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029U -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 Google Patents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029U
KR20120002029U KR2020100009486U KR20100009486U KR20120002029U KR 20120002029 U KR20120002029 U KR 20120002029U KR 2020100009486 U KR2020100009486 U KR 2020100009486U KR 20100009486 U KR20100009486 U KR 20100009486U KR 20120002029 U KR20120002029 U KR 20120002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es
rafter
posts
powders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두
Original Assignee
이진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두 filed Critical 이진두
Priority to KR2020100009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029U/ko
Publication of KR20120002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후로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조체와 이 구조체들을 상호 연결하는 리지폴과 커넥팅파이프 등이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뒤틀림이나 휘어짐 등에 대해 강한 저항성을 갖고,
상호 간의 조립이 판재 타입의 연결브래킷에 의해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조립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고 아울러 분리 해체 또한 용이하며, 상호 간의 결합력 또한 우수하고,
특히 지붕 구조물을 이루는 래프터가 두 분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호 연결된 두 분체가 만곡 아치형을 이루고 있어 우박이나 폭우, 폭설 등으로 인한 충격이나 피로하중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한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은, 상호 이격되게 세워지는 두 포스트(post)와, 상기 두 포스트 각 상단부를 상호 잇기 위한 래프터(rafter)를 포함하고, 상호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조체; 및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에서 마주하는 래프터 및 포스트 각각을 상호 잇기 위한 리지폴(ridgepole) 및 커넥팅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포스트와 래프터, 상기 리지폴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각각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래프터는 아치(arch)형을 이루는 두 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포스트와 래프터의 두 분체, 상기 리지폴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각각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볼트대응체결공과 상기 커넥팅파이프를 위한 사각안착홈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두 포스트와 래프터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제1연결브래킷이 구비되며, 볼트대응체결공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래프터와 상기 리지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마주하는 포스트와 상기 커넥팅파이프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ㄱ'자형 제2연결브래킷이 구비되고, 볼트대응체결공과 상기 리지폴을 위한 사각안착홈을 갖고 상기 래프터의 두 분체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제3연결브래킷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STRUCTURE OF MULTIPURPOSE ASSEMBLY TYPE}
본 고안은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조립식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후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조체와 이 구조체들을 상호 연결하는 리지폴과 커넥팅파이프 등을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고, 특히 지붕 구조물인 래프터(rafter)를 우박이나 폭설, 폭우로부터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한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비닐하우스는 반원형으로 라운드진 골조파이프를 지면 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고정 설치하고 다수 개의 골조파이프 양측면과 상부에 각각 직선형의 지지파이프를 맞닿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거나 클램프부재(철사나 끈 등)로 연결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을 형성한 후 이 비닐하우스 구조물 위에 비닐을 전체적으로 덮어 씌워 완성된다.
조립식 건축구조물인 통상의 비닐하우스는 그 사용이 매우 한정적이고 가공 성형 등으로 부피가 커서 이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에 있어 특별한 장비나 용접 등의 기술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를 일일이 용접하여 연결하거나, 별도의 클램프부재를 이용해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전자(前者)의 용접 시에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철거 시 어려움이 있으며,
후자(後者)의 클램프부재 이용 시에는 용접에 비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견고성이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우박이나 폭우, 폭설 등에 의해 구조물이 빈번하게 손실되고, 특히 지붕을 이루는 구성의 내구성이 떨어져 더욱 더 손실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은,
