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819A - 항공기 및 로켓의 이 착륙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기 및 로켓의 이 착륙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819A
KR20120001819A KR1020100042206A KR20100042206A KR20120001819A KR 20120001819 A KR20120001819 A KR 20120001819A KR 1020100042206 A KR1020100042206 A KR 1020100042206A KR 20100042206 A KR20100042206 A KR 20100042206A KR 20120001819 A KR20120001819 A KR 2012000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aircraft
plate
unit
take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현
Original Assignee
곽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종현 filed Critical 곽종현
Publication of KR2012000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항공기는 공항의 활주로를 사용하여 이륙과 착륙을 하게 되는데, 이때 기존의 활주로는 탄성이 거의 없는, 지면에 고착된 아스팔트를 주로 사용하므로, 항공기의 착륙시 활주로는 충격을 거의 흡수할 수 없게 되며, 그에 따라 항공기가 그 충격을 다 감당해야만 하므로 안전을 위해 항공기는 화물과 승객, 또 연료 등의 무게에 매우 민감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장거리를 가기 위해 이륙한 비행기가 사정에 의해 회항하거나 하는 경우 항공기는 안전한 착륙을 위해 연료의 일부를 배출하기도 한다.
또한 이륙시에도 승객과 화물과 연료와 승무원과 음식과 기타 장비에다 항공기의 자체 중량까지 포함한 중량을 안전하게 이륙시키기 위해서는 엔진의 출력이 커져야 할 뿐만 아니라 활주로가 길어야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로켓의 발사는 로켓 내부에 충진된 로켓 추진용 재료가 여러 가지 방법(주로 연소)에 의해 로켓 외부로 분출될 때 얻어지는 반작용 에너지로 인하여만 이루어지게 되어 로켓 연료의 낭비와, 로켓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되며, 발사대의 규모가 증가되며, 비용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항공기 및 로켓의 이 착륙 보조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항공기 및 로켓의 이 착륙 보조 시스템{Take off and landing helper system for the airplane and rocket}
본 발명은 항공기 착륙시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또 이륙을 보조함으로, 동일한 항공기에 있어서 최대 착륙 중량과 최대 이륙 중량을 증가시키며, 항공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승객과 화물을 더 수송할 수 있으며, 활주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보다 안전하게 이 착륙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로켓의 발사시 추진을 보조하여 로켓으로 하여금 자체의 추진력 외에 추가적인 추진력을 갖게 하므로, 보다 용이한 발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로켓의 연료 절감에 따른 효과와, 또한 로켓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하게 하는 효과와, 발사대의 규모가 감소되는 효과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게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는 공항의 활주로를 사용하여 이륙과 착륙을 하게 되는데, 이때 항공기는 자체 무게뿐 아니라 화물과 승객, 연료 등의 무게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즉 항공기는 일정한 추진력과, 정해진 길이의 활주로에서 안전하게 이륙하기 위해서 최대 이륙 중량을 지켜야만 하고, 또한 안전한 착륙을 위해서도 역시 최대 착륙 중량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로켓의 발사는 로켓 내부에 충진된 여러 종류의 로켓 추진용 재료가, 주로 연소에 의해 로켓 외부로 분출될 때 얻어지는 반작용 에너지로 인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항공기는 공항의 활주로를 사용하여 이륙과 착륙을 하게 되는데, 이때 기존의 활주로는 탄성이 거의 없는, 지면에 고착된 아스팔트를 주로 사용하므로, 항공기의 착륙시 활주로는 충격을 거의 흡수할 수 없게 되며, 그에 따라 항공기가 그 충격을 다 감당해야만 하므로 안전을 위해 항공기는 화물과 승객, 또 연료 등의 무게에 매우 민감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장거리를 가기 위해 이륙한 비행기가 사정에 의해 회항하거나 하는 경우 항공기는 안전한 착륙을 위해 연료의 일부를 배출하기도 한다.
또한 이륙시에도 승객과 화물과 연료와 승무원과 음식과 기타 장비에다 항공기의 자체 중량까지 포함한 중량을 안전하게 이륙시키기 위해서는 엔진의 출력이 커져야 할 뿐만 아니라 활주로가 길어야만 된다.
