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514U -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 Google Patents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514U
KR20120004514U KR2020100012957U KR20100012957U KR20120004514U KR 20120004514 U KR20120004514 U KR 20120004514U KR 2020100012957 U KR2020100012957 U KR 2020100012957U KR 20100012957 U KR20100012957 U KR 20100012957U KR 20120004514 U KR20120004514 U KR 201200045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relay
grip member
type anti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498Y1 (ko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다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9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마개에 대한 원터치식 장착 구조를 갖고, 내부에 RFID태그를 마련하며, 특히 그립부재의 젖힘에 의한 중계부 절취 시 RFID태그의 RF칩이 분리 절단됨에 따라 위조 여부를 더욱 더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은, 중계부를 갖는 그립부재; 두 노치(notch)부에 의해 상기 그립부재의 중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 마개에 끼워지기 위한 내부 수용부를 갖는 원통형 몸체; 용기 마개에 끼워진 상기 몸체의 분리 방지용 걸림수단; 및 RF안테나와 RF칩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계부와 상기 몸체 수용부 내벽에 걸쳐 부착되되, 상기 두 노치부를 따라 절취되는 상기 그립부재의 중계부에 의해 상기 RF칩이 절단되도록 부착되는 RFID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ANTI-FAKE CAP OF INSERT TYPE}
본 고안은 용기 마개에 억지 끼움 되고, 끼움 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그립부재의 젖힘 동작을 통해 내부에 부착된 RFID태그의 RF칩을 분리 절단하여 위조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고 제20-1992-0002543호(1992.04.25.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위조 방지용 합성수지 용기 마개』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연결부에 의해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 외부마개에 있어서, 외부마개의 내부 저면에 경사단턱과 하부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면 둘레에 경사단턱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된 내부마개가 끼워지게 한 위조 방지용 합성수지 용기 마개에 관한 기술로서, 위조된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내용의 문제가 있다.
연결부를 따라 손잡이가 절취된 것만으로 위조 여부를 판단하기엔 현재 위조 기술이 뛰어나 무리가 있다 할 수 있다.
또 외부마개에 끼워진 내부마개를 용기 입구에 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외부마개 내부 저면에 형성된 경사단턱과 상호 맞물리도록 용기에 체결되는 내부마개에도 경사단턱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결국 용기 입구를 막기 위한 내부마개 또한 별도로 제작하여야 한다. 이는 다시 말해 경사단턱이 없는 통상의 내부마개를 갖는 용기에 외부마개를 적용하여 사용하는데 무리가 있어 사용 범위가 극히 제한된다.
본 고안은 이미 체결된 용기의 마개에 원터치 식으로 한 번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용기 마개의 개봉을 위해 캡의 그립부재 절취 시 내부에 부착된 RFID태그의 RF칩이 분리 절단되도록 하여 위조 방지 기능을 극대화시킨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은,
중계부를 갖는 그립부재;
두 노치(notch)부에 의해 상기 그립부재의 중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 마개에 끼워지기 위한 내부 수용부를 갖는 원통형 몸체;
용기 마개에 끼워진 상기 몸체의 분리 방지용 걸림수단; 및
RF안테나와 RF칩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계부와 상기 몸체 수용부 내벽에 걸쳐 부착되되, 상기 두 노치부를 따라 절취되는 상기 그립부재의 중계부에 의해 상기 RF칩이 절단되도록 부착되는 RFID태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RFID태그는 상기 두 노치부와 대응되게 두 대응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수용부와 상기 그립부재의 중계부에서 상기 RFID태그가 부착되는 영역에는 상기 RFID태그의 삽입을 위한 요입형 공간부인 리세스(recess)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부의 절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두 노치부와 상기 RFID태그가 최초 만나는 지점에 배열되어 상기 RFID태그의 최초 절단을 위한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몸체의 수용부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용기 마개의 하단 둘레에 걸리게 되는 다수의 걸림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은,
구조가 간단하고, 용기 마개에 원터치 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용기 마개 개봉 시 RFID태그의 RF칩이 분리 절단됨으로서, 육안뿐만 아니라 RF리더기에 의한 위조 여부 판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일부 절개된 단면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그립부재에 젖혀진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과 용기 마개를 나타낸 분리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과 용기 마개를 다른 방향에 바라본 결합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의 리세스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입체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의 커팅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그립부재의 파지(把指)부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몸체의 걸림턱부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4의 "A"는 RFID태그에 대응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B"와 도 8의 "C"는 해당 영역에 대한 발췌 확대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은,
크게 그립부재(10), 몸체(20), 걸림수단(30) 및 RFID태그(4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그립부재(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을 갖는 중계부(1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후술할 몸체(20)의 수용부(22) 상부가 개방되어 있거나, 또는 폐쇄되되 상기 중계부(11) 상단부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적정 진입 공간부를 갖는 폐쇄형일 경우 상기 그립부재(10)는 상기 중계부(11)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파지 및 절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계부(11) 상단부에 파지부(12)가 더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파지부(12)는 상기 중계부(11)와의 연결 부위에서 절곡되어 수평 상태로 후술할 몸체(20)의 수용부(22) 상부 측에 배열된다.
