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122U -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122U
KR20120004122U KR2020100012423U KR20100012423U KR20120004122U KR 20120004122 U KR20120004122 U KR 20120004122U KR 2020100012423 U KR2020100012423 U KR 2020100012423U KR 20100012423 U KR20100012423 U KR 20100012423U KR 20120004122 U KR20120004122 U KR 201200041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rizontal
frame
sl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문환
Original Assignee
차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문환 filed Critical 차문환
Priority to KR2020100012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122U/ko
Publication of KR20120004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가구용 문짝, 수납장,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패널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결합하고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단부측 모서리 부분이 서로 결합 되어 프레임 조립체로 구성되는 가로 세로 프레임(20)(21), 상기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결합홈(22), 상기 결합홈(22)에 결합 되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을 연결 결합하는 연결구(23), 상기 연결구(23)에 의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의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여 구성된 사각 패널 프레임(24)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 조립체(24)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로 세로 프레임(20)(21)들의 외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5); 상기 슬라이드 홈(25)을 따라 외부에서 결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25)에 끼워지는 대응되는 돌출단(26)이 형성되고 개개의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을 안쪽 방향으로 에워 쌓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패널(27)을 지지하는 절곡편(28)을 갖는 엔드플레이트(29); 상기 엔드플레이트(29)를 연결하여 모서리 부분을 마감 처리하는 마감캡(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STRUCTURE FOR SLIDE CONNECTOR TYPE FRAME OF PANEL}
본 고안은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가구용 문짝, 수납장,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패널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결합하고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각 패널 프레임은 가로 세로 방향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그 프레임들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약 45°경사각을 기준으로 대응면을 절취하여 연결구를 통해 가로 세로 방향 프레임이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사각 프레임의 결합과 고정 그리고 기능적 구성에 관한 다수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476568호 등록특허공보에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291500호 등록실용신안공보에 '모서리부에 완충구를 가지는 가구용 조립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9-0035582호 공개실용신안공보에 '슬라이드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공고번호 제1990-0009901호 실용신안공보에 '알미늄 샷시용 모서리 결합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108609호 실용신안공보에 '슬라이드 도어용 알미늄 새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2-8913호 및 1996-0009681호 실용신안공보에 '조립식 문짝틀'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10-0077629호 공개특허공보에 '문틀 모서리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10-0101972호 공개특허공보에 '문틀고정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들은 패널형 도어의 모서리 결합, 또는 프레임들을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기술들로서, 모두 프레임에 직접 패널을 결합하는 형식의 기술들이다. 따라서, 프레임의 조립과 분해가 까다롭고 패널을 분리하거나 갈아끼우는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롭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사각 패널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주요 부분은, 단부 모서리 부분이 경사각으로 면취된 결합면(13)을 갖는 가로 프레임(11), 가로 프레임(11)의 결합면(13)에 대응되는 결합면(13)을 단부에 갖는 세로 프레임(12), 가로 세로 프레임(11)(12)에 형성된 공간(14), 가로 세로 프레임(11)(12)에 패널(15)을 끼워서 결합하기 위해 가로 세로 프레임(11)(12)의 내벽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6), 상기 결합홈(16)을 따라 패널(15)을 결합한 상태에서 가로 세로 프레임(11)(12)의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는 연결구(1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사각 패널 프레임은 구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패널(15)의 파손과 훼손 또는 교환을 필요로 하여 새것으로 갈아 끼울 때 가로 세로 프레임(11)(12)을 결합하고 있는 4개의 연결구(17)를 먼저 해체하고 가로 세로 프레임(11)(12)들을 낱개씩 전체를 분리한 후 기존 패널(15)은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내고 갈아끼울 새 패널을 다시 프레임에 맞추어 역순으로 연결구(17)를 한개씩 결합하여 프레임 조립체를 만드는 방법으로 패널을 갈아끼워야 하므로 교체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가로 세로 프레임(11)(12)의 결합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확보되는 프레임의 폭을 패널(15)의 결합면으로 활용할 수 없어 지지하고자 하는 패널(15)의 크기에 비해 프레임(11)(12) 폭의 면적(L1)(L2)이 지나치게 넓어져 프레임(11)(12)의 공간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각종 가구용 문짝, 수납장,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패널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표면 패널 교체형 패널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 표면을 패널 표출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프레임을 통한 패널 표현 면적을 