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640A - 팔각 외포장 상자를 이용한 음료용기 포장 방법 - Google Patents

팔각 외포장 상자를 이용한 음료용기 포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640A
KR20090079640A KR1020080005767A KR20080005767A KR20090079640A KR 20090079640 A KR20090079640 A KR 20090079640A KR 1020080005767 A KR1020080005767 A KR 1020080005767A KR 20080005767 A KR20080005767 A KR 20080005767A KR 20090079640 A KR20090079640 A KR 2009007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ackaging
packaging box
octagonal
surface portion
s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형근
이병승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640A/ko
Publication of KR2009007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1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article-locating elements
    • B65D71/20Slits or openings along the fold line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2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 B65D71/3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formed by finger-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3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weakened lines or other op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기둥 형상의 피포장물의 포장에 사용되는 팔각 외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사각 외포장 상자의 형태를 피포장물의 형태에 적합하도록 팔각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피포장물의 보관이나 운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함기의 교체없이 기존의 자동 포장 방식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팔각 외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팔각 외포장 상자, 빗면부, 자동 포장

Description

팔각 외포장 상자{AN OCTAGONAL OUT PACKAGE BOX}
본 발명은 음료나 주류 용기를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팔각 외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기둥 형상으로 된 용기의 포장에 적합하도록 종래 사각 외포장 상자의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용기 보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함기의 교체 없이 기존의 자동 포장 방식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팔각 외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류나 음료 용기의 자동 포장에 있어서는, 포장재 위에 피포장물을 적재하고 포장재를 접어 피포장물을 둘러싸는 랩어라운드(Wrap around) 방식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상기 랩어라운드 포장 방식에 공지의 사각 상자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원기둥 형상의 피포장물을 사각 상자로 포장할 경우에는 피포장물과 상자의 모서리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운반시나 보관시에 상자나 피포장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공지의 팔각 상자는 주로 선물포장이나 소포장 등의 수동 포장 방식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공지의 팔각 상자를 자동 포장 방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 함기 자체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를 팔각 형태로 변형함으로써, 원기둥 형상으로 된 피포장물의 운반 및 보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함기의 교체 없이도 자동 포장에 적용 가능한 팔각 외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자동 포장 방식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의 형태를 변형한 팔각 외포장 상자로서;
좌우 양단에 날개가 형성된 팔각 형상의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전단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단에 접합부가 연장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전면부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좌우 양단에 날개가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기 저면부 및 상면부의 빗변에 접하여 연장 형성된 빗면부;와
상기 빗면부로부터 상기 저면부 및 상면부의 양측변에 접하여 연장 형성된 측면부;로 구성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된 피포장물의 포장시에 피포장물이 상기 빗 면부에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 외포장 상자.
(2) 상기 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날개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는, 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홈에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팔각 외포장 상자.
(3) 상기 전후면부, 빗면부, 측면부 사이의 경계에는 각각 접는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기재의 팔각 외포장 상자.
(4) 상기 접는선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누름자국 또는 칼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기재의 팔각 외포장 상자.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를 자동 포장 방식에 적용하면, 제함기의 교체가 필요없고, 원기둥 형상의 피포장물도 안전하게 운반,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 사각 외포장 상자의 형태 변경에 따른 원지 감량으로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팔각 형상의 미려한 디자인 및 제품 식별력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2는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1)는 종래부터 랩어라운드 자동 포장 방식에 사용되어 온 사각 외포장 상자를 변형한 것으로, 저면부(20), 전면부(10), 후면부(30), 상면부(40), 빗면부(50, 70), 측면부(60, 80), 접합부(90)로 구성된다.
상기 저면부(20)는 피포장물이 놓이는 곳으로, 그 형태가 팔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2)는, 원기둥 형상의 피포장물을 포장할 경우, 상자의 모서리와 피포장물 사이에 빈 공간(100)이 형성됨으로써 운반시에 상자가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피포장물의 안정적인 운반 및 보관을 위하여 상기 팔각 형상의 저면부(20)를 고안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팔각 형상의 저면부(20)를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1)를 형성시키면, 도 2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시에 피포장물이 빗면부(50)에 접하게 된다.
