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765B1 -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765B1
KR102231765B1 KR1020190142756A KR20190142756A KR102231765B1 KR 102231765 B1 KR102231765 B1 KR 102231765B1 KR 1020190142756 A KR1020190142756 A KR 1020190142756A KR 20190142756 A KR20190142756 A KR 20190142756A KR 102231765 B1 KR102231765 B1 KR 10223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eck
upper deck
hul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우
이상신
조치현
이영철
이명섭
김덕기
박형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20Antenna or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연안에 인접하게 계류되어 가스를 저장, 생산, 하역하는 해양 구조물로서, 선체에 탑재되는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선체에 탑재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가스를 하역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탑사이드; 및 상기 선체에 탑재되며 상기 탑사이드에서 처리된 가스를 하역하는 하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는, 상기 탑사이드 또는 상기 하역부에 공급할 전기를 생성하는 기관이 마련되는 기관실; 외부로 노출되는 상갑판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안에 계류되기 위한 계류장비가 마련되는 성큰데크; 및 상기 성큰데크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상갑판에 연결되는 플랫폼을 구비하여 상기 상갑판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석유나 석탄에 비해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은 청정연료로서의 천연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상태로 액화가스 운반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된다. 예를 들어, LNG(Liquefied Natural Gas)나 LPG(Liquefied Petroleum Gas) 등의 액화가스는 천연가스 혹은 석유가스를 극저온(LNG의 경우는 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폭 감소하므로 저장 및 수송에 매우 적합하다.
LNG 운반선 등의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이 액화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으로, 액화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극저온 상태의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마련된 부유식 구조물의 예로서는, 액화가스 운반선 이외에도 LNG RV(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이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BMPP(Barge Mounted Power Plant), FSPP(Floating and Storage Power Plant), FLNG(Floating LNG)와 같은 해양 구조물 등을 들 수 있다.
FLNG는 해상 천연가스 웰(well)의 인근에 위치하여 생산되는 가스를 처리하여 LNG/LPG/Condensate로 액화하는 시설과 저장하는 탱크, 하역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다.
FLNG는 해상 천연가스 웰의 위치에 따라 근해(Offshore) 또는 연안(Nearshore)에 계류되도록 설치되는데, 설치 현장의 환경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FLNG는 근해에 적합하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육상과 제티 등의 구조물에 접하여 운영되는 경우에도 근해용 FLNG를 사용하고 있다. 근해용 FLNG의 경우 해상 환경이 열악하고 승선원이 FLNG 내에서 생활해야 하므로 설비투자가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연안 전용 FLNG에 대한 선주들의 요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안 전용 FLNG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저장된 가스를 하역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생산부, 처리된 가스를 하역하는 하역부를 구성하기 위한 설비를 연안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마련하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안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비를 마련함으로써, 건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선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연안에 인접하게 계류되어 가스를 저장, 생산, 하역하는 해양 구조물로서, 선체에 탑재되는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선체에 탑재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가스를 하역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탑사이드; 및 상기 선체에 탑재되며 상기 탑사이드에서 처리된 가스를 하역하는 하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는, 상기 탑사이드 또는 상기 하역부에 공급할 전기를 생성하는 기관이 마련되는 기관실; 외부로 노출되는 상갑판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안에 계류되기 위한 계류장비가 마련되는 성큰데크; 및 상기 성큰데크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상갑판에 연결되는 플랫폼을 구비하여 상기 상갑판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상갑판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부는, 하단이 상기 성큰데크에 고정되어 상기 상갑판까지 연장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 상에 마련되는 전파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는, 상기 기관실의 전기 생성을 보조하기 위해 마련되는 비상발전기를 갖고 상기 성큰데크 상에 마련되는 비상발전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높이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비상발전실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플랫폼 