확장시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단부측 모서리 부분이 서로 결합 되어 프레임 조립체로 구성되는 가로 세로 프레임, 상기 가로 세로 프레임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결합 되어 가로 세로 프레임을 연결 결합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에 의해 가로 세로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여 구성된 사각 패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로 세로 프레임들의 외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외부에서 결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에 끼워지는 대응되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개개의 가로 세로 프레임을 안쪽 방향으로 에워 쌓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패널을 지지하는 절곡편을 갖는 엔드플레이트;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연결하여 모서리 부분을 마감 처리하는 마감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은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단을 턱 결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돌출단의 선단부는 상기 가로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안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절곡편은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마감캡은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마감캡을 외부에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된 홈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마감캡에 돌출되어 형성된 끼움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각종 가구용 문짝, 수납장,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패널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프레임의 사용 편의성과 다양한 표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프레임이 차지하는 부분을 패널 표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광폭의 패널 노출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노출 두께를 최대로 얇게 하여 슬림화된 상태로 나타나도록 함으로서 시각적으로 투박한 프레임 노출 부분을 간결한 디자인으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널 프레임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패널 프레임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프레임 결합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프레임 결합 상태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을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단부측 모서리 부분이 서로 결합 되어 프레임 조립체로 구성되는 가로 세로 프레임(20)(21),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결합홈(22), 결합홈(22)에 결합 되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을 연결 결합하는 연결구(23), 연결구(23)에 의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의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여 구성된 사각 패널 프레임(24)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은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패널(27)에 의해 가려져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고 패널(27)에 의해 은폐된다. 또한,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패널(27)이 직접 결합 되지 않고 프레임에 결합된 엔드플레이트(29)를 통해 패널(27)이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주요 부분은, 사각 프레임 조립체(24)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로 세로 프레임(20)(21)들의 외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홈(25)은 엔드플레이트(29)의 결합을 슬라이드 결합으로 유도하기 위한 홈이다.
그리고,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의 슬라이드 홈(25)을 따라 외부에서 결합될 수 있는 엔드플레이트(29)가 구성된다.
엔드플레이트(29)는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의 슬라이드 홈(25)을 따라 결합 되어 실질적으로는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의 외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홈(25)을 따라 외부에서 결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25)에 끼워지는 대응되는 돌출단(26)이 형성되어 있고, 개개의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을 안쪽 방향으로 에워 쌓는 방향으로 절곡 되어 패널(27)을 지지하기 위해 직각에 가깝도록 구부러진 절곡편(28)을 갖는다.
그리고, 엔드플레이트(29)를 연결하여 모서리 부분을 마감 처리하기 위한 마감캡(30)으로 구성된다.
또한,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5)은 엔드플레이트(29)의 돌출단(26)을 턱 결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31)을 형성함으로서, 엔드플레이트(29)의 이탈을 방지하고 길이 방향을 따르는 슬라이드 결합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엔드플레이트(29)에 형성되는 돌출단(26)의 선단부는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5)에 안착되는 헤드(32)와, 이 헤드(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32)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33)으로 구성된다.
또한, 엔드플레이트(29)에 형성되는 절곡편(28)은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에 형성된다. 도면 도 4 및 도 5는 양편 대칭적인 절곡편(28)을 갖는 엔드플레이트(29)의 예이며 양편에 패널(27)이 대칭적으로 결합 된 예이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엔드플레이트(29)에 절곡편(28)을 한쪽에만 형성하여 한쪽 면에 제한적으로 패널(27)을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엔드플레이트(29)와 마감캡(30)은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마감캡(30)을 외부에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결합수단의 예는, 엔드플레이트(29)의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홈(33)을 형성하고, 엔드플레이트(29)의 홈(33)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마감캡(30)에 돌출되어 형성된 끼움단(3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은 엔드플레이트(29)를 따라 결합되는 패널(27)에 의해 가려진다.
