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398U - 식생매트 - Google Patents

식생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398U
KR20120003398U KR2020100011489U KR20100011489U KR20120003398U KR 20120003398 U KR20120003398 U KR 20120003398U KR 2020100011489 U KR2020100011489 U KR 2020100011489U KR 20100011489 U KR20100011489 U KR 20100011489U KR 20120003398 U KR20120003398 U KR 201200033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layer
protective layer
seed
m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490Y1 (ko
Inventor
최연재
장봉찬
조의현
Original Assignee
최연재
조의현
장봉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재, 조의현, 장봉찬 filed Critical 최연재
Priority to KR2020100011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49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3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49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7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for affecting wettability, e.g. drying ag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하천, 호소, 조정지, 절토(切土)지 경사면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의 피복 보호와 녹화를 위하여 하천, 호소, 조정지, 절토(切土)지 법면에 설치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게 설치되는 본 고안의 식생매트는 표면에 식생종자가 부착된 식생종자층과; 상기 식생종자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층을 보호하고 상기 식생매트가 인장강도를 가지게 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1보호층(2)과; 상기 식생종자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공급 및 보습효과를 주고 유기비료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의 하부에 설치되어 식생기반재 역할을 하고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해주는 제2보호층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을 보호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3보호층과; 상기 제3보호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의 적층구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도달 후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상부보강층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보호층-식생종자층-제2보호층-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제3보호층-상부보강층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를 앵커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식물성장 후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식생매트는 자연적인 분해가 이루어지고, 또한 앵커도 시간이 흘러 자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환경오염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배수로, 소하천, 도로의 비탈면이나 호안가에서 홍수시 발생하는 유속에 의해 비탈면을 보호하고 식물들이 용이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콘크리트나 호안블럭 그리고 각종 매트류 시공시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흙탕물과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어 수변 및 수중생태계가 교란되고 동/식물의 서식처 파괴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항구적인 비탈면 보호효과와 식물의 성장이 용이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인 시공조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생매트{Vegetation Mat}
본 고안은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사면 등에 설치하여 쇄굴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변식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경 친화적 자재로 내구성 충격성이 강한 재료와 순차적으로 부식되어 자연환원과 함께 녹화 효율이 뛰어난 구조를 가진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하천, 호소, 해안가등의 육지와 물의 경계를 이루는 수변경계부는 유수에 의한 침식과 퇴적, 침수와 건조가 반복되면서 독특한 생태계를 구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각종 유수천변 정리상황은 이와 같은 생태계의 구성이 자연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자연순환될 수 없도록 인공적인 암석, 콘크리트와 같은 호안부재들로 정리하고 있으나 침식이 방지되기는 커녕 오히려 유수에 의한 세굴현상과 식생식물의 전멸로 인한 침식과 자연파괴 그리고 오염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어패류 서식처의 폐쇄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그리고 생태계의 파괴로 자연정화작용의 상실에 따른 2차, 3차의 또 다른 공해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녹색공간이 부족한 도시민에게 하천변의 공간을 녹지로 재활용하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호안부재는 초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조직적으로 수변경계와 경사부에 설치되므로 상당히 정리된 느낌을 주며, 마치 현대문명의 상징처럼 인식되고 있으나 콘크리트에는 어떠한 생물체도 생존하지 못하고 유수천변에 서식하여야 할 각종 식물들이 멸종되어 버린다. 