상에 마련되며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파 송수신기는, 상기 가스 감지기에 가스 누출이 감지되면 셧다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저장된 가스를 하역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생산부, 처리된 가스를 하역하는 하역부를 구성하기 위한 설비를 연안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마련함으로써, 건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선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기관실, 비상발전실, 전기장비실을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CAPEX 및 OPEX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갑판에 승선원의 거주 공간을 마련하며, 탑사이드 또는 하역부를 관리하는 관리설비가 마련되는 거주구를 생략하는 대신, 관리설비가 마련되는 관리실을 선체의 내부에서 상갑판과 기관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거주구를 생략함에 따른 건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안테나부를 성큰데크 상에 배치하되 상갑판에 연결되는 플랫폼에 전파 송수신기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전파 송수신기들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충분한 자유 공간(Free Space)을 제공할 수 있고, 안테나 및 관련 케이블류 설치 및 유지보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선각과 충분한 용접공간 확보로 인한 진동 최소화 및 간단한 구조, 형상 구성으로 CAPEX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선체와 탑사이드에 마련되어 탑사이드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선체와 일체로 선각화함으로써, 선체의 종강도 및 횡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구조물을 가스 저장구역과 탑사이드에 마련되는 작업구역 사이에 적어도 2층 이상으로 격리되어, 상갑판 상부의 위험구역(Hazardous Zone)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슬로싱 완화에 따라 저장탱크를 깊이 대비 좌우 폭의 비율이 2배 이상으로 할 수 있어, 기존 대비 가스 적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실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1의 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스는 액화가스, 자연기화 또는 강제기화된 증발가스(BOG: Boil-Off Gas)를 포괄할 수 있다. 다만 증발가스는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가스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고, 또한 액화가스도 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뿐만 아니라 기화된 액화가스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관리실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3(a) 및 (b)는 도 1의 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해양 구조물은, 선체에 탑재되는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저장된 가스를 하역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생산부, 처리된 가스를 하역하는 하역부를 포함하는 FLNG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안에 인접하게 계류되어 가스를 저장, 생산, 하역하는 모든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은, 연안에 인접하게 제티(2)에 계류되어 가스를 저장, 생산, 하역할 수 있다.
해양 구조물(1)은, 상갑판(11), 성큰데크(12), 선측내판(13), 선측외판(14)을 포함하며, 내부에 저장탱크(30) 등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마련되는 선체(10)와, 선체(10)의 상부에 탑재되어 저장탱크(30)에 저장된 가스를 하역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탑사이드(20)와, 선체(10)에 탑재되어 탑사이드(20)에서 처리된 가스를 하역하는 하역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저장탱크(30)는, 선체(10)에 탑재되어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탱크(30)는, 선체(10)의 내부에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저장탱크(30)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 배열되고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양 구조물(1)이 연안에 인접하여 제티(2)에 계류되는 연안 전용 구조물이므로, 슬로싱 완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 대비 좌우 폭의 비율이 2배 이상인 저장탱크(30)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저장탱크(30)는, 길이 방향으로 기존과 동일한 개수를 적용할 수 있으며, 폭 방향으로 기존의 2개의 저장탱크(30)에 대응되는 하나의 저장탱크(30)가 구비될 수 있다.
선체(10)는, 기관실(40), 비상발전실(50), 전기장비실(60), 출입통로(70), 관리실(80), 진입통로(90), 안테나부(100), 탱크 수용부(110), 지지구조물(120)을 포함한다.
기관실(40)은, 탑사이드(20) 또는 하역부에 공급할 전기를 생성하는 기관이 마련될 수 있다.
기관실(40)은, 선체(10)의 내부에 마련되되, 선저부분의 탱크탑(도면부호 미도시)과 성큰데크(12)보다 아래에 위치되며 흘수선보다 위에 위치되는 하부데크(도면부호 미도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관실(40)의 전방부에는 저장탱크(30)가 구비된다.
비상발전실(50)은, 기관실(40)의 전기 생성을 보조하기 위해 마련되는 비상발전기를 갖고 성큰데크(1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비상발전실(50)은, 상갑판(11)과 성큰데크(12) 사이에 마련되되, 전면이 기관실(40)의 후면과 상하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선체(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비상발전실(50)은, 침수 시에도 최대한 비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건현/부재치수흘수레벨(Freeboard/Scantling Draft Level) 상부에 마련된다.
전기장비실(60)은, 기관실(40)의 상부 및 비상발전실(50)의 하부에 마련되며 기관실(40)에서 생성된 전기를 처리할 수 있다.