뿐만 아니라 로켓의 발사는 로켓 내부에 충진된 로켓 추진용 재료가 여러 가지 방법(주로 연소)에 의해 로켓 외부로 분출될 때 얻어지는 반작용 에너지로 인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한 항공기의 최대 이륙 중량을 증가시키거나 보다 짧은 거리의 활주로에서 이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 랜딩 기어의 타이어의 과다한 소모를 막아주며, 그에 따른 활주로 청소 비용도 절약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륙시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 뒤, 사용 가능하게 변환하여 저장해서 여타 에너지로 사용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륙시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보다 안전한 착륙을 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항공기의 착륙에 있어서, 착륙시의 충격을 흡수하여 항공기의 최대 착륙 중량을 증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으로 로켓의 발사를 보조하게 되면, 로켓은 자체의 추진력 외에 추가적인 추진력을 갖게 되고, 따라서 보다 용이한 발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로켓 연료의 절감 효과와, 로켓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하게 하는 효과와, 발사대의 규모가 감소되는 효과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항공기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며, 그 위에서 상기 항공기의 활주와 이륙도 가능한, 이륙판과;
상기 이륙판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륙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이륙판 승강부와;
상기 이륙판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이,
상기 항공기의 이륙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와;
상기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이륙판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항공기에 더해질 에너지 등의 상기 항공기의 이륙 보조 관련 정보들로부터, 상기 항공기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출하는,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와;
상기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이륙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항공기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이륙판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이륙판 승강부를 제어하는, 이륙판 승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가,
상기 이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항공기에도 송신하여 이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륙판에는,
상기 이륙판과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측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항공기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며, 그 위에서 상기 항공기의 활주와 착륙도 가능한 착륙판과;
상기 착륙판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착륙판을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는 착륙판 승강부와;
상기 착륙판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이,
상기 항공기의 착륙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와;
상기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착륙판 승강부에 관한 정보 등 착륙 보조 관련 정보들로부터, 상기 항공기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출하는,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와;
상기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착륙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착륙판이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며 하강하게 제어하는 등, 착륙을 보조하도록 상기 착륙판 승강부를 제어하는, 착륙판 승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가,
상기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항공기에도 송신하여 착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착륙판에는,
상기 착륙판과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측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착륙판 승강부가,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착륙판 승강부가,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착륙판 승강부가,
상기 충격 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착륙판 승강부가,
상기 충격 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을 보조하기 위해 겸용되는,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며, 그 위에서 상기 항공기의 활주와 이 착륙도 가능한 이 착륙판과;
상기 이 착륙 판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 착륙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이 착륙판 승강부와;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은,
상기 항공기의 이 착륙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이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와;
상기 항공기의 이 착륙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사용해, 상기 항공기의 이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출하는,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와;
상기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이 착륙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항공기의 이 착륙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항공기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적시에 상기 이 착륙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를 제어하는, 이 착륙판 승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가,
상기 이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항공기에도 송신하여 이 착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 착륙판에는,
상기 이 착륙판과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측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가,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가,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가,
상기 충격 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가,
상기 충격 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로켓의 추진 부위가 그 위에 안착되며, 상기 로켓의 발사 과정 중에, 발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안착된 로켓과 함께 이동하므로 로켓을 발사 방향으로 밀어주어,상기 로켓의 추진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판 작동부와;
상기 이동판 작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이,
상기 로켓의 발사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와;
상기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이동판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로켓에 더해질 에너지 등의, 상기 로켓의 발사 보조 관련 정보들로부터, 상기 로켓의 발사를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출하는,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와;
상기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발사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로켓의 발사를 보조하기 위해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판 작동부를 제어하는, 이동판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가,
상기 발사를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로켓에도 송신하여 발사가 보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이,
로켓의 발사 후에 원위치로 다시 돌아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한 항공기에 있어서 최대 이륙 중량을 증가시키거나 보다 짧은 거리의 활주로에서 이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 랜딩 기어의 타이어의 과다한 소모를 막아주며, 그에 따른 활주로 청소 비용도 절약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륙시의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게 변환해서 저장하여 여타 에너지로 사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륙시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보다 안전한 착륙을 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항공기에 있어서 착륙시 항공기의 최대 착륙 중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켓 연료의 절감 효과와, 로켓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하게 하는 효과와, 발사대의 규모가 감소되는 효과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측면도와 블록도를 혼합한 도면으로서 항공기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이륙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이륙판에 측벽이 설치된 것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측면도와 블록도를 혼합한 도면으로서 항공기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착륙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착륙판(20) 또는 이 착륙판(30)에 측벽이 설치된 것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블록도로 설명한 것이다.
도 8은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블록도로 설명한 것이다.