그결과 식물체가 번성하면서 구성하는 치밀한 뿌리조직이 없이 단순한 콘크리트와 암석재에 의지한 구조물이 그 하천이나 호소등의 바닥이 세굴과 침식의 작용으로 파괴되면서 콘크리트 나 암석의 지지기반이 사라지면서 스스로 붕괴되어 버리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재시공이 불가피하다. 더욱 심각한 것은 생태계의 혼란과 파괴로 인한 어패류, 각종 저서동식물, 습지미생물 등에 대한 서식처의 파괴로 인한 각종 부작용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여 하천의 자연정화작용자체를 붕괴시키고 있어 최근 한강의 경우 멸종 어종이 속출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상의 인공구조물이 갖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식생식물로 구성된 섶단 혹은 욋가지들을 경사면과 기초부에 설치하여 식생대의 성장환경을 조성하는 방법들이 일부분 제시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부직포를 경사부에 포장하고 다시 여러가지 식생식물을 식재하는 방법도 있으나 주로 화학섬유사로 구성된 부직포가 식물체의 활착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고 다양한 식물천이현상이 방해되기 때문에 시험단계에 머물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접착성분과 토양 모재를 각종 식물종자와 비료를 혼합하여 경사면에 포장처리함으로써 식생대를 구성하는 방법이 주로 공사법면부에 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공법이 유수가 흐르는 곳에 적용시 유수가 한번만 흐르게 되면 대부분 유실되어 전혀 적용가능성이 없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일부 유럽에서 적용하는 공법으로 코코넛섬유사를 일정한 로프로 가연(twising)한 다음 종횡으로 배치하여 겹치는 부분을 매듭처리하여 매듭부를 구성한 마름모꼴 형태의 통공이 구성되도록 한 다음 이것을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 섬유사를 충전하여 준 호안부재가 일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은 하천의 유속, 토양구조, 식생의 천이형태 등에 맞추어 적용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가장 단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식물이 안정적인 뿌리구조를 형성하기 전에 분해되어져 로프가 절단되면서 식물체 지지구조인 원통형 구조가 붕괴되어버리는 것이다.
로프의 절단 원인은 제작상 얇은 로프로 만든 망체의 강도에 따른 문제도 있으나 구조적으로 매듭부를 구성하므로서 불규칙하게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일부가 팽창하는 경우 팽창압을 이기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망체용 로프가 절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충전된 재질이 외부로 노출되어지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연계에서 분해가 되지 않도록 나일론, 폴리에스터, 고무등과 같은 합성재질의 로프로 재시공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런 재시공의 문제는 사용된 합성섬유가 전혀 분해가 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활착을 이루어야 할 식물체의 뿌리부분 성장을 억제하며, 억지로 얽혀진 다른 천연재와의 결속이 해체되면 결국 유수에 의하여 수중이나 하천변 등에 휩쓸려 나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즉, 다양한 유속의 변화, 갈수기와 홍수기의 반복적인 부침, 각종 토사의 유입이나 유출현상에 맞추어 알맞은 충전압력과 망체의 내구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단지 내부에 천연섬유사를 사용한다는 사실에만 집착하고 있어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도로공사 및 일반토목공사시에 발생되어지는 경사면이나 하천호안 또는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제1보호층-식생종자층-제2보호층-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제3보호층-상부보강층으로 구성되는 식생매트를 앵커로 견고하게 법면에 고정토록 함에 있으며, 식생매트에서 초본류 성장에 필요한 수분 또는 영양분을 공급하는 식생매트를 제공하며, 초본류의 성장 후 식생매트가 일부 또는 전체가 자연분해토록 구성되는 재질로 이루어짐을 제공하는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식생매트는 표면에 식생종자가 부착된 식생종자층과; 상기 식생종자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층을 보호하고 상기 식생매트가 인장강도를 가지게 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1보호층과; 상기 식생종자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공급 및 보습효과를 주고 유기비료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의 하부에 설치되어 식생기반재 역할을 하고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해주는 제2보호층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을 보호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3보호층과; 상기 제3보호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의 적층구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도달 후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상부보강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식생종자층은 상기 식생종자의 이탈을 방지하고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화선지나 한지에 비료 및 습윤제를 식생종자와 함께 배합시켜 제작되며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롤계 화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제1보호층는 생분해성 PE수지 또는 PP수지에 천연물질을 첨가하여 상기 PE수지 또는 PP수지들이 붕괴되도록 하고 생분해성 격자 네트로 직조되며, 상기 격자의 크기는 가로 10~20mm 세로 10~20mm이고, 상기 격자 네트의 두께는 0.5~1.0mm 이다.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은 코코넛 껍질을 10~20mm 두께로 적층하여 밀집 형성시키고, 상기 제2보호층은 코코넛 껍질 또는 황마로 격자 네트로 직조되고, 격자의 크기는 가로 5~10mm 세로 25~35mm이고, 격자 네트의 두께는 0.5~1.5mm 이다.
