 제2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2)은 평면도 상에서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또한, 제3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3)은 제1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1)의 절반의 면적을 가지며, 제4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4) 및 제5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5)은 제3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3)의 절반의 면적을 가진다. 정사각형 블록(16) 및 평행사변형 블록(17)은 제3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3)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상기 블록들(11~17)을 조합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큰 정사각형 형상을 만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조합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 예컨대 여러 가지 도형, 기호, 숫자, 사물의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1~15) 또는 평행사변형 블록(17) 중 하나 이상의 블록을 가변형 블록으로 구성한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1)을 가변형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1)은 동일한 2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편, 즉 제1 블록편(21) 및 제2 블록편(22)의 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제2 블록편(22)의 상하를 뒤집어 제1 블록편(21)에 부착시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행사변형 블록을 얻을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도 2b에 도시된 평행 사변형 블록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으로 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 가변형 블록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1)의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은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을 가진다. 제1 블록편(21)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돌출부(31)가 마련되며,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오목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31) 및 오목부(32)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이 결합된다. 돌출부(31)는 예컨대 원통 또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오목부(32)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도 3에는 하나의 돌출부(31) 및 오목부(32)가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돌출부(31) 및 오목부(3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을 조합하면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이 이루어지며, 이 상태에서 돌출부(31)와 오목부(32)의 결합을 해제하고 제2 블록편(22)을 뒤집어 다시 돌출부(31)와 오목부(32)를 결합시키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은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돌출부(31)와 오목부(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은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블록의 형상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돌출부(31)와 오목부(32)의 결합이 해제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돌출부(31) 및 오목부(32)의 치수에 적당한 공차를 부여한다.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 블록편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 상에는 전술한 돌출부(31) 및 오목부(32)와 별개로 위치고정용 돌기 및 요홈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블록편(22)에 2개의 위치고정용 돌기, 즉 제1 위치고정용 돌기(23)와 제2 위치고정용 돌기(24)가 마련되고, 제1 블록편(21)에 2개의 위치고정용 요홈, 즉 제1 위치고정용 요홈(25)과 제2 위치고정용 요홈(26)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위치고정용 돌기(23; 24)와 위치고정용 요홈(26)은 돌출부(31)와 오목부(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간의 회전만을 방지하면 되므로, 돌출부(31) 및 오목부(3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고정용 돌기(23; 24)와 위치고정용 요홈(26)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위치고정용 돌기(23; 24)는 반구형의 돌기로, 위치고정용 요홈(26)은 돌출부(31)에 대응하는 반구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1)와 오목부(32)의 형상이 육면체인 경우와 같이, 돌출부(31)와 오목부(32)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 간의 회전이 염려되지 않는 경우에는, 위치고정용 돌기(23; 24) 및 위치고정용 요홈(26)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제1 블록편(21) 및 제2 블록편(22)의 조합이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제1 위치고정용 돌기(23)가 제1 위치고정용 요홈(25)에 결합되고, 제2 위치고정용 돌기(24)는 제2 위치고정용 요홈(26)에 결합된다. 한편, 제1 블록편(21) 및 제2 블록편(22)의 조합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제1 위치고정용 돌기(23)가 제2 위치고정용 요홈(26)에 결합되고, 제2 위치고정용 돌기(24)는 제1 위치고정용 요홈(25)에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 각각의 중심부에는 자석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편(21)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홈(41)이 마련되고, 이 홈(41)에 자석(42)이 삽입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도 홈(43)이 마련되고, 이 홈(43)에 자석(44)이 삽입 설치된다. 두 자석(42; 44)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다른 극성을 갖도록 설치되며, 따라서 이 두 자석(42; 44)의 인력에 의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의 결합이 유지된다.
