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567U - 포장 용구 - Google Patents

포장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567U
KR20120003567U KR2020100011718U KR20100011718U KR20120003567U KR 20120003567 U KR20120003567 U KR 20120003567U KR 2020100011718 U KR2020100011718 U KR 2020100011718U KR 20100011718 U KR20100011718 U KR 20100011718U KR 20120003567 U KR20120003567 U KR 201200035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handle
total length
sides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이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2020100011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567U/ko
Publication of KR20120003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1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r by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 B65D5/4612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r by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 B65D2585/366Pizz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자,케이크, 떡 등과 상품이 담겨있는 포장 상자를 감싸 흐트러지지 않도록 수평 상태로 운반하기 위한 포장 용구로부터 포장 상자가 이탈되거나 탈거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항상 편리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포장 용구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용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어서 제작 단가의 절감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된 포장 용구를 최소한 공간에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물류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포장 용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 용구{Packing tool}
본 고안은 피자 등과 상품이 담겨있는 포장 상자를 감싸 흐트러지지 않도록 수평 상태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포장 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 상자가 포장 용구로부터 이탈되거나 탈거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포장 용구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자, 케이크, 떡 등과 같은 상품은 선물이나 배달을 위해 포장 상자에 담아 운반 되어진다. 이러한 경우 그 포장 상자 내부에 있는 상품의 형태를 보존하기 위해 수평으로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데 이를 위해 포장 상자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 손잡이 구조를 포함하고 있거나, 그 상품의 무게에 따라 끈을 사용하여 포장 상자를 가로와 세로로 교차시켜 묶거나, 보자기 등으로 싸서 포장 상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 운반하는 방법이 통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포장 상자의 고정 방식은 포장 상자 상면에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서 포장 상자 내의 상품에 무게가 있는 경우 종이라는 재질의 특성상 이동 중에 손잡이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포장 상자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원인이기도 하였다. 또한, 포장 상자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 손잡이 구조는 매장에서 상품 구입시 즉석에서 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도 있었다. 또한 또다른 종래의 포장 방법인 매듭에 의한 고정방식은 매듭 부분으로 손을 넣어 끈이나 보자기 등을 들고 포장 상자를 이동시킬 때 포장 상자에 담겨 있는 상품의 하중에 의하여 끈의 교차된 부분이 포장 상자의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보자기의 매듭이 풀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포장 상자를 감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수평 상태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포장용구로부터 포장 상자가 이탈되거나 탈거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포장 용구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용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포장 용구의 출현이 요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피자, 케이트, 떡 등과 상품이 담겨있는 포장 상자를 감싸 흐트러지지 않도록 수평 상태로 운반하기 위한 포장 용구로부터 포장 상자가 이탈되거나 탈거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 용구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용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어서 제작 단가의 절감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생산된 포장 용구를 최소한 공간에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물류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포장 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양측면이 관통되어 포장 상자의 외주면을 감싼 형태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면과 양측면 및 손잡이면이 구획 형성되는 포장 용구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구의 양측 상부면을 합한 전체 길이는 하부면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포장 용구의 하부면 중앙에는 양측면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중심 접이선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과 양측 상부면의 전체 길이차이는 포장 상자의 삽입시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에 부착된 접착부가 전체 길이차이만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보상하여 상기 양측 상부면을 합한 전체 길이와 하부면의 전체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의 접착부는 접착제가 상호 중첩되지 않게 부착되도록 손잡이면의 내측 상단 및 하단 2곳에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면의 삽입공 하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손잡이면 접이선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 용구의 대향되는 손잡이면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면에는 별도의 손잡이면이 형성되어 손잡이면이 3겹으로 중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 용구의 하부면에는 포장 상자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묶을 수 있도록 고정끈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자 등과 상품이 담겨있는 포장 상자를 감싸 흐트러지지 않도록 수평 상태로 운반하기 위한 포장 용구로부터 포장 상자가 이탈되거나 탈거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항상 편리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포장 용구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용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어서 제작 단가의 절감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된 포장 용구를 최소한 공간에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물류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상품의 무게에 따라 손잡이 구조의 접착면을 확대할 수 있어서 손잡이 부분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끈을 이용할 수 있어서 매장내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포장을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포장 용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장 용구를 나타낸 전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포장 용구에 포장 상자가 삽입되기 전,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을 각각 구체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 용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포장 