상기 제3보호층는 광분해성 PP수지로 격자 네트로 직조되고, 격자의 크기는 가로 10~20mm 세로 10~20mm이며, 상기 격자 네트의 두께는 0.8~2.0mm이다.
상기 상부보강층은 아연도금된 철선에 PVC로 코팅한 코팅능형망 또는 아연도금한 직경 4.5mm의 보강철선을 사용하고, 상기 코팅능형망의 크기는 가로 50~70mm, 세로 50~70mm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이며, 상기 식생매트는 롤 형상으로 취급되고, 폭 2.0±0.2m, 길이 30±10m, 두께 15±5mm 이다.
상기 앵커는 상기 식생매트의 하부에 앵커링되는 앵커본체와 상기 앵커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식생매트의 상부에 결속되는 결속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본체는 하부가 좁은 홈통 형상의 반원통이고, 상기 반원통의 양측 선단에는 둔각으로 역등변사다리꼴의 날개가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원통의 중앙에는 상기 결속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술한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로 본 고안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보호층-식생종자층-제2보호층-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제3보호층-상부보강층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를 앵커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식물성장 후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식생매트는 자연적인 분해가 이루어지고, 또한 앵커도 시간이 흘러 자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환경오염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배수로, 소하천, 도로의 비탈면이나 호안가에서 홍수시 발생하는 유속에 의해 비탈면을 보호하고 식물들이 용이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콘크리트나 호안블럭 그리고 각종 매트류 시공시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흙탕물과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어 수변 및 수중생태계가 교란되고 동식물의 서식처 파괴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항구적인 비탈면 보호효과와 식물의 성장이 용이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인 시공조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 순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 앵커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평면도
먼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천, 호소, 조정지, 절토(切土)지 경사면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의 피복 보호와 녹화를 위하여 하천, 호소, 조정지, 절토(切土)지 법면에 설치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게 설치되는 본 고안의 식생매트(A)는 표면에 식생종자가 부착된 식생종자층(1)과; 상기 식생종자층(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층(1)을 보호하고 상기 식생매트(A)가 인장강도를 가지게 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1보호층(2)과; 상기 식생종자층(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공급 및 보습효과를 주고 유기비료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하부에 설치되어 식생기반재 역할을 하고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해주는 제2보호층(4)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을 보호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3보호층(5)과; 상기 제3보호층(5)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A)의 적층구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도달 후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상부보강층(6)으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매트(A)는 롤 형상으로 취급되며, 폭 2.0±0.2m, 길이 30±10m, 두께 15±5mm 이다.
상기 식생종자층(1)은 상기 식생종자의 이탈을 방지하고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화선지나 한지에 비료 및 습윤제를 식생종자와 함께 배합시켜 제작되며,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롤계 화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제1보호층(2)는 생분해성 PE수지 또는 PP수지에 천연물질을 첨가하여 상기 PE수지 또는 PP수지들이 붕괴되도록 하고 생분해성 격자 네트로 직조되며, 상기 격자의 크기는 가로 10~20mm 세로 10~20mm이고, 상기 격자 네트의 두께는 0.5~1.0mm 이다.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은 코코넛 껍질을 10~20mm 두께로 적층하여 밀집 형성시킨다.
상기 제2보호층(4)은 코코넛 껍질 또는 황마로 격자 네트로 직조되고, 격자의 크기는 가로 5~10mm 세로 25~35mm이고, 격자 네트의 두께는 0.5~1.5mm 이다.
상기 제3보호층(5)는 광분해성 PP수지로 격자 네트로 직조되고, 격자의 크기는 가로 10~20mm 세로 10~20mm이며, 상기 격자 네트의 두께는 0.8~2.0mm이다.
