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537A -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537A
KR20120001537A KR1020100062372A KR20100062372A KR20120001537A KR 20120001537 A KR20120001537 A KR 20120001537A KR 1020100062372 A KR1020100062372 A KR 1020100062372A KR 20100062372 A KR20100062372 A KR 20100062372A KR 20120001537 A KR20120001537 A KR 20120001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tective film
transparent plastic
plastic substrat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563B1 (ko
Inventor
김정석
김시민
김종원
백상현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563B1/ko
Priority to PCT/KR2011/004716 priority patent/WO2012002706A2/en
Priority to TW100122911A priority patent/TWI513591B/zh
Publication of KR2012000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두 장 이상의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접착제층을 통하여 적층한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호필름{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접착제층을 통하여 적층한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전광선투과율이 우수한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된 전자책(e-book)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자종이(e-paper)란 일반 종이와 가장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디스플레이를 말하며, 단순히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쓰고 지우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다.
이러한 전자종이의 원리를 이용한 전자책(e-book) 역시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책은 유리상에 형성된 구동필름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자책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단순히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쓰고 지우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는 기능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기능을 더욱 용이하게 활용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기에 이르렀다. 터치스크린 방식의 전자책은 오염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보호필름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의 전자책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전자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은 충격완화를 할 수 있으며, 습기 및 UV에 견딜 수 있는 물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보호필름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자책(e-book)에 사용되는 보호필름으로서, 습기에 강하고, UV차단성이 우수한 보호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래치 방지 및 눈부심 방지 기능을 가지는 보호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광선 투과율이 우수한 보호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접착제 도포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재면인 FPL(Front panel laminate)와 접착이 가능하며, 접착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제 3 접착제층 및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자책에 사용하기 위한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적층 순서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눈부심방지층이 최외층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눈부심방지 및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제 1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 및 제 2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이 서로 대향되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투습도가 향상되어 전자책용 보호필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크릴수지 코팅층에 의해 전광선투과율이 우수한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아크릴수지 코팅층의 상부에 제 3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의 상부에 이형필름을 적층함으로써 후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필름은 후공정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제 3 접착제층을 기재면에 접착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도포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보호필름을 기재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특히, 제 3 접착제층으로 특정 성분 및 함량범위의 접착조성물을 사용하여 후공정의 기재면인 FPL(Front panel laminate)와의 접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재면에 전사가 되지 않으며, 전광성투과율에 영향을 주지 않고, 60℃×95%×168hr인 조건에서 종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던 공정에 비하여 수축성이 개선되어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적층순서 뿐만 아니라 그 두께에 특징이 있으며, 각 층의 두께를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투습도가 향상된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적층순서 및 두께로 제조된 보호필름은 38±2℃, 100% R.H인 조건(KS M 3088:2004)에서 투습도가 0.5 g/㎡·day 이하이며, UV투과도가 2.0 %이하이고, 전광선 투과율이 89 ~ 91%, 수분투습률(MVTR)이 0.02 ~ 0.06g/㎡·day, 헤이즈가 6 ~ 1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전자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투습도를 갖으며, 전자잉크의 경시변화가 적고, 필름의 노후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일예일 뿐 본 발명이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10)의 일면에는 눈부심방지 코팅층(11)이 형성되고,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20)의 일면에는 제 1 실리콘 산화물(SiOx, x는 1.0 ~ 2.0) 코팅층(21)이 형성되며,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30)의 일면에는 제 2 실리콘 산화물(SiOx, x는 1.0 ~ 2.0) 코팅층(3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실리콘 산화물(SiOx, x는 1.0 ~ 2.0) 코팅층(31)의 반대면에 아크릴수지 코팅층(3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10)와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20)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제 1 접착제층(100)을 통하여 접착하고, 제 1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21)과 제 2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31)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제 2접착제층(200)을 통하여 접착한다. 