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481U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481U
KR20120002481U KR2020100010124U KR20100010124U KR20120002481U KR 20120002481 U KR20120002481 U KR 20120002481U KR 2020100010124 U KR2020100010124 U KR 2020100010124U KR 20100010124 U KR20100010124 U KR 20100010124U KR 20120002481 U KR20120002481 U KR 201200024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water purifier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977Y1 (ko
Inventor
김철호
최인두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97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정수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일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 개방부를 덮도록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와 전장부품이 장착되며 필터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배치되는 제1공간과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제2공간을 구획하도록 제공된 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개선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발달에 따라 환경 오염도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오염의 일례로 물에 대한 오염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시설물에는 정수시설을 통해 정수된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으나, 환경오염이 증가됨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수돗물을 정수하여 사용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고, 이러한 필터를 연결하는 배관 및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정수기에는 펌프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및 각종 밸브, 살균장치, HPS(High Pressure Switch), LPS(Low Pressure Switch), 전원공급장치 등의 각종 전기장치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전선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케이스의 내측면에 복수의 클립이 설치되고, 이 클립들에 필터들이 결합된다.
또한, 종래에는 필터가 클립에 의해 고정되는바,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케이스의 측면에 커버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케이스의 측면이 개폐됨으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의 저하를 막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정수기는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케이스의 커버를 열 경우,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부재 등 풀어야 하므로 필터의 교체과정이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필터의 주변에 각종 배관 또는 전선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배관 또는 전선 등에 의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무리한 교체시 배관 또는 전선 등이 상해를 입거나 끊어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는 전선 등이 상해에 의해 노출되거나 끊어질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어 더욱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종래에는 정수기의 내부 하측에 누수 또는 결로 현상 등에 의해 물이 잔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의 교체시 잔류된 물에 닿을 경우 누전 등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필터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필터 클립을 이용하고 있으나, 필터 클립의 조립과정이 번거롭고, 필터의 교체시 필터와 필터 클립의 방향을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필터 클립의 사용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고, 조립과정이 복잡해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필터를 무리하여 장착할 경우, 필터 클립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필터와 전장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독립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일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 개방부를 덮도록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와 전장부품이 장착되며 필터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배치되는 제1공간과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제2공간을 구획하도록 제공된 본체부;를 포함한다.
필터는 본체의 제1공간에서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필터는 복수개로 제공되어 복수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체부는 필터가 삽입되는 복수의 장착홀이 형성되며 필터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면판부재와, 전면판부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필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부재에는 필터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전장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튜브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부품은 펌프, 살균장치, 밸브개폐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와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성체와, 케이스와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된 피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와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돌출부와, 케이스와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돌출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피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에 설치되어 필터와 케이스 사이로 삽입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및 전장부품들이 서로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므로 필터의 교체시 전장부품을 연결하는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며, 교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선의 단선 등을 막을 수 있고, 배선의 단선 등으로 인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로 공급되는 배관 및 이 배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장치 등의 부품들이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므로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배관 등이 빠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실내공간이 깨끗하므로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터 클립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필터의 장착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커버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커버부를 분리하여 내부를 보인 후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커버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20)가 설치되는 본체부(12)와, 이 본체부(12)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스(14)는 일측면에 필터 등을 교체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4)에는 개방부를 차폐하기 위한 커버부(16)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0)는 물 공급원, 일례로 수돗물과 연결될 수 있으며, 수돗물 등의 물에 포함된 세균, 녹 또는 유기물 등의 각종 불순물 및 냄새 등을 여과할 수 있다.
