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233U -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233U
KR20120003233U KR2020110004513U KR20110004513U KR20120003233U KR 20120003233 U KR20120003233 U KR 20120003233U KR 2020110004513 U KR2020110004513 U KR 2020110004513U KR 20110004513 U KR20110004513 U KR 20110004513U KR 20120003233 U KR20120003233 U KR 201200032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od waste
guide member
contain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793Y1 (ko
Inventor
신현목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주)콘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077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03233(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콘포테크 filed Critical (주)콘포테크
Priority to KR2020110004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9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결제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거나 수거통을 교체할 때 투입구의 덮개 및 가이드부재를 효과적으로 배치 또는 개방하여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배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를 개시한다.
본원 고안은 덮개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케이스의 내측 저면에 덮개구동부를 장착하고 투입구가 천공된 상부케이스와, 전면에 도어가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수거통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수거통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계량하고 계량된 음식물쓰레기 중량에 해당되는 처리비용을 제어장치를 통해 전자결제하고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비하면서 상기 투입구에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회전하도록 힌지축 역할을 하는 경첩을 이용하여 상부케이스에 후단을 장착하고, 상기 덮개를 개폐하는 덮개구동부의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의 제2레버에 밀대를 장착하며, 상기 덮개구동부의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회전축과 제1레버 및 제2레버 그리고 고정앵글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덮개를 개폐할 때 상기 제2레버가 더 회전하면서 이 제2레버에 장착된 밀대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경첩을 축으로 회전하여 수거통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Food garbage processor input equipmen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결제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거나 수거통을 교체할 때 투입구의 덮개 및 가이드부재를 효과적으로 배치 또는 개방하여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배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버리는 음식물 찌꺼기, 각종 농축수산물의 판매 및 유통 과정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가정과 식당 등에서 조리 과정 중에 구입한 식품의 훼손된 부분을 다듬으면서 버려지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는 주택가와 음식업소 등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에 마구 버려지고, 발생량 자체가 급속도로 늘어남에 따라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방식은, 음식물 전용 수거용기를 이용한 문전수거 방식과, 납부필증을 통한 종량제 실시, 단독주택일 경우 배출자가 지정된 요일의 지정된 시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전용 수거용기에 담아 주택 앞에 내놓으면 다음날 새벽에 수거 요원이 거두어가는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먼저, 문전수거 방식은 수거시간 및 인력을 낭비하고, 수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납부필증을 통한 종량제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부착하여 배출해야 함에 따라 납부필증의 훼손 및 분실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주민들이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 특히 단독주택의 경우 배출자가 지정된 시간을 지켜 배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 밖에도, 공동주택의 경우 다수개의 수거함을 이용해 통합 수거하는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 발생 총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처리 수수료의 형평성에 대한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의 정확한 집계 등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통합 수거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어느 가정에서 어느 정도의 음식물쓰레기가 버려지는가를 사용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가 판가름하기 힘들며, 그로 인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와 감량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요구에 부합되지 못함과 아울러 자원 절약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해당하는 중량에 적합한 비용을 전자방식(신용카드, RFID카드 또는 인증번호 입력)에 따른 자동결제방식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수거기가 개시되었다.
