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334Y1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334Y1
KR920003334Y1 KR2019900000751U KR900000751U KR920003334Y1 KR 920003334 Y1 KR920003334 Y1 KR 920003334Y1 KR 2019900000751 U KR2019900000751 U KR 2019900000751U KR 900000751 U KR900000751 U KR 900000751U KR 920003334 Y1 KR920003334 Y1 KR 920003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purifier
chamb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012U (ko
Inventor
김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 양
김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 양, 김운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 양
Priority to KR2019900000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334Y1/ko
Publication of KR910014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정순부 계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수리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수기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a : 제1실
1b : 제2실 1c : 제3실
2 : 가압펌프 4 : 제1필터
7 : 멤브레인 9 : 제2필터
13 : 케이스 13a : 본체
13b : 덮개
본 고안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에게 직접하고자 할때 휴대할 수 있도록한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이르러 산업이 발달함에 따락 산업 폐기물이 생성되어 수질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기 때문에,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상수저리장에서 처리된 물이라 할지라도 허용치 이상의 세균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수인성 전염병이 빈번허 발생하는 하절기에는 물을 끊여서 음료수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물을 끓여서 음료수로사웅하는데에는 많은 불편한 점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물맛이 없어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상수도와 직접 연결하여 물속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정수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비교적 큰입자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전처리필터와, 이 전치리 필터로부터 오는 물속의 오염물질과 세균을 분리하여 순수한 물만을 생성시키는 멤브레인, 그리고 이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나오는 물속의 나쁜성분을 정수하는 후처리 필터와, 이 후처리 필터에서 나오는 물을 저장한는 저수탱크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정수기는 개개의 기능을 달리하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품설명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소로 갈때에는 제품설명서등만을 가지고 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소이동시 직접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제2, 제3실로 구획 형성되는 용기와, 원수가 담겨지는 제1실의 물을 순환시키는 가압펌프와, 이 가압펌프에 의해 이송 되어온 물속의 오염물질과 세균을 분리하는 멤브레인과, 상기한 멤브레인에서 처리된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장착판상에 고정 설치되저 이루어지는 정수부가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내에 수납되어 휴대가능케 구성되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정수부 계통도로서, 부호(1)은 용기를 나타낸다.
용기(1)은 원수가 담겨지는 제1실(1a)와, 농축수가 담겨지는 제2실(1b)와, 처리수가 담겨지는 제3실(1c)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용기(1)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실(1a)은 가압펌프(2)와 호스(3)으로 연통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압펌프(9)는 제1필터(8)와 호스(5)로 연통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필터(4)는 하단부가 제2실(1b)와 호스(6)으로 연통 설치된 멤프레인(7)과 연통 설치되어 있으며, 이 멤브레인(7)은 제3실(1c)와 호스(8)로 연통 설치된 제2필터(9)와 연통 설치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정수부가 장착판(10)에 고정 설치된 상태와 케이스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용기(1)은 장착판(10)과 동일재질로 이루어져 접착되어 있으며, 제1필터(4)와 멤브레인(7), 그리고 제2필터(9)는 하나의 조합체를 이루며 협지구(11)에 의해 장착판(1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압펌프(2)는 보조판(12)로 장착판(1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3)은 손잡이(14)를 보유하는 본체(13a)와, 이 본체(13a)에 덮여져 록킹수단(15)에 의해 고정 되는 덮개(13b)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결합 상태 사시도로서, 정수부의 장착판(10)이 케이스(13)의 본체(13a)내에 고정 설치되어 내장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사용설명서나 기타 공구를 넣을 수 있는 포켓부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긍되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정수기는 정수부가 케이스(13)내에 내장되기 때문에 덮개(13b)를 덮게 되면 휴대하기가 간편하게 된다.
게다가 본 고안의 휴대요 정수기는 정수부를 세운 상태로 하여 제1실(1a)에 오염수를 넣고 가압펌프(2)를 전원에 연결하게 되면 가압펌프(2)가 작동함에 의해 제1실(1a)내의 물이 제1필터(4)로 이송된다.
제1필터(4)로 이송된 물은 1차 필터링 되어 멤브레임(7)로 들어가고 이곳에서 오염물질과 세균이 분리된 물은 제2필터(9)로 보내져 최종적으로 정수되어 제3실(1c)로 들어간다.
이러한 작용이 연속 반복되면서 오염수가 정수되는데 본 고안은 용기(1)이 투병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에 기인 하여 정수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용 정수기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갖고 갈 수 있으며, 또한 그 장소에서 제품의 정수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제1, 2, 3실(1a), (1b), (1c)로 구획 형성되는 용기(1)과, 제1실(1a)의 물을 순환시키는 가압펌프(2)와, 이 가압펌프(2)에 의해 이송 되어온 물을 정수하는 제1필터(4), 멤브레인(7), 제2필터(9)로 이루어지는 정수부가 본체(13a)와 덮개(13b)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3)에 내장되어 휴대 가능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2019900000751U 1990-01-23 1990-01-23 휴대용 정수기 KR920003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751U KR920003334Y1 (ko) 1990-01-23 1990-01-23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751U KR920003334Y1 (ko) 1990-01-23 1990-01-23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012U KR910014012U (ko) 1991-08-30
KR920003334Y1 true KR920003334Y1 (ko) 1992-05-25

Family

ID=1929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751U KR920003334Y1 (ko) 1990-01-23 1990-01-23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77Y1 (ko) * 2010-09-30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77Y1 (ko) * 2010-09-30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012U (ko) 199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0355A1 (en) Water purification unit
AU1753995A (en) Process for purifying and reusing surfactant-containing waste waters
DE8700987U1 (ko)
KR920003334Y1 (ko) 휴대용 정수기
FR2747595B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fourniture d'helium ultra-pur
EP0307373A3 (en) Purification process
KR100389724B1 (ko) 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CN208055092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200168473Y1 (ko) 휴대용 정수장치
CN2213015Y (zh) 长流程隔套式净水吸附滤芯
EP0613862A3 (de) Verfahren zur Reduzierung der Schadstoffkonzentration von aus industriellen Prozessen stammenden Abwässern.
JPH01262983A (ja) 浄水器
CN212504398U (zh) 一种多功能工业水处理高速过滤处理装置
CN212198867U (zh) 一种咸蛋生产废水自动处理设备
KR20030032269A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KR910003241Y1 (ko) 생활 용수 정수 장치
GB2286344A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JPH0947761A (ja) 浄水器
CN213294897U (zh) 一种新型生活污水净化设备
JPH07328660A (ja) 浄水装置
WO2004009495A3 (en) Portable compact ultra high purity water system via direct processing from city feed water
RU2113410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водоочис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фляга"
JPS6274418A (ja) 携帯式浄水器
JPH0366691U (ko)
RU1770285C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ззараживани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