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64A - 창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창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64A
KR20120004264A KR1020100065034A KR20100065034A KR20120004264A KR 20120004264 A KR20120004264 A KR 20120004264A KR 1020100065034 A KR1020100065034 A KR 1020100065034A KR 20100065034 A KR20100065034 A KR 20100065034A KR 20120004264 A KR20120004264 A KR 2012000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lar cell
transmitting member
light transmitting
window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대곤
Original Assignee
한대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대곤 filed Critical 한대곤
Priority to KR102010006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264A/ko
Priority to PCT/KR2011/004936 priority patent/WO2012005506A2/ko
Publication of KR2012000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8Double glass encapsulation, e.g. photovoltaic cells arranged between front and rear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실내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감소되지 않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창호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창호 어셈블리는 제1물질로 이루어진 투광부재와, 상기 투광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프레임과,상기 투광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투광부재의 둘레를 따라 태양전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빛이 투과되는 과정에서 광량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투광부재의 광유도 기능을 활용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어셈블리{Fittings assembly}
본 발명은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받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창호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벽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빛이 실내로 조사될 수 있게 한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절약하고자 창호의 유리에 태양전지를 배치한 예가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에 의해 실외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감소된 상태에서 실내로 조사된다. 그러므로, 실내가 어두워지는 문제점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일부가 실내로 조사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투명한 태양전지는 일반적인 태양전지보다 제조비용이 높으므로,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창호의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은 실내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감소되지 않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어셈블리는 제1물질로 이루어진 투광부재와, 상기 투광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프레임과,상기 투광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어셈블리는 투광부재의 둘레를 따라 태양전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빛이 투과되는 과정에서 광량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창호 어셈블리에 포함된 태양전지는 투광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태양전지는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창호와 다르게 투명한 태양전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창호 어셈블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투명 태양전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창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굴절율이 공기보다 높은 투광부재에 의해 상기 투광부재의 모서리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태양전지에 빛이 유도되어 전달됨으로써, 태양전지에 전달되는 빛의 양을 높여 단위 태양전지당 발전효율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어셈블리의 광유도부재에 의해 태양전지로 빛이 안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어셈블리(100)는 투광부재(110)와, 프레임(120)과, 태양전지(130)를 포함한다.
투광부재(110)는 제1물질로 이루어진다. 투광부재(110)의 형상은 특정 두께의 판형상일 수 있다. 제1물질의 일예로 유리일 수 있다. 유리는 강도가 높고, 투광성이 높은 재질이다. 이러한 유리는 외부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하는데 있어서 유리한 소재이다. 단, 제1물질이 유리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프레임(120)은 투광부재(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프레임(120)은 투광부재(11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레임(120)의 소재의 일예로 강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0)의 소재의 다른 일예로 알루미늄 또는 강철일 수 있다.
태양전지(130)는 투광부재(110)와 프레임(120) 사이에 개재된다. 태양전지(130)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의 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이러한 태양전지(130)의 일예로 반도체 태양전지(130)일 수 있다. 태양전지(130)는 반도체 태양전지에서도 Si 기반 (poly-crystalline, crystalline, amorphous) 및 GaAs 화합물 태양전지일 수 있다. 단, 태양전지(130)가 반도체 태양전지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창호 어셈블리(100)는 투광부재(110)의 둘레를 따라 태양전지(13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빛이 투과되는 과정에서 광량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창호 어셈블리(100)에 포함된 태양전지(130)는 투광부재(110)와 프레임(12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태양전지(130)는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창호와 다르게 투명한 태양전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창호 어셈블리(100)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투명 태양전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창호 어셈블리(100)의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빛은 굴절율이 상이한 두 물질의 계면에서 입사각에 따라 전반사 및 굴절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물리적 현상에 의해 굴절율이 높은 물질 내로 광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투광부재(110)는 공기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므로 투과되는 빛의 일부는 내부에서 전반사 및 굴절 현상을 통해 모서리면까지 진행이 되어 모서리면에 부착된 태양전지에 효율적으로 전달이 됨으로써, 보다 높은 태양발전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호 어셈블리(100)는 광유도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유도부재(140)는 제1물질보다 굴절율이 높거나 낮은 제2물질로 이루어진다. 광유도부재(140)는 투광부재(110)의 적어도 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재(110)와 굴절율이 상이한 광유도부재(14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태양전지(130)로 유도하는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높여줄 수 있다. 이러한 광유도부재(140)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빛이 광유도부재(140)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광유도부재(140)의 투명도는 70%이상일 수 있다.
