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155A -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155A
KR20120003155A KR1020100063845A KR20100063845A KR20120003155A KR 20120003155 A KR20120003155 A KR 20120003155A KR 1020100063845 A KR1020100063845 A KR 1020100063845A KR 20100063845 A KR20100063845 A KR 20100063845A KR 20120003155 A KR20120003155 A KR 20120003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boost
capacitor
diod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진
김정재
강봉구
황영호
윤재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155A/ko
Publication of KR2012000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27Near field transmission with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means
    • B60C23/043Near field transmission with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means using transformer type signal transducers, e.g. rotary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화된 스위칭 구조와 저 저항의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기적인 노이즈 영향을 줄이고 챠지 펌핑(Charge Pumping) 기능을 부가하여 그 출력 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전원 입력 측의 트랜스포머와 출력 측의 출력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출력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인덕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안정화 커패시터 및 복수의 다이오드가 서로 직/병렬 형태로 연결된 출력 안정화 회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DC-DC BOOST CONVERTER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순화된 스위칭 구조와 저 저항의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기적인 노이즈 영향을 줄이고 챠지 펌핑(Charge Pumping) 기능을 부가하여 그 출력 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원 공급장치는 고조파 저감 및 역률을 개선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부스트 컨버터 회로 및 부스트 컨버터 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원하는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전압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의 경우는 인덕터, 출력 다이오드, 스위칭 소자 및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스위칭 소자가 병렬로 연결되고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에서는 가변 주파수 동작을 통한 인덕터의 영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출력 다이오드의 역 회복 특성을 해소하고 스위칭 소자와 출력 다이오드에서 영 전류 스위칭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는 스위칭 소자의 턴-오프(Turn-off) 기간 동안 스위칭 소자 양단에 출력 전압과 동일한 레벨의 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높은 출력전압이 필요한 경우 내압이 큰 스위칭 소자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고속으로 하드 스위칭(Hard Switching)을 수행하는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스위칭 주파수에 비례하므로 전자기적 간섭 현상에 따른 전력 손실이 증가하여 컨버터 전체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아울러, 사용된 인덕터의 용량이 클수록 인덕터의 저항 성분이 크므로, 인덕터에서 열로 발생하는 손실이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손실 다음으로 큰 비율을 차지하며, 입력 전류가 증가할수록 인덕터에서 소모되는 손실 또한 커지게 된다.
한편, 챠지 펌핑(Charge Pumping)을 수행하는 경우 커패시터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의 정수배로 정해진다. 이에, 입력전압의 2배 이상 높은 출력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다수의 커패시터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해야 하므로 부스트 회로의 부피가 커지고 구성이 복잡해지거나 입력 전압이 커져야 한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화된 스위칭 구조와 저 저항의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기적인 노이즈 영향을 줄이고 챠지 펌핑 기능을 부가하여 그 출력 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는 외부 전원 입력 측의 트랜스포머와 출력 측의 출력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출력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인덕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안정화 커패시터 및 복수의 다이오드가 서로 직/병렬 형태로 연결된 출력 안정화 회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안정화 회로는 상기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와는 병렬 구조로 상기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안정화 다이오드, 상기 트랜스포머와는 병렬 구조로 상기 트랜스포머와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1 안정화 다이오드와는 병렬 구조로 상기 제 1 및 제 2 안정화 다이오드의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와 직렬 연결된 안정화 커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는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된 