이후, 상기 아크릴수지 코팅층(32)의 상부에 아크릴계 2액 경화형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경화제 1 ~ 3 중량부, 실란계 커플링제 0.01 ~ 1 중량부 및 용제 1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조성물을 도포하여 제 3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이의 상부에 이형필름을 적층한 보호필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10),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20) 또는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30)는 광투과율이 90%이상인 플라스틱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이들은 연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10)는 보호필름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두께가 50 ~ 250㎛, 바람직하게는 100 ~ 188㎛인 경우 지지체로서의 충분한 두께를 가지므로 외관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20) 및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30)는 실리콘 산화물 코팅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두께가 10 ~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30㎛인 경우 산화물 증착 공정에서 지지체 역할을 하기에 적합하고, 주름 등의 외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눈부심방지 코팅층(11)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나 실록산계 수지 등의 경질 수지에 실리콘 비드 등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눈부심 방지효과 및 스크래치 방지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눈부심방지 코팅층(11)은 두께가 얇으면 경도 부족이 되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컬(curl)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3 ~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 1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21) 또는 제 2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31)은 진공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산화물(SiOx, x는 1.0 ~ 2.0) 코팅층은 x값이 1.0미만이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광투과도가 90%이하가 되며, 2.0을 초과하는 경우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의 두께는 300 ~ 1,000Å,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800Å 인 것이 내습성이 우수하고, 투명한 색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좋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에서 제 1 접착제층(100)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로서, UV차단제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접착제층(100)은 광투과도가 90%이상이며, 헤이즈가 1%이하이고, 전단저장탄성율이 103 ~ 105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광투과도가 90% 이하이거나 헤이즈가 1%이하이면, 디스플레이 구현 시 선명도가 떨어지고, 전단저장탄성율이 103Pa미만이면 타발 시 접착제층이 삐져나와 제품 조립 시 문제가 발생하며, 그 값이 105Pa을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져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충격흡수 기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넓은 영역의 UV차단 기능확보를 위해 트리아졸계 UV차단제를 수지의 고형분 대비 0.5 ~ 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리아졸계 UV차단제의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인 경우 QUV 테스트 후 UV투과도가 급격히 증가해 전자책에서 구동층에 손상이 가해져 응답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며, 그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QUV테스트 후 색상 값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트리아졸계 UV차단제로는 벤조트리아졸, 메틸렌비스(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히드로키시페니르벤조트리아졸 등이 있다. 이밖에도 필요에 따라 해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트리아진계 UV차단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형광증백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은 필름의 물성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지의 고형분 대비 0.5 ~ 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UV차단제로는 히드로키시페니르트리아진, 2,4,6-트리스(디에틸 4'-아미노벤잘말로네이트)-s-트리아진, 2,4,6-트리스(디이소프로필 4'-아미노벤잘말로네이트)-s-트리아진, 2,4,6-트리스(디메틸 4'-아미노벤잘말로네이트)-s-트리아진, 2,4,6-트리스(에틸 α-시아노-4-아미노신나메이트)-s-트리아진, 2,4,6-트리스[(3'-벤조트리아졸-2-일-2'-히드록시-5'-메틸)페닐아미노]-s-트리아진, 2,4,6-트리스[(3'-벤조트리아졸-2-일-2'-히드록시-5'-ter-옥틸)페닐아미노]-s-트리아진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밖에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형광증백제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접착제층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외에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의 배합에 의해, 가교 처리되어 내열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교제로는 아크릴계 수지의 관능기와의 반응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교제로는 과산화물,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나, 각종 폴리올로 변성된 디이소시아네이트부가물, 이소시아누레이트고리, 뷰렛체 또는 아로파네이트체를 형성시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향족계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경화 후의 점착제층이 착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지방족계나 지환족계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은, 아크릴계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01 ~ 10.0 중량부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 5.0 중량부로 사용된다. 가교제가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교가 과다하게 되어 건조 공정이후 택(Tack)성이 떨어져 투명 플라스틱 기재와의 합지 후 접착력 특성이 떨어져 후 내구성이 약해지며, 0.0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도가 떨어져 내수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 1접착제층(100)은 접착제 조성물을 지지체 상에 도포, 건조시켜 접착제층을 제조한다. 