나아가 상기 파지부(12)는 몸체(20)의 수용부(22)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20)의 수용부와 상기 파지부(12)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기 위함이고, 이 틈새를 통해 좀 더 용이하게 상기 파지부(12)를 잡아 몸체(20)의 수용부(22)로부터 젖힐 수 있게 된다.
몸체(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이고,
두 노치(notch)부(21)에 의해 상기 그립부재(10)의 중계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 마개(1)에 끼워지기 위한 내부 수용부(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용부(22)는 상하로 관통된 형상이고, 용기 마개(1)의 외경과 상응하거나 이보다 다소 큰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두 노치부(21)는 상기 몸체(20)에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걸림수단(3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마개(1)에 끼워진 상기 몸체(2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20)의 수용부(22)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용기 마개(1)의 하단 둘레에 걸리게 되는 다수의 걸림턱부(3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용기 마개(1)에 상기 몸체(20)의 수용부(22)가 끼워질 때에 좀 더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각 걸림턱부(31)의 외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32)가 용기 마개(1)에 의해서 가압되면서 연질의 상기 몸체(20)가 상기 용기 마개(1)에 억지 끼움 되고, 상기 각 걸림턱부(31)가 용기 마개(1)의 하단부 둘레에 걸리게 된다.
RFID태그(40)는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RF안테나(41)와 RF칩(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부(11)와 상기 몸체(20)의 수용부(22) 내벽에 걸쳐 부착되되, 상기 두 노치부(21)를 따라 절취되는 상기 그립부재(10)의 중계부(11)에 의해 상기 RF칩(42)이 절단되도록 부착된다.
이때 상기 RF칩(42)에 대한 절단을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구현예로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ID태그(40)에 상기 두 노치부(21)와 대응되게 두 대응노치부(43)가 형성된다.
상기 두 대응노치부(43)는 상기 RFID태그(40)의 RF안테나(41)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재(10)의 파지부(12)를 잡고 하부로 젖히는 동작에 의해 중계부(11)가 상기 두 노치부(21)를 따라 절취되고, 이때 상기 RFID태그(40) 또한 상기 두 대응노치부(43)를 따라 절취됨에 따라 상기 RF안테나(41)로부터 상기 RF칩(42)이 분리 절단된다.
결국 상기 RF안테나(41)로부터 상기 RF칩(42)의 연결이 단절됨에 따라 RF리더기를 근접하게 위치시키더라도 상기 RF칩(42)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없게 되므로 한 번 개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용기 내용물의 진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구현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부(11)의 절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두 노치부(21)와 상기 RFID태그(40)가 최초 만나는 지점에 배열되어 상기 RFID태그(40)의 최초 절단을 위한 커팅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커팅수단(60)은 끝단부가 첨단(尖端) 형태인 칼날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커팅수단(60)과 상기 중계부(11) 사이에 상기 RFID태그(40)의 상단부가 위치하게 됨으로서, 절취되는 상기 중계부(11)에 의해 상기 커팅수단(60)이 상기 RFID태그(40)의 상단부를 절취하게 된다.