즉, 상자와 피포장물 사이의 빈 공간(100)을 제거함으로써, 상자내의 피포장물의 위치파악이 용이하게 하여 피포장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저면부(20)의 좌우 양단에는 각각 날개(21)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포장물의 포장시에 상방향으로 접혀져 피포장물의 아래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날개(21)와 저면부(20)의 경계선에는 접는선(23)을 형성시킴으로써 조립시에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면부(20)의 전단과 후단에는 전면부(10)와 후면부(30)가 각각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10)와 후면부(30)는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 형상으로 피포장물의 앞뒤를 지지,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면부(10)의 상단에는 접합부(90)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자의 조립시에 상기 전면부(10)와 상면부(40)를 접착에 의해 연결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접합부(90)는 원자재의 절감을 위해 너무 길지 않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빗면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면부(10)와 후면부(30)의 좌우 양단에는 빗면부(50, 70)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빗면부(50, 70)는 상자의 조립시에 상기 저면부(20)와 상면부(40)의 빗변(22, 43)에 접촉되는 부분인 바, 빗면부(50, 70)의 폭이 상기 빗변(22, 43)의 길이보다 길면 빈 공간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빗면부(50, 70)의 폭은 상기 빗변(22, 43)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피포장물의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상기 빗면부(50, 70)에는 측면부(60, 80)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측면부(60, 80)는 상자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저면부(20) 및 상면부(40)의 빗변에 접하게 된다. 측면부(60, 80)의 상부에는 상자의 조립 상태에서 손잡이홈(4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61, 81)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넣어 상자를 운반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홈(42)은 상기 상면부(4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날개에 형성되고, 상자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측면부(60, 80)에 형성된 구멍(61, 81)과 대응하여 겹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1)의 손잡이 부분은 상기와 같이 손잡이홈(42)과 측면부(60, 80)의 구멍(61, 81)으로 이중 처리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공지의 팔각 상자는, 손잡이 부분이 단일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운반시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손잡이 부분을 이중으로 두껍게 형성시켜 잘 끊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잡이의 끊어짐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손잡이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손잡이 부분의 형성 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포장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피포장물이 외주면에 굴곡이 없는 음료캔일 경우에는, 상자와 음료캔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공간이 협소하므로 손잡이 부분을 형성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중간 부분이 오목한 병의 경우에는, 포장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손잡이 부분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는 공지된 사각 외포장 상자의 형태를 변형 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생산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생산설비의 투자가 불필요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상자의 제작에 필요한 원지의 양도 기존의 사각 외포장 상자보다 적기 때문에 원지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는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의 형태를 일부 변형한 것이어서 기존의 랩어라운드 방식의 자동 포장에도 적용이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가 랩어라운드 방식의 자동 포장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전개도, 도 2는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빗면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날개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도 상태로 제함기에 투입된다. 이후, 팔각 외포장 상자(1)의 전면부(10)와 후면부(30)는 상방향으로 접혀지고, 피포장물이 투입되는 반대 방향의 빗면부(50, 70)와 측면부(60, 80)는 팔각 외포장 상자(1)의 내부 방향으로 접혀진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면부(50, 70), 측면부(60, 80), 전후면부(10, 30)의 사이에는 접는선(11, 31)을 형성시킴으로써 빗면부(50, 70)와 측면부(60, 80)가 잘 접히도록 한다. 특히, 원지가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접는선(11, 31)에 소정의 간격으로 강한 누름자국 또는 칼선을 형성시킴으로써 상자의 조립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원기둥 형상의 피포장물이 투입되고, 피포장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피포장물이 투입된 쪽의 빗면부(50, 70)와 측면부(60, 80)가 접는선(11, 31)을 경계로 접혀진다.
이 경우, 전면부(10) 및 후면부(30)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된 빗면부(50, 70)와 측면부(60, 80)가 잘 접혀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투입된 원기둥 형상의 피포장물에 의해 교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는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와 달리 피포장물의 형상을 고려하여 네 개의 빗면부(50, 70)가 더 형성된 팔각 형상으로 고안되었기 때문에, 투입된 피포장물이 잘 접혀지지 않은 빗면부(50, 70)를 누르게 되면 빗면부(50, 70)의 양측에 형성된 접는선(11, 31)이 손쉽게 접혀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팔각 외포장 상자(1)는 항상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저면부(20), 전면부(10), 후면부(30), 빗면부(50, 70), 및 측면부(60, 8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40)가 상기 전면부(10)에 형성된 접합부(90)에 접착되고, 저면부(20) 및 상면부(40)에 각각 형성된 날개(21, 41)가 상기 측면부(60, 80)에 접착됨으로써 자동 포장 공정 이 마무리된다.
이 경우, 외관상의 디자인적 효과를 위해서는, 도 2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21, 41)를 먼저 접고 측면부(60, 80)를 나중에 접어 서로 접착시킬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전개도,
도 2는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빗면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팔각 외포장 상자의 날개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팔각 외포장 상자 2 : 사각 상자
10 : 전면부 11 : 접는선
20 : 저면부 21 : 날개
22 : 빗변 23 : 접는선
30 : 후면부 31 : 접는선
40 : 상면부 41 : 날개
42 : 손잡이홈 43 : 빗변
44 : 접는선 50 : 빗면부
60 : 측면부 61 : 구멍
70 : 빗면부 80 : 측면부
81 : 구멍 90 : 접합부
91 : 접는선 100 : 빈 공간