접착제가 가교제를 함유하므로 적절한 가열처리에 의해 가교 처리가 실시된다. 가교 처리는, 용매의 건조 공정의 온도에서 병행해도 되고, 건조 공정 후에 별도 가교 처리 공정을 형성하여 행해도 된다. 접착제층은 접착제층의 가교 반응의 조정을 목적으로 에이징 처리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접착제층(100)은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와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 간의 충격흡수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기능을 보다 양호하게 발휘시키기 위하여, 전단저장탄성율이 103 ~ 105Pa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제 2 접착제층(200)은 실리콘산화물과의 접착력이 우수한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1 접착제층 또는 제 2 접착제층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액상의 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톨루엔, 자일렌,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용매는, 중합 용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접착제층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중합 용매 이외의 1 종 이상의 용매를 새롭게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제 3 접착제층(300)은 후 공정에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이 기재면에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후 공정의 기재면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크릴계 2액 경화형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경화제 1 ~ 3 중량부, 실란계 커플링제 0.01 ~ 1 중량부 및 용제 1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조성물을 건조도포두께 30 ~ 60㎛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2액 경화형 점착제는 아크릴계수지 20 ~ 30 중량%, (C1~C20)알킬아크릴레이트 1 ~ 5 중량% 및 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수지 20 ~ 30 중량%, n-부틸 아크릴레이트 1 ~ 5 중량%, 용제로서 톨루엔 20 ~ 30 중량%, 아세톤 20 ~ 30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메틸에틸케톤 10 ~ 20 중량%를 포함한다. 시판되는 상품명으로는 도요잉크사의 EG655 등이 있다.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는 고형분 함량으로 1 ~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접착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기재면에 전사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시판되는 상품명으로는 도요잉크사의 BXX-5627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요잉크사의 BXX-32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함량은 0.01 ~ 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도포성이 좋다.
본 발명에서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30)에 형성된 아크릴수지 코팅층(32)은 전광선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수지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은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조성물이라면 그 조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액은 아크릴계 바인더수지 10 ~ 15 중량%, 습윤제 0.01 ~ 1 중량%, 입자 0.1 ~ 2 중량%, 경화촉매 0.1 ~ 3 중량%, 산화방지제 0.01 ~ 1 중량%, 물 80 ~ 85 중량% 및 유기용매 1 ~ 5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수지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부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수지는 Tg가 40℃ ~ 50℃인 것이 경화속도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바인더수지의 굴절율은 1.4 ~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1.44 ~ 1.45인 것이 투과율 보상에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는 무기 또는 유기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굴절율 차이에 의한 광확산성을 증대시켜 전광선투과율의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사용되는 입자로는 경질 탄산칼슘(CaO), 콜로이드 실리카입자, 황산바륨(BaSO4), 산화나트륨(NaO2), 황산나트륨(Na2SO4), 고령토, 카오린, 탈크 등의 안티블로킹 무기입자, 실리콘 수지, 가교디비닐벤젠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등의 가교 아크릴 수지 및 가교폴리스타이렌수지,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수지, 벤조구아나민-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등의 유기입자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150 ~ 200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분산성 및 코팅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촉매는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알콜, 프로판올 등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1 ~ 15 중량% 이고, 점도가 20cps(25℃)이하인 것이 좋다. 고형분의 농도가 1중량%미만이면 원하는 코팅층의 두께를 얻기 위하여 웨트 도포량을 증가하여야 하며, 이를 건조하기위해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할 수 있고, 고형분의 농도가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15cps(25℃)이상으로 높아져 코팅성의 저하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도포두께는 70 ~ 90nm인 것이 보호필름 굴절률 변화가 적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필름(40)은 통상적으로 해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이형필름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에 실리콘 이형제가 도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이형필름 제거가 용이하며, 운반 시 적합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투습도가 낮아 전자책의 보호필름으로 적용 시 전자잉크의 경시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UV투과도가 낮아 구동필름의 노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전광선 투과율이 89% 이상인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공정에서 별도의 접착제 도포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이형필름만 제거함으로써 기재면과의 접착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향상되며, 기재면에 전사되지 않고, 수축율이 낮으며, 보호필름 자체의 전광선투과율이 저하되지 않는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전자책뿐만 아니라 가전제품, 자동차, 통신기기, PDA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제 1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서 물성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투습도 : KS M3088:2004 (38± 2℃, 100% R.H.) 방법으로 측정을 하였다.
