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301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301A
KR20120002301A KR1020100063112A KR20100063112A KR20120002301A KR 20120002301 A KR20120002301 A KR 20120002301A KR 1020100063112 A KR1020100063112 A KR 1020100063112A KR 20100063112 A KR20100063112 A KR 20100063112A KR 20120002301 A KR20120002301 A KR 2012000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torage tank
water
water leve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954B1 (ko
Inventor
이수윤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9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Abstract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는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기본체(B) 내에 구비되며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장탱크(200); 상기 저장탱크(200) 내에 구비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E)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300); 상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상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400); 및 상기 수위조절부(400)와 연계하여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생성된 얼음(I)을 얼음저장고(S)로 이송하는 이송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과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이송하는 것을 하나의 구동원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얼음의 생성을 위해서 제빙기에는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구비되어 있다.
제빙기에는 냉수탱크가 구비되고 냉수탱크에는 별도의 냉동사이클에 포함되거나 얼음의 생성을 위한 증발기에 연결된 냉수생성을 위한 증발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켜서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기에서 얼음생성과 냉수생성을 실시하려면 얼음생성을 위한 증발기와 냉수생성을 위한 증발기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 냉수생성을 위해서 생성된 얼음을 냉수탱크로 보내어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켜 냉수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냉수생성을 위한 얼음의 제조가 이루어져서 냉수탱크의 수위가 올라가 일정수위 이상의 냉수는 버려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에 연결된 침지부재가 구비된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하여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냉각과 침지부재의 얼음생성을 하는 경우에는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구동원과 침지부재에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보내는 구동원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과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이송하는 것을 하나의 구동원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저장탱크 내의 수위를 조절하여 저장탱크에 구비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침지부재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서 하나의 증발기로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거나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기본체 내에 구비되며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장탱크; 저장탱크 내에 구비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거나 복수개의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 및 수위조절부와 연계하여 복수개의 침지부재에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이송하는 이송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위조절부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담기는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가 저장탱크 내에서 이동되도록 저장용기에 연결된 이동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수위조절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빙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이송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본체에는 회전축돌기가 형성되고, 연결부재에는 회전축돌기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기본체에는 곡선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송부재의 일측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침지부재에 생성된 얼음의 탈빙시 얼음이 이송부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과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이송하는 것을 하나의 구동원으로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저장탱크 내의 수위를 조절하여 저장탱크에 구비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침지부재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서 하나의 증발기로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거나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저장탱크(200)와 침지부재(300), 수위조절부(400) 및, 이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빙기본체(B)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200)에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물공급관(도시되지 않은)에 의해서 물이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침지부재(300)는 저장탱크(2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개의 침지부재(300)는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300)에는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거나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하는 경우에 침지부재(300)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침지부재(300)에 생성된 얼음(I)을 탈빙(脫氷)하고자 하는 경우에 침지부재(300)에는 뜨거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수위조절부(400)는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침지부재(300)가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에 잠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침지부재(300)가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에 잠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되면,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거나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증발기(E)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조절부(4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410)와 이동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410)에는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담길 수 있다. 즉,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저장용기(4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저장용기(410)가 저장탱크(200)에 위치되거나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조절되면, 저장용기(410)에는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용기(410)에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담긴 상태에서 저장용기(410)를 저장탱크(20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면, 저장용기(410)의 저장탱크(200)에서의 위치에 따라서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용기(4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용기(410)의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담기며 저장탱크(200)에서의 위치에 따라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개수라면 1개나 3개 이상의 개수도 가능하다.