한편, 광유도부재(140)를 구성하는 제2물질의 일예로 유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 소재로서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규산계 유리, B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붕산계 유리, P2O5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산계 유리, Te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텔루라이트계 유리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제 2 물질은 제 1 물질과 굴절율이 적어도 0.005 이상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유도부재(140)가 계면에서의 전반사 효과 및 굴절효과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열팽창계수가 투광부재와 유사하여 열충격에 의한 계면에서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제2물질을 투광부재(110)에 형성하는 공정 조건이 제 1 물질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물성을 보유하여야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물질이 유리인 상태에서, 제2물질을 열처리에 의한 소성 공정을 통하여 제1물질 상에 형성시키는 경우, 제2물질의 소성온도는 제1물질의 변형점 또는 연화점 온도보다 낮아야 한다. 이러한 광유도부재(140)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 또는 태양전지 효율 향상에 적합한 파장으로 변환해주는 활성이온 첨가가 용이하며, 이를 통한 효율 향상이 가능할 수 있다. 제2물질의 또 다른 일예로 투명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제2물질이 플라스틱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투광부재(110)에 광유도부재(140)를 형성하는 방법의 일예로 스크린 프린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프린팅 방법은 투광부재(110)에서 광유도부재(140)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만 마스크를 부착한다. 즉, 마스크는 광유도부재(140)가 형성되어야 하는 부분이 개구되게 형성된 박막형상의 부재이다. 마스크의 개구된 부분에 광유도부재(140)의 소재가 되는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마스크 표면에 밀착되도록 스퀴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투광부재(110) 및 마스크에 도포되어 있는 페이스트를 평탄화시킨다. 평탄화된 페이스트를 소성하여 광유도부재(140)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 과정은 제1물질이 유리인 상태에서 대략 500°내지 600°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광유도부재(140)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광부재(110)와 광유도부재(140)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포는 빛이 태양전지로 안내되는 것을 방해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기포는 창호 어셈블리의 외관을 미려하지 않게 한다.
여기서, 광유도부재(140)가 형성되게 하는 방법을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필름 형태의 광유도부재(140)를 투광부재(110)에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고, 겔(gel)형태의 광유도부재를 투광부재(110)에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창호 어셈블리(200)의 변형예로 광유도부재(140)는 투광부재(110)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두 개의 광유도부재(140)는 태양전지(130)로 더욱 많은 빛을 유도시킬 수 있다.
한편, 창호 어셈블리(100)는 미도시된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된 열선은 투광부재(110) 또는 광유도부재(140)의 일면에 배치되어 태양전지(13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로 열을 발생시켜서 투광부재(110) 또는 광유도부재(140)에 성에 및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창호 어셈블리 110: 투광부재
120: 프레임 130: 태양전지
140: 광유도부재

Claims (4)

  1. 제1물질로 이루어진 투광부재;
    상기 투광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투광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태양전지;
    를 포함하는 창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보다 굴절율이 높거나 낮은 제2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투광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태양전지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은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물질은 유리 및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어셈블리.