기간에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시키고,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 되는 기간에 충전된 전류와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모두 방전시킴으로써 챠지 펌핑하여 상기 출력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정화 커패시터는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된 기간에 상기 제 1 안정화 다이오드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기간에 방전되어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의 구동 방법은 직렬 연결된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출력 커패시터와 로드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스위칭 소자, 인덕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안정화 커패시터 및 복수의 다이오드가 서로 직/병렬 형태로 조합된 출력 안정화 회로가 더 구비된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온 단계;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단계; 및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방전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가 충전되기 이 전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전류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 후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방전단계는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오프 기간에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가 충전되었던 전류와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모두 방전시킴으로써 챠지 펌핑하여 상기 출력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방전단계는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된 기간에 상기 제 1 안정화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안정화 커패시터가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기간에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은 단순화된 스위칭 구조와 저 저항의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위칭으로 전자기적인 노이즈 영향을 줄이고,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또한 감소시켜 회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챠지 펌핑 기능이 부가되어 낮은 입력 전압에서도 높은 출력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높은 출력전압이 요구되는 경우에 내압이 낮은 소자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단순화된 회로구조 및 스위칭 소자에 따른 가격 절감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스위칭 소자 턴-온 단계에서의 DC-DC 부스트 컨버터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3은 DC-DC 부스트 컨버터의 구동 단계별 전류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4는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충전단계에서의 DC-DC 부스트 컨버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5는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방전단계에서의 DC-DC 부스트 컨버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 및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는 외부 전원 입력 측의 트랜스포머(Tm)와 출력 측의 출력 다이오드(D3)가 직렬로 연결되고, 출력 다이오드(D3)의 출력단에 출력 커패시터(Cout)가 병렬로 연결되며, 트랜스포머(Tm)와 출력 다이오드(D3)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인덕터(L1),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 안정화 커패시터(C1) 및 복수의 다이오드(D1,D2)가 서로 직/병렬 형태로 연결된 출력 안정화 회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와 출력 다이오드(D3) 및 출력 커패시터(Cout)로 구성된 일반적인 DC-DC 컨버터 회로구조에서, 외부 전원 입력 측의 인덕터를 대신하여 트랜스포머(Tm)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입력 측의 트랜스포머(Tm)와 출력 측인 출력 다이오드(D3)의 사이에 출력 안정화 회로가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출력 안정화 회로는 트랜스포머(Tm)와 출력 다이오드(D3)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와는 병렬 구조로 트랜스포머(Tm)와 출력 다이오드(D3)의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안정화 다이오드(D1,D2), 트랜스포머(Tm)와는 병렬 구조로 트랜스포머(Tm)와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L1)와 스위칭 소자(SW1) 및 제 1 안정화 다이오드(D1)와는 병렬 구조로 제 1 및 제 2 안정화 다이오드(D1,D2)의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와 직렬 연결된 안정화 커패시터(C1)를 구비한다.