이동수단(42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420)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용기(410)가 저장탱크(200) 내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42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421)와 구동모터(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42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4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부재(421)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422)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421)에 형성된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422)의 구동에 의해서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부재(421)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수단(420)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421)와 구동모터(422)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용기(410)에 연결되어 저장용기(410)를 저장탱크(200)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수위조절부(400)의 구성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410)와 이동수단(420)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부레와 이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송부(500)는 수위조절부(400)와 연계하여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생성된 얼음(I)을 얼음저장고(S)로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과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이송하는 것을 하나의 구동원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를 위해서 이송부(500)는 연결부재(510)와 이송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51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위조절부(4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위조절부(400)의 저장용기(4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510)는 수위조절부(400)의 저장용기(410)에 힌지 등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빙기본체(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410)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재(510)가 회전될 수 있다. 연결부재(510)가 제빙기본체(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빙기본체(B)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돌기(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51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공(5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410)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재(510)가 회전되면서 장공(510a)을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부재(520)는 연결부재(5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부재(520)도 연결부재(510)의 타측에 힌지 등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410)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재(510)가 회전되고 연결부재(510)의 회전에 의해서 이송부재(520)도 이동될 수 있다. 이송부재(52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빙본체(B)에는 곡선의 가이드홈(G)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520)의 일측에는 가이드홈(G)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5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520)의 이동과 회전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52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멍(52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재(520)의 구멍(520b)을 통해서 얼음(I)을 얼음저장고(S)로 이송할 때 이송부재(520)에 담겨지는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520)에 의한 얼음저장고(S)로의 얼음(I)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저장탱크(200)에 구비된 안내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재(6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 또는 양측이 제빙기본체(B)에 이송부재(520) 쪽이 낮도록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생성된 얼음(I)이 탈빙되어 낙하되면 이러한 안내부재(600)에 의해서 얼음(I)이 이송부(500)의 이송부재(520)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구동모터(422)를 구동하여 이동부재(421)를 하강시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410)가 저장탱크(20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510)는 회전축돌기(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장공(510a)을 따라 저장용기(410) 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송부재(5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200)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후,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물공급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저장탱크(200)에 물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저장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저장탱크(200)에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면 저장용기(410)에도 물이 유입되어 담기게 된다. 이러한 저장탱크(200)로의 물의 공급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410)에 물이 유입되어 담기거나 복수개의 침지부재(300)가 연결된 증발기(E)가 잠길 수 있는 물의 수위까지 이루어진다.
그리고,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을 구동하여 증발기(E)와 침지부재(30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된다.
한편, 침지부재(300)에 원하는 형태와 크기의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22)를 구동하여 이동부재(421)를 약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410)도 상승하게 되고, 저장용기(410)의 상승에 따라 저장탱크(200)의 물의 수위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려가게 된다. 또한, 저장용기(410)의 상승에 따라 연결부재(510)는 회전축돌기(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장공(510a)을 따라 이송부재(520) 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송부재(520)는 이의 가이드돌기(520a)가 가이드홈(G)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이러한 저장용기(410)의 상승은 저장탱크(200)의 물의 수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00)에 원하는 형태와 크기의 얼음(I)이 생성가능한 수위에 이르기까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침지부재(30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00)에는 얼음(I)이 생성된다.
원하는 형태와 크기의 얼음(I)이 생성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22)를 구동하여 이동부재(421)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410)도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저장용기(410)의 상승에 따라 저장탱크(200)의 물의 수위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저장용기(410)의 상승에 따라 연결부재(510)는 회전축돌기(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장공(510a)을 따라 저장용기(410) 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송부재(520)는 가이드돌기(520a)가 가이드홈(G)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이후, 침지부재(30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하면 침지부재(300)와 얼음(I)의 부착부분이 녹으면서 얼음(I)이 침지부재(30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침지부재(30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서 낙하하여서 탈빙(脫氷)되고,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 위에 뜨게 된다. 이와 같이 낙하된 얼음(I)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600)에 의해서 이송부재(520) 쪽으로 이송된다.