불합격: 투습도가 0.5초과
합격: 투습도가 0.5이하
2) UV투과도 : 베리안, Cary 5000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QUV 전 UV투과도(%): 보호필름 제조 후 제1투명 플라스틱의 눈부심방지코팅층이 UV광원쪽으로 향하게 한 후 전 UV파장영역(200~300nm)에서 UV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범위에서 가장 높은 UV투과도를 나타내는 값을 사용하였다.
불합격: 2.0 초과
합격: 2.0 이하
- QUV 후 UV투과도(%) : 보호필름 제조 후 UVB파장의 빛을 발하는 램프가 설치된 QUV 챔버에서 제1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면이 광원쪽으로 향하게 하고, 100시간동안 방치한 후 UV투과도 측정기를 이용해 200~300nm UV파장영역에서 UV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범위에서 가장 높은 UV투과도를 나타내는 값을 사용하였다.
불합격: 2.0 초과
합격: 2.0 이하
3) 전단저장탄성율
보호필름 제조 시 사용한 접착층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시킨 후, 솔벤트캐스팅 방법으로 테프론쉬트에 도포하고 용제를 날려 점착층만 형성된 1mm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접착층 필름을 Rheometer(Rheometrics, RMS)를 이용하여, 고정식의 하단판과 회전이 가능한 상단판의 중앙에 필름을 올려놓고, 주파수(상단의 판이 단위시간 당 움직이는 각도)에 따른 전단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스트레인(strain)을 5%로 하고, 1 ~ 100 radian/sec범위로 데이타를 측정한 후, 10 radian/sec에서의 저장탄성율 값을 기준 값으로 활용하였다.
4) 코팅두께 : 두께측정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5) 외관 : 육안검사를 하였으며, 외관상 특이사항이 없으면 합격, 주름발생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하였다.
6) 보호필름의 광투과도 및 전광선투과율(%) : 광투과도는 니폰덴쇼규사(Nippon Denshoku)의 300A 모델을 이용해 측정한 전광선투과율(total transmittance)값을 이용하였으며, 보호필름의 광투과도가 88%이상이면 양호, 60~88%이면 보통, 60%미만이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7) 헤이즈 : ASTM D1003에 따라 헤이즈미터(일본, TOYOSEIKI)로 가시광선영역에서 헤이즈 및 빛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8) 수분투습률(MVTR) : 38℃×RH100%조건에서 24시간동안의 수분투습량을 PERMATRAN-WModel 398(미국, Mocon)으로 측정하였다.
9) 작업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을 cell에 합지한 후, 작업 오류 시 보호필름을 제거해야하며, 이때 보호필름이 박리시 쉽게 박리되는지는 확인하였다. 또한, 박리 후 FPL면에 제 3 접착제층의 접착제 잔사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10) 점착력(n=5)
길이 20cm × 폭 25mm로 컷팅한 후 INSTRON 3365의 모델을 이용하여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11) 수축성
150 × 150mm 사이즈의 샘플을 유리(glass)에 합지 한 후 60℃×95%×168hr의 신뢰성을 거친 후 제 3 접착제층이 수축한 길이를 측정하였다. 1.5mm이하인 경우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1]
눈부심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제조
두께 188㎛, 폭 10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코오롱, H11F)을 준비하였다.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대일본일잉크공업주식회사(DAI NIPPON PRINTING), 유니디크 17-824-9)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비드(신에쯔케미칼, X-52-854)를 5중량부로 첨가하여 혼합하여 눈부심방지층에 사용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을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여, 100℃에서 3 분 동안 건조한 후, 즉시 오존 타입 고압 수은등(80W/㎝, 15㎝ 집광형) 2 등으로 자외선 조사를 하여 두께 5㎛의 눈부심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제 1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이 형성된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제조
두께 12㎛, 폭 10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코오롱, FQ00)에 진공증착방법에 의해 500Å두께의 SiO1.5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제 2 실리콘 산화물 증착층 및 아크릴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제조
두께 12㎛, 폭 10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진공증착방법에 의해 500Å두께의 SiO1.5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아크릴계 바인더(굴절율:1.44 유리전이온도: 48℃) 12.5g, 실리콘계웨팅제(TEGO社 폴리에스테르 실록산 공중합체)를 0.1g, 평균입경이 200nm인 콜로이드 실리카 입자 0.4g, 경화촉매(암모늄티오시아네이트계) 0.83g, 산화방지제(벤조트리아졸계) 0.2g, 물 80.97g, 이소프로필알콜 5g을 혼합하여, 고형분의 농도가 5%, 점도 30cps인 아크릴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아크릴수지 조성물을 실리콘산화물 코팅층이 형성된 반대면에 건조도포두께 80nm로 도포하였다.
