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658U -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658U
KR20120003658U KR2020100011837U KR20100011837U KR20120003658U KR 20120003658 U KR20120003658 U KR 20120003658U KR 2020100011837 U KR2020100011837 U KR 2020100011837U KR 20100011837 U KR20100011837 U KR 20100011837U KR 20120003658 U KR20120003658 U KR 201200036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wall
escape passage
emergency escape
emergency
main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411Y1 (ko
Inventor
김인규
정호병
신종호
정동구
신영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1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1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또는 폭발 사고 시에 선원의 안전한 탈출을 구현할 수 있는 비상탈출통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상탈출통로 구조는 해상구조물의 메인 데크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의 외부방향은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보호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의 현측(shipside)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보호벽체와 현측 사이에는 탈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ESCAPE WAY OF MARINE STRUCTURE}
본 고안은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또는 폭발 사고 시에 선원의 안전한 탈출을 구현할 수 있는 비상탈출통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LNG의 이송을 위한 선박에는 LNG 수송선(LNG CARRIER),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Floating)-LNG 플랜트 등이 있다.
LNG 수송선은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고, LNG RV는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한다.
LNG FPSO는, 채굴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정제한 후 직접 액화시켜 카고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카고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카고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함으로써 육상의 저장 및 생산설비를 생략할 수 있게 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수송선, LNG RV, LNG FPSO(FLNG), LNG FSRU 등의 해상 구조물 내에는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카고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LNG FPSO(FLNG) 및 LNG FSRU 등이 '해상 구조물'에 해당된다.
이러한 해상 구조물의 선체(hull)에는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카고탱크가 형성되고, 이러한 카고탱크의 상부에는 메인 데크가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 데크에는 화재 또는 폭발사고 발생 시에 선원들의 비상탈출통로가 설치된다.
종래의 비상탈출통로는 메인 데크의 상부에 비상탈출을 위한 개방된 공간(clear space)를 제공하고, 그 바닥에는 미끄럼방지 도료가 표시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개방된 공간 구조의 비상탈출통로는 외부의 화재나 폭발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완전히 밀폐된 구조의 비상탈출트렁크(enclosed type escape trunk)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밀폐된 구조의 비상탈출트렁크에는 추가적인 환기(ventilation), 조명(lighting), 메인 데크에서의 이동을 위한 수밀 도어(watertight type door)가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밀폐된 구조의 비상탈출트렁크는 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재 또는 폭발사고 발생 시에 선원들의 안전한 탈출을 확보함과 더불어 추가적인 환기, 조명, 수밀 도어 등이 필요하지 않아 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비상탈출통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체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해상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의 메인 데크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의 외부방향은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보호벽체를 포함하고,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의 현측(shipside)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보호벽체와 현측 사이에는 탈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벽체는 상기 메인 데크의 상면 좌우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보호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벽체는 상기 메인 데크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벽체는 선체 내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비상출입로가 형성되며;상기 하나 이상의 비상출입로 각각에는 상기 비상출입로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보호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벽은 상기 메인 데크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데크의 상부에는 플랫폼 데크가 배치되고, 상기 보호벽체는 상기 메인 데크와 상기 플랫폼 데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메인 데크의 상면 좌우 양측에 한 쌍의 보호벽체를 설치함으로써 화재 또는 폭발 사고 발생 시에 선원의 안전한 탈출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순한 보호벽체만을 설치함으로써 환기, 조명, 수밀 도어 등과 같은 부가적인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통로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비상탈출통로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비상탈출통로 구조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비상탈출통로 구조(10)는 선체(1)의 메인 데크(2) 상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호벽체(11)를 포함한다.
보호벽체(11)는 메인 데크(2)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데크(2)의 상면 좌우 양측에 한 쌍의 보호벽체(11)가 각각 설치된다. 각 보호벽체(11)는 선체(1)의 현측(3, shipside)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특히 보호벽체(11)와 선체(1)의 현측(3)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보호벽체(11)는 선체(1)의 현측(3) 사이에 비상탈출통로(12)가 형성된다.
또한, 보호벽체(11)는 선체 내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비상출입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비상출입로를 통하여 선원들이 손쉽게 비상탈출통로(12)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상출입로 각각에도 폭발 등의 사고시에 선원들이 안전하게 비상출입로를 통하여 비상탈출통로(12)로 들어갈 수 있도록 통로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보호벽(111)을 설치할 수 있다.
보호벽체(11) 및 보호벽(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11a, 111a), 수직부(11a, 111a)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부(11b, 111b)로 구성되어 비상탈출통로(12)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한, 보호벽(111)의 수평부(111b)는 보호벽체(11)의 수평부(11b)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선원들이 비상출입로를 통하여 비상탈출통로(12)로 들어가는 순간에도 선원들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통로 구조에 의해서, 해상구조물에 화재 또는 폭발사고 등이 발생한다면, 해상구조물의 메인 데크 상부에 있는 선원들은 보호벽(111)의 보호를 받으면서 보호벽체(11)에 형성된 비상출입로를 통하여 비상탈출통로(12)로 들어가서 안전하게 비상탈출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즉, 선원들은 보호벽(111)에 의해 1차적 대피가 가능하고, 보호벽체(11)에 의해 2차적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원들은 보호벽체(11)의 도움으로 안전하게 해상구조물의 위험발생지역으로부터 탈출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비상탈출통로 구조(10)가 적용되는 해상구조물의 선체(1)는 메인데크(2)의 하부에 카고탱크(4)가 형성될 수 있고, 카고탱크(4)에는 LNG, LPG 등이 적재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데크(2)의 상부에는 플랫폼 데크(7)가 배치되고, 플랫폼 데크(7)와 메인 데크(2) 사이에는 상부모듈(topside), 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비상탈출통로 구조(10)는 메인 데크(2)와 플랫폼 데크(7) 사이에 배치되어 플랫폼 데크(7)에 있는 선원들도 안전하게 비상탈출통로(12)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상탈출통로 구조(10)는 상부모듈(topside moudule), 파이프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선체 2: 메인 데크
3: 현측 4: 카고탱크
7: 플랫폼 데크 10: 비상탈출통로 구조
11: 보호벽체 111: 보호벽
12: 비상탈출통로