전기장비실(60)은, 기관실(40)과 비상발전실(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장비실(60)은, 성큰데크(12)와 하부데크 사이에 마련되며, 전면이 기관실(40)의 후면과 상하로 어긋나게 중첩되어 선체(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비상발전실(50)과 전기장비실(60)은, 전면이 상하로 나란하게 마련되며, 후면이 상하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성큰데크(12)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상발전실(50)과 전기장비실(60)이 상하로 인접하게 마련되는데, 이로 인해 주요 케이블 및 케이블 웨이(Cable Way)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성큰데크(12)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갑판(11)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며 연안에 계류되기 위한 계류장비가 마련되는 데크로서, 전기장비실(60)의 상면 중 비상발전실(50)이 탑재되지 않은 비상발전실(50)의 후방부에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성큰데크(12)의 상부에는 후술할 안테나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성큰데크(12)는, 오픈 데크(Open Deck)로부터의 빠른 접근(Readily Access), 장비 유지보수 및 주요 컴파트먼트(Compartment) 류 이동/운반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관련 룰을 준수할 수 있도록 최대한 건현/재치수흘수레벨(Freeboard/Scantling Draft Level) 상부로 구성된다.
출입통로(70)는, 전기장비실(60) 및 비상발전실(50)의 전면에 마련되며, 전기장비실(60) 및 비상발전실(50)에 근무하는 승선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단을 포함한다.
또한, 출입통로(70)는, 후술할 관리실(80)이 선체(10)의 내부에 마련될 경우, 전기장비실(60) 및 비상발전실(50)의 전면과 관리실(80)의 후면 사이에 마련되며, 전기장비실(60), 비상발전실(50) 및 관리실(80)에 근무하는 승선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출입통로(70)는, 전기장비실(60) 및 비상발전실(50)의 전면과 관리실(80)의 후면 사이에서 바닥이 하부테크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갑판(11)의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하부데크로부터 상갑판(11)까지 계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출입통로(70)에는 상갑판(11)에 제1출입구(71)가 마련되어 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한다. 제1출입구(71)는, 에어록(Air Lock)이 설치된 기밀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출입통로(70)는, 전기장비실(60), 비상발전실(50) 및 관리실(80)에 가깝게 배치되어 비상시 탈출(Escape)을 용이하게 한다.
관리실(80)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갑판(11)에 승선원의 거주 공간을 마련하며, 탑사이드(20) 또는 하역부를 관리하는 관리설비가 마련되는 기존의 거주구를 생략하는 대신, 선체(10)의 내부에서 상갑판(11)과 기관실(40) 사이에 배치되며, 승선원이 운용하는 관리설비가 마련될 수 있다.
관리실(80)은, 기관실(40)의 상부를 이루는 하부데크와 상갑판(11) 사이에 마련되되, 전면이 기관실(40)의 전면과 상하로 나란하게 마련되고, 후면이 기관실(40)의 후면과 상하로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관리실(80)과 기관실(40)이 상하로 어긋나는 관리실(80) 후방에는 출입통로(70) 및 적층된 전기장비실(60) 및 비상발전실(50)이 배치될 수 있다.
관리실(80)은, 후방에 전술한 출입통로(70)가 마련되어 승선원이 비상발전실(50) 및 전기장비실(60)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하고, 전방에 후술할 진입통로(90)가 마련되어 승선원의 출퇴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며, 비상시 출입통로(70) 및 진입통로(90)로 탈출(Escape)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진입통로(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선원이 해양 구조물(1)과 육상 사이에 출퇴근할 수 있도록, 관리실(80)로부터 제티(2)가 설치된 연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진입통로(90)는, 관리실(80)의 서로 다른 높이에서 연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경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경사로는, 관리실(80)의 상단 높이인 상갑판(11)에서 연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로(91)와, 관리실(80)의 하단 높이인 선측에서 연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로(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입통로(90)에는, 상갑판(11) 하부의 선측내판(13)과 선측외판(14) 사이의 공간 부분에 제2출입구(93)가 마련되어 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한다. 제2출입구(93)는, 에어록(Air Lock)이 설치된 기밀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진입통로(90)는, 관리실(80)에 가깝게 배치되고, 육상의 제티(2)와 연결되어 출퇴근은 물론 비상시 탈출(Escape)을 용이하게 한다.