제1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아크릴계 접착제(쏘켄사, SK2094R)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가교제(쏘켄사, E-AX)를 0.3 중량부 첨가하고, UV 차단제로 벤조트리아졸(시바, 티누빈 1130) 1중량부를 사용하고, 메틸에틸케톤을 첨가해 용액의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2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폴리우레탄계 수지(강남화성, neoforce 338)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강남화성 CL 100) 20중량부를 첨가한 후 톨루엔용제로 희석하여 고형분 10%인 용액을 제조하였다.
보호필름의 제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이 형성된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와 제 2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 및 아크릴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제 2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접착하였다. 이를 다시 눈부심방지층이 형성된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와 제 1 접착제 조성물로 접착하였다.
구체적으로,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제 1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이 형성된 면에 제 2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한 후, 100℃에서 2분간 건조시켜 건조도포두께가 3㎛인 제 2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후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제 2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 면을 부착하였다.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제 1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다시 제1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한 후, 100℃에서 3분간 건조시켜 코팅두께가 50㎛인 제 1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여기에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눈부심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접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제조된 보호필름의 아크릴수지 코팅층의 상부에 제 3 접착제 조성물을 건조도포두께 30 ㎛로 도포하고, 건조 후 이형필름을 적층하여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완성하였다. 제 3 접착제 조성물로는 아크릴계 2액 경화형 점착제(도요 잉크사, EG655)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경화제(도요 잉크사, BXX-5627) 1 중량부, 실란계 커플링제(도요 잉크사, BXX-320) 0.01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1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5 중량부를 혼합한 접착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완성품의 작업성, 점착력, 전광선투과율 및 수축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3 접착제 조성물로 에폭시계 경화제를 3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아크릴수지 코팅층 제조 시 고형분 함량이 1.2 중량%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아크릴수지 코팅층이 없이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상부에 제 3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였으며, 제 3 접착제 조성물로 에폭시계 경화제를 5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투습도가 낮아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순서 및 두께를 갖는 보호필름은 수증기 배리어성 및 UV차폐성이 양호해 전자책용 보호필름 및 기타 용도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크릴수지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전광선투과율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3 접착제조성물을 도포하는 경우, 기재면과의 접착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전사되지 않아 작업성이 향상되며, 보호필름 자체의 전광선투과율에도 영향을 주지 않으며, 수축성이 1.5mm 이하로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
11 : 눈부심 방지 코팅층
20 :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
21 : 제 1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
30 :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
31 : 제 2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
32 : 아크릴수지 코팅층
40 : 이형필름
100 : 제 1 접착제층
200 : 제 2 접착제층
300 : 제 2 접착제층

Claims (9)

  1. 눈부심방지 코팅층,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 제 1 접착제층,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 제 1 실리콘 산화물(SiOx, x는 1.0 ~ 2.0) 코팅층, 제 2 접착제층, 제 2 실리콘 산화물(SiOx, x는 1.0 ~ 2.0) 코팅층,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 아크릴수지 코팅층, 제 3 접착제층 및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전광선 투과율이 89 ~ 91%, 수분투습률(MVTR)이 0.02 ~ 0.06g/㎡·day, 헤이즈가 6 ~ 10%인 보호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접착제층은 아크릴계 2액 경화형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경화제 1 ~ 3 중량부, 실란계 커플링제 0.01 ~ 1 중량부 및 용제 1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조성물을 건조도포두께 30 ~ 60㎛로 코팅한 보호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수지 코팅층은 굴절율이 1.4 ~ 1.5, 유리전이온도가 -10 ~ 20℃인 아크릴계 바인더수지 10 ~ 15 중량%, 습윤제 0.01 ~ 1 중량%, 입자 0.1 ~ 2 중량%, 경화촉매 0.1 ~ 3 중량%, 산화방지제 0.01 ~ 1 중량%, 물 80 ~ 85 중량% 및 유기용매 1 ~ 5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조도포두께 80nm로 코팅한 