트랜스포머(Tm)와 출력 다이오드(D3)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는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시킴으로써 챠지 펌핑(Charge Pumping) 기능을 수행한다.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에 전류가 충전되는 기간은 스위칭 소자(SW1)가 턴-온 된 기간이며, 이때 안정화 커패시터(C1)와 제 2 안정화 다이오드(D2) 및 인덕터(L1)와 스위칭 소자(SW1) 간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는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시킨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SW1)가 턴-오프(Turn-off) 되는 기간에는 충전된 전류와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모두 방전시켜 출력 다이오드(D3)를 통해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반면, 안정화 커패시터(C1)는 스위칭 소자(SW1)의 턴-오프 기간에 제 1 안정화 다이오드(D1)를 통해 충전되며, 스위칭 소자(SW1)의 턴-온 기간에 방전되어 상기의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를 충전시킨다.
인덕터(L1)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W1)는 턴-온 시에 인덕터(L1)의 인덕턴스 성분으로 양단의 전류 밸런스가 유지되며 소프트 스위칭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소자(SW1)는 인덕터(L1)와 직렬 접속되어, 저 저항의 트랜스포머(Tm)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공급받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출력 안정화 회로는 인덕터(L1)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 소자(SW1)를 턴-온(Turn-on) 시킬 때, 인덕터(L1)의 인덕턴스 성분으로 스위칭 전류를 선형으로 변화시키므로 소프트 스위칭(Soft Switching)을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소자(SW1)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스위칭 주파수에 비례하므로 고속 스위칭을 하는 경우, 소프트 스위칭을 구현하면 전자기적인 노이즈 영향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또한 감소 되므로 컨버터 회로의 전기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외부 전원의 입력 측에는 일반적으로 적용되었던 인덕터 대신에 저항 성분이 작은 트랜스포머(Tm)가 구비되도록 하여 기존 인덕터에 따른 전력 손실을 줄여 부스트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인덕터 예를 들어 두 개의 인덕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트랜스포머를 구성한 경우, 병렬로 연결된 두 인덕턴스 성분에 의해 그 저항은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소모되는 전력 또한 반으로 줄어들 수 있으므로, 같은 인덕터 용량에 비해 트랜스포머를 적용하면 반으로 줄어든 저 저항 성분으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트 컨버터의 구동방법은 크게 스위칭 소자(SW1)의 턴-온 단계,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충전단계 및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방전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트 컨버터의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스위칭 소자 턴-온 단계에서의 DC-DC 부스트 컨버터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며, 도 3은 DC-DC 부스트 컨버터의 구동 단계별 전류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충전단계에서의 DC-DC 부스트 컨버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며, 도 5는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방전단계에서의 DC-DC 부스트 컨버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 소자(SW1)의 턴-온 단계(T1)는 스위칭 소자(SW1)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되는 기간(T1) 즉, 스위칭 소자(SW1)가 턴-온 된 순간부터 트랜스포머(Tm)로 흐르는 스위칭 전류(Isw)가 입력 전류(Iin)와 동일해질 때까지의 기간(T1)이다. 이때, 트랜스포머(Tm)의 출력단 즉, 인덕터(L1)의 입력 노드(V1)에는 출력전압(Vo)의 분배전압 즉, Vo/2 전압이 걸리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Tm)와 인덕터(L1) 및 스위칭 소자(SW1)를 통해 흐르는 스위칭 전류(Isw)가 입력 전류(Iin)와 동일해질 때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T1). 이때의 제 2 안정화 다이오드(D2)의 전류 흐름은 끊어지고 제 1 안정화 다이오드(D1)와 출력 다이오드(D3)에는 Vo/2 전압에 따른 전류가 흐른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충전단계(T2)는 스위칭 소자(SW1)를 통해 흐르는 스위칭 전류(Isw)가 입력 전류(Iin)와 동일해진 이 후에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가 충전되는 기간(T2)이다. 이때, 스위칭 소자(SW1)를 통해 흐르는 스위칭 전류(Isw)는 입력 전류(Iin)에 안정화 커패시터(C1)와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로부터의 공진 전류가 더해져서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유지된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SW1)의 양단에 걸리는 스위칭 전류(Isw)는 인덕터(L1)에 걸리는 양단의 전압과 동일하다. 이때, 인덕터(L1)의 입력단 전압 즉, 트랜스포머(Tm)의 출력 노드(V1) 전압은 출력전압(Vo)의 분배전압 즉, Vo/2 전압에서 0V로 감소하기 시작하며 공진 전류에 의해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는 충전된다. 이때, 제 2 안정화 다이오드(D2)는 오픈(Open)되어 전류가 흐르고, 제 1 안정화 다이오드(D1)와 출력 다이오드(D3)는 쇼트(Short)되어 전류 흐름이 차단된다.
도 5에 도시된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방전단계(T3)는 스위칭 소자(SW1)가 턴-오프된 기간으로써, 인덕터(L1)의 입력단 전압 즉, 트랜스포머(Tm)의 출력 노드(V1) 전압은 0V에서 출력전압(Vo)의 분배전압 즉, Vo/2 전압으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입력 전류(Iin)에 스위칭 소자(SW1)의 커패시터 성분, 트랜스포머(Tm) 및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공진 전류까지 모두 더해져 도 3과 같이, 부스트된 상태로 로드(Load)에 공급된다. 이때, 안정화 커패시터(C1)는 제 1 안정화 다이오드(D1)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한다.