도 9는 측면도와 블록도를 혼합한 도면으로서 하나의 동일한 이 착륙판에서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을 모두 보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측면도와 블록도를 혼합한 도면으로서 로켓의 발사를 보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청구범위를 포함한 명세서에 사용된 단어들의 의미는 사전적이나 일상적으로만 해석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법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은 이 원칙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로 해석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으로 기재된 것과 도면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모든 기술적인 내용을 말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그 외에 많은 실시 예들이 있을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이제부터의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기록하였으며, 다른 내용들은 가능한 한 생략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이륙과 착륙은 포장되어 고착된 활주로 위에서 진행된다. 이때 이륙 시에는 엔진의 적정 출력 범위 내에서 이륙해야만 하므로 그에 따른 최대 이륙 중량을 지켜야만 안전한 이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착륙 시에는 활주로가 탄성이 없으므로 착륙 충격을 거의 흡수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역시 최대 착륙 중량을 지켜야만 또한 안전한 착륙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대 이륙 중량과 최대 착륙 중량을 증가시키면서도 안전하게 이륙과 착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착륙 보조 시스템을 개시하는데,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한 대의 항공기가 이륙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다시 착륙하는 것으로 내용을 전개하였으며, 여러 다른 도면에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동일한 작용을 하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이름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다.
먼저, 이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최소한으로 이륙판(10)과, 이륙판 승강부(11)와, 동력부(16)로 구성되는 항공기 이착륙 보조 시스템이 필요하며, 더불어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15)와,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와, 이륙판 승강 제어부(12)를 추가하면, 보다 정밀한 항공기 이륙의 보조가 가능한 항공기 이착륙 보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것이 도 1에 함께 도시되어 있다.
다음, 도 2a 내지 도 2d는 이륙판(10)의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의 이륙판(10)은 항공기(100)의 이륙을 위한 활주 시, 항공기(100)가 그 위를 지나갈 때, 또는 이륙판 위에 정지 시(헬리콥터 등)에, 항공기의 이륙을 돕기 위해 이륙판(10)을 상부로 상승시켜 항공기를 밀어 올려주기 위한 것이며, 또한 항공기(100)가 이륙한 뒤 원위치로 하강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단 또는 그 양단 모두가 승강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d를 참고하여 항공기(100)의 이륙을 보조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륙판(10)은 상기 이륙판(10)과 바닥면(101)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동력부(16)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이륙판 승강부(11)가 이륙판 승강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륙판 승강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이륙판 승강부(11)는 항공기(100)가 이륙을 위해 이륙판(10) 위를 활주할 때나, 정지해 있을 때, 상기 이륙판(10)을 상승시켜 항공기(100)를 위로 밀어 올려주어 이륙이 용이하도록 보조해주며, 이륙 후에는 이륙판(10)을 다시 원위치로 하강하도록 해줄 수 있다.
이륙판 승강부(11)가 여러 개 설치된 경우 이륙하는 항공기(100)의 속도 및 항공기 중량의 경, 중에 의해, 고정 출력을 갖는 이륙판 승강부(11)의 전부 혹은 일부가 사용되거나, 또는 출력 변동이 가능한 이륙판 승강부(11)의 일부 혹은 전부의 출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으며, 혹은 이러한 두 경우를 병용할 수도 있다. 여기의 이륙판 승강부(11)는 유체압 액츄에이터, 래크와 피니언, 탄성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동력은 유체압 펌프나 유체압 탱크, 전기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륙판 승강부는 기타 다른 종류의 동력부(16)에 의하여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항공기(100)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이륙판 승강 제어부(12)가 동력부(16)에 의해 작동되는 이륙판 승강부(11)를 제어할 때, 상기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15)와,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와, 이륙판 승강 제어부(12) 사이의 상호 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15)는 항공기(100)의 평상시 이륙 위치 등을 계산하기 위한 상기 항공기(100)의 중량, 속도, 현재위치, 바람의 방향과 속도 등의 이륙에 관한 정보를 유 무선으로 수신하여, 항공기(100)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로 보내주며,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는 상기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15)에서 전달받은, 이륙하려는 항공기(100)의 현재 정보와, 이륙판(10)의 상승으로 인하여 항공기(100)에 더해질 에너지 등의 항공기(100)의 이륙 보조 관련 모든 정보들로부터, 항공기(100)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해, 단축된 이륙 위치나, 또는 증가된 최대 이륙 중량 등의 이륙 보조 데이터를 산출하여, 항공기(100)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이륙판 승강부(11)를 제어할 이륙판 승강 제어부(12)로 상기 이륙 보조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이륙판 승강 