상기 상부보강층(6)은 아연도금된 철선에 PVC로 코팅한 코팅능형망 또는 아연도금한 직경 4.5mm의 보강철선을 사용하고, 상기 코팅능형망의 크기는 가로 50~70mm, 세로 50~70mm이다.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공법은 비탈면 형상을 만드는 제1단계와; 비탈면에 노출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단계와; 식생매트(A)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비탈면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구덩이를 만드는 제3단계와;
상기 식생매트(A)를 포설하는 제4단계와; 상기 식생매트(A)에 앵커를 타설하는 제5단계와; 상기 식생매트(A)의 양단 및 전체적인 마무리 작업을 하는 제6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1단계는 면을 잡는 제1-1단계와 잡은 면을 다짐하는 제1-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2단계는 식물뿌리나 돌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1단계와 제거 후 요철 부위를 평탄작업하는 제2-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3단계는 일정 크기로 구덩이를 파는 제3-1단계와 판 구덩이를 일정모양으로 다듬는 제3-2단계로 구성되며, 제3단계의 구덩이 크기는 하단부가 폭 1000mm 깊이 1000mm이고, 상단부가 폭 500mm 깊이 500mm이다.
상기 제4단계는 상하단 구덩이에 상기 식생매트(A)를 1차고정하는 제4-1단계와 상하단 구덩이를 토사로 메우는 제4-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5단계는 해머와 지그를 이용하여 앵커(7)를 타설하는 제5-1단계와 결속와이어(72)로 식생매트(A)에 결속하는 제5-2단계로 구성되며, 제 5단계의 앵커 타설 간격은 사방 1000±100mm 이다.
상기 앵커(7)는 상기 식생매트(A)의 하부에 앵커링되는 앵커본체(71)와 상기 앵커본체(7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식생매트(A)의 상부에 결속되는 결속와이어(72)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본체(71)는 하부가 좁은 홈통 형상의 반원통(711)이고, 상기 반원통(711)의 양측 선단에는 둔각으로 역등변사다리꼴의 날개(712)가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원통(711)의 중앙에는 상기 결속와이어(72)가 통과하는 관통홀(7111)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공법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공법의 앵커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공법의 시공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공법의 시공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도면은 식생매트(A)의 단면을 이해하기 좋게 계단식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 제품은 계단식으로 되어 있지 않고 직각을 이루며, 본 고안의 식생매트(A)는 표면에 식생종자가 부착된 식생종자층(1)과; 상기 식생종자층(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층(1)을 보호하고 상기 식생매트(A)가 인장강도를 가지게 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1보호층(2)과; 상기 식생종자층(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공급 및 보습효과를 주고 유기비료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하부에 설치되어 식생기반재 역할을 하고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해주는 제2보호층(4)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을 보호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3보호층(5)과; 상기 제3보호층(5)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A)의 적층구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도달 후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상부보강층(6)으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매트(A)는 롤 형상으로 취급되며, 폭 2.0±0.2m, 길이 30±10m, 두께 15±5mm 이다.
상기 식생종자층(1)은 상기 식생종자의 이탈을 방지하고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화선지나 한지에 비료 및 습윤제를 식생종자와 함께 배합시켜 제작되며,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롤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보호층(2)는 상기 식생종자층(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층(1)을 보호하고 상기 식생매트가 인장강도를 가지게 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고, 생분해성 PE수지 또는 PP수지에 천연물질을 첨가하여 상기 PE수지 또는 PP수지들이 붕괴되도록 하고 생분해성 격자 네트로 직조되며, 상기 격자의 크기는 가로 10~20mm 세로 10~20mm이고, 상기 격자 네트의 두께는 0.5~1.0mm 이며, 상기 천연물질은 전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층(2)는 인장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1㎡ 당 0.03kg ~ 0.06kg의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은 상기 식생종자층(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공급 및 보습효과를 주고 유기비료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코코넛 껍질을 10~20mm 두께로 적층하여 밀집 형성시켜 지면으로부터 수분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식생종자층(1)의 식생종자가 발아하는 데 수분공급을 해주는 역할을 하고, 식생종자에 필요한 유기비료와 보온효과를 발휘하여 식생종자 또는 성장된 식재의 영양요소 또는 보습효과를 주는 역할도 병행해서 수행한다.
상기 제2보호층(4)은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해 식생기반재의 역할을 하고 코코넛 껍질 또는 황마로 격자 네트로 직조되고, 격자의 크기는 가로 5~10mm 세로 25~35mm이고, 격자 네트의 두께는 0.5~1.5mm 이며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해 준다.