이 후, 다시 스위칭 소자(SW1)의 턴-온 단계(T1)부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방전단계(T3)까지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를 충전시킨 후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를 방전시키기에 앞서,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충전 상태를 소정 기간 유지시키는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는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의 충전이 완료되면, 안정화 커패시터(C1)와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C2) 및 트랜스포머(Tm)에 공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기간으로서, 스위칭 소자(SW1)를 통해 흐르는 스위칭 전류(Isw)가 입력 전류(Iin)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기간이다. 이때, 제 1 및 제 2 안정화 다이오드(D1,D2)와 출력 다이오드(D3)에는 모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부스터 컨버터는 트랜스포머(Tm)를 통해 외부 전원이 입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챠지 펌핑(Charge Pumping)을 시킬 수 있는 출력 안정화 회로를 추가함으로 인해서 낮은 입력 전압에서도 높은 출력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높은 출력전압이 요구되는 경우에 내압이 낮은 소자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스위치 소자의 가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소프트 스위칭으로 인하여 스위칭 소자(SW1)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여 회로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칭 소자(SW1) 중 어느 한 소자로 전류가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전류 스트레스 및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SW1: 스위칭 소자 L1: 인덕터
D1,D2: 제 1 및 제 2 안정화 다이오드 D3: 출력 다이오드
C1: 제 1 안정화 커패시터 C2: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Cout: 출력 커패시터 Tm: 트랜스포머

Claims (8)

  1. 외부 전원 입력 측의 트랜스포머와 출력 측의 출력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출력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인덕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안정화 커패시터 및 복수의 다이오드가 서로 직/병렬 형태로 연결된 출력 안정화 회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화 회로는
    상기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와는 병렬 구조로 상기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안정화 다이오드,
    상기 트랜스포머와는 병렬 구조로 상기 트랜스포머와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1 안정화 다이오드와는 병렬 구조로 상기 제 1 및 제 2 안정화 다이오드의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와 직렬 연결된 안정화 커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는
    상기 스위칭 소자(SW1)가 턴-온 된 기간에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시키고,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 되는 기간에 충전된 전류와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모두 방전시킴으로써 챠지 펌핑하여 상기 출력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커패시터는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된 기간에 상기 제 1 안정화 다이오드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기간에 방전되어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
  5. 직렬 연결된 트랜스포머와 출력 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출력 커패시터와 로드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에 스위칭 소자, 인덕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 안정화 커패시터 및 복수의 다이오드가 서로 직/병렬 형태로 조합된 출력 안정화 회로가 더 구비된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온 단계;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단계; 및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방전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의 구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가 충전되기 이 전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전류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 후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방전단계는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오프 기간에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가 충전되었던 전류와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모두 방전시킴으로써 챠지 펌핑하여 상기 출력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의 방전단계는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된 기간에 상기 제 1 안정화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안정화 커패시터가 자신에게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기간에 상기 부스트 출력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의 구동방법.
KR1020100063845A 2010-07-02 2010-07-02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 KR20120003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45A KR20120003155A (ko) 2010-07-02 2010-07-02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45A KR20120003155A (ko) 2010-07-02 2010-07-02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55A true KR20120003155A (ko) 2012-01-10

Family

ID=4561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845A KR20120003155A (ko) 2010-07-02 2010-07-02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1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9283B2 (en) 2014-11-05 2018-05-22 Samsung Sdi Co., Ltd. DC boosting circuit with at least one energy storage e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9283B2 (en) 2014-11-05 2018-05-22 Samsung Sdi Co., Ltd. DC boosting circuit with at least one energy storage e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3622B2 (en) Multi-level step-up converter topologies, control and soft start systems and methods
US8581561B2 (en) DC-DC boost converter circuit with an output stabilization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Guo et al. A family of multimodes charge pump based dc–dc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over wide input and output range
CN103051184A (zh) 一种升压电路
US9065392B2 (en) Divide by 2 and 3 charge pump methods
US10277124B2 (en) DC-DC converter, boosting unit,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backup system
KR101310092B1 (ko) 응답 특성을 향상시키는 벅 변환기
JP3990421B2 (ja) 突入電流低減回路および電気機器
CN116317464A (zh) 一种具备飞跨电容电压均衡电路的三电平降压升压转换器
KR20120003155A (ko) Dc-dc 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그 구동 방법
US7915872B2 (en) Switching power converters with diode reverse current suppression
Shehata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 quasi y-source impedance network dc-dc converter
Zhong et al. A cost-effective circuit for three-level flying-capacitor buck converter combining the soft-start, flying capacitor pre-charging and snubber functions
CN109194117B (zh) 多路输出功率变换器及其控制方法
Graziani et al. Isolated flying capacitor multilevel converters
KR102077825B1 (ko) 부스트 컨버터
KR101232605B1 (ko) 스위치드 커패시터 컨버터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및 방법
JP2021035223A (ja) 力率改善回路
Siwakoti et al. Effects of leakage inductances on magnetically-coupled impedance-source networks
KR102587290B1 (ko) 게인의 범위 개선 및 증가를 위한 새로운 부스트 컨버터
KR20110127365A (ko) 고효율 dc-dc 변환기
JP2018161008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20110127364A (ko) 고효율 dc-dc 변환기
KR100430670B1 (ko) 승압형 컨버터의 직렬 배열 구조를 갖는 펄스전압발생회로
Sindhuja et al. Double-Frequency Multilevel Boost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