상기 자동결제방식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수거기들은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호퍼에 담아 중량을 측정하고 정산한 후 수거통에 낙하시켜 수집하는 상부식과, 음식물이 투입되면 직접 수거통에 낙하되어 수집된 중량을 측정하고 정산하는 하부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식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수거기(1)를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수거통(100)은 바닥면에 설치된 중량계량부(3)에 얹혀진 상태에서 수거통(100)의 자체중량을 측정하여 "0" 중량으로 제어하여 초기화로 설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정산카드를 제어장치(10)에 접촉시키면 자동제어를 통해 투입구(14)를 폐쇄하고 있던 덮개(13)를 개방하고, 이 개방된 투입구(14)로 음식물쓰레기를 쏟아넣어 수거통(100)에 담으면 중량을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중량을 정산함을 알리고 덮개(13)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덮개(13)는 개폐하는 덮개구동부(4)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덮개구동부(4)는 수거기(1)의 상부케이스(12)의 내측 저면에 부착되는 브래킷(42)과, 이 브래킷(42)에 고정되는 구동모터(41)와, 이 구동모터(41)에 소켓(43)을 통해 연결되는 회전축(44)과, 이 회전축(44)의 양측에 고정되는 제1, 제2 링크부(45, 45')와, 이 제1, 제2 링크부(45, 45')의 초기 정지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4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제2 링크부(45, 45')는 덮개(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축(44)에 고정되는 제1 레버(451, 415')와, 이 제1 레버(451, 415')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앵글(453, 453')에 연결되는 제2레버(452, 452')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앵글(453, 453')은 덮개(13)의 저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식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수거기(1)의 투입구(14)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100)으로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쏟아지면서 유입될 수 있도록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부재(2)가 고정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음식물쓰레기를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기존의 수거통(100)을 사용하는 수거기(1)는 상기 가이드부재(2)의 높이만큼 수거기(1)의 투입구(14) 높이가 더 높아지게 되므로 음식물 투입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신체적 통증을 유발시킴은 물론 외부로 음식물쓰레기가 흘리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수거통에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를 회전하도록 상부케이스에 장착함으로써 투입구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수거통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덮개와 함께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부재가 자동으로 상부케이스 상부로 회전되도록 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는 경첩에 의해 고정되는 덮개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케이스의 내측 저면에 덮개구동부를 장착하고 투입구가 천공된 상부케이스와, 전면에 도어가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수거통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수거통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계량하고 계량된 음식물쓰레기 중량에 해당되는 처리비용을 제어장치를 통해 전자결제하고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비하면서 상기 투입구에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회전하도록 힌지축 역할을 하는 경첩을 이용하여 상부케이스에 후단을 장착하고, 상기 덮개를 개폐하는 덮개구동부의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의 제2레버에 밀대를 장착하며, 상기 덮개구동부의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회전축과 제1레버 및 제2레버 그리고 고정앵글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덮개를 개폐할 때 상기 제2레버가 더 회전하면서 이 제2레버에 장착된 밀대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경첩을 축으로 회전하여 수거통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는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부재를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가이드부재의 하단을 수거통의 상단 개구부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함으로써 투입구의 높이가 낮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수거통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 낙하할 수 있으며, 덮개구동부의 제2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밀대로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회전시켜 들어올려 수거통의 상단 개구부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수거통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동이 매우 원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중 덮개 및 가이드부재를 구동시키는 덮개구동부 및 수거통 중량계량부를 일부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중 덮개 및 가이드부재를 구동시키는 덮개구동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4b, 4c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개략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를 일부 나타낸 실물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와, 덮개 및 가이드부재를 구동시키는 덮개구동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로서, 부호 1은 음식물쓰레기 수거기, 2는 가이드부재, 3은 중량계량부, 4는 덮개구동부, 100은 수거통을 나타낸다.
