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732U - 빨대 - Google Patents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732U
KR20120002732U KR2020120002654U KR20120002654U KR20120002732U KR 20120002732 U KR20120002732 U KR 20120002732U KR 2020120002654 U KR2020120002654 U KR 2020120002654U KR 20120002654 U KR20120002654 U KR 20120002654U KR 20120002732 U KR20120002732 U KR 201200027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tubular body
groove
contents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응
Original Assignee
김태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응 filed Critical 김태응
Priority to KR2020120002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732U/ko
Publication of KR20120002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대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컵이나 용기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이 빨대를 꽃아 넣는 홈을 통해 흘러내리거나 쏟기는 것을 방지하여 걸어다니면서도 간편하게 액상의 내용물을 음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에 관한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관체(20)의 외주면 일측으로 뚜껑(50)의 홈(51) 내경 단면(52)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을 갖는 다단 구조의 내용물 유출 방지턱(30)이 구성되며, 그 유출 방지턱(30)의 측면부(32)는 곡선형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빨대{straw}
본 고안은 컵이나 각종 용기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빨아서 음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빨대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컵이나 용기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이 빨대를 꽃아 넣는 홈을 통해 흘러내리거나 쏟기는 것을 방지하여 걸어다니면서도 간편하게 액상의 내용물을 음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나 각종 용기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음용 할 때는 개구부에 입을 대고 마실 때도 있지만 유아들은 내용물이 흐르거나 쏟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빨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빨대는 일자형과, 일자형의 상부에 주름을 형성시켜 일정 각도로 꺾임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주름 빨대, 내용물을 저어서 음용할 수 있는 '8'자형 빨대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젊은층에서 테이크아웃(take out) 형태의 음식문화가 확산 되어 커피나 음료를 들고다니면서 음용을 하는데, 이때 내용물이 쏟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이 닫히는 컵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뚜껑의 상부 면에는 빨대를 간편하게 꽂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홈에 빨대를 간편하게 꽂기 위해서는 빨대의 외경에 비해 홈의 내경이 큰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럴 경우 빨대의 외경과 홈의 내경사이에 형성된 작은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흐르거나 쏟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홈이 형성된 뚜껑뿐만 아니라, 빨대를 꽂기 위해 뚜껑의 상부 면에 형성된 'X' 자형 홈도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 한 것으로 뚜껑의 상부 면에 형성된 홈의 내경 단면과 빨대의 외측 일부가 일체형이 되도록 하여 적어도 빨대의 외경과, 홈의 내경 차이에서 발생 되는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흐르거나 쏟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빨대(10)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체(20)의 외주면 일측으로 뚜껑(50)의 홈(51) 내경 단면(52)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을 갖는 다단 구조의 내용물 유출 방지턱(3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출 방지턱(30)의 측면부(32)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체(20)는 원형 관체(21), '8'자 형 관체(22), 타원형관체(2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각 관체(21, 22, 23)에 선택적으로 주름관(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빨대는 뚜껑의 홈 내경 단부와 기밀한 밀착이 되기 때문에 걸어다니거나 주변의 물체 또는 사람과 가벼운 접촉이 있더라도 뚜껑의 홈을 통해 액상의 내용물이 흘러내리거나 쏟기는 경우가 없어 컵 등의 용기를 휴대하여 내용물을 음용 함에 있어 편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빨대(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관체(20)의 외주면 일측으로 뚜껑(50)의 홈(51) 내경 단면(52)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을 갖는 다단 구조의 내용물 유출 방지턱(30)을 구성시킨 것이 본원 고안의 핵심이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빨대(10)를 뚜껑의 홈(51)에 삽입하면, 다단구조를 갖는 유출방지턱의 하단부(33)에 최초 걸림이 되나, 조금의 수직 가압을 주면 곧바로 삽입홈(31)에 내경 단면(52)이 삽입(끼움)되어 빨대가 뚜껑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음은 물론, 충진 된 내용물도 홈(5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출 방지턱(30)의 측면부(32)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빨대를 홈에 꽂거나 뺄 때 수월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체(20)는 원형 관체(21), '8' 자 형 관체(22), 타원형관체(2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도 5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관체(23)와 원형관체(21)에 주름관(24)을 형성시키는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 고안의 주 핵심인 삽입홈(31)을 갖는 다단 구조의 내용물 유출 방지턱(30)을 어느 관체(21,22,23)에 적용하더라도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0:빨대 20:관체
21:원형관체 22:'8'자 형 관체
23:타원형관체 24:주름관
30:유출방지턱 31:삽입홈
32:측면부 40:용기
50:뚜껑 51:홈
52:내경 단면

Claims (3)

  1. 일정길이를 갖는 관체(20)의 외주면 일측으로 뚜껑(50)의 홈(51) 내경 단면(52)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을 갖는 다단 구조의 내용물 유출 방지턱(3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방지턱(30)의 측면부(32)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20)는 원형 관체(21), '8'자 형 관체(22), 타원형관체(2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각 관체(21, 22, 23)에 선택적으로 주름관(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KR2020120002654U 2012-04-02 2012-04-02 빨대 KR201200027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54U KR20120002732U (ko) 2012-04-02 2012-04-02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54U KR20120002732U (ko) 2012-04-02 2012-04-02 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32U true KR20120002732U (ko) 2012-04-20

Family

ID=4660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654U KR20120002732U (ko) 2012-04-02 2012-04-02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73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427A (ko) * 2016-11-24 2018-06-01 임수현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JP2020048793A (ja) * 2018-09-26 2020-04-02 謙次郎 坂本 ストロー付カップ蓋
KR102152221B1 (ko) * 2019-06-24 2020-09-04 손영춘 흡음용 스틱이 구비된 파우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427A (ko) * 2016-11-24 2018-06-01 임수현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JP2020048793A (ja) * 2018-09-26 2020-04-02 謙次郎 坂本 ストロー付カップ蓋
KR102152221B1 (ko) * 2019-06-24 2020-09-04 손영춘 흡음용 스틱이 구비된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38068A (ja) 飲用容器
US9932155B2 (en) Devices for controlling fluid outflow from a bottle
KR20120002732U (ko) 빨대
TWM580559U (zh) Cup cover structure
KR200490841Y1 (ko)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KR20190000570U (ko) 빨대가 구비된 컵
KR100872185B1 (ko)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JP3221710U (ja) コップ蓋の構造
EP3257406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for serving and entertaining children
KR200429418Y1 (ko) 컵 뚜껑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KR101092415B1 (ko) 역류방지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CN204169562U (zh) 带纸巾的纸杯
JP2011225282A (ja) 噴きこぼれ防止のための飲料その他のパック容器、噴きこぼれ防止のためのパック容器用のストロー等の管、および噴きこぼれ防止のためのストロー等の管付きパック容器
US11759037B2 (en) Drinking straw
JP2008302981A (ja) 噴きこぼれ防止のための飲料その他のパック容器、噴きこぼれ防止のためのパック容器用のストロー等の管、および噴きこぼれ防止のためのストロー等の管付きパック容器
KR20140013446A (ko) 액체 흐름 방지 머그컵
JP3200500U (ja) ペットボトル用の栓体
RU67968U1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отребления напитка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отребления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KR101908691B1 (ko) 티백을 짤 수 있는 컵
TWM481666U (zh) 連結吸管之杯具
CN204970675U (zh) 一种一次性纸杯
KR20210130067A (ko) 바닥면이 경사진 컵
KR20230070354A (ko) 보조 병뚜껑
KR200322458Y1 (ko) 흘림방지용 음료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