결국 상기 RFID태그(40)는 이의 최초 절단된 부위가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고, 이후 더 젖혀지는 상기 중계부(11)에 의해 하단부까지 용이하게 절취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RFID태그(40)에 상기 대응노치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커팅수단(60)은 상기 대응노치부(43)의 절취 라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 마개(1)에 상기 몸체(20) 삽입 시, 용기 마개(1)의 외주면에 상기 RFID태그(40)가 걸리어 찢어질 수 있는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기 몸체(20)의 수용부(22)와 상기 그립부재(10)의 중계부(11)에서 상기 RFID태그(40)가 부착되는 영역에 상기 RFID태그(40)의 삽입을 위한 요입형 공간부인 리세스(recess)(50)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50)는 상기 RFID태그(40)의 두께와 상응하거나 이보다 큰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50)에 삽입 부착된 상기 RFID태그(40)는 상기 몸체(20)를 용기 마개(1)에 삽입하게 될 때에 용기 마개(1)에 걸리지 않게 되어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그립부재
11 : 중계부 12 : 파지부
20 : 몸체
21 : 노치부 22 : 수용부
30 : 걸림수단
31 : 걸림턱부 32 : 경사부
40 : RFID태그
41 : RF칩 42 : RF안테나
43 : 대응노치부
50 : 리세스
60 : 커팅수단

Claims (5)

  1. 중계부(11)를 갖는 그립부재(10);
    두 노치(notch)부(21)에 의해 상기 그립부재(10)의 중계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 마개(1)에 끼워지기 위한 내부 수용부(22)를 갖는 원통형 몸체(20);
    용기 마개(1)에 끼워진 상기 몸체(20)의 분리 방지용 걸림수단(30); 및
    RF안테나(41)와 RF칩(42)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계부(11)와 상기 몸체(20) 수용부(22) 내벽에 걸쳐 부착되되, 상기 두 노치부(21)를 따라 절취되는 상기 그립부재(10)의 중계부(11)에 의해 상기 RF칩(42)이 절단되도록 부착되는 RFID태그(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태그(40)는 상기 두 노치부(21)와 대응되게 두 대응노치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수용부(22)와 상기 그립부재(10)의 중계부(11)에서 상기 RFID태그(40)가 부착되는 영역에는 상기 RFID태그(40)의 삽입을 위한 요입형 공간부인 리세스(recess)(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11)의 절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두 노치부(21)와 상기 RFID태그(40)가 최초 만나는 지점에 배열되어 상기 RFID태그(40)의 최초 절단을 위한 커팅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30)은
    상기 몸체(20)의 수용부(22)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용기 마개(1)의 하단 둘레에 걸리게 되는 다수의 걸림턱부(3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KR2020100012957U 2010-12-15 2010-12-15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KR200466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57U KR200466498Y1 (ko) 2010-12-15 2010-12-15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57U KR200466498Y1 (ko) 2010-12-15 2010-12-15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514U true KR20120004514U (ko) 2012-06-25
KR200466498Y1 KR200466498Y1 (ko) 2013-04-24

Family

ID=4685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957U KR200466498Y1 (ko) 2010-12-15 2010-12-15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3240A (zh) * 2014-07-28 2015-07-01 印金福 防伪盖
CN106516400A (zh) * 2016-11-07 2017-03-22 孙涵 瓶盖保护装置及其制备方法
EP3747793A1 (en) * 2019-01-24 2020-12-09 Sharp, Gary L. Tamper-evid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390A (ko) * 2008-02-04 2009-08-07 (주)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위조방지용 외부마개
KR20090010556U (ko) * 2008-04-14 2009-10-19 주식회사 엔디에스 위조 방지용 포장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3240A (zh) * 2014-07-28 2015-07-01 印金福 防伪盖
CN106516400A (zh) * 2016-11-07 2017-03-22 孙涵 瓶盖保护装置及其制备方法
EP3747793A1 (en) * 2019-01-24 2020-12-09 Sharp, Gary L. Tamper-evident device
US11505376B2 (en) 2019-01-24 2022-11-22 Gary L. Sharpe Tamper-evid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498Y1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1516C2 (ru) Крышка-индикатор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KR200466498Y1 (ko)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CN104271459A (zh) 用于包装物的封闭结构
JP2020164255A (ja) 識別機能を有するシーリングラベルおよびそのシーリングラベルで包装された容器
CN216862342U (zh) 一种高强度防切割包装盒防伪扣
WO2013143040A1 (zh) 防伪塑料包装容器
JP4640871B1 (ja) ティッシュケース
RU144378U1 (ru) Пробка с элементом, закрепленным с одного конца и служащим индикатором рассоединения, и емкость с этой пробкой
CN214113505U (zh) 防伪瓶盖及容器瓶
JP5791014B2 (ja) 瓶用キャップ
KR200446443Y1 (ko)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EP2256057B1 (en) Capsule for bottle stopper
CN107380697B (zh) 一种旋转闭合式防伪包装盒
JP2013241201A (ja) キャップのタンパーエビデンス構造
CN207374989U (zh) 防伪盖
CN202107178U (zh) 一种酒盒防伪包装结构
KR20090085389A (ko) 위조방지용 마개
KR200447232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0425778Y1 (ko) 위조방지를 위한 뚜껑용 마개
CN213293311U (zh) 防伪扣结构及其包装盒
KR20090085390A (ko) 위조방지용 외부마개
JP4833020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オ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エアゾール容器
CN219296119U (zh) 一种防伪包装盒
CN206655561U (zh) 一种具有防复制功能的钥匙管理机
EP3360816B1 (en) Assembly with replaceable tamper-evident seal, replaceable tamper-evident seal and method for using such a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