통상적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1)는 상부케이스(12)에 경첩(8)으로 고정되는 덮개(13)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케이스(12)의 내측 저면에 덮개구동부(4)가 장착되고 상부케이스(12)에는 투입구(14)가 천공되어 이루어지며, 전면에 도어(15)가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외부케이스(1)가 마련되고, 이 외부케이스(1) 내부공간에는 수거통(100)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2)에 천공된 투입구(14)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수거통(100)으로 투입된 중량을 계량하고 계량된 음식물쓰레기 중량에 해당되는 처리비용을 제어장치(10)를 통해 전자결제하고 전원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4)에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부재(2)를 장착하되, 이 가이드부재(2)를 회전하도록 힌지축 역할을 하는 경첩(8')을 이용하여 상부케이스(12)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가이부재(2)의 하단은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킬 때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수거통(100)으로 안내하여 수집되도록 수거통(100)의 상부 개구부(11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가이부재(2)의 하단이 수거통(100)의 상부 개구부(110) 내측으로 삽입된다는 것은 수거기(1)의 투입구(14) 높이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거기(1)의 투입구(14) 높이가 낮으므로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편리하고 안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부재(2)의 하단이 수거통(100)의 상부 개구부(11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거통(100)의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덮개(13)를 개폐하는 덮개구동부(4)의 제1링크부(45) 및 제2링크부(45')의 제2레버(452, 452')에 밀대(454, 454')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밀대(454, 454')는 가이드부재(2)의 테두리부분에 접촉되면서 밀어올리면 경첩(8')을 축으로 가이드부재(2)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대(454, 454')는 단일 봉 형태 또는 단이진 형태를 이루면서 가이드부재(2)의 테두리부분에 접촉되면서 밀어올릴 수 있는 모든 구성이면 가능한 것이므로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상기 덮개구동부(4)의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이 회전축(44)과 제1레버(451, 451') 및 제2레버(452, 452') 그리고 고정앵글(453, 453')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덮개(13)를 개폐할 때 상기 제2레버(452, 452')가 더 회전하면서 이 제2레버(452, 452')에 장착된 밀대(454, 454')가 상기 가이드부재(2)의 테두리부분을 밀어 올리면 경첩(8')을 축으로 가이드부재(2)가 회전하여 수거통(100)의 상부 개구부(110)로부터 이격되므로 편리하게 수거통(100)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에 대한 작용을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설명하되 음식물쓰레기의 중량 정산과정은 널리 이용되는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평상시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정산하는 과정으로 덮개(13)의 개폐 동작만으로 해결된다. 상기 덮개(13)의 작동은 사용자가 정산카드를 제어장치(10)에 접촉시키면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 가능자임을 인식하고, 곧 덮개구동부(4)의 구동모터(41)가 작동하여 소켓(43)에 연결된 회전축(44)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 회전축(44)은 연속적으로 제1링크(45) 및 제2링크(45')의 제1레버(451, 451')와, 제2레버(452, 452')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2레버(452, 452')의 작동은 고정앵글(453, 453')이 고정된 덮개(13)가 경첩(8)을 축으로 회전하여 도 4a 상태에서 도 4b의 상태로 개방된다.
상기 구동모터(41)는 미도시된 통상적인 센서 및 제어장치(10)를 통해 덮개(13)의 개방상태가 정지된다.
상기 덮개(13)가 회전하여 상승하면 상부케이스(12)의 투입구(14)가 개방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고, 음식물쓰레기의 정산이 끝나면 자동 또는 정산카드를 이용하여 제어장치(10)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41)를 역회전시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제1센서부(46)를 통해 정지 및 종료됨을 알리게 된다.
다음으로 수거통(100)을 교체할 때에는 일반 사용자의 정산카드로는 불가능하고, 관리자용 카드만을 사용해야 한다, 관리자용 카드를 제어장치(10)에 접속시키면 앞에서 설명한 상기 덮개(13)의 개방 과정대로 작동되면서 덮개(13)가 일차적으로 열리고, 연이어 회전축(44)이 더 회전하면 제1링크(45) 및 제2링크(45')의 제1레버(451, 451')와, 제2레버(452, 452') 역시 더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링크(45) 및 제2링크(45')의 제2레버(452, 452')에 장착된 밀대(454, 454')가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부재(2)의 양측 테두리부분에 접촉되어 가이드부재(2)를 밀려 올리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가 밀대(454, 454')에 의해 도 4c 및 도 5에서와 같이 밀려 올려지면 경첩(8')을 축으로 회전되어 수거통(100)의 상부 개구부(110)를 벗어난 상태가 되고, 곧 제2센서부(47)를 통해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2)가 회전되어 수거통(100)의 상부 개구부(110)를 벗어난 상태에서 도어(15)를 열고 수거통(100)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거통(100)의 교체가 끝나면 관리자 카드를 이용하여 제어장치(10)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41)가 역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제1센서부(46)를 통해 정지 및 종료됨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쇼케이스 2: 가이드부재
3: 중량계량부 4: 덮개구동부
10: 제어장치 11: 외부테이스
12: 상부케이스 13: 덮개
14: 투입구 15: 도어
41: 구동모터 42: 브래킷
43: 소켓 44: 회전축
45: 제1링크부 45': 제2링크부
454, 454': 밀대
21: 발열선 22: 보빈
41: 수조 42: 뚜껑
43: 통공

Claims (1)

  1. 경첩(8)에 의해 고정되는 덮개(13)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케이스(12)의 내측 저면에 덮개구동부(4)를 장착하고 투입구(14)가 천공된 상부케이스(12)와, 전면에 도어(15)가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외부케이스(1)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수거통(100)과, 상기 투입구(14)를 통해 수거통(100)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계량하고 계량된 음식물쓰레기 중량에 해당되는 처리비용을 제어장치(10)를 통해 전자결제하고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비하면서 상기 투입구(14)에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부재(2)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를 회전하도록 힌지축 역할을 하는 경첩(8')을 이용하여 상부케이스(12)에 후단을 장착하고,