도 4에는 제1 블록편(21) 및 제2 블록편(22)에 모두 홈(41; 43)이 마련되고 이 홈(41; 43)에 자석(42; 44)이 설치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블록편(21)의 접합면 상에 자석(42)이 돌출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에는 제1 블록편(21)에 돌출설치된 자석(42) 및 제2 블록편(22)에 형성되는 자석(44)이 모두 수용될 수 있는 깊은 홈이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도 4에는 제1 블록편(21) 및 제2 블록편(22)에 각각 하나의 자석(42; 44)이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블록편(21; 22)에 2개 이상의 자석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 각각의 중심부에는 탄성밴드(53)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에는 예컨대 원통형의 홈(51; 52)이 각각 마련되고, 이 홈(51; 52)의 내측 바닥 부분에 탄성밴드(53)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 탄성밴드(53)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의 결합이 유지되며, 이 탄성력에 반하여 탄성밴드(53)가 신장되도록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을 이격시킨 후에, 제2 블록편(22)을 뒤집어 제1 블록편(21)에 결합시킴으로써 블록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1 홈부(60) 및 제2 홈부(61)가 마련되고, 이 제1 홈부(60) 및 제2 홈부(61)에 결합부재(62)가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에는 각각 원통형의 제1 홈부(60) 및 제2 홈부(61)가 마련되고, 이들 제1 홈 부(60) 및 제2 홈부(61)에 결합부재(62)의 제1 보스(63) 및 제2 보스(64)가 억지끼워맞춤되거나, 제1 보스(63) 및 제2 보스(64)의 외주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홈부(60) 및 제2 홈부(61)에 끼워맞춤으로써, 결합부재(62)가 제1 홈부(60) 및 제2 홈부(61)에 고정 설치된다.
결합부재(62)는 내측에 턱부를 가진 제1 보스(63) 및 제2 보스(64)를 포함하며, 이들 제1 보스(63) 및 제2 보스(64)는 턱부가 형성된 부분이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1 보스(63) 및 제2 보스(64)의 내경에는 축핀(65)이 관통 설치된다. 축핀(65)은 원통형의 기둥부(67), 및 기둥부(67)의 양끝단에 마련된 머리부(66)와 걸림돌기(68)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머리부(66)가 제2 블록편(22) 측에 위치하고 걸림돌기(68)가 제1 블록편(21) 측에 위치하도록 축핀(65)의 방향이 배치되어 있으나, 이 방향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축핀(65)의 머리부(66)와 걸림돌기(68)는 기둥부(67)보다 직경이 크다. 머리부(66)는 후술하는 스프링(69)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걸림돌기(68)는 제1 보스(63)의 턱부에 걸려 제1 보스(63)와 제2 보스(64)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에 합당한 것이라면 축핀(65), 제1 보스(63) 및 제2 보스(64)의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축핀(65)의 기둥부(67)의 외주에는 코일형 스프링(69)이 삽입 설치된다. 스프링(69)의 일단은 축핀(65)의 머리부(66)에 고정되며, 타단은 제2 보스(64)의 턱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69)은 축핀(65)의 머리부(66) 및 제2 보스(64)의 턱부에 압박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압박력에도 불구하고 걸림돌기(68)가 제1 보스(63)의 턱부에 걸려 있기 때문에 축핀(65)이 제1 보스(63) 및 제2 보스(64)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스프링(69)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보스(63) 및 제2 보스(64)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프링(69)의 탄성력에 반하여 스프링(69)이 압축되도록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을 이격시킨 후에, 제2 블록편(22)을 뒤집어 제1 블록편(21)에 결합시킴으로써 블록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블록편(21)과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각각 벨크로 후크(72) 및 벨크로 루프(74)가 마련된다. 벨크로 후크(72)와 벨크로 루프(74)의 두께를 고려하여, 이들 벨크로 후크(72)와 벨크로 루프(74)가 설치되는 제1 블록편(21) 및 제2 블록편(22)의 접합면 상에 각각 홈부(71; 73)를 설치하고, 이 홈부(71; 73)에 벨크로 후크(72)와 벨크로 루프(74)를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제1 블록편(21) 및 제2 블록편(22)에 각각 하나의 벨크로 후크(72) 및 벨크로 루프(74)가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블록편(21; 22)에 2개 이상의 벨크로 후크(72) 및 벨크로 루프(7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변경 및 부가, 균등물로의 치환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1)을 가변형 블록으로 하였으나, 제2 내지 제5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12, 13, 14, 15) 또는 평행사변형 블록(17)을 가변형 블록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들 블록(11~15, 17) 중 둘 이상을 가변형 블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블록편의 결합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블록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가변형 블록이기만 하면, 블록편의 결합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것으로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전술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은 최종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칠교놀이 세트를 제공한다.