상기 제3보호층(5)는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상부에 설치되며, 광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산화티타늄(TiO2)과 같은 광촉매 물질을 함유한 광분해성 PP수지 또는 PE 수지로 격자 네트가 직조되고, 격자의 크기는 가로 10~20mm 세로 10~20mm이며, 상기 격자 네트의 두께는 0.8~2.0mm이다.
상기 상부보강층(6)은 상기 제3보호층(5)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A)의 적층구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도달 후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아연도금된 철선에 PVC로 코팅한 코팅능형망 또는 아연도금한 직경 4.5mm의 보강철선을 사용하고, 상기 코팅능형망의 크기는 가로 50~70mm, 세로 50~70mm이다.
즉 상기 상부보강층(6)은 아연도금된 철선에 PVC로 코팅한 코팅능형망을 사용하거나 아연도금한 직경 4.5mm의 보강철선을 격자 모양으로 배열하여 사용하고 상기 식생매트(A)를 포설시 앵커(7)을 타설한 후 결속와이어(72)로 상기 상부보강층(6)에 결속하여 상기 앵커(7)와 상기 식생매트(A) 완전 결합되어 국가 하천지방 1/2급 하천, 제방, 유속이 빠른 중소하천, 호안가, 저수지는 물론 산사태 복구지역 도로의 법면 연약지반, 비탈면 녹화 보호에 사용된다.
도 2, 도4, 도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공법은 비탈면 형상을 만드는 제1단계와; 비탈면에 노출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단계와; 식생매트(A)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비탈면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구덩이를 만드는 제3단계와; 상기 식생매트(A)를 포설하는 제4단계와; 상기 식생매트(A)에 앵커를 타설하는 제5단계와; 상기 식생매트(A)의 양단 및 전체적인 마무리 작업을 하는 제6단계로 구성된다.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의 시공공법에 사용되는 상기 식생매트(A)는 도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제1단계는 시공단면에 나와 있는 경사각을 중장비를 이용하여 면을 잡는 제1-1단계와 면을 잡은 후 다짐을 철저히 하는 제1-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2단계는 비탈면에 노출되어 있는 식물뿌리나 돌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1단계와 제거 후 요철 부위를 평탄작업하는 제2-2단계로 구성되며, 기존지역에 적용 시에는 호안가에 자생하고 있는 갈대, 부들, 창포, 억새 등의 다년생 식물들을 지표면가 같도록 사전에 예취하거나 절단하여야 한다.
상기 제3단계는 하천, 농배수로, 소하천, 유속이 빠른 지역 및 기타지역에서 상기 식생매트(A)의 상하부를 묻기 위하여 일정 크기로 구덩이를 파는 제3-1단계와 판 구덩이를 일정모양으로 다듬는 제3-2단계로 구성되며, 제3단계의 구덩이 크기는 하단부가 가로 및 세로의 폭 1000mm, 깊이 1000mm이고, 상단부가 가로 및 세로의 폭 500mm, 깊이 500mm이다.
상기 제4단계는 상하단 구덩이에 상기 식생매트(A)를 1차고정하는 제4-1단계와 상하단 구덩이를 토사로 메우는 제4-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식생매트(A)를 1차고정하는 제4-1단계는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도록 시공하면서 상기 식생매트(A)가 주름이 지지 않도록 평평하게 포설하여야 하며 상기 제3단계에서 미리 파놓은 상하단 구덩이 속에 식생매트를 깔고 상기 식생매트(A)에 앵커(7)을 상하단 구덩이에 1000mm 간격으로 한개씩 깊숙하게 박히도록 1차 고정시키는 단계이며, 겹치는 부분은 약 150mm 이상이 되도록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겹치게 시공한 후 1차 고정하여야 한다.
상기 식생매트(A)의 할증은 비탈면의 요철시공 시 겹치는 부분과 구덩이 속에 넣는 부분을 감안하여 겹치는 부분은 10%, 상부 구덩이 부분은 0.5m 하부 구덩이 부분은1.3m를 기본으로 하며 유속이 심한 곳이나 와류 현상 예상지역은 시공 시 사전에 확인하여 더 깊게 더 튼튼하게 할증하여야 한다.