이는 패널(27)을 직접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결합하지 않고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결합 되고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의 외부 쪽으로 연장된 엔드플레이트(29)의 절곡편(28)을 통해 패널(27)이 지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의 살 두께 및 면적은 패널(27)에 의해 가려지며 절곡편(28)의 돌출 길이 조절에 의해 패널(27) 사이즈를 광폭으로 디자인하여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적정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로 세로 프레임의 두께 면적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패널을 고정하는 경우 가로 세로 프레임의 두께 살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고 그 노출면은 패널 장착에서 비 유효 면적이 된다.
이에 비해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29)의 절곡편(28)을 통해 패널(27)을 안착하면 프레임(20)(21)의 두께 살 부분과 상관없이 절곡편(28)에 패널(27)을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절곡편(28)의 길이 조절만으로 패널(27) 사이즈를 프레임 두께 살과 무관하게 더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은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패널(27)에 의해 가려져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고 패널(27)에 의해 은폐된다. 또한,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패널(27)이 직접 결합 되지 않고 프레임(20)(21)에 결합된 엔드플레이트(29)를 통해 패널(27)이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패널(27)은 가구 문짝, 각종 가구 및 일반 도어의 표면체, 유리, 그리고 일반 금속 및 비금속제 등의 다양한 판상체이다.
패널(27)이 파손되었거나 새것으로 교환할 경우 종래에는 가로 세로 프레임을 모두 분해하여 새것으로 교체하였는데 복잡한 해체와 분해 작업을 거친 후 다시 패널을 역순으로 결합하여 패널의 교환이나 교체가 어려웠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패널(27)의 분해와 교환이 단순화된 작업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분해 작업은, 먼저 엔드플레이트(29)를 연결하고 있는 마감캡(30)을 손이나 공구로 잡고 잡아당겨 떼어낸다.
결합 상태에서 마감캡(30)의 끼움단(34)이 엔드플레이트(29)의 홈(33)에 결합 되어 있으나 이것은 서로 마주 접하는 엔드플레이트(29) 간 모서리 부 간격을 채워 마감 처리하기 위한 부분이므로 당겨내면 쉽게 분리된다.
마감캡(30)을 떼어 내고 난 후 엔드플레이트(29)를 잡고 한쪽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면 프레임의 슬라이드 홈(25)에서 힘이 작용 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25)을 따라 이동되고 슬라이드 홈(25)의 종단을 초과하면 그대로 빠져나온다.
이렇게 어느 한쪽 엔드플레이트(29)를 프레임의 슬라이드 홈(25)으로부터 제거하고 난 뒤 그 제거된 부분을 통해 패널(27)을 당겨내거나 밀어내서 빼내면 패널(27)의 탈거가 완료된다.
반대로, 패널(27)을 끼우려면 위 상태에서 새 패널(27)을 분해되어 제거된 엔드플레이트(29)가 있던 방향을 통해 밀어 넣어 끼운다. 계속해서 밀어넣으면 패널(27)의 3면은 나머지 엔드플레이트(29)의 절곡편(28)에 안착 된다.