일례로 필터(20)는 이온교환수지, 활성탄 또는 은활성탄 등의 흡착소재가 사용되거나, 분리용 중공사막(membrane) 등의 여과기능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20)는 여과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기능을 갖는 필터(20)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에는 물을 필터(20)로 순환시키거나 살균 등의 수처리하기 위한 전장부품(18)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부품(18)들의 일례로는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18a), 물을 전기적으로 분해처리하거나 자화시켜 살균기능을 하도록 한 살균장치, 배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밸브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장치 이외에도 고압스위치(HPS : High Pressure Switch), 저압스위치(LPS : Low Pressure Switch), 전원공급장치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장부품(18)들에는 물이 순환하기 위한 튜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필터(20)는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20)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복층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수기(10)는 필터(20)들이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체부(12)에는 필터(20)들이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제1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는 제1공간측에 필터(20)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에는 제1공간과 구획되는 제2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간에는 전장부품(18)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2)는 필터(20)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설치되는 제1공간과 전장부품(18)들이 설치되는 제2공간이 구획되도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필터(20)의 교환시 전장부품(18)들이 외측, 즉 제1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필터(20)들은 본체부(12)에 횡방향으로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본체부(12)에 형성되는 개방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스(1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16)에는 분리 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수기(10)는 커버부(16)를 케이스(14)로부터 쉽게 분리,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30)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이 결합수단(30)은 케이스(14)와 커버부(16)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성체(32)를 포함하며, 케이스(14)와 커버부(16) 중 다른 하나에는 이 자성체(32)에 부착되는 피자성체(3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14)의 일측에 자성체(32)를 설치할 수 있는 제1브라켓(33)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제1브라켓(33)에 자성체(32)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커버부(16)에는 이 자성체(32)에 부착되기 위해 피자성체(34)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6)에는 피자성체(34)를 고정하기 위한 제2브라켓(35)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피자성체(34)는 금속판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피자성체(34)는 체결부재 등에 의해 제2브라켓(35)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16)의 피자성체(34)가 케이스(14)의 자성체(32)에 부착됨에 따라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결합수단(30)은 케이스(14)와 커버부(16)의 상부에만 자성체(32)와 피자성체(34)의 부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돌출부(36) 및 피돌출부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16)의 후면 하부에는 후크 형태의 돌출부(3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의 저면 하부에는 피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피돌출부는 후크 형태의 돌출부(36)가 걸리도록 제공된 고정브라켓(37)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브라켓(37)에는 고정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고정돌기 또는 홈에 후크 형태의 돌출부(36)가 걸리며 하단을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케이스(14)와 커버부(16)의 하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는 자성체(32) 및 피자성체(3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본체부(12)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2)는 필터(20)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장착홀(122a)이 형성된 전면판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판부재(122)는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동시에 필터(20)의 전단부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판부재(122)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안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부(124)의 내부에는 장착홀(122a)을 통해 삽입된 필터(20)들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124)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필터(20)들은 튜브 등을 통해 본체부(12)의 제2공간에 설치된 전장부품(18)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판부재(122)에는 필터(20)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전장부품들을 연결하는 튜브가 통과하는 구멍(12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의 후방에는 후면판부재(12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후면판부재(126)에는 전장부품(18)의 일례로 펌프(18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판부재(121) 및 하부판부재(12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커버부를 분리하여 내부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커버부(16)에는 필터(20)와 접촉하는 완충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40)는 커버부(16)의 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완충부재(40)는 커버부(16)를 케이스(14)에 결합시 필터(20)와 케이스(14)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40)는 필터(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이송중 낙하 등에 의해 정수기(10) 또는 필터(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10)의 필터(20) 교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터(20)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4)의 전면에 결합된 커버부(16)를 분리한다.
이때 커버부(16)의 상부를 가볍게 당기면 케이스(14)에 설치된 자성체(32)와 커버부(16)에 설치된 피자성체(34)가 분리된다. 그리고, 커버부(16)의 하부에 형성된 후크 형태의 돌출부(36)를 케이스(14)의 고정브라켓(37)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14)와 커버부(16)가 분리되면, 본체부(12)의 필터(20)들에 연결된 각각의 튜브들을 분리한다. 그리고, 본체부(12)의 안착부(124)에 안착된 필터(20)들을 장착홀(122a)을 통해 분리한다.