상하단 구덩이를 토사로 메우는 제4-2단계는 상기 식생매트(A)가 지면과 말착이 잘되도록 1차 고정시킨 후 토사를 메워 주어야 한다.
상기 제5단계는 해머와 지그를 이용하여 앵커(7)를 타설하는 제5-1단계와 결속와이어(72)로 식생매트(A)에 결속하는 제5-2단계로 구성되며, 제 5단계의 앵커 타설 간격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사방 1000±100mm 이다.
상기 앵커(7)는 상기 식생매트(A)의 하부에 앵커링되는 앵커본체(71)와 상기 앵커본체(7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식생매트(A)의 상부에 결속되는 결속와이어(72)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본체(71)는 하부가 좁은 홈통 형상의 반원통(711)이고, 상기 반원통(711)의 양측 선단에는 둔각으로 역등변사다리꼴의 날개(712)가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원통(711)의 중앙에는 상기 결속와이어(72)가 통과하는 관통홀(7111)이 형성된다.
제5-1단계는 제4-1단계에서 1차고정딘 식생매트(A)에 사방 1000mm 마다 해머와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앵커(7)를 타설하며, 해머는 전기 해머를 사용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앵커(7)의 반원통(711)에 삽입되어 힘을 가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해머에 결합되어 전기의 힘으로 타격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제5-2단계에서는 상기 앵커(7)의 결속와이어(72)로 상기 식생매트(A)의 상부보강층(6)의 코팅능형망이나 보강철선에 결속하여 상기 식생매트(A)가 지면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다.
제6단계의 마무리 단계는 결속와이어(72)로 결속 완료 후 겹치는 부분이나 상하 구덩이 부분을 확인 보강하고 절취 단면에는 장소에 따라 돌망태, 자여넉, 어소블럭, 방틀, 절취토사 체움등을 시공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앵커(7)는 상기 식생매트(A)의 하부에 앵커링되는 앵커본체(71)와 상기 앵커본체(7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식생매트(A)의 상부에 결속되는 결속와이어(72)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본체(71)는 하부가 좁은 홈통 형상의 반원통(711)이고, 상기 반원통(711)의 양측 선단에는 둔각으로 역등변사다리꼴의 날개(712)가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원통(711)의 중앙에는 상기 결속와이어(72)가 통과하는 관통홀(7111)이 형성된다.
상기 앵커(7)은 위에서 설명한 전기해머와 지그로 상기 식생매트(A)에 평균적으로 1000mm 간격으로 앵커링하여 상기 식생매트(A)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보호층-식생종자층-제2보호층-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제3보호층-상부보강층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를 앵커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식물성장 후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식생매트는 자연적인 분해가 이루어지고, 또한 앵커도 시간이 흘러 자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환경오염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배수로, 소하천, 도로의 비탈면이나 호안가에서 홍수시 발생하는 유속에 의해 비탈면을 보호하고 식물들이 용이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콘크리트나 호안블럭 그리고 각종 매트류 시공시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흙탕물과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어 수변 및 수중생태계가 교란되고 동식물의 서식처 파괴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항구적인 비탈면 보호효과와 식물의 성장이 용이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인 시공조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A : 식생매트
1 : 식생종자층 2 : 제1보호층
3 :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 4 : 제2보호층
5 : 제3보호층 6 : 상부보강층
7 : 앵커 71 : 앵커본체
711 : 반원통 7111 : 관통홀
712 : 날개 72 : 결속와이어
81 : 상부구덩이 82 : 하부구덩이
91 : 돌망태 자연석 어소블럭 방틀 또는 절취토사채움

Claims (3)

  1. 하천, 호소, 조정지, 절토(切土)지 경사면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의 피복 보호와 녹화를 위하여 하천, 호소, 조정지, 절토(切土)지 법면에 설치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게 설치되는 식생매트(A)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A)는 표면에 식생종자가 부착된 식생종자층(1)과;
    상기 식생종자층(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층(1)을 보호하고 상기 식생매트(A)가 인장강도를 가지게 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1보호층(2)과;
    상기 식생종자층(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공급 및 보습효과를 주고 유기비료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하부에 설치되어 식생기반재 역할을 하고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해주는 제2보호층(4)과;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을 보호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는 제3보호층(5)과;
    상기 제3보호층(5)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A)의 적층구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도달 후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상부보강층(6)으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종자층(1)은 상기 식생종자의 이탈을 방지하고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화선지나 한지에 비료 및 습윤제를 식생종자와 함께 배합시켜 제작되고,
