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516U - 파일 보관함 - Google Patents

파일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516U
KR20120002516U KR2020100010173U KR20100010173U KR20120002516U KR 20120002516 U KR20120002516 U KR 20120002516U KR 2020100010173 U KR2020100010173 U KR 2020100010173U KR 20100010173 U KR20100010173 U KR 20100010173U KR 20120002516 U KR20120002516 U KR 201200025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file
water storage
female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901Y1 (ko
Inventor
임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모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모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모스트
Priority to KR2020100010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0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0Tray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파일 보관함을 암 보관부와 수 보관부로 분할형성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수 보관부를 인입하여 파일을 수 보관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일 보관함을 거치하기 위한 활용공간을 넓히고,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양이 많아 수 보관부만으로 파일을 보관할 수 없을 경우에는 암 보관부에서 수 보관부를 인출하여 암 보관부와 수 보관부에서 동시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파일을 보관할 경우 수 보관부의 걸림날개를 암 보관부의 걸림부에 삽입함으로써, 수 보관부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은 바닥면이 천정면 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정면이 개방된 암 보관부와; 바닥면이 천정면 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과 정면이 개방되며, 상기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수 보관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파일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암 보관부의 내부 양측벽에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수 보관부의 외부 양측벽에는 상기 암 보관부의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날개를 형성하여 상기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일 보관함{FILE STORAGE}
본 고안은 파일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 보관함을 암 보관부와 수 보관부로 분할형성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수 보관부를 인입하여 파일을 수 보관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양이 많아 수 보관부만으로 파일을 보관할 수 없을 경우에는 암 보관부에서 수 보관부를 인출하여 암 보관부와 수 보관부에서 동시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파일을 보관할 경우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에서 안정적으로 인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파일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파일보관함은 일반적으로 두꺼운 종이로 상부쪽이 개구되는 상자 형태로 되어 파일이나 각종 서류등을 종류별로 내장하여 보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도 파일이나 각종 서류등을 정리하고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 보관함이 다수 제안되었는 바, 이것은 대개가 그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킨 것에 그치고, 또한 소정의 수용공간이 있는 것에 불과하여 파일 또는 서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파일 보관함의 수용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므로 파일 보관함을 거치하고자 하는 활용공간이 불필요하게 많이 요구되며, 이와 반대로 파일 또는 서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파일 보관함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일 보관함을 암 보관부와 수 보관부로 분할형성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수 보관부를 인입하여 파일을 수 보관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일 보관함을 거치하기 위한 활용공간을 넓히고,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양이 많아 수 보관부만으로 파일을 보관할 수 없을 경우에는 암 보관부에서 수 보관부를 인출하여 암 보관부와 수 보관부에서 동시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파일을 보관할 경우 수 보관부의 걸림날개를 암 보관부의 걸림부에 삽입함으로써, 수 보관부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일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더한 다른 목적은 수 보관부의 걸림날개를 미싱을 하여 형성하므로서, 별다른 고정구조를 마련하지 않고도 저가의 비용으로 걸림날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보관함의 잦은 사용과 접촉에 의해 걸림날개에 파손 발생시 언제나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한 파일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고안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수 보관부를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수 보관부와 암 보관부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일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상기한 다수의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바닥면이 천정면 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정면이 개방된 암 보관부와; 바닥면이 천정면 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과 정면이 개방되며, 상기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수 보관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파일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암 보관부의 내부 양측벽에는 내벽면과 이격되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수 보관부의 외부 양측벽에는 상기 암 보관부의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날개를 형성하여 상기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은 파일 보관함을 암 보관부와 수 보관부로 분할형성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수 보관부를 인입하여 파일을 수 보관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일 보관함을 거치하기 위한 활용공간을 넓히고,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양이 많아 수 보관부만으로 파일을 보관할 수 없을 경우에는 암 보관부에서 수 보관부를 인출하여 암 보관부와 수 보관부에서 동시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파일을 보관할 경우 수 보관부의 걸림날개를 암 보관부의 걸림부에 삽입함으로써, 수 보관부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 보관부가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 보관부의 걸림날개를 미싱을 하여 형성하므로서, 별다른 고정구조를 마련하지 않고도 저가의 비용으로 걸림날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보관함의 잦은 사용과 접촉에 의해 걸림날개에 파손 발생시 언제나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 보관부를 암 보관부의 내부공간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수 보관부와 암 보관부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의 암 보관부 및 수 보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의 암 보관부가 수 보관부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의 암 보관부 및 수 보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의 암 보관부가 수 보관부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1)은 암 보관부(10)와, 수 보관부(2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암 보관부(10)는 내부공간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정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천정면 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보관되어진 파일을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다.
상기 수 보관부(20)는 내부공간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과 정면이 개방되고, 상기 암 보관부(10)와 동일하게 바닥면이 천정면 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 보관부(20)의 내부공간에 보관되어진 파일을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수 보관부(20)는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인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보관할 파일의 양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 보관부(20)가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파일을 보관하여 파일 보관함을 거치하기 위한 활용공간을 넓히고, 보관할 파일의 양이 많아 수 보관부(20)만으로 파일을 보관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수 보관부(20)를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서 인출하여 암 보관부(10)에도 파일을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 보관부(10)의 입구측 내부 양측벽에는 걸림부(11)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수 보관부(20)의 외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부(11)에 걸리는 걸림날개(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 보관부(10)의 걸림부(11)는 암 보관부(10)의 내벽면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지되, 평상시에는 상기 암 보관부(10)의 내벽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상기 수 보관부(20)를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인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 보관부(20)를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먼저 인입한 다음 걸림부(11)를 하나씩 당겨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 보관부(20)의 걸림날개(21)가 암 보관부(10)의 내벽면과 암 보관부(10)의 걸림부(11)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수 보관부(20)에 보관된 파일을 꺼내고자 암 보관부(10)에서 수 보관부(2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수 보관부(20)가 암 보관부(10)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 보관부(20)의 걸림날개(21)는 수 보관부(20)의 내벽면을 따라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미싱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날개(21)를 미싱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별다른 고정구조를 마련하지 않고도 저가의 실을 이용하여 걸림날개(21)를 형성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보관함의 잦은 사용과 접촉에 의해 걸림날개(21)에 파손 발생시 언제나 용이하게 보수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날개(21)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은 비교적 굵은 실이을 사용하거나 걸림날개(21)가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여러번 반복해서 미싱을 하여 암 보관부(10)의 걸림부(11) 사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 보관부(20)의 정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중공홀(23)이 전후로 관통되는 걸림턱(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2)은 수 보관부(20)의 내부공간에 보관되어진 파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2)의 중공홀(23)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탄성걸림돌기(31)를 통해 장착되는 고정구(30)가 더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1)의 실시예로서, 상기 수 보관부(20)는 바닥면이 암 보관부(10)의 천정면에 맞닿도록 인입하고, 수 보관부(20)의 천정면이 암 보관부(10)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인입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파일 보관함(1)은 밀폐된 밀폐된 상태가 되어 상기 수 보관부(20) 및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사용자가 먼지 또는 이물질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 보관부(20)의 걸림날개(21) 내측으로는 출입 제어용 손잡이(24)가 수 보관부(20)의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 보관부(20)를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보충하면, 상기 출입 제어용 손잡이(24)는 일부분은 상기 수 보관부(20)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어 상기 수 보관부(20)의 내/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 보관부(20)를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인입하거나 인출하고자 상기 출입 제어용 손잡이(24)를 파지할 경우 수 보관부(20)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절개된 부분이 상기 수 보관부(20)의 내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파지감을 제공한다.
1 : 파일 보관함 10 : 암 보관부
11 : 걸림부 20 : 수 보관부
21 : 걸림날개 22 : 걸림턱
23 : 중공홀 24 : 출입 제어용 손잡이
30 : 고정구 31 : 탄성걸림돌기