보호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물 코팅층은 진공증착에 의해 300 ~ 1,000Å 두께로 코팅된 보호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anti-glare) 코팅층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실리콘비드를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조도포두께 3 ~ 5㎛로 코팅한 보호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층은 UV차단제가 포함된 아크릴계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조도포두께 30 ~ 60㎛로 코팅하고, 제 2 접착제층은 우레탄계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조도포두께 1 ~ 10㎛로 코팅한 보호필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층은 광투과도가 90%이상이며, 헤이즈가 1%이하이고, 전단저장탄성율이 103 ~ 105Pa인 보호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는 두께가 50 ~ 250㎛이고,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는 두께가 10 ~ 50 ㎛이며,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는 두께가 10 ~ 50 ㎛인 보호필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플라스틱 기재, 제 2 투명 플라스틱 기재 또는 제 3 투명 플라스틱 기재는 광투과율이 90%이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보호필름.
KR1020100062372A 2010-06-29 2010-06-29 보호필름 KR101675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72A KR101675563B1 (ko) 2010-06-29 2010-06-29 보호필름
PCT/KR2011/004716 WO2012002706A2 (en) 2010-06-29 2011-06-28 Protective film
TW100122911A TWI513591B (zh) 2010-06-29 2011-06-29 保護薄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72A KR101675563B1 (ko) 2010-06-29 2010-06-29 보호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37A true KR20120001537A (ko) 2012-01-04
KR101675563B1 KR101675563B1 (ko) 2016-11-15

Family

ID=4560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372A KR101675563B1 (ko) 2010-06-29 2010-06-29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5B1 (ko) * 2012-11-06 2015-03-23 주식회사 테이팩스 비산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66A1 (ko) * 2017-07-11 2019-0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용 윈도우 필름 및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250B1 (en) * 1999-06-02 2002-11-12 Fuji Photo Film Co., Ltd. Low-reflection transparent conductive multi layer film having at least on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having anti-smudge properties
KR20090124027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코오롱 보호필름
KR20100045635A (ko)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코오롱 전도성 보호필름
KR20100045644A (ko)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코오롱 전도성 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250B1 (en) * 1999-06-02 2002-11-12 Fuji Photo Film Co., Ltd. Low-reflection transparent conductive multi layer film having at least on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having anti-smudge properties
KR20090124027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코오롱 보호필름
KR20100045635A (ko)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코오롱 전도성 보호필름
KR20100045644A (ko)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코오롱 전도성 보호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5B1 (ko) * 2012-11-06 2015-03-23 주식회사 테이팩스 비산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563B1 (ko) 201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2013B2 (ja)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7636499B (zh) 两面附带粘合剂层的偏振膜和图像显示装置
KR101409615B1 (ko) 점착제가 형성된 편광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편광 필름의 세트
JP5689792B2 (ja) 保護フィルム
KR101530591B1 (ko) 전사 인쇄를 위한 무 기재 점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US10488571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2011523387A (ja) 保護フィルム
CN109313299B (zh) 双面带粘合剂层的偏振膜和图像显示装置
JP585546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KR20100078564A (ko) 박막형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KR101847980B1 (ko) 비산 방지 효과가 강화된 전사 인쇄를 위한 무 기재 점착 테이프
KR100989859B1 (ko) 보호필름
KR102219925B1 (ko) 플렉서블 편광막,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76621B1 (ko) 보호필름
TWI513591B (zh) 保護薄膜
CN112384587A (zh) 光固化性粘合片、粘合片层叠体、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KR101257938B1 (ko) 보호필름
KR20120001537A (ko) 보호필름
KR101276610B1 (ko) 보호필름
KR101257883B1 (ko) 보호필름
KR101886429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광학부재
KR10195576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80121319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257885B1 (ko) 보호필름
KR101675569B1 (ko) 보호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