    상기 제1보호층(2)은 생분해성 PE수지 또는 PP수지에 천연물질을 첨가하여 상기 PE수지 또는 PP수지들이 붕괴되도록 하고 생분해성 격자 네트로 직조되며, 상기 격자의 크기는 가로 10~20mm, 세로 10~20mm이고, 상기 격자 네트의 두께는 0.5~1.0mm 이며,
    상기 식생종자 영양수분공급층(3)은 코코넛 껍질을 10~20mm 두께로 적층하여 밀집 형성시키고,
    상기 제2보호층(4)은 코코넛 껍질 또는 황마로 격자 네트로 직조되고, 격자의 크기는 가로 5~10mm, 세로 25~35mm이고, 격자 네트의 두께는 0.5~1.5mm 이며,
    상기 제3보호층(5)는 광분해성 PP수지로 격자 네트로 직조되고, 격자의 크기는 가로 10~20mm, 세로 10~20mm이며, 상기 격자 네트의 두께는 0.8~2.0mm이고,
    상기 상부보강층(6)은 아연도금된 철선에 PVC로 코팅한 코팅능형망 또는 아연도금한 직경 4.5mm의 보강철선을 사용하고, 상기 코팅능형망의 크기는 가로 50~70mm, 세로 50~70mm인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A)는 롤 형상으로 취급되며, 폭 2.0±0.2m, 길이 30±10m, 두께 15±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롤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변 및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매트
KR2020100011489U 2010-11-08 2010-11-08 식생매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461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89U KR200461490Y1 (ko) 2010-11-08 2010-11-08 식생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89U KR200461490Y1 (ko) 2010-11-08 2010-11-08 식생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398U true KR20120003398U (ko) 2012-05-16
KR200461490Y1 KR200461490Y1 (ko) 2012-07-16

Family

ID=4661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48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1490Y1 (ko) 2010-11-08 2010-11-08 식생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4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468A (ko) 2018-01-10 2019-07-18 김병구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JP2021505514A (ja) * 2018-03-28 2021-02-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溶出制御型肥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5804B1 (ko) * 2021-12-16 2025-02-28 박용철 친환경 작물재배 키트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76B1 (ko) 2008-05-06 2008-12-16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0878797B1 (ko) 2008-05-06 2009-01-15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1078073B1 (ko) 2008-12-04 2011-10-28 이예순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468A (ko) 2018-01-10 2019-07-18 김병구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JP2021505514A (ja) * 2018-03-28 2021-02-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溶出制御型肥料
US11332413B2 (en) 2018-03-28 2022-05-17 Lg Chem, Ltd. Controlled-release fertiliz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490Y1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100817471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24938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JP5204898B2 (ja) 河川護岸及び法面保護用植生マット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固定装置
KR101078073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KR200382114Y1 (ko)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KR200415273Y1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WO2020220671A1 (zh) 一种海岸岩滩的红树造林方法与结构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101662690B1 (ko)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CN110725277A (zh) 一种抗冲刷的河岸消落带生态治理方法
KR200461490Y1 (ko) 식생매트
KR100821351B1 (ko)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0574741B1 (ko)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CN114223449B (zh) 困难立地红树林生态修复方法
CN202099783U (zh) 河湖沟渠水岸拟自然生态防护结构
CN107100135A (zh) 一种土工材料复合生态护岸结构及其制造方法
CN222349586U (zh) 一种水系陡坡景观石笼护岸
CN207348021U (zh) 一种土工材料复合生态护岸结构
KR101367848B1 (ko)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CN108729409A (zh) 一种河道防渗重蓄生态恢复装置
KR101582443B1 (ko) 어소가 구비된 친환경 게비온
KR101350359B1 (ko) 자연형 어도 여울을 갖는 생태하천 및 그 조성방법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CN111321700B (zh) 一种防冲刷和防滑坡堰塞的过流消能式生态护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7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