상호 이격되게 세워지는 두 포스트(post)와, 상기 두 포스트 각 상단부를 상호 잇기 위한 래프터(rafter)를 포함하고, 상호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조체; 및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에서 마주하는 래프터 및 포스트 각각을 상호 잇기 위한 리지폴(ridgepole) 및 커넥팅파이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포스트와 래프터, 상기 리지폴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각각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래프터는 아치(arch)형을 이루는 두 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포스트와 래프터의 두 분체, 상기 리지폴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각각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볼트대응체결공과 상기 커넥팅파이프를 위한 사각안착홈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두 포스트와 래프터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제1연결브래킷이 구비되며,
볼트대응체결공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래프터와 상기 리지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의 마주하는 포스트와 상기 커넥팅파이프 각각을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ㄱ'자형 제2연결브래킷이 구비되고,
볼트대응체결공과 상기 리지폴을 위한 사각안착홈을 갖고, 상기 래프터의 두 분체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제3연결브래킷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에서 마주하는 포스트의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다수개의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커넥팅중계수단에 의해서 각 중단부(中端部)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에서 상기 래프터를 이루는 두 분체는 분체중계수단에 의해서 각 중단부(中端部)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조체와 이 구조체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리지폴이나 커넥팅파이프 등을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외력(강풍, 폭설 등)에 의한 뒤틀림이나 휘어짐 등에 대해 강한 저항성을 갖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 상호 간의 조립이 판재 타입의 연결브래킷에 의해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조립함으로서,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고 상호 간의 결합력 또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지붕의 서까래 기능을 하게 되는 래프터를 두 분체로 이루어지게 하고, 두 분체가 상호 연결되었을 때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만곡 아치형을 이룸으로서, 우박이나, 폭우, 폭설 등의 자연재해에 의한 충격이나 피로하중으로부터 버틸 수 있는 견고성 및 강한 내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입체 구성도,
도 3a는 도 2의 "A"에 대한 분해 구성도,
도 3b는 도 2의 "B"에 대한 분해 구성도,
도 3c는 도 2의 "C"에 대한 분해 구성도,
도 4는 도 1에 커넥팅중계수단과 분체중계수단이 마련된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보강체와 개폐체가 마련된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은,
상호 이격되게 세워지는 두 포스트(post)(11)와, 상기 두 포스트(11) 각 상단부를 상호 잇기 위한 래프터(rafter)(12)를 포함하고, 상호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 및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에서 마주하는 래프터(12) 및 포스트(11) 각각을 상호 잇기 위한 리지폴(ridgepole)(20) 및 커넥팅파이프(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포스트(11)와 래프터(12), 상기 리지폴(20)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30)는 각각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즉 사각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파이프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파이프에 비해 뒤틀림이나 휘어짐 등의 변형력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포스트(11)와 래프터(12), 상기 리지폴(20)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30)가 후술할 연결브래킷들에 의해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상호 조립하게 될 때에, 연결브래킷과의 면접촉 지지됨에 따라 더욱더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c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래프터(12)는 아치(arch)형을 이루는 두 분체(12a, 12b)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래프터(12)는 지붕 구조물인 서까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된 아치형을 이루는 상기 두 분체(12a, 12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두 분체(12a, 12b)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우로 분반(分半)한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두 분체(12a, 12b)는 후술할 제3연결브래킷(43)에 의해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상호 조립 연결되었을 때 아치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3a 내지 3c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포스트(11)와 래프터(12)의 두 분체(12a, 12b), 상기 리지폴(20)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30)는 각각 볼트체결공(H)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공(H)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거나,
또는 각 구성(포스트, 래프터, 리지폴 및 커넥팅파이프) 간의 연결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포스트(11)와 래프터(12)의 두 분체(12a, 12b), 상기 리지폴(20)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30)의 상호 간 조립을 위한 연결수단(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수단(40)은
도 3a에서와 같이, 볼트대응체결공(411)과 상기 커넥팅파이프(30)를 위한 사각안착홈(412)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두 포스트(11)와 래프터(12)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제1연결브래킷(41),