절곡편(28)에 패널(27)이 안착되면 분해된 엔드플레이트(29)를 분해되었던 해당 프레임의 슬라이드 홈(25)에 맞추어 밀어 넣어 끼우고, 완전히 끼워지면 마감캡(30)을 엔드플레이트(29)의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밀어넣어 교환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가구용 문짝, 수납장,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패널(27)을 필요에 따라 빠르고 신속하게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어 패널(27) 파손시 새것으로 갈아끼우는 작업이 간단하고 패널(27)의 빈번한 교환을 필요로 하는 경우 번거롭지 않게 패널(27)을 효과적으로 갈아끼우거나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20)(21)의 사용 편의성과 다양한 표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21)이 차지하는 부분을 패널(27) 표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광폭의 패널(27) 노출면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널(27)을 지지하는 부분이 되는 절곡편(28)의 노출 두께를 최대로 얇게 할 수 있으므로 패널(27)의 지지 노출면을 슬림화된 상태로 나타나도록 하여 투박한 프레임 구조를 간결한 구조로 대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20: 가로프레임
21: 세로프레임
22: 결합홈
23: 연결구
24:사각패널프레임
25:슬라이드홈
26:돌출단
27:패널
28:절곡편
29:엔드플레이트
30:마감캡
31:가이드레일
32:헤드
33:걸림턱
34:끼움단

Claims (6)

  1. 단부측 모서리 부분이 서로 결합 되어 프레임 조립체로 구성되는 가로 세로 프레임(20)(21), 상기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결합홈(22), 상기 결합홈(22)에 결합 되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을 연결 결합하는 연결구(23), 상기 연결구(23)에 의해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의 모서리 부분을 결합하여 구성된 사각 패널 프레임(24)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 조립체(24)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로 세로 프레임(20)(21)들의 외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5);
    상기 슬라이드 홈(25)을 따라 외부에서 결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25)에 끼워지는 대응되는 돌출단(26)이 안쪽 방향에 형성되고 개개의 가로 세로 프레임(20)(21)을 안쪽 방향으로 에워 쌓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패널(27)을 지지하는 절곡편(28)을 갖는 엔드플레이트(29);
    상기 엔드플레이트(29)를 연결하여 모서리 부분을 마감 처리하는 마감캡(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5)은 상기 엔드플레이트(29)의 돌출단(26)을 턱 결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29)에 형성되는 돌출단(26)의 선단부는 상기 가로 세로 프레임(20)(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5)에 안착되는 헤드(32)와, 상기 헤드(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32)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29)에 형성되는 절곡편(28)은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29)와 상기 마감캡(30)에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마감캡(30)을 외부에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엔드플레이트(29)의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된 홈(33)과,
    상기 엔드플레이트(29)의 홈(33)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마감캡(30)에 돌출되어 형성된 끼움단(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KR2020100012423U 2010-12-01 2010-12-01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KR201200041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23U KR20120004122U (ko) 2010-12-01 2010-12-01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23U KR20120004122U (ko) 2010-12-01 2010-12-01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22U true KR20120004122U (ko) 2012-06-12

Family

ID=4661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423U KR20120004122U (ko) 2010-12-01 2010-12-01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12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6700A (zh) * 2015-12-29 2016-03-09 常熟市久昇电器有限公司 一种酒柜门
KR200491435Y1 (ko) 2019-12-26 2020-04-07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KR200491434Y1 (ko) 2019-12-26 2020-04-07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6700A (zh) * 2015-12-29 2016-03-09 常熟市久昇电器有限公司 一种酒柜门
KR200491435Y1 (ko) 2019-12-26 2020-04-07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KR200491434Y1 (ko) 2019-12-26 2020-04-07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617Y1 (ko) 복합창 구조
US9493977B2 (en) Post for a folding door
KR20120004122U (ko) 패널의 슬라이드 결합형 프레임 구조
CN211286152U (zh) 一种多用途收口线结构
US20160032615A1 (en) Handle Structure for Bi-Fold Door
JP6472215B2 (ja) 防火ドア
RU112818U1 (ru) Мебельный профиль
KR101580743B1 (ko)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KR20100030466A (ko) 광고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연결구
JP2007056506A (ja) 引込戸
JP5522846B2 (ja) 障子
JP2015172314A (ja) 建具枠
KR101105673B1 (ko) 외장재 착탈구조를 갖는 강화 도어 프레임
WO2019087824A1 (ja) 移動間仕切装置
CN109184529A (zh) 一种用于隔墙的带有窗帘的窗
KR101143340B1 (ko) 서랍장의 측면패널
CN212201748U (zh) 一种门体结构
JP4160854B2 (ja) 家具用扉
JP3187630U (ja) パネルフレーム、及びパネルキット
KR200464798Y1 (ko) 미서기 창호
KR200384122Y1 (ko) 유리문 장식샤시 연결구조
JP5191723B2 (ja) 接合部材及び建具
CN206360593U (zh) 一种稳定可靠易组装的推拉门安装组件
KR200379821Y1 (ko) 미닫이 창문이 구비된 책상칸막이
JP7263132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