Claims (7)

  1. 해상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의 메인 데크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보호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해상구조물의 현측(shipside)에서 선체 내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써 상기 보호벽체와 현측 사이에는 탈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통로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체는 상기 메인 데크의 상면 좌우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보호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통로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체는 상기 메인 데크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통로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체는 선체 내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비상출입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비상출입로 각각에는 상기 비상출입로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보호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통로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은 상기 메인 데크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통로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의 수평부는 상기 보호벽체에 형성되는 수평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통로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크의 상부에는 플랫폼 데크가 배치되고, 상기 보호벽체는 상기 메인 데크와 상기 플랫폼 데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통로 구조.
KR2020100011837U 2010-11-17 2010-11-17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KR200477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37U KR200477411Y1 (ko) 2010-11-17 2010-11-17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37U KR200477411Y1 (ko) 2010-11-17 2010-11-17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58U true KR20120003658U (ko) 2012-05-25
KR200477411Y1 KR200477411Y1 (ko) 2015-06-05

Family

ID=4661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837U KR200477411Y1 (ko) 2010-11-17 2010-11-17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072U (ko) 2013-06-27 2015-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대피시설물
KR20160005626A (ko) 2014-07-07 2016-01-15 황득천 선박용 탈출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068B (zh) * 2019-02-28 2021-03-0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防浪亭装置及船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8110B2 (ja) * 2004-11-04 2012-03-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用鋼構造体の選択方法及び船舶
KR20090103106A (ko) * 2008-03-27 2009-10-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측외판 코우밍이 설치된 컨테이너 운반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072U (ko) 2013-06-27 2015-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대피시설물
KR20160005626A (ko) 2014-07-07 2016-01-15 황득천 선박용 탈출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411Y1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9345B (zh) 烃处理船和方法
KR20150004764A (ko)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US11118734B2 (en) Cold-box system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aboard ships
KR20240040691A (ko) 카고 매니폴드를 갖는 액체화물 운반선
KR20120003658U (ko)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KR101629192B1 (ko)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1027A (ko) 상시 검사 및 수리 가능한 lng 저장탱크 및 상기 lng저장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20003659U (ko)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KR20120003757U (ko) 터릿 문풀로부터 탈출 경로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372156B1 (ko) Lng선의 선미 측 진동 및 응력 감소 구조
KR20120048194A (ko) 화물창용 온도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232566B1 (ko) 해양 구조물
KR20120001499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101637415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081412B2 (en)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KR20120000973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0462375Y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KR20170037081A (ko) 워터 커튼 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80000170U (ko) 안전 통행로를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
Odeskaug The Cylindrical Hull Concept for FLNG Application
KR20120021761A (ko) 선박용 수직형 저장탱크 설치수단
KR102231765B1 (ko) 해양 구조물
KR20140052349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사이드 셀 보강구조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사이드 셀 보강구조를 이용한 계류 시스템
KR20100115545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갖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그 저장탱크 내로의 액화가스 로딩장치 및 방법
KR20190026443A (ko) Lng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배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