Claims (5)

  1. 바닥면이 천정면 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정면이 개방된 암 보관부(10)와; 바닥면이 천정면 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과 정면이 개방되며, 상기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수 보관부(2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파일 보관함(1)에 있어서,
    상기 암 보관부(10)의 내부 양측벽에는 내벽면과 이격되는 걸림부(11)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수 보관부(20)의 외부 양측벽에는 상기 암 보관부(10)의 걸림부(11)에 걸리는 걸림날개(21)를 형성하여 상기 수 보관부(20)가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날개(21)는 수 보관부(20)의 내벽면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미싱을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보관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 보관부(20)의 정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이중구조의 중공홀(23)이 전후로 관통되는 걸림턱(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2)의 중공홀(23)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탄성걸림돌기(31)를 통해 장착되는 고정구(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보관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 보관부(20)는 바닥면이 암 보관부(10)의 천정면에 맞닿도록 인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 보관부(20) 및 암 보관부(10)의 내부공간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보관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 보관부(20)의 걸림날개(21) 내측으로는 상기 수 보관부(20)를 암 보관부(10)에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출입 제어용 손잡이(24)가 수 보관부(20)의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보관함.
KR2020100010173U 2010-10-01 2010-10-01 파일 보관함 KR200461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73U KR200461901Y1 (ko) 2010-10-01 2010-10-01 파일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73U KR200461901Y1 (ko) 2010-10-01 2010-10-01 파일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16U true KR20120002516U (ko) 2012-04-12
KR200461901Y1 KR200461901Y1 (ko) 2012-08-14

Family

ID=4660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173U KR200461901Y1 (ko) 2010-10-01 2010-10-01 파일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786B1 (ko) * 2019-01-17 2019-11-20 주식회사 에이티앤아이 기록물 보존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00Y1 (ko) 1999-11-18 2000-04-15 최우진 색인기능을 갖는 박스타입 파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786B1 (ko) * 2019-01-17 2019-11-20 주식회사 에이티앤아이 기록물 보존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901Y1 (ko) 201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13108U (zh) 存储装置系统
KR102114074B1 (ko) 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9227316B2 (en) Tool box
CN105083689A (zh) 储存系统
KR20070093296A (ko) 인출식 계란케이스를 갖는 냉장고의 도어포켓
KR20120002516U (ko) 파일 보관함
DE202013003740U1 (de) Werkzeugverstauungsbehälter
CN205890302U (zh) 胶化纸档案盒
TWM562839U (zh) 整理箱之結構改良(一)
KR200439489Y1 (ko) 낚싯대 보관용 케이스
KR200375673Y1 (ko) 십자수용 실 케이스
KR101481025B1 (ko) 낚시용품 수납장
KR200444120Y1 (ko) 낚싯줄 감개 및 이를 포함한 낚싯대 보관용 케이스
KR100977144B1 (ko) 우산 분실 방지 신발장
JP2008161140A (ja) 釣竿ケ−ス
KR200446324Y1 (ko) 부품보관함
JP2019088523A (ja) 収納ケース
US20170320697A1 (en) Streamer Dispenser
KR200311695Y1 (ko) 십자수용 실 보관 케이스
KR101325664B1 (ko) 측면 개방형 수납박스
KR20130003848U (ko) 인출이 용이한 넥타이 걸이블럭
JP2012180114A (ja) スプール式テープ自動切断ボックス
JP2010110538A (ja) 収納具
US20240164361A1 (en) Fishing tackle storage system and method
JP2008005806A (ja) 糸巻きケ−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