제어부(12)는 상기 이륙 보조 데이터에 따라 이륙판 승강부(11)를 제어하여, 결국 항공기는 이륙을 위한 추가적인 힘을 제공받게 되고, 따라서 항공기는 보다 짧은 거리에서 이륙하거나, 상기 추가적인 힘의 세기 만큼 일반적인 최대 이륙 중량을 어느 정도 초과한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이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이륙하려는 항공기(100)에도 이륙 보조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로부터 이륙 보조 데이터를 전달받은 항공기(100)는 그 데이터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종간이 제어되는 등 이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자신의 동태를 수정할 수 있게 되며, 이 수정된 정보는 앞서와 동일한 과정대로, 다시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15)와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를 통해 항공기(100)로 되보내어지며, 따라서 결국 이륙할 때까지 항공기(100)의 동태는 계속 재수정되는데, 이와 동시에 항공기(100)의 계속되는 상태 변화에 따른 이륙 보조 데이터를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로부터 전달받은 이륙판 승강 제어부(12)가, 그 데이터에 의해 항공기(100)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단축된 이륙 위치에서 이륙하거나, 최대 이륙 중량이 초과된 상태에서도 이륙이 가능하도록, 그 항공기(100)에 상응하는 조건에 맞는 힘과 속도로 적시에 이륙판(10)을 상승시키는 과정이 함께 수행되므로, 결국은 이륙 거리를 단축시키거나, 최대 이륙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륙을 보조한 후에,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는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15)에서 넘겨받은 항공기(100)의 이륙 상태 정보를 사용해, 이륙판 승강 제어부(12)로 하여금 이륙판 승강부(11)를 제어해 이륙판(10)을 하강시키라는 데이터를 산출하며, 이 데이터는 이륙판 승강 제어부(12)로 송출되고, 이 데이터를 수신한 이륙판 승강 제어부(12)는 다시 이륙판(10)을 하강시키도록 이륙판 승강부(11)를 제어하게 되어 결국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륙판이 이륙 후에 스스로 하강하도록 미리 셋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유사시에 이륙판 승강부(11)는 수동으로 상승 하강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은 이륙판(10)과 바닥면(101)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이륙판(10)의 승강이 방해받지 못하도록 이륙판(10)에 측벽(104)이 설치된 것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측벽(104)은 이륙판(10)과 바닥면(101) 사이에서 접혀지게 하거나, 또는 이륙판(10)에 측벽(104)이 설치된 위치와 동일한 지점의 바닥면(101)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102)을 따라 이륙판(10)과 함께 연동되어 상승 하강을 하게 하는 등 여러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청소 등의 특별한 필요를 위해 출입구(103)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이 항공기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해서도, 이륙을 보조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소한으로 착륙판(20)과, 착륙판 승강부(21)와, 동력부(26)로 구성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이 필요하며, 더불어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25)와,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와, 착륙판 승강 제어부(22)를 추가하면, 보다 정밀하고 유용한 항공기 이륙의 보조가 가능하다.
다음, 도 5a 내지 도 5d는 이러한 착륙판(20)의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의 착륙판(20)은 항공기(100) 착륙시의 충격에 의해 하강하면서 항공기의 착륙 충격을 흡수하고, 항공기(100)의 착륙 후에는 원위치로 상승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 단 또는 그 양단 모두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d를 참고하여 항공기(100)의 착륙을 보조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착륙판(20)은 이륙판(10)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착륙판(20)과 바닥면(101)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된 착륙판 승강부(21)에 의해 상하로 승강한다. 착륙판 승강부(21)는 항공기(100)의 착륙 시에는 그 착륙 충격에 의해 착륙판(20)이 하강할 때 압축되면서 착륙 시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며, 착륙을 보조한 후에는 착륙판(20)을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도록 해준다.
착륙판 승강부(21)가 여러 개 설치된 경우 이륙판 승강부(11)의 경우와 같이, 착륙하는 항공기(100) 중량의 경, 중에 의해, 고정 출력의 착륙판 승강부(21)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출력의 변경이 가능한 착륙판 승강부(21)의 일부 혹은 전부의 출력의 강약을 조절하거나, 혹은 이러한 두 경우를 병용할 수도 있다. 여기의 착륙판 승강부(21)는 탄성 부재나, 기타 유체압 액츄에이터와 유체압 탱크, 태엽 또는 브레이크와 연동되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 등이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항공기(100)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착륙판 승강 제어부(22)가 동력부(26)에 의해 작동되는 착륙판 승강부(21)를 제어할 때,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25)와,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와, 착륙판 승강 제어부(22) 사이의 상호 관계는 다음과 같다.