안테나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발전실(50)의 후방 및 전기장비실(60)의 상부를 이루는 성큰데크(1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플랫폼(101), 지지대(102), 전파 송수신기(10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1)은, 지지대(102)에 의해 지지되며 상갑판(11)에 연결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플랫폼(101)은 지지대(102)뿐만 아니라, 상갑판(11)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102)는, 하단이 성큰데크(12)에 고정되어 상갑판(1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지지대(102)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케이블의 전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전파 송수신기(103)는, 플랫폼(101) 상에 마련되어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100)는, 플랫폼(101) 상에 마련되며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기(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송수신기(103)는, 가스 감지기(104)에 가스 누출이 감지되면 셧다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안테나부(100)를 성큰데크(12) 상에 배치하되 상갑판(11)에 연결되는 플랫폼(101)에 전파 송수신기(103)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전파 송수신기(103)들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충분한 자유 공간(Free Space)을 제공할 수 있고, 안테나 및 관련 케이블류 설치 및 유지보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선각과 충분한 용접공간 확보로 인한 진동 최소화 및 간단한 구조, 형상 구성으로 CAPEX를 절감할 수 있다.
탱크 수용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30)를 수용하며 적어도 저장탱크(30)의 상측을 두르는 공간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탱크 수용부(110)는 선체(10) 내부에 저장탱크(30)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선측내판(13)과 상갑판(11) 또는 선측외판(14)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탱크 수용부(110)의 상측을 이루는 상갑판(11)에는 후술할 지지구조물(120)이 일체로 선각화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지지구조물(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수용부(110)의 상측에서 탑사이드(20)를 일정 높이만큼 이격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구조물(120)은, 탱크 수용부(110)와 일체로 선각화 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판(121), 횡격벽(122), 종격벽(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21)은, 탱크 수용부(110)의 상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단면적을 가지는 철판으로 형성되며, 탑사이드(20)를 지지할 수 있다.
횡격벽(122)은, 탱크 수용부(110)와 상판(121) 사이에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횡격벽(122)은, 하단이 탱크 수용부(110)의 상면을 이루는 상갑판(11)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단이 상판(121)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격벽(123)은, 탱크 수용부(110)와 상판(121)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종격벽(123)은, 하단이 탱크 수용부(110)의 상면을 이루는 상갑판(11)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단이 상판(121)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다수의 종격벽(123)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종격벽은, 탱크 수용부(1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선체(10)의 선측외판(14)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구조물(120)은, 박스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선체(10) 내부의 저장탱크(30)가 구비되는 저장구역(SA)과, 탑사이드(20)가 마련되는 작업구역(WA) 사이를 적어도 2층 이상으로 격리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저장탱크(30)의 내부인 저장구역(SA)과 탑사이드(20)가 마련되는 작업구역 사이에, 탱크 수용부(110)에 의한 제1이격층(DL1)과, 지지구조물(120)에 의한 제2이격층(DL2)이 형성되어, 저장구역(SA)과 작업구역(WA)을 적어도 2층 이상으로 격리할 수 있다.