도 3b에서와 같이, 볼트대응체결공(421)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래프터(12)와 상기 리지폴(20),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마주하는 포스트(11)와 상기 커넥팅파이프(30) 각각을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ㄱ'자형 제2연결브래킷(42), 그리고
도 3c에서와 같이, 볼트대응체결공(431)과 상기 리지폴(20)을 위한 사각안착홈(432)을 갖고, 상기 래프터(12)의 두 분체(12a, 12b)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제3연결브래킷(4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브래킷(41)은 전체적으로 삼각 판재 형상을 이루고, 각 선분(線分)을 따라 상기 볼트대응체결공(4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3연결브래킷(43)은 전체적으로 삼각 판재 형상을 이루되, 사용 시 기준으로 볼 때 상하를 뒤집은 역삼각 판재 형상을 이루고, 각 선분을 따라 상기 볼트대응체결공(431)이 형성되며, 상부 선분 중심 영역에 하부방향으로 요입되는 상기 사각안착홈(4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브래킷(41)의 사각안착홈(412)은 상기 커넥팅파이프(30)를, 상기 3연결브래킷(43)의 사각안착홈(432)은 상기 리지폴(20)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볼트체결공(H)과 대응되는 상기 볼트대응체결공(411, 421, 431)에는 볼트가 삽입되고 삽입된 볼트는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전방에 상기 제1구조체(10A)가 배치되고, 후방에 상기 제2구조체(10B)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는 명칭만 달리할 뿐 동일 구성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또는 제2 구조체가 더 배치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커넥팅파이프(30)는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에서 마주하는 포스트(11)의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다수개의 상기 커넥팅파이프(30)는 커넥팅중계수단(50)에 의해서 각 중단부(中端部)가 상호 연결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커넥팅파이프(30)를 상하로 각각 1개씩 배치되게 구현하였고,
상기 커넥팅중계수단(50)은 상기 상하 커넥팅파이프(30)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넥팅중계수단(50)은
볼트대응체결공(511)을 갖고 삼각 판재를 이루며, 상부에 위치한 커넥팅파이프(30)와 하부에 위치한 커넥팅파이프(30) 각각에 배치되는 두 커넥팅중계브래킷(51), 그리고
볼트대응체결홀(521)을 갖고 상기 두 커넥팅중계브래킷(51)을 잇기 위한 중계파이프(5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계파이프(52)는 단면이 사각인 사각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커넥팅파이프(30)의 볼트체결공(H)과 상기 두 커넥팅중계브래킷(51)의 볼트대응체결공(511)과 상기 중계파이프(52)의 볼트대응체결홀(521)로 볼트를 삽입하고 삽입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서, 상하에 위치한 두 커넥팅파이프(30)의 상호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하에 위치한 상기 두 커넥팅파이프(30)는 상기 커넥팅중계수단(5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에서 상기 래프터(12)를 이루는 두 분체(12a, 12b)는 분체중계수단(60)에 의해서 각 중단부(中端部)가 상호 연결된다.
상기 분체중계수단(60)은
볼트대응체결공(611)을 갖고 삼각 판재를 이루며, 상기 두 분체(12a, 12b)의 각 중단부에 배치되는 두 분체중계브래킷(61), 그리고
볼트대응체결홀(621)을 갖고 상기 두 분체중계브래킷(61)을 잇기 위한 분체중계파이프(6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체중계파이프(62)는 단면이 사각인 사각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두 분체(12a, 12b)의 볼트체결공(H)과 상기 두 분체중계브래킷(61)의 볼트대응체결공(611)과 상기 분체중계파이프(62)의 볼트대응체결홀(621)로 볼트를 삽입하고 삽입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서, 상기 두 분체(12a, 12b)에서 각 중단부의 상호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체중계수단(60)에 의해 각 중단부가 상호 연결된 상기 두 분체(12a, 12b)는 특히 폭설로 인해 쌓인 눈의 하중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 사이에 상기 구조체와 상응한 형태인 다수의 보강체(70)를 더 마련할 수 있고,
또 상기 제1구조체(10A) 또는 상기 제2구조체(10B)에는 내외부의 출입을 위한 개폐체(80)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에서
내부보호부재로는 천막이나 비닐이 사용되고, 전술한 볼트로는 내부보호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둥근머리 렌치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은 농작물(식물, 채소, 과일, 화초 등) 재배 비닐하우스나 창고형 천막구조물, 군용막사구조물, 임시보호구조물, 간이창고, 유리온실 대체구조물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 : 볼트체결공
10A, 10B : 제1구조체, 제2구조체
11 : 포스트 12 : 래프터
12a, 12b : 분체
20 : 리지폴
30 : 커넥팅파이프
40 : 연결수단
41 : 제1연결브래킷 411 : 볼트대응체결공
412 : 사각안착홈
42 : 제2연결브래킷 421 : 볼트대응체결공
43 : 제3연결브래킷 431 : 볼트대응체결공
432 : 사각안착홈
50 : 커넥팅중계수단
51 : 커넥팅중계브래킷 511 : 볼트대응체결공
52 : 중계파이프 521 : 볼트대응체결홀
60 : 분체중계수단
61 : 분체중계브래킷 611 : 볼트대응체결공
62 : 분체중계파이프 621 : 볼트대응체결홀
70 : 보강체
80 : 개폐체

Claims (3)

  1. 상호 이격되게 세워지는 두 포스트(post)(11)와, 상기 두 포스트(11) 각 상단부를 상호 잇기 위한 래프터(rafter)(12)를 포함하고, 상호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 및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에서 마주하는 래프터(12) 및 포스트(11) 각각을 상호 잇기 위한 리지폴(ridgepole)(20) 및 커넥팅파이프(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포스트(11)와 래프터(12), 상기 리지폴(20)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30)는 각각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래프터(12)는 아치(arch)형을 이루는 두 분체(12a, 1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포스트(11)와 래프터(12)의 두 분체(12a, 12b), 상기 리지폴(20) 및 상기 커넥팅파이프(30)는 각각 볼트체결공(H)이 형성되고,