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25)는 항공기(100)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항공기(100)의 중량, 속도, 현재위치, 하강각도, 바람의 방향과 속도 등 착륙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여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로 전달하며,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는 항공기(100)의 착륙시 발생하는 충격의 효율적인 흡수 등 항공기(100)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25)로부터 전달받은 항공기(100)의 착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하나 이상 설치된 착륙판 승강부(21)의 전체적인 숫자나 위치, 각각의 충격 흡수 방법 및 고정적인 혹은 변경이 가능한 충격 흡수량 들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체 착륙판 중에서, 상기 항공기의 충격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될 하나 이상의 특정한 착륙판 승강부(21)를 작동시키기 위해 선택하는 등등의, 모든 착륙 보조 관련 정보들로부터, 항공기(100)의 착륙 시점과 위치와 충격 에너지 등 착륙 보조 데이터를 산출하여, 착륙판 승강 제어부(22)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착륙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착륙판 승강 제어부(22)는 착륙판 승강부(21)를 제어하여, 결국 항공기는 보다 짧은 활주로에서 착륙하거나, 일반적인 최대 착륙 중량을 어느 정도 초과한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착륙하려는 항공기(100)에도 상기 착륙 보조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로부터 착륙 보조 데이터를 전달받은 항공기(100)는 그 데이터에 따라 자동 및 수동으로 조종간이 제어되는 등 착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자신의 동태를 수정할 수 있게 되며, 이 수정된 정보는 앞서와 동일한 과정대로, 다시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25)와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를 통해 항공기(100)로 되보내어지며, 따라서 결국 착륙할 때까지 항공기(100)의 동태는 계속 재수정되는데, 이와 동시에 항공기(100)의 계속되는 상태 변화에 따른 착륙 보조 데이터를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로부터 전달받은 착륙판 승강 제어부(22)가, 그 데이터에 의해 항공기(100)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단축된 활주 거리로 착륙하거나, 최대 착륙 중량이 초과된 상태에서도 안전한 착륙이 가능하도록, 그 항공기(100)에 상응하는 조건에 따라 착륙판(20)을 제어하여, 항공기(100)의 착륙 충격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착륙판 승강부(21)의 작동 수량 및 작동 출력을 제어하며, 그 항공기(100)에 상응하는 조건에 맞는 최적의 착륙판(20)을 선택하며, 또 충격을 흡수시키기 위해 그 착륙판(20)이 하강되는 과정이 함께 수행되므로, 결국은 착륙 거리를 단축시키거나, 최대 착륙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착륙을 보조한 후에는 착륙판(20)을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도록 착륙판 승강부(21)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착륙을 보조한 후에,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는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25)에서 넘겨받은 항공기(100)의 착륙 정보를 사용해, 착륙판 승강 제어부(22)로 하여금 착륙판 승강부(21)를 제어해 착륙판(20)을 하강시키라는 데이터를 산출하며, 이 데이터는 착륙판 승강 제어부(22)로 전달되고, 이 데이터를 수신한 착륙판 승강 제어부(22)는 착륙판(20)을 하강시키도록 착륙판 승강부(21)를 제어하게 되어 결국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착륙판(20)이 착륙 후에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도록 미리 착륙판 승강 제어부(21) 셋팅할 수도 있을 것이며, 착륙판 승강부(21)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부재인 경우는 스스로 상승할 수도 있는데, 어떤 경우이든 결국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유사시에 착륙판 승강부(21)를 수동으로 상승 하강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상의 모든 과정은 이륙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도 6은 착륙판(20) 및 이착륙판(30)과 바닥면(101)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착륙판(20) 및 이착륙판(30)의 승강이 방해받지 못하도록 착륙판(20) 및 이착륙판(30)에 측벽(104)이 설치된 것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착륙판(20) 및 이 착륙판(30)에 설치된 측벽(104)은 도 3의 이륙판(10)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륙판 승강부(21) 및 이 착륙판 승강부(31)에 포함된 충격 에너지 변환부(105)는 항공기(100)의 착륙시 착륙판 승강부(21) 및 이 착륙판 승강부(31)가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이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여타 에너지로 사용하게 할 수도 있는 장치로서, 착륙판 승강부(21) 및 이 착륙판 승강부(31)에 직선적으로 가해진 충격 에너지를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유체압 액츄에이터와 유체압 모터, 또는 기계적인 방식의 래크와 피니언 기어, 또 그들과 연결된 유체압 탱크나 발전기 등과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륙판 승강부(21) 및 이 착륙판 승강부(31)에 포함된 충격 에너지 변환부(105)에서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변환 에너지 저장부(106)는 유체압 탱크, 충전기, 태엽 등을 이용하여 사용 가능하게 변환한 착륙시의 충격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하여 여타 에너지로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는 항공기(100)의 이륙과 착륙 시 겸용할 수 있는, 동일한 하나의 이 착륙판(30)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 예인데, 이는 본 발명의 항공기(100) 이 착륙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의 주된 구성 요소가 이륙과 착륙 시에 각각 동일한 요소이거나 겸용할 수 있는 요소로 이루어진 때문이다. 즉 이륙판(10)과 착륙판(20), 이륙판 승강부(11)와 착륙판 승강부(21), 지면(101),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15)와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25),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14)와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24), 이륙판 승강 제어부(12)와 착륙판 승강 제어부(22), 측벽(104) 등의 구성 요소들이 모두 구조상 서로 동일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구성 요소들이다.