용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7은 본 고안의 포장 용구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포장 용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장 용구를 나타낸 전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포장 용구에 포장 상자가 삽입되기 전,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을 각각 구체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 용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포장 용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포장 용구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본 고안은 포장 상자(1)의 외주면을 감싼 형태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양측면이 관통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포장 용구(10)의 상,하부면(11)(12)과 양측면(13) 및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하기 위한 삽입공(14)이 형성된 손잡이면(15)은 각각 접이선(16)에 의해 구획 형성되고,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15)의 접착부(17)는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데,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15)의 접착부(17)는 접착제가 상호 중첩되지 않게 부착되도록 손잡이면의 내측 상단 및 하단 2곳에 형성되며, 상기 포장 용구(10)의 양측 상부면(11)을 합한 전체 길이는 하부면(12)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 용구(10)의 하부면(12) 중앙에는 양측면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중심 접이선(18)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12)과 양측 상부면(11)의 전체 길이차이(R)는 포장 상자(1)의 삽입시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15)에 부착된 접착부(17)가 전체 길이차이(R)만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보상하여 상기 양측 상부면(11)을 합한 전체 길이와 하부면(12)의 전체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상자(1)의 외주면을 감싼 형태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양측면이 관통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포장 용구(10)의 상,하부면(11)(12)과 측면(13) 및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하기 위한 삽입공(14)이 형성된 손잡이면(15)에는 각각 접이선(16)에 의해 구획 형성되고, 상기 포장 용구(10)의 하부면(12) 중앙에는 양측면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중심 접이선(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15)의 접착부(17)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중심 접이선(18)을 기준으로 포장 용구(10)를 접어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15)을 눌러 부착시키기만 하면 포장 용구를 용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포장 용구(10)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힌 상태로 적층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포장 용구(10)를 사용하여 포장 상자(1)의 외주면을 감싼 형태로 삽입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포장 용구(10)의 양측 상부면(11)을 합한 전체 길이는 하부면(12)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장 상자(1)를 삽입하기 전에 포장 용구(10)의 최초 형상은 도 3a와 같이 과장되게 표현했을 때 사다리꼴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가 포장 상자(1)를 삽입하게 되면 도 3b와 같이 상기 포장 용구(10)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변환됨과 동시에, 상기 포장 용구(10)의 양측 상부면(11)을 합한 길이와 하부면(12)의 전체 길이가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상기 대향되어 결합된 손잡이면(15)의 접착부(17)가 상기 하부면(12)과 양측 상부면(11)의 전체 길이차이(R) 만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포장 상자(1)의 외주면을 상기 포장 용구(10)의 내부면을 감싸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포장 상자(1)가 포장 용구(10)로부터 운반 중 이탈되거나 탈거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15)의 접착부(17)는 접착제가 상호 중첩되지 않게 부착되도록 손잡이면의 내측 상단 및 하단 2곳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장 상자(1)를 삽입시킬 때 상기 접착부(17)가 양측 상부면(11)의 부족한 치수만큼 치수 보정을 할 수 있도록 벌어지더라도 그 보정되는 치수는 1~2 mm 정도에 불과하므로 상기 손잡이면(15)의 내측 상단 및 하단 2곳에 형성되어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17)에 의해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용구를 제작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 도 4a와 같이 양측 상부면(11a)의 합한 전체 길이와 하부면(12a)의 전체 길이를 동일하게 했을 경우에는 포장 상자(1)를 끼운 상태에서 운반하기 위해 들고다닐 때 포장 상자(1)의 무게로 인해 포장 용구(10a)의 손잡이가 상승하여 상기 포장 상자(1)의 상부와 포장 용구(10a) 내측 상부면에 사이에 틈새(G)가 생겨 이 틈새로 인해 포장 용구(10a)로부터 포장 상자가 이탈되거나 탈거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포장 용구(10a)의 자체 구조상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여 제작 단가의 상승 요인이 되며, 포장 용구(10a)의 제작 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없으므로 인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보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본 고안과 같이 하부면(12) 중앙에는 양측면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중심 접이선(18a)을 형성시키고, 도 4a와 같이 양측 상부면(11a)의 합한 전체 길이와 하부면(12a)의 전체 길이를 동일하게 한 경우 본 고안과 같이 포장 용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운반하기 위해 들고다닐 때 상기 포장 상자(1)의 상부와 포장 용구(10a) 내측 상부면에 사이에 틈새(G)가 발생되지는 않았지만, 중심 접이선(18a)으로 인해 포장 상자(1)의 하부와 포장 용구(10a) 내측 하부면에 사이에 틈새(G)가 생겨 이 틈새로 인해 포장 용구(10a)로부터 포장 상자가 이탈되거나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포장 용구(10)의 양측 상부면(11)을 합한 전체 길이는 하부면(12)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시키고, 상기 포장 용구(10)의 하부면(12) 중앙에는 양측면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중심 접이선(18)을 형성시킨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장 용구(10)의 손잡이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손잡이면(15)의 삽입공(14) 하단이 양측 상부면(11)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14) 하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손잡이면 접이선(19)을 형성시켜 손잡이면(15)의 면적을 증대시킴에 따라 손잡이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포장 용구(1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장 용구(10)의 손잡이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포장 용구(10)의 대향되는 손잡이면(15)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면(15)에 별도의 손잡이면(15)을 추가로 형성, 즉 손잡이면(15)을 3겹으로 중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손잡이 부분을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는 형상으로도 포장 용구(10)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장 용구(10)의 하부면(12)에 포장 상자(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묶을 수 있도록 고정끈(20)을 설치함으로써 포장 용구(10)에 삽입된 포장 상자(1)가 운반중 이탈이나 탈거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끈(20)으로는 일반적인 끈은 물론, 상품의 특성에 따라 고급 장식용 리본 등을 설치하여 포장 상자(1)를 묶을 수도 있다.
1; 포장 상자 10; 포장 용구
11; 상부면 12; 하부면
13; 측면 14; 삽입공
15; 손잡이면 16; 접이선
17; 접착부 18; 중심 접이선
19; 손잡이면 접이선 20; 고정끈
R; 길이 차이