이와 같이 필터(20)들이 분리되면 전면판부재(122)의 장착홀(122a)을 통하여 안착부(124)에 새로운 필터(20)들을 끼워 넣는다. 이때 필터(20)들이 설치된 제1공간은 전선이나 배관들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필터(20)들을 쉽게 삽입하여 끼워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필터(20)들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대응하는 튜브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필터(20)에 튜브의 연결이 완료되면, 케이스(14)의 전면에 커버부(16)를 닫아 필터(20)의 교체를 완료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정수기 12 : 본체부
121 : 상부판부재 122 : 전면판부재
122a : 장착홀 122b : 구멍
124 : 안착부 126 : 후면판부재
128 : 하부판부재 14 : 케이스
16 : 커버부 17 : 손잡이
18 : 전장부품 18a : 펌프
20 : 필터 30 : 결합수단
32 : 자성체 33 : 제1브라켓
34 : 피자성체 35 : 제2브라켓
36 : 돌출부 37 : 고정브라켓
40 : 완충부재

Claims (9)

  1. 일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와 전장부품이 장착되며 상기 필터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배치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제2공간을 구획하도록 제공된 본체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본체의 제1공간에서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복수개로 제공되어 복수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필터가 삽입되는 복수의 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면판부재와,
    상기 전면판부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전장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튜브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은 펌프, 살균장치, 밸브개폐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성체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된 피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피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 상기 케이스 사이로 삽입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2020100010124U 2010-09-30 2010-09-30 정수기 KR200475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24U KR200475977Y1 (ko) 2010-09-30 2010-09-3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24U KR200475977Y1 (ko) 2010-09-30 2010-09-3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81U true KR20120002481U (ko) 2012-04-09
KR200475977Y1 KR200475977Y1 (ko) 2015-01-16

Family

ID=4660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124U KR200475977Y1 (ko) 2010-09-30 2010-09-3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9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757A (ko) * 2016-05-03 2017-11-1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80014988A (ko) * 2016-08-02 2018-0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43935A (ko) * 2020-09-28 2022-04-06 주식회사 쿱엔지니어링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968A (ko) 2019-11-19 202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492480Y1 (ko) * 2020-08-13 2020-10-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필터 교체가 용이한 정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334Y1 (ko) * 1990-01-23 1992-05-25 주식회사 흥 양 휴대용 정수기
KR0118773Y1 (ko) * 1994-11-03 1998-06-01 이영서 정수기의 정수 순환장치
KR200265681Y1 (ko) 2001-11-13 2002-02-21 (주) 에이씨이전자 정수기 케이스의 개량구조
KR101049644B1 (ko) * 2008-09-25 2011-07-14 주식회사 아티클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757A (ko) * 2016-05-03 2017-11-1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80014988A (ko) * 2016-08-02 2018-0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43935A (ko) * 2020-09-28 2022-04-06 주식회사 쿱엔지니어링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977Y1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2481U (ko) 정수기
CN214198925U (zh) 一种消毒灭菌净化模块及其组成的空调
CN105674418A (zh) 一种模块式空气清新机
KR200408232Y1 (ko) 슬라이드 필터 교환 방식 정수기
CN203155021U (zh) 一种高压静电空气净化器
KR101611293B1 (ko) 정수기
KR20140005016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한 매트리스 구조체
KR20110126361A (ko) 자외선 살균 탱크
KR200254463Y1 (ko)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CN208345876U (zh) 净水机
CN216963954U (zh) 滤芯支架、过滤装置及空气处理设备
CN214307472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空气净化器
US9302920B1 (en) Integrated controller and method for a water filtration system
KR101122670B1 (ko) 정수기의 여과필터 모듈장치
CN215798599U (zh) 杀菌模块及净水机
CN218154677U (zh) 一种多层过滤消毒的净化箱
CN215233303U (zh) 电路板、风机与外壳的组装结构
CN217068156U (zh) 一种便于滤芯拆装的框架及具有该框架的过滤器
CN216977057U (zh) 一种管道杀菌除臭新风净化机
CN219868318U (zh) 一种消毒净化模块及空气消毒净化器
CN111111917B (zh) 净化装置
CN212720172U (zh) 空气净化模块及空气调节装置
CN218179162U (zh) 一种空气过滤装置
CN216448334U (zh) 空气净化进风格栅及空气消毒站
KR20100052388A (ko)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