    상기 덮개(13)를 개폐하는 덮개구동부(4)의 제1링크부(45) 및 제2링크부(45')의 제2레버(452, 452')에 밀대(454, 454')를 장착하며,
    상기 덮개구동부(4)의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이 회전축(44)과 제1레버(451, 451') 및 제2레버(452, 452') 그리고 고정앵글(453, 453')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덮개(13)를 개폐할 때 상기 제2레버(452, 452')가 더 회전하면서 이 제2레버(452, 452')에 장착된 밀대(454, 454')가 상기 가이드부재(2)를 경첩(8')을 축으로 회전하여 수거통(100)의 상부 개구부(11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KR2020110004513U 2011-05-24 2011-05-24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KR200460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13U KR200460793Y1 (ko) 2011-05-24 2011-05-24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13U KR200460793Y1 (ko) 2011-05-24 2011-05-24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233U true KR20120003233U (ko) 2012-05-09
KR200460793Y1 KR200460793Y1 (ko) 2012-06-11

Family

ID=46607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513U KR200460793Y1 (ko) 2011-05-24 2011-05-24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9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630B1 (ko) * 2012-11-20 2014-11-10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CN106275946A (zh) * 2016-08-31 2017-01-04 佛山市高明区沧江中学 一种垃圾自动分类箱
KR200486846Y1 (ko) * 2017-12-12 2018-07-06 주식회사 보성 비에스 이앤지 쓰레기통
KR101999223B1 (ko) * 2018-11-27 2019-07-11 김경래 음식물 쓰레기통 커버
KR20200020259A (ko) * 2018-08-16 2020-02-26 최현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도어 어셈블리
KR102444146B1 (ko) * 2021-04-19 2022-09-16 주식회사 하이클린 싱크대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90B1 (ko) 2018-06-15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내 로봇
KR102137170B1 (ko) * 2018-06-15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내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504A (ko) * 2007-07-30 2009-02-04 효림산업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KR100953110B1 (ko) 2009-11-19 2010-04-19 (주)아이티코어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101028413B1 (ko) 2010-06-11 2011-04-13 신석호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020241B1 (ko) 2010-12-01 2011-03-08 (주)콘포테크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수거통 덮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630B1 (ko) * 2012-11-20 2014-11-10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CN106275946A (zh) * 2016-08-31 2017-01-04 佛山市高明区沧江中学 一种垃圾自动分类箱
CN106275946B (zh) * 2016-08-31 2018-06-12 佛山市高明区沧江中学 一种垃圾自动分类箱
KR200486846Y1 (ko) * 2017-12-12 2018-07-06 주식회사 보성 비에스 이앤지 쓰레기통
KR20200020259A (ko) * 2018-08-16 2020-02-26 최현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도어 어셈블리
KR101999223B1 (ko) * 2018-11-27 2019-07-11 김경래 음식물 쓰레기통 커버
KR102444146B1 (ko) * 2021-04-19 2022-09-16 주식회사 하이클린 싱크대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793Y1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793Y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투입장치
KR101581944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 및 감량 처리기의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KR101457630B1 (ko)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200463876Y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KR100949905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402162B1 (ko)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KR101871440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EP2544968B1 (en) Bin for collecting solid waste
KR101422997B1 (ko) 종량제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KR100854117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08903651B (zh) 人工智能无人水吧
KR101899780B1 (ko) 상부 중량측정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711533B1 (ko) 대기시 무부하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209064795U (zh) 一种具有快门式开关的垃圾桶
KR101020241B1 (ko)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수거통 덮개장치
KR100990456B1 (ko)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KR101236171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를 위한 중량측정 기능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KR10110294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921782B1 (ko) 음식물쓰레기 중량제 수거 장치
KR101584274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 및 감량 처리기의 저장탱크 밀폐장치
KR101031919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KR20110140111A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199222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개별계량장치
WO2018130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 collection and deter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1024

Effective date: 201302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