그러므로 항공기(100)의 이륙과 착륙 시에 겸용되는 상승과 하강이 가능한 이 착륙 판(30)과, 상기 이 착륙판(30)과 지면(10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 착륙판(3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이 착륙판 승강부(31)와,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31)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36)로 구성된 최소한의 구성요소에 더하여, 항공기(100)의 이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관련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항공기(100)의 이 착륙 관련 정보를 유 무선으로 수신하는 이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35)와, 상기 이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35)에서 수신한 정보와, 또한 항공기(100)의 이 착륙 보조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해, 항공기(100)의 이 착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제어 관련 보조 데이터를 산출하는,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34)와; 상기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34)로부터 산출된 데이터에 의해, 항공기(100)가 제어되고, 또한 이 착륙 승강부(31)가 제어되는 등 이착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상기 항공기(100)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적시에 이 착륙판(30)을 상승 하강시키도록 이 착륙판 승강부(31)를 제어하는, 이 착륙판 승강 제어부(32)를 포함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은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륙과 착륙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결국 하나의 동일한 이 착륙판(30)으로 이륙과 착륙을 둘 다 보조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역시 유사시에는 이 착륙판 승강부(31)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상의 모든 과정에 있어서도 이륙의 경우와 착륙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착륙판(30)에도 상기 이 착륙판(30)과 지면(101)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측벽(104)이 설치되면, 이착륙판(30)의 상승과 하강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이 측벽(104)은 이륙판(10)에 설치된 측벽(104)이나 착륙판(20)에 설치된 측벽(104)과 동일하다.
또한, 이 착륙판 승강부(31)에 포함된 충격 에너지 변환부(105)도 착륙판 승강부(21)에 포함된 충격 에너지 변환부(105)와 동일한 것이며, 또한 이 착륙판 승강부(31)에 포함된 충격 에너지 변환부(105)에서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변환 에너지 저장부(106)도 역시 착륙판 승강부(21)에 포함된 변환 에너지 저장부(106)와 동일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동일한 하나의 이 착륙판(30)을 사용하여 이륙과 착륙을 모두 보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로켓의 발사를 보조하기 위한 경우에 있어서, 최소한의 구성을 살펴보면 역시 이제까지의 설명에서처럼, 도 1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판(40)과, 이동판 작동부(41)와, 동력부(46)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더불어 이동판 작동 제어부(42)와,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44)와,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45)를 추가하여 구성하면 보다 정밀하게 로켓의 발사를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0과 같이 발사를 위한 로켓이 직립되어 있을 때를 보면, 상기 로켓의 하부에는 이동판(40)이 위치하여 상기 로켓이 발사되기까지 안착되어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로켓의 발사 과정에서 상기 이동판(40)을 상기 로켓의 발사 방향으로 상승시켜, 로켓에 부가적인 추진력을 인가시킬 수 있는 이동판 작동부(41)가 상기 이동판(4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이동판 작동부(41)는 동력부(46)에 의해, 작동을 위한 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여기서 상기 이동판(40)은, 상기 동력부(46)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이동판 작동부(41)에 의해, 상기 로켓의 발사 과정 중에, 발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안착된 로켓과 함께 이동하게 되어 부가적인 추진력이 얻어질 뿐 아니라, 이렇게 이동판(40)이 이동하는 동안 로켓의 자체 추진력을 위해 분출되는 가스 등의 분출물이 상기 이동판(40)에 계속적으로 가까이 충돌되며 발생하는 반작용력도 함께 작용하여, 결국 상기 이동판(40) 위에 안착된 상기 로켓에 부가적인 또 다른 추진력이 전달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로켓은 자신의 추진력에 더해지는 보조 추진력을 얻게 되어 결국 로켓 연료의 절감 효과와, 로켓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하게 하는 효과와, 발사대의 규모가 감소되는 효과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판 작동부(41)는 앞서 언급한 항공기의 경우에서처럼, 유체압에 의해 작동되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동력부(46)는 유체압을 공급하는 유체압 펌프 및 유체압 탱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 작동부(41)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 등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때 동력부(46)는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은, 앞서의 항공기 이륙, 착륙 및 이 착륙 보조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더하여, 상기 항공기의 이륙, 착륙 및 이 착륙 보조 시스템의 예에서와 같이, 보다 정밀하고 유용한 효과를 얻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그 구성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 프로세스를 보면, 먼저 상기 로켓의 무게, 발사각, 추진력 등, 상기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을 통해 로켓을 발사하기 위해 참고해야 하는 모든 정보들을 수신하는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45)와, 상기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45)가 수신한 정보들로부터, 상기 이동판 작동부(41)의 제어를 위한 발사 보조 데이터를 산출하는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44)와, 상기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44)로부터 상기 발사 보조 데이터를 전달받은 이동판 작동 제어부(42)는, 상기 발사 보조 데이터의 수치대로 상기 이동판 작동부(41)를 작동시키므로, 로켓의 보조 추진을 위해 상기 이동판(40)을 로켓의 발사 방향으로 오차 없이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게 되며, 또한 상기 발사 보조 데이터를 로켓으로 송출할 경우, 로켓은 상기 데이터로부터 최적의 시간과 출력으로 엔진을 작동하여, 자체 추진력을 얻게 되고, 이 자체 추진력과 이동판의 이동에 의한 보조 추진력이 함께 작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이루게 된다.