Claims (5)

  1. 양측면이 관통되어 포장 상자의 외주면을 감싼 형태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면과 양측면 및 손잡이면이 구획 형성되는 포장 용구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구(10)의 양측 상부면(11)을 합한 전체 길이는 하부면(12)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포장 용구(10)의 하부면(12) 중앙에는 양측면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중심 접이선(18)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12)과 양측 상부면(11)의 전체 길이차이(R)는 포장 상자(1)의 삽입시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15)에 부착된 접착부(17)가 전체 길이차이(R)만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보상하여 상기 양측 상부면(11)을 합한 전체 길이와 하부면(12)의 전체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되는 손잡이면(15)의 접착부(17)는 접착제가 상호 중첩되지 않게 부착되도록 손잡이면의 내측 상단 및 하단 2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면(15)의 삽입공(14) 하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손잡이면 접이선(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구(10)의 대향되는 손잡이면(15)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면(15)에는 별도의 손잡이면(15)이 형성되어 손잡이면(15)이 3겹으로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구(10)의 하부면(12)에는 포장 상자(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묶을 수 있도록 고정끈(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구.
KR2020100011718U 2010-11-15 2010-11-15 포장 용구 KR201200035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718U KR20120003567U (ko) 2010-11-15 2010-11-15 포장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718U KR20120003567U (ko) 2010-11-15 2010-11-15 포장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67U true KR20120003567U (ko) 2012-05-23

Family

ID=4661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718U KR20120003567U (ko) 2010-11-15 2010-11-15 포장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56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340B1 (ko)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KR101285859B1 (ko) 포장 유닛, 운송 유닛 및 포장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US20080245697A1 (en) Packaging system for carrying an item, preferably bulky and/or heavy item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3684702A1 (en) A method for packaging a packaged product and one or more unpackaged products for shipment, a shipping container and a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packaging for a plurality of items on-demand
KR20090079640A (ko) 팔각 외포장 상자를 이용한 음료용기 포장 방법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KR101367692B1 (ko) 악세서리용 포장상자
KR20120003567U (ko) 포장 용구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JP5514937B1 (ja) 梱包箱
KR20060000013U (ko) 포장밴드가 부착된 선물상자
JP6355120B1 (ja) 梱包体の製造方法
KR20200131337A (ko) 곤포체의 제조 방법
KR100922711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KR200381612Y1 (ko) 칸막이용 운반 손잡이를 구비한 상자
KR20160001684U (ko) 날개걸이 없는 손잡이 강화형 종이 포장 상자
US20090065380A1 (en) Transit Packaging
KR200477582Y1 (ko) 양문형 종이상자
JP2013249091A (ja) 収容袋
KR101016482B1 (ko) 치약 포장용 박스
JP2008150118A (ja) 梱包装置
JP4698284B2 (ja) 梱包部材
KR20170002659U (ko) 포장용 종이 박스
JP3194923U (ja) 線香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