도 1은 칠교놀이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의한 칠교놀이 세트의 가변형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한 칠교놀이 세트의 가변형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칠교놀이 세트 11~15: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16: 정사각형 블록 17: 평행사변형 블록
21: 제1 블록편 22: 제2 블록편

Claims (7)

  1. 다섯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한 개의 정사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사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다섯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사변형 블록 중 하나 이상의 블록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인 제1 블록편(片) 및 제2 블록편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결합 방향에 따라 상기 직각이등변삼각형 또는 상기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조합되는 가변형 블록이며,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각각의 중심부에는 탄성밴드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교놀이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중 어느 하나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의 접합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끼워맞춤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교놀이 세트.
  3. 삭제
  4. 삭제
  5. 다섯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한 개의 정사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사변형 블록을 포함하는 칠교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다섯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블록 및 한 개의 평행사변형 블록 중 하나 이상의 블록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인 제1 블록편(片) 및 제2 블록편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결합 방향에 따라 상기 직각이등변삼각형 또는 상기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조합되는 가변형 블록이며,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각각의 중심부에는 홈부가 마련되고, 이들 홈부에 결합부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양끝단에 각각 머리부와 걸림돌기가 형성된 축핀, 상기 축핀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머리부에 의해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며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 중 어느 하나의 홈부에 삽입되는 제1 보스, 상기 축핀의 걸림돌기를 고정하며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 중 다른 하나의 홈부에 삽입되는 제2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교놀이 세트.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편 및 제2 블록편의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 중 어느 하나의 접합면에는 위치고정용 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의 접합면에는 상기 위치고정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고정용 요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교놀이 세트.
KR1020090056258A 2009-06-24 2009-06-24 칠교놀이 세트 KR10096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258A KR100960796B1 (ko) 2009-06-24 2009-06-24 칠교놀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258A KR100960796B1 (ko) 2009-06-24 2009-06-24 칠교놀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796B1 true KR100960796B1 (ko) 2010-06-01

Family

ID=4236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258A KR100960796B1 (ko) 2009-06-24 2009-06-24 칠교놀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7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530B1 (ko) * 2010-10-14 2013-04-04 백남헌 블록교구
KR200466210Y1 (ko) * 2010-12-16 2013-04-05 백남헌 칠교놀이 세트
KR20210109398A (ko) * 2020-02-27 2021-09-06 이태원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530B1 (ko) * 2010-10-14 2013-04-04 백남헌 블록교구
KR200466210Y1 (ko) * 2010-12-16 2013-04-05 백남헌 칠교놀이 세트
KR20210109398A (ko) * 2020-02-27 2021-09-06 이태원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9661B2 (ja) クラスプ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KR100960796B1 (ko) 칠교놀이 세트
KR101468130B1 (ko) 자석을 이용한 조립식 블럭 완구
JP3204416U (ja) 一種のマグネットブロック
WO2016152436A1 (ja) 組立玩具
KR20130104596A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석완구
KR200263127Y1 (ko) 자석을 이용한 완구조립용 구성부재
WO2010150926A1 (ko) 칠교놀이 세트
KR101598508B1 (ko)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완구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1275716B1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석완구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JP2009268856A (ja) 留具
KR101389927B1 (ko)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블록 커넥터
KR101327597B1 (ko) 학습용 교구
KR200469542Y1 (ko)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WO2009154315A1 (en) Magnetic block toy with adjusting joining angle
CN210698797U (zh) 磁性积木及积木玩具
CN107019923B (zh) 拼接式旋转积木组件及其拼接方法
KR200483048Y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완구의 입체 블록
KR101825271B1 (ko) 장난감 블록완구
KR101679366B1 (ko) 다면체 블록 완구
JP4328378B1 (ja) 玩具
JPH0744169Y2 (ja) 掛止具の取付部材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