결국 이렇게 상기 이동판 작동 제어부(42)와,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44)와,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45)를, 상기 이동판(40)과, 이동판 작동부(41)와, 동력부(46)로 구성되는 최소 구성 요소에 더 포함하여 구성할 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 의해서 보다 더 정밀하고 유용한 로켓 연료의 절감 효과와, 로켓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하게 하는 효과와, 발사대의 규모가 감소되는 효과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닥면(101)은 발사대의 하부 구조물 또는 지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이동판은 다른 로켓의 새로운 발사를 위해 최종 발사 후에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도 역시 로켓의 발사를 보조한 후에는 이동판(40)을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이동판 작동부(41)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발사를 보조한 후에,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44)는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45)에서 넘겨받은 로켓의 발사 상태 정보를 사용해, 이동판 작동 제어부(42)로 하여금 이동판 작동부(41)를 제어해 이동판(40)을 하강시키라는 데이터를 산출하며, 이 데이터는 이동판 작동 제어부(42)로 전달되고, 이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판 작동 제어부(42)는 다시 이동판(40)을 하강시키도록 이동판 작동부(41)를 제어하게 되어 결국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10 : 이륙판
11 : 이륙판 승강부
12 : 이륙판 승강 제어부
14 :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
15 :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
16 : 동력부
20 : 착륙판
21 : 착륙판 승강부
22 : 착륙판 승강 제어부
24 :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
25 :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
26 : 동력부
30 : 이 착륙판
31 : 이 착륙판 승강부
32 : 이 착륙판 승강 제어부
34 :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
35 : 이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
36 : 동력부
40 : 이동판
41 : 이동판 작동부
42 : 이동판 작동 제어부
44 :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
45 :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
46 : 동력부
100 : 항공기
101 : 바닥면
102 : 가이드 홈
103 : 출입구
104 : 측벽
105 : 충격 에너지 변환부
106 : 변환 에너지 저장부

Claims (24)

  1. 항공기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며, 그 위에서 상기 항공기의 활주와 이륙도 가능한, 이륙판과;
    상기 이륙판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륙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이륙판 승강부와;
    상기 이륙판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은,
    상기 항공기의 이륙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와;
    상기 이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이륙판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항공기에 더해질 에너지 등의 상기 항공기의 이륙 보조 관련 정보들로부터, 상기 항공기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출하는,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와;
    상기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이륙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항공기의 이륙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이륙판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이륙판 승강부를 제어하는, 이륙판 승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는,
    상기 이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항공기에도 송신하여 이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륙판에는,
    상기 이륙판과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측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륙 보조 시스템.
  5. 항공기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며, 그 위에서 상기 항공기의 활주와 착륙도 가능한 착륙판과;
    상기 착륙판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착륙판을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는 착륙판 승강부와;
    상기 착륙판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은,
    상기 항공기의 착륙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와;
    상기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착륙판 승강부에 관한 정보 등 착륙 보조 관련 정보들로부터, 상기 항공기의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출하는,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와;
    상기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착륙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착륙판이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며 하강하게 제어하는 등, 착륙을 보조하도록 상기 착륙판 승강부를 제어하는, 착륙판 승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는,
    상기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항공기에도 송신하여 착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
  8. 제 5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판에는,
    상기 착륙판과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측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
  9. 제 5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판 승강부는,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판 승강부는,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판 승강부는,
    상기 충격 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판 승강부는,
    상기 충격 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보조 시스템.
  13.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을 보조하기 위해 겸용되는,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며, 그 위에서 상기 항공기의 활주와 이 착륙도 가능한 이 착륙판과;
    상기 이착륙 판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 착륙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이 착륙판 승강부와;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은,
    상기 항공기의 이 착륙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이 착륙 항공기 정보 수신부와;
    상기 항공기의 이 착륙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사용해, 상기 항공기의 이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출하는,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와;
    상기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이 착륙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항공기의 이 착륙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항공기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적시에 상기 이 착륙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를 제어하는, 이 착륙판 승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착륙 보조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 착륙 보조 데이터 계산부는,
    상기 이 착륙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항공기에도 송신하여 이 착륙이 보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 착륙판에는,
    상기 이 착륙판과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측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
  17. 제 13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는,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는,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충격 에너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는,
    상기 충격 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이 착륙판 승강부는,
    상기 충격 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변환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이 착륙 보조 시스템.