    볼트대응체결공(411)과 상기 커넥팅파이프(30)를 위한 사각안착홈(412)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두 포스트(11)와 래프터(12)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제1연결브래킷(41)이 구비되며,
    볼트대응체결공(421)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래프터(12)와 상기 리지폴(20),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의 마주하는 포스트(11)와 상기 커넥팅파이프(30) 각각을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ㄱ'자형 제2연결브래킷(42)이 구비되고,
    볼트대응체결공(431)과 상기 리지폴(20)을 위한 사각안착홈(432)을 갖고, 상기 래프터(12)의 두 분체(12a, 12b)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제3연결브래킷(4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파이프(30)는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에서 마주하는 포스트(11)의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다수개의 상기 커넥팅파이프(30)는 커넥팅중계수단(50)에 의해서 각 중단부(中端部)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10A, 10B)에서 상기 래프터(12)를 이루는 두 분체(12a, 12b)는 분체중계수단(60)에 의해서 각 중단부(中端部)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20100009486U 2010-09-09 2010-09-09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1200020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486U KR20120002029U (ko) 2010-09-09 2010-09-09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486U KR20120002029U (ko) 2010-09-09 2010-09-09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29U true KR20120002029U (ko) 2012-03-20

Family

ID=4617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486U KR20120002029U (ko) 2010-09-09 2010-09-09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029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91A (ko) 2015-08-28 2017-03-08 노태길 조립식 건축물
KR20170004079U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탄탄아이엔지 구조가 개선된 만곡 트라이앵글형 조립식 건축구조물
CN109555224A (zh) * 2018-12-31 2019-04-02 江苏绿能环保集成木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用梁架及使用其的房屋
KR20190034988A (ko) 2017-09-25 2019-04-03 노태길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CN109892140A (zh) * 2017-11-15 2019-06-18 金智泰 农用温室大棚的框架结构
KR20200084711A (ko) 2019-01-03 2020-07-13 노태길 연립구조의 조립식 건축물
JP7307998B1 (ja) * 2023-01-17 2023-07-13 新生工業株式会社 鋼材の連結構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91A (ko) 2015-08-28 2017-03-08 노태길 조립식 건축물
KR20170004079U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탄탄아이엔지 구조가 개선된 만곡 트라이앵글형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190034988A (ko) 2017-09-25 2019-04-03 노태길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CN109892140A (zh) * 2017-11-15 2019-06-18 金智泰 农用温室大棚的框架结构
CN109555224A (zh) * 2018-12-31 2019-04-02 江苏绿能环保集成木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用梁架及使用其的房屋
CN109555224B (zh) * 2018-12-31 2024-05-28 江苏绿能环保集成木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用梁架及使用其的房屋
KR20200084711A (ko) 2019-01-03 2020-07-13 노태길 연립구조의 조립식 건축물
JP7307998B1 (ja) * 2023-01-17 2023-07-13 新生工業株式会社 鋼材の連結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2029U (ko)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WO2006118392A3 (en) A falling rock preventing fence with fabrication typewire net
US20070234651A1 (en) Modular building unit for a protective shelter
KR101164327B1 (ko) 각형 강관파이프 구조물용 다축 연결조인트
KR101243989B1 (ko) 경량 형강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KR101049004B1 (ko) 돔 구조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돔 구조물
KR20120002005U (ko) 절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KR101129842B1 (ko) 다축 연결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US6318043B1 (en) Shelter and shelter support members
KR101318180B1 (ko) 텐트 하우스의 골조구조
KR100507743B1 (ko)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CN208063088U (zh) 屋面无支承型屋顶光伏电站
JP5004263B2 (ja) 多連棟型耐候性温室
JP4915989B2 (ja) 鉄骨造の山形屋根構造体
JP4761545B2 (ja) 十字接手
KR100840031B1 (ko) 한국형 하우스 골조
CN202068784U (zh) 经济实用型多用途温室棚
KR100727593B1 (ko)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
KR200413233Y1 (ko) 비닐하우스용 형강 프레임
JP6971286B2 (ja) 簡易建物
JP3809523B2 (ja) パイプハウス支柱の固定構造並びにパイプハウスの揺れ抑制方法
KR200436559Y1 (ko)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CN217150982U (zh) 一种悬臂型雨篷及带有该雨篷的建筑物
JP2005287477A (ja) 耐風性パイプ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