KR1020100065034A 2010-07-06 2010-07-06 창호 어셈블리 KR20120004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034A KR20120004264A (ko) 2010-07-06 2010-07-06 창호 어셈블리
PCT/KR2011/004936 WO2012005506A2 (ko) 2010-07-06 2011-07-06 창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034A KR20120004264A (ko) 2010-07-06 2010-07-06 창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64A true KR20120004264A (ko) 2012-01-12

Family

ID=4544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034A KR20120004264A (ko) 2010-07-06 2010-07-06 창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04264A (ko)
WO (1) WO201200550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4046A1 (en) * 2013-08-19 2015-02-26 Tropiglas Technologies Ltd A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CN105827197A (zh) * 2016-05-11 2016-08-03 江苏峰谷源储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用天窗太阳能发电装置
WO2019119023A1 (en) * 2017-12-21 2019-06-27 Clearvue Technologies Ltd A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5014154A (es) * 2003-06-23 2006-02-24 Ppg Ind Ohio Inc Ventana de guillotina integrada y metodos de hacer una ventana de guillotina integrada ventana de guillotina integrada y metodos de hacer una ventana de guillotina integrada.
CN101358503A (zh) * 2007-07-31 2009-02-04 杨锦怀 窗户单元及其窗户结构及预铸墙板
WO2009121180A1 (en) * 2008-04-02 2009-10-08 Morgan Solar Inc. Solar panel window
KR101021587B1 (ko) * 2008-09-03 2011-03-17 이진근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4046A1 (en) * 2013-08-19 2015-02-26 Tropiglas Technologies Ltd A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CN105637654A (zh) * 2013-08-19 2016-06-01 特罗皮格拉斯科技有限公司 用于产生电能的装置
CN105637654B (zh) * 2013-08-19 2017-11-28 特罗皮格拉斯科技有限公司 用于产生电能的装置
EA030244B1 (ru) * 2013-08-19 2018-07-31 Тропиглас Текнолоджис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US10988978B2 (en) 2013-08-19 2021-04-27 Tropiglas Technologies Ltd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US11162302B2 (en) 2013-08-19 2021-11-02 Tropiglas Technologies Ltd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CN105827197A (zh) * 2016-05-11 2016-08-03 江苏峰谷源储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用天窗太阳能发电装置
WO2019119023A1 (en) * 2017-12-21 2019-06-27 Clearvue Technologies Ltd A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CN111465745A (zh) * 2017-12-21 2020-07-28 科灵弗尤科技公司 产生电能的装置
US11482966B2 (en) 2017-12-21 2022-10-25 Clearvue Technologies Ltd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5506A2 (ko) 2012-01-12
WO2012005506A3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7732B (zh) 物理鋼化玻璃、太陽能電池上蓋板、太陽能電池背板結構及太陽能電池板
EP2657988B1 (en) Solar photovoltaic-thermal system
AU2011377920B2 (en) Glass tube with infrared light reflective coat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lass tube, heat receiver tube with the glass tube, parabolic trough collector with the heat receiver tube and use of the parabolic trough collector
CN102956725B (zh) 太阳能光伏光热联用系统
CN109994564B (zh) 光伏电池组件
TWI542818B (zh) 太陽能照明系統
KR101762795B1 (ko) 양면태양전지셀을 이용한 양면유리 태양전지 모듈과 입체형 반사체를 접목한 고효율 태양전지 시스템
CN104701398A (zh) 高效率双玻太阳能电池模块
KR20120004264A (ko) 창호 어셈블리
US20140338748A1 (en) Optical element for light-concentr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ght-concentr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CN101872795A (zh) 太阳模块封装结构
JP2010074057A (ja) 太陽電池裏面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4180019A1 (zh) 太阳能模块
KR101405279B1 (ko) 태양전지모듈
Seifert et al. Light management in solar modules
JP2013103846A (ja) 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用光学素子に用いられるガラス、それを用いた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用光学素子および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
CN106449792A (zh) 一种光伏玻璃
JP3164180U (ja) 発電及び熱絶縁機能を備える複層ガラス
CN216423705U (zh) 用于硅电池组件的防眩光玻璃
WO2019165503A1 (en) A photovoltaic module
CN208422931U (zh) 太阳能组件
CN111081801B (zh) 一种辐射透射比可调的采光发电一体化玻璃
CN211879397U (zh) 一种高光转换效率高散热的高功率双玻组件
TW201308619A (zh) 聚光型太陽能發電裝置之光學元件、其製造方法及聚光型太陽能發電裝置
CN208478349U (zh) 太阳能电池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