  21. 로켓의 추진 부위가 위치하는 상기 로켓의 하부가 안착되며, 상기 로켓의 발사 과정 중에, 발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안착된 로켓과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로켓의 추진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판 작동부와;
    상기 이동판 작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은,
    상기 로켓의 발사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와;
    상기 로켓 발사 정보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이동판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로켓에 더해질 에너지 등의, 상기 로켓의 발사 보조 관련 정보들로부터, 상기 로켓의 발사를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출하는,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와;
    상기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발사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로켓의 발사를 보조하기 위해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판 작동부를 제어하는, 이동판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보조 데이터 계산부는,
    상기 발사를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로켓에도 송신하여 발사가 보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
  24. 제 21항 내지 제 2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로켓의 발사 후에 원위치로 다시 돌아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발사 보조 시스템.
KR1020100042206A 2010-03-02 2010-05-05 항공기 및 로켓의 이 착륙 보조 시스템 KR20120001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8716 2010-03-02
KR1020100018716 2010-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19A true KR20120001819A (ko) 2012-01-05

Family

ID=4560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06A KR20120001819A (ko) 2010-03-02 2010-05-05 항공기 및 로켓의 이 착륙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81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4814A (zh) * 2016-09-28 2017-01-11 天津大学 一种野外科研用固定翼无人机轻便式起飞装置及使用方法
WO2017142117A1 (ko) * 2016-02-18 2017-08-24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로켓 추진체 회수 장치와 방법, 추진체 회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891413A (zh) * 2020-06-05 2020-11-06 宋延军 一种辅助飞行器发射和回收的辅助系统、及发射和回收方法
CN112046775A (zh) * 2019-06-06 2020-12-08 宋延军 一种喷气式飞行器垂直软着陆辅助系统及着陆方法
CN112520056A (zh) * 2019-09-19 2021-03-19 刘本林 具有加速坑道与托吸盘的飞机可离合起降系统
CN116755473A (zh) * 2023-08-18 2023-09-15 四川腾盾科技有限公司 一种翼吊运输无人机空投任务规划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117A1 (ko) * 2016-02-18 2017-08-24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로켓 추진체 회수 장치와 방법, 추진체 회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6314814A (zh) * 2016-09-28 2017-01-11 天津大学 一种野外科研用固定翼无人机轻便式起飞装置及使用方法
CN112046775A (zh) * 2019-06-06 2020-12-08 宋延军 一种喷气式飞行器垂直软着陆辅助系统及着陆方法
CN112520056A (zh) * 2019-09-19 2021-03-19 刘本林 具有加速坑道与托吸盘的飞机可离合起降系统
CN111891413A (zh) * 2020-06-05 2020-11-06 宋延军 一种辅助飞行器发射和回收的辅助系统、及发射和回收方法
CN116755473A (zh) * 2023-08-18 2023-09-15 四川腾盾科技有限公司 一种翼吊运输无人机空投任务规划方法
CN116755473B (zh) * 2023-08-18 2023-11-07 四川腾盾科技有限公司 一种翼吊运输无人机空投任务规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1819A (ko) 항공기 및 로켓의 이 착륙 보조 시스템
KR101282350B1 (ko)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EP2404826B1 (en) Amphibious large aircraft without airstairs
US8276843B2 (en) Variable stroke rear landing gear strut
JP2008513283A (ja) 航空機用着陸脚の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備える航空機
CN1821047A (zh) 移动升降平台
CN102351043A (zh) 可滑动可控运动降落区
EP2001786B1 (en) Electro-mechanical lifting device
US20180086462A1 (en) Fixed-wing aircraft and method for operating a fixed-wing aircraft
CN201604807U (zh) 一种带液压快速下降机构的登机桥机电升降装置
CN201036671Y (zh) 一种车船载电动升降机
JP2009067387A (ja) 移動体の脚揚降システム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CN100554087C (zh) 登机桥及其整体升降平台装置
US20230234707A1 (en) Removable cargo floor systems and methods for cargo aircraft
US10124998B2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a vehicle with a locking system and lif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1932417B2 (en) Autonomous UAV package delivery system
CN101249892A (zh) 登机自动扶梯
CN111470059A (zh) 一种主动对接舰载机尾钩的舰载机拦阻器
CN101670890A (zh) 登机桥及其整体升降平台装置
CN103274335B (zh) 直顶式载货升降平台
KR20230033364A (ko) 에어모빌리티의 이착륙 보조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2934072Y (zh) 登机桥及其整体升降平台装置
KR20160002158U (ko) 구명정 진수 장치
CN220786068U (zh) 一种用于海上平台的登乘装置
CN113147559B (zh) 一种无人机起降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