이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22)를 구동하여 이동부재(421)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410)는 하강하게 되고, 저장용기(410)의 하강에 따라 저장탱크(200)의 물의 수위는 상승한다. 그리고, 연결부재(510)는 회전축돌기(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장공(510a)을 따라 이송부재(520) 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송부재(520)는 가이드돌기(520a)가 가이드홈(G)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이러한 구동모터(422)의 구동에 의한 저장용기(410)의 하강과 연결부재(510)의 회전과 이동, 그리고 이송부재(520)의 이동과 회전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까지 계속되면,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에 떠서 이송부재(520) 쪽으로 이동한 얼음(I)은 이송부재(520)에 담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송부재(520)에 담겨진 얼음(I)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저장용기(410)의 하강과 연결부재(510)의 회전과 이동, 이송부재(520)의 이동과 회전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고(S)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생성과 얼음생성을 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과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이송하는 것을 하나의 구동원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 200 : 저장탱크
300 : 침지부재 400 : 수위조절부
410 : 저장용기 420 : 이동수단
421 : 이동부재 422 : 구동모터
500 : 이송부 510 : 연결부재
510a : 장공 520 : 이송부재
520a : 가이드돌기 520b : 구멍
600 : 안내부재 B : 제빙기본체
S : 얼음저장고 E : 증발기
G : 가이드홈 A : 회전축돌기
I : 얼음

Claims (6)

  1. 제빙기본체(B) 내에 구비되며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장탱크(200);
    상기 저장탱크(200) 내에 구비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E)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300);
    상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얼음(I)이 생성되도록 상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400); 및
    상기 수위조절부(400)와 연계하여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생성된 얼음(I)을 얼음저장고(S)로 이송하는 이송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400)는
    상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담기는 저장용기(410); 및
    상기 저장용기(410)가 상기 저장탱크(200) 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저장용기(410)에 연결된 이동수단(4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500)는
    상기 수위조절부(40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빙기본체(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510); 및
    상기 연결부재(5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이송부재(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본체(B)에는 회전축돌기(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510)에는 상기 회전축돌기(A)가 삽입되는 장공(5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본체(B)에는 곡선의 가이드홈(G)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재(52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G)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52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200)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300)에 생성된 얼음(I)의 탈빙시 얼음(I)이 상기 이송부(500)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100063112A 2010-06-30 2010-06-30 제빙기 KR10168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12A KR101685954B1 (ko) 2010-06-30 2010-06-30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12A KR101685954B1 (ko) 2010-06-30 2010-06-30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01A true KR20120002301A (ko) 2012-01-05
KR101685954B1 KR101685954B1 (ko) 2016-12-13

Family

ID=4560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112A KR101685954B1 (ko) 2010-06-30 2010-06-30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84B1 (ko) * 2012-12-05 2014-09-23 주식회사 동양매직 얼음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271A (en) * 1987-07-14 1989-01-23 Sanyo Electric Co Ice making machine
JPH0564680U (ja) * 1991-12-10 1993-08-2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製氷機の白濁防止機構
JP2002333245A (ja) * 2001-05-09 2002-11-22 Sanyo Electric Co Ltd ロッド式製氷機
KR100729962B1 (ko) * 2005-10-21 2007-06-1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271A (en) * 1987-07-14 1989-01-23 Sanyo Electric Co Ice making machine
JPH0564680U (ja) * 1991-12-10 1993-08-2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製氷機の白濁防止機構
JP2002333245A (ja) * 2001-05-09 2002-11-22 Sanyo Electric Co Ltd ロッド式製氷機
KR100729962B1 (ko) * 2005-10-21 2007-06-1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84B1 (ko) * 2012-12-05 2014-09-23 주식회사 동양매직 얼음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954B1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66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ducing clear ice, and refrigerator featuring such a device
JP5529933B2 (ja) アイスメーカ
EP2250450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40088321A (ko) 아이스 메이커
KR20090111717A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20090084048A (ko) 냉장고
KR101264666B1 (ko) 침지형 제빙유닛과 이를 이용한 얼음 제조방법
KR20120002301A (ko) 제빙기
KR20110109087A (ko) 제빙기
KR101488112B1 (ko) 제빙과 냉동보관이 이원화된 제빙기
KR102442820B1 (ko) 아이스 메이커
KR20120055750A (ko) 제빙기
KR102226421B1 (ko) 제빙기
KR20110098506A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20130047432A (ko) 제빙기
JP2005077029A (ja) 製氷機
KR101647650B1 (ko) 제빙기
KR20110001851A (ko) 제빙기
KR101754705B1 (ko)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KR101544378B1 (ko) 제빙기
KR20130140384A (ko) 제빙 장치
KR20130033045A (ko) 제빙기
KR102193470B1 (ko) 제빙기
KR101075060B1 (ko) 투명얼음 제조기 및 투명얼음 제조방법
KR101682460B1 (ko) 제빙 기능을 갖는 음료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