Claims (4)

  1. 자동 포장 방식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공지의 사각 외포장 상자의 형태를 변형한 팔각 외포장 상자로서;
    좌우 양단에 날개가 형성된 팔각 형상의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전단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단에 접합부가 연장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전면부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좌우 양단에 날개가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기 저면부 및 상면부의 빗변에 접하여 연장 형성된 빗면부;와
    상기 빗면부로부터 상기 저면부 및 상면부의 양측변에 접하여 연장 형성된 측면부;로 구성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된 피포장물의 포장시에 피포장물이 상기 빗면부에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 외포장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날개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는, 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홈에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 외포장 상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부, 빗면부, 측면부 사이의 경계에는 각각 접는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 외포장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는선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누름자국 또는 칼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 외포장 상자.
KR1020080005767A 2008-01-18 2008-01-18 팔각 외포장 상자를 이용한 음료용기 포장 방법 KR20090079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67A KR20090079640A (ko) 2008-01-18 2008-01-18 팔각 외포장 상자를 이용한 음료용기 포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67A KR20090079640A (ko) 2008-01-18 2008-01-18 팔각 외포장 상자를 이용한 음료용기 포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40A true KR20090079640A (ko) 2009-07-22

Family

ID=4129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67A KR20090079640A (ko) 2008-01-18 2008-01-18 팔각 외포장 상자를 이용한 음료용기 포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6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40B1 (ko) * 2014-08-04 2015-03-26 대양패키지 주식회사 병맥주 포장박스
KR101580670B1 (ko) 2015-05-14 2015-12-28 대양패키지 주식회사 주류용 포장박스
WO2016179474A1 (en) * 2015-05-07 2016-11-1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handle
US10384846B2 (en) 2013-05-24 2019-08-2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Arrangement of containers in a carton
US11325764B2 (en) 2013-05-24 2022-05-1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for article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4846B2 (en) 2013-05-24 2019-08-2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Arrangement of containers in a carton
US11325764B2 (en) 2013-05-24 2022-05-1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for articles
KR101506240B1 (ko) * 2014-08-04 2015-03-26 대양패키지 주식회사 병맥주 포장박스
WO2016179474A1 (en) * 2015-05-07 2016-11-1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handle
US9845182B2 (en) 2015-05-07 2017-12-19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handle
USD811218S1 (en) 2015-05-07 2018-02-2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USD824758S1 (en) 2015-05-07 2018-08-0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US10233000B2 (en) 2015-05-07 2019-03-19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handle
US10556730B2 (en) 2015-05-07 2020-02-11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handle
KR101580670B1 (ko) 2015-05-14 2015-12-28 대양패키지 주식회사 주류용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59297A (en) Package, packing container, and blank therefor
KR20090079640A (ko) 팔각 외포장 상자를 이용한 음료용기 포장 방법
US2904170A (en) Pan carton
US8997987B1 (en) Wrap-around container carrier
CN207956323U (zh) 一种免胶粘插接式文物无酸包装盒
MXPA03007035A (es) Pieza en tosco y caja de carton para envoltura.
US20180170639A1 (en) Secondary packaging, and method for providing such secondary packaging
US2580043A (en) Combination carton and wrapper for fragile articles
US2330671A (en) Bottle partition or divider
JP3204791U (ja) 包装箱
KR200453823Y1 (ko) 포장용기
CN106628484A (zh) 一种防碰撞内衬及制作方法
KR200451475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는 화장품 포장용 상자
KR100922711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CN220333258U (zh) 一种双瓶装包装纸盒
FI12236U1 (fi) Kuljetuspakkaus
JP7334546B2 (ja) 包装箱
KR200447274Y1 (ko) 술병 포장케이스
JP3164316U (ja) 緩衝材、包装物及び包装体
CN210102474U (zh) 卡纸连包集束包装结构
EP3040292A1 (en) Hinge lid container with converging hinge lines
JP3210395U (ja) 小型密封容器のマルチパック包装体
KR100797831B1 (ko) 음료수용기 포장용 카톤
KR101519740B1 (ko) 포장용 상자
EP1890942A1 (en) Foldable cardboard box for fruit and vegetables or drinks, equipped with reinforcement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