제1이격층(DL1)은 탱크 수용부(110)의 상측에서 선측내판(13)과 상갑판(11) 사이의 공간일 수 있고, 제2이격층(DL2)은 상갑판(11)과 지지구조물(120)의 상판(121)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선체(10)와 탑사이드(20)에 마련되어 탑사이드(20)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120)을 선체(10)와 일체로 선각화함으로써, 선체(10)의 종강도 및 횡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구조물(120)을 가스 저장구역(SA)과 탑사이드(20)가 마련되는 작업구역(WA) 사이에 적어도 2층 이상으로 격리되어 상갑판(11) 상부의 위험구역(Hazardous Zone)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해양 구조물 2: 제티
10: 선체 11: 상갑판
12: 성큰데크 13: 선측내판
14: 선측외판 20: 탑사이드
30: 저장탱크 40: 기관실
50: 비상발전실 60: 전기장비실
70: 출입통로 71: 제1출입구
80: 관리실 90: 진입통로
91: 제1경사로 92: 제2경사로
93: 제2출입구 100: 안테나부
101: 플랫폼 102: 지지대
103: 전파 송수신기 104: 가스 감지기
110: 탱크 수용부 120: 지지구조물
121: 상판 122: 횡격벽
123: 종격벽 SA: 저장구역
WA: 작업구역 DL1: 제1이격층
DL2: 제2이격층

Claims (5)

  1. 연안에 인접하게 계류되어 가스를 저장, 생산, 하역하는 해양 구조물로서,
    선체에 탑재되는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선체에 탑재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가스를 하역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탑사이드; 및
    상기 선체에 탑재되며 상기 탑사이드에서 처리된 가스를 하역하는 하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는,
    상기 탑사이드 또는 상기 하역부에 공급할 전기를 생성하는 기관이 마련되는 기관실;
    외부로 노출되는 상갑판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안에 계류되기 위한 계류장비가 마련되는 성큰데크; 및
    상기 성큰데크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부는,
    하단이 상기 성큰데크에 고정되어 상기 상갑판까지 연장되는 지지대;
    하측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상갑판에 연결되어 상기 상갑판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 상에 마련되는 전파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상갑판에서 상기 안테나부에 바로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상갑판과 동일 높이에 나란하게 마련되고,
    상기 상갑판에서 상기 플랫폼까지 연결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레일은,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상갑판 상부에서 상기 플랫폼 상부까지 나란하게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상기 기관실의 전기 생성을 보조하기 위해 마련되는 비상발전기를 갖고 상기 성큰데크 상에 마련되는 비상발전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높이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비상발전실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플랫폼 상에 마련되며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파 송수신기는,
    상기 가스 감지기에 가스 누출이 감지되면 셧다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KR1020190142756A 2019-11-08 2019-11-08 해양 구조물 KR102231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756A KR102231765B1 (ko) 2019-11-08 2019-11-08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756A KR102231765B1 (ko) 2019-11-08 2019-11-08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765B1 true KR102231765B1 (ko) 2021-03-23

Family

ID=7522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756A KR102231765B1 (ko) 2019-11-08 2019-11-08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7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180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보강재가 구비된 레이더 마스트
KR20140146395A (ko) * 2013-06-17 2014-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 발전 실의 배치구조 및 그 배치구조를 갖는 해양구조물
KR20190049369A (ko) * 2017-11-01 2019-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20190002658U (ko) * 2018-04-16 2019-10-2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탈착식 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180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보강재가 구비된 레이더 마스트
KR20140146395A (ko) * 2013-06-17 2014-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 발전 실의 배치구조 및 그 배치구조를 갖는 해양구조물
KR20190049369A (ko) * 2017-11-01 2019-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20190002658U (ko) * 2018-04-16 2019-10-2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탈착식 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980B2 (en) Ultra large marine floating system
CN109969345B (zh) 烃处理船和方法
US9067663B2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deck fuel tank
KR20140056271A (ko) Lng선
US20190135379A1 (en) Method for conversion of a vessel for use as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facility
CN102216153A (zh) 浮动生产lng的装置和将lng运输船改造为这种装置的方法
KR20150098373A (ko) 개방형 격벽을 이용한 컨테이너선의 가스 연료용 연료탱크 최적배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선박
WO2010103260A1 (en) Vessel for transport of liquefied natural gas or liquefied co2
JP2012086768A (ja) 液化天然ガスタンクを備えた浮体式構造物の製造方法
KR102232566B1 (ko) 해양 구조물
KR20100135354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2125113B1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102231765B1 (ko) 해양 구조물
KR102424475B1 (ko) Lng 운반 선박 및 lng 운반 선박의 제작 방법
KR20120000973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80115910A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102175552B1 (ko)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KR102200364B1 (ko)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KR20180019927A (ko) 해저 안착식 flng 및 그의 안착방법
KR20120048194A (ko) 화물창용 온도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CN113135261A (zh) 液化气体燃料船
KR20210066371A (ko) 액화가스 누출액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